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재판상화해의 기판력에 관한 연구

        김주(Jin Zhu) 한국법학원 2010 저스티스 Vol.- No.117

        사적분쟁의 최종해결방식인 민사소송은 소송지연의 문제와 더불어 소송비용에 대한 부담이 크고 일도양단적인 판결은 당사자에게 후유증을 남기기 때문에 소송에 의한 분쟁해결을 대신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인 ‘판결의 대체해결방법’이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본고는 판결의 대체해결방식의 하나인 재판상화해를 중심으로 재판상화해와 같은 효력이 있는 민사조정 등에 기판력을 인정할지 여부에 대하여 논의를 전개한 것이다. 기판력은 본래는 당사자가 법관의 면전에서 공격방어방법을 다하고 법원의 실질적인 심리를 거쳐 선고한 본안판결에 대하여 효력을 발생하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에 이 원칙을 그대로 견지하면 화해나 조정에는 기판력이 미치지 않는 것이 이론적으로 타당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정법이나 판례는 재판상화해나 민사조정에 기판력이 미치는 것을 긍정하고 있다. 그러나 재판상화해는 어디까지나 소송절차를 진행하여 이루어진 확정판결과 완전히 일치한 기판력을 가진다고 보기에는 무리한 점이 없지 않다. 왜냐하면 판결과 달리 재판상화해는 당사자에 의한 자주적인 분쟁해결책이기 때문에 그 성립과정에서 사기ㆍ강박 등이 존재할 가능성을 부정할 수 없고 그 무효며 취소에 의한 주장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있어서 재판상화해의 기판력을 배제할 것이 아니라 원칙적으로 법조문의 “재판상 효력은 확정판결과 동일한 효력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재판상화해에 취소 혹은 무효의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소송계속을 할 수 있다는 규정을 두든지 혹은 재심사유로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제도적인 구제방법이 없는 경우에는 해석론적으로 해결할 수밖에 없는바 이런 경우에는 준재심의 범위를 넓게 인정하여 취소ㆍ무효의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준재심의 사유에 해당한다고 해석하거나, 사회법질서에 위반된다고 보아 기판력을 부정하는 방향으로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Civil action, as the last resort of a civil dispute resolution, is often accompanied by the problems such as delay of lawsuit and expensive litigation fees. As well, an absolute final decision sometimes fails to protect the parties’ substantive right. For these reasons, alternative resolutions to a final decision have been broadly adopted. This assay is based on the issue that whether a consent judgment, one of the alternative resolutions, should be granted Res judicata. Originally, Res judicata is an effect of the decision in civil procedure, for which the parties argued and defended before a judge and the judge declared it after an actual trial. In this view, Res judicata should not be granted to a reconciliation or mediation. But actually, both statute and precedents equipped the consent judgment and civil mediation with Res judicata. However, it is difficult to equal the Res judicata of a final decision, which is entered after a performance of strict civil procedure, to that of a consent judgment. For different with a final decision, the consent judgment is achieved according to the parties’ self-determination, where cheat and compulsion inevitably exists. Even then, because of the effect of Res judicata, a party can not claim the judgment to be invalid or repealed. To deal with this problem, while keeping the principle that a consent judgment has Res judicata by providing it explicitly in statute,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a provision that when the consent judgment is reasonably to be declared invalid or repealed, a consent judgment will lose the effect of Res judicata, then the previous trial will continue or an analogous trial be initiated. If this institutional resolution fails to be applied, we have to deal with it by legal interpretation, which is to expand the range of analogous retrial by amplified interpretation and to construe the reasons of invalidity and repeal as grounds for analogous retrial or as violation of social law and order, then reject the Res judicata.

      • KCI등재

        環境紛爭調整法에 따른 분쟁해결과 ADR의 일반이론(Ⅱ)

        김시철 한국환경법학회 2009 環境法 硏究 Vol.31 No.1

        The Environmental Dispute Adjustment System (“EDAS”) stipulated in the Environmental Dispute Adjustment Act (“EDAA”) is a form of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DR”) handled by a division of the Administrative Branch. This particular dispute resolution mechanism followed in the EDAS, consists of several controversial aspects, when viewed in the light of various general principles that lies in the core of ADR. Though the main purpose of EDAS, which models after the Japanese Adjustment System for Grievances from Pollution, is to settle civil disputes arising in the environmental areas, when compared, the vast majority of EDAS cases in Korea relate to adjudicatory awards while mediation cases constitute overwhelming dispute resolutions in Japan. This, therefore, has drawn criticism concerning the Korean practice of dispute resolution in the environmental dispute setting, since it runs contrary to the very nature of ADR. Furthermore, in consideration of the general principles of ADR, the provisions of EDAA consist of various fundamental defects. In fact, due to the tendency of ‘under-litigation’ involving environmental disputes, to some extent, this requires a specific mechanism for resolution of such disputes. Under the current system of EDAS, however, the State provides public subsidy to litigants as a matter of fact, which may result in ‘over-litigation’ of disputed cases and actually create a converse effect. Though it may be inevitable to sustain the current system for the time being, for the future, the EDAS should be framed in order to minimize the total cost of resolving disputes. Since the total cost consists of both an ‘operation cost’ and an ‘error cost,’ to reduce the former cost, the latter cost is considered as a necessary trade-off. The EDAS, therefore, must be constructed in a way to minimize the sum of both costs accordingly. Until recently, the successful outcome of a mediation or an adjudicatory award within the EDAS has been considered as a formal consent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concerned, which is greatly similar to that of Japan. Nevertheless, because of the newly enacted statute, EDAA(amended by Act No. 8955 on Mar. 21, 2008, and effective on Sep. 22. 2008), the final outcome of EDAS now has the same effect as a consent judgment of a court. This raises doubts on whether the amendment of the statute can even be upheld as legitimate at all. Under the current Civil Procedure Act in Korea, consent judgments not only have the effect of an execution(enforcement power) but also the effect of a claim preclusion(res judicata). When compared, the Korean consent judgment system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German system, which only has the effect of execution(enforcement power) but not of claim preclusion.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statute must also be strictly scrutinized since outcomes of the ADR conducted by the Administrative Branch have the similar effect of a consent judgment. Even from the standpoint of democratic legitimacy, the Korean EDAS is relatively inferior to the Japanese system. Thus, it seems unreasonable to produce the outcomes of EDAS have the similar effect of a consent judgment. Furthermore, in light of the precedents of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controversy surrounding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provisions on the effect of EDAS or Ex Officio Mediation system still remains as an important issue to be considered. The very nature of the ADR must be emphasized that respects the parties’ autonomy involving each dispute, in order to establish a dispute resolution system that is based on sound ADR principles. From another standpoint, the success of EDAS system depends on the extent of reducing the error costs associated with the disputes resolutions. Therefore, in addition to reviewing the empirical research conducted in the U.S. or Japan for guidance in improving the current EDAS system, attempts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decisions of the...

      • KCI등재

        T-Mobile과 Sprint 합병의 정책적 함의: 동의 판결 분석을 중심으로

        이한영,차성민 한국비교정부학회 2022 한국비교정부학보 Vol.26 No.4

        (Purpose) In the recent merger between mobile carriers in the U.S, the DOJ's claim and D.C. court's consent judgment analyzed the requirements to be considered in the merger review between mobile carriers. This case was conditionally approved for the merger, even though it is a merger plan that brought the three oligopoly in the marke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reasons for approving this merger. (Design/methodology/approach) We reviewed the horizontal merger guidelines of the U.S. DOJ and FTC firstly, and figured out the pros and cons of the DOJ and scholars on the merger of T-Mobile and Sprint. It reviewed the claims of the companies involved in the merger, and the contents of the court's consent judgment. (Findings) In this case the court finally approved it, taking into account the following points: ① this merger with third and fourth companies does not strengthen the market power of top operators, ② the management, which has been engaged in business activities as Maverick, continues to manage as it is, ③ coordinated conduct is not as worrisome as the AT&T/T-Mobile case, and ④ the merger of this case has the effect of promoting competition and the purpose of industrial policies that promote the establishment of 5G network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This study derived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the introduction and spread of new technologies or new industries can play a significant role as an approval factor in high-tech industries, and concerns about coordinated conduct are also importantly considered as factor for rejection of merger.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강간죄’ 구성요건 개정 운동의 의미와 과제

        이미경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9 여성학논집 Vol.36 No.2

        This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issues, and challenges of the social council, <Social Solidarity for Amendment of Rape>, which is a movement to make gender-impacted legal system triggered by the Me-too Movement in 2018. Since the enactment of the Penal Code in 1953, Article 297 of the Criminal Act has set constitutional element of rape offense to be on assault and intimidation. After the Me-too Movement, the National Assembly has proposed ten bills of "Lack of Consent," but not one of them has been properly discussed. Moreover, 71.4% of the rape survivors revealed they experienced rape with no direct violence or intimidation during there counseling. Thus, <Social Solidarity for Amendment of Rape> has made an amendment bill which reorganizes constitutional elements of rape offense to be on one’s consent, and is requesting congressional representatives to propose the amendment, expanding discussions through governance with the government, and improving public awareness. The issues of the Amendment campaign of Article 297 of the Criminal Act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the scope of the law revision, the change of the term 'unconsensual adultery', and the demonstration of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consent' as a criterion. This article highlights that shifting the paradigm of constitutional element of rape from ‘violence and intimidation‘ to ‘consent‘, will allow an awareness and self-inspection of how the patriarchy and masculine perspective leads to a biased rationality and objectivity of the law, as well as how it excludes the voices of the survivors. Furthermore, the movement does not limit its aim to revising the penal code, but also suggests a combination of activities that can change public perceptions and everyday practices. 이 글은 2018년 미투운동으로 촉발된 성차별적 법ꞏ제도 개선 움직임 중 <‘강간죄’ 개정을 위한 연대회의> 활동의 의미와 쟁점, 과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1953년 형법제정이후 현재까지 형법 297조 강간죄는 폭행ꞏ협박을 구성요건으로 하고 있다. 미투운동 이후 국회에는 이미 10개의 ‘비동의간음죄’ 관련 법안이 발의되었지만, 현재까지 법안 논의조차 제대로 안 되고 있다. 반면 상담현장에서는 강간 피해자의 71.4%가 폭행ꞏ협박이 없었음이 드러나고 있다. <‘강간죄’ 개정을 위한 연대회의>에서는 동의여부를 성폭력의 판단기준으로 재편한 형법 개정안을 마련해 의원 발의 요청, 정부와의 거버넌스를통한 논의 확산 및 대국민 인식개선 활동을 하고 있다. 강간죄 개정 운동의 쟁점은 법개정의 범위 설정 및 ‘비동의간음죄’라는 용어의 변경, 판단기준으로서 ‘동의여부’ 도입필요성 논증 등이다. 이 글은 강간죄의 구성요건을 ‘폭행과 협박’에서 ‘동의여부’로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것이 가부장제 사회 남성중심적인 시각에서 형성된 법의 ‘합리성’이나 ‘객관성’이 얼마나 피해자의 경험과 목소리를 배제하고 있었는지에 대한 성찰임을강조한다. 또한 연대회의 운동이 형법개정만을 목표로 할 것이 아니라, 대중들의 인식변화와 일상의 실천을 추동할 수 있는 활동의 병행을 제언한다.

      • KCI등재후보

        주주대표소송상 화해와 강제집행에 대한 소고

        최영덕(Young-Duk Choi)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法學硏究 Vol.19 No.2

        This is a study on the several procedural aspects of the shareholder derivative suits. The topics of this article covers shareholder's standing, suit-joining, settlement and executio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iece examines, the suits' characteristics and legal nature. On the strength of the surveyed characteristics the procedural topics are well lined up to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context, which overcome the old fragmentary and inconsistent study behavior. To the standing problem the article concludes that the shareholder-plaintiff is entitled to suit on the behalf of the corporation and has little relation to the theory of the contemporaneous share ownership in American law. As the shareholder-plaintiffs standing is additional on that of the corporation, it is natural, as showed in this piece, that the corporation can as an independent plaintiff join the current derivative suit. The corporation has a right to execute with shareholder-plaintiff's writ of execution, as it has a original interest in the suit. Nevertheless, the shareholder-plaintiff has a supplementary right to execute, when the corporation is not willing to execute. The author that the legal mechanism of the Korea shareholder derivative suits could be well designed to cope with the growing corruption of corporations, and that it could have a good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legal system in this area.

      • KCI등재

        조선시대 소송에서 和解 - 「1583년 義城縣 決折立案」을 중심으로 -

        한상권 한국고문서학회 2019 古文書硏究 Vol.55 No.-

        「Uisung-Hyun Gyeol-Song-Ip-Ahn(義城縣決訟立案) in 1583」 which is a civil decision in the Joseon Dynasty and rare archive shows the aspect of judicial compromise(裁判上和解). This document contains the details of the process of the compromise in court(訴訟上和解) in the Joseon Dynasty. The details of the content are as below; First, the compromise in court was a verbal settlement(口述和解) in front of the judge in the court which requires the submission of written settlement application in advance. Second, the compromise was based on the principle of adversary system(當事者主義) which means the plaintiff and the defendant make a mutual concession. Third, a lawsuit and relevant procedures were ended with the decision of compromise. Fourth, the decision of compromise would extinguish the party’s right which was compromised, and would cause the effect that counterparty acquired such right due to the compromise. Fifth, given Res judicata(旣判力) is applicable to the decision of compromise, the parties cannot argue the validity of the decision once compromise was established. If the party argued the invalidity of the compromise later, it was punishable for an illegal lawsuit. This is aligned with the principle of unlimited Res judicata in the Civil Procedure Code.

      • KCI등재

        Legal Effects of Mediation

        Kim.Kwang-Soo 한국토지공법학회 2009 土地公法硏究 Vol.47 No.-

        이 글에서 다루는 조정은 행정법 관계에서 발생하는 분쟁의 해결을 위한 것이다. 한국의 행정법은 종래 “행정에 관한 국내 공법”이라고 다수의 학자에 의하여 정의되어 오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행정법 관계에서의 조정의 대상이 되는 사안에는 사인의 이해만이 아니라 공익(public interest)이 걸리게 된다. 그러므로 행정법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조정은 사적인 이해관계를 가지는 시민들 사이의 조정과는 다른 양상으로 전개된다. 조정이 양당사자 간의 상호양보에 의한 합의 과정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조정의 법적인 효력 또한 일정하지 않을 것이다. 즉, 분쟁의 쌍방 당사자들은 조정의 내용만이 아니라 조정의 법적인 효력에 대해서도 서로 합의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즉, 당사자들은 조정을 단순한 합의도달이라는 사실상의 상태에 둘 수도 있고, 조정에 의하여 도달된 결과에 대하여 서로 다른 태도를 취할 수 없도록 영구적인 것으로 만들 수도 있다. 후자의 방법은 분쟁의 당사자들이 마치 스스로를 국가의 재판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이 양자 간의 사이에 다양한 형태의 조정의 효력에 관한 스펙트럼이 존재할 수 있다. 가령 조정을 통하여 도달된 결정에 대하여 우선은 사실적인 효과를 부여하되, 일정한 시간의 경과를 조건으로 하거나 ,혹은 조정에 의하여 결정된 내용의 이행을 조건으로 하여 법적으로도 최종적인 것으로 만들 수 있다. 이 글은 행정법 관계에서 조정에 대하여 어떤 법적인 효력을 부여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이에 관한 필자의 견해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조정은 당사자의 교섭을 바탕으로 판결에 이르지 않고 분쟁을 해결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조정은 협상과 중재의 중간적인 위치에서 당사자간의 합의에 의하여 원만한 결과에 도달할 수 있다. 조정에는 법원이 주도하는 유형, 행정기관이 주도하는 ㅇ형 그리고 민간이 주도하는 유형 등 다양한 내용이 포함된다. 조정이 가지는 장점은 조정의 이용을 활성화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조정은 신속하며, 저렴하고, 유연한 이해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조정의 특성이 조정을 가능하게 할 뿐만이 아니라 분쟁의 조속한 해결에도 도움을 준다. 한국법상 조정의 법적인 효력에 대하여 당사자간의 합의로 보는 유형과 재판상의 화해로 보는 유형이 병존하고 있다. 재판상의 화해로 인정되면 일반적인 법적 효과이외에 기판력과 같은 강력한 법적 효력이 인정된다. 재판상의 조정 혹은 법원주도의 조정은 재판대체적인 기능을 하기 때문에 그 법적 효과도 판결과 유사한 효력을 인정할 수 있다. 그러나 행정기관 주도형 조정에 판결과 같은 강한 법적 효력을 부여하는 것은 조정의 본질에 맞지 않는다. 조정을 주도하는 조정인의 중립성, 공정성이 문제이기도 하거니와 당사자에게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어 있지 아니한 상황에서 확정판결과 같은 효력을 부여할 수 있을 지 의문이다. 그리고 법적으로 강한 효력을 부여한다고 해서 조정된 내용의 이행을 촉진한다는 증거는 없다. 모든 점을 고려할 때 행정기관 주도의 조정에 대해서는 당사자의 합의와 같은 정도의 법적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옳다.

      • 개인정보 보호법의 제문제

        구태언(Taeeon Koo) 서울대학교 법학평론 편집위원회 2012 법학평론 Vol.3 No.-

        대한민국은 단시간에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통신 인프라를 구축하였고 이로써 우리는 ‘항상 온라인에 접속한 삶(always connected)’을 살게 되었다. 그러나 국민들은 “개인정보 유출 및 명의도용”을 인터넷 기반 사회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식하며 우려하고 있다. 개인정보 보호법이 제정되기 전에는 관련 법령의 규율범위가 정보통신망, 의료, 금융 등으로 한정되어 있어 입법적 공백이 많아 개인정보를 충분히 보호하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일반법인 개인정보 보호법이 제정되어 2011. 9. 30.부터 시행되기에 이르렀다. 개인정보 보호법은 약 350만 개의 공공기관, 사업자, 각종 비영리단체, 개인 모두를 규율대상으로 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입법적 공백 자체는 많이 줄어들게 되었다. 그러나 외국 입법례와 달리 우리나라는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개별법을 존치시킨 관계로 규범간의 충돌, 집행기관 사이의 권한배분 문제 등이 여전히 존재하고, 유권해석·재판례 등이 충분히 축적되지 못하여 법의 해석·적용· 집행에 있어서 상당한 혼란이 벌어지고 있다.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사건이 연달아 발생하면서 개인정보 보호법이 법조계는 물론이고 사회 전체의 관심을 받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지만, 세간의 관심이 유독 개인정보 유출과 기업이미지 하락, 집단소송을 통한 손해배상 정도로 한정되는 점은 안타까운 일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특정 사건이나 주제에 관한 심도 있는 논의보다는 개인정보 보호법과 관련하여 그 동안 실무적으로 문제가 되었던 여러 사례들을 개인정보 보호법 조문 순서에 맞춰 개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개인정보 보호법이 우리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중요한 법인지를 다시 한 번 돌아보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In Korea, the world’s highest leve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has been built in a short period of time, so we are now living ‘the life of always connected to the online’. But the citizens are recognizing and worrying ‘personal information leak and identity theft’ as the most serious problems of the internet based society. Before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PIPA) was legislated, the range of regulation of related laws was limited to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field, the medical field, and the financial field. To solve this problem, the PIPA was established and was enforced from Sep. 30, 2011. Now all about 3.5 million of public institution, business operators, nonprofit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are in the range of regulation of PIPA, and now the gap of regulation has been almost reduced. But because the specific laws remain in Korea - different from the foreign legislation cases, there are still some problems such as conflicts between the specific laws, problems of distribution of the authority, and also lack of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and judicial precedent brings considerable confusion to the interpretation, application, execution of the law. It is very encouraging that the entire society, including the legal field, is now interested in the PIPA with continuous occurrence of the big personal information leak affairs, but it is very regrettable that the main public concern is limited to the personal information leak issues, the damage of the company’s image, and the group damage suit. So this document contains some case reviews in the sequence of the PIPA provisions rather than in-depth discussion of the specific cases or specific subjects, and we can recognize why the PIPA is very closely connected with our lives ag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