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상준(金相濬) 목사의 『四重敎理』(1921)와그 이후 한국 성결교회의 ‘四重福音’과의 상이점 비교 연구

        안수강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1 장신논단 Vol.53 No.5

        This research aims to study differences between rev. Sang-Jun Kim’s masterpiece Four-fold Doctrine(1921) and subsequent four-fold gospel of Korea Holiness Church. Four-fold gospel of Korea Holiness Church derives from Kim’s book Four-fold Doctrine. Four-fold gospel which began as an evangelical catchphrase and early doctrine of Korea Holiness Church has developed into its fundamental doctrine and Christian confession. I considered the core points and discourses revealed in Kim’s Four-fold Doctrine and subsequent four-fold gospel of Korea Holiness Church as follows. Firstly, I attempted to analyze Sang-Jun Kim’s Four-fold Doctrine on the basis of classical four-fold gospel of Holiness Church based on regeneration(new life), sanctification, second coming, divine healing. He confessed that this four-fold doctrine is the most crucial key factor of Christian thought. He tried to cover all the Christian doctrine and lessons on the ground of four-fold doctrine. Secondly, I focused on differences between Kim’s Four-fold Doctrine and subsequent four-fold gospel in “Doctrine and Ordinance”(1925) and “Items of Faith”(1929) of Korea Holiness Church, “Doctrine and Sacrament”(2001) of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Creed”(2002) of Jesus Korea Sungkyul Church, and so on. In light of Kim’s appreciable traces, I suggest future extensions of this research into other various themes such as educational ministry in Oriental Mission Society,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doubtful separating with Rev. Bin Jeong, church planting and pastoral ministry, Manchuria mission, ecumenism, interaction with Presbyterian and Methodist, bibliography of the writings and review of original documentations, and other related areas. 본 연구는 1921년에 간행된 김상준 목사의 역작 『四重敎理』(Four-fold Doctrine)와 그 이후에 나타난 한국 성결교회의 사중복음과의 상이한 점을 고찰하려는 데 목적을 둔다. 한국 성결교회의 사중복음은 김상준이 저술한 『四重敎理』에서 유래한다. 사중복음은 한국 성결교회의 전도사역을 위한 표제이자 초기 교리로 시작되었으며 교단의 핵심적인 교리로, 또한 그리스도인들의 신앙고백으로 착근 했다. 본 논문에서는 김상준의 『四重敎理』에 진술된 중추적인 논점과 담론, 그리고이 저서가 빛을 본 이후에 나타난 한국 성결교회의 사중복음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숙고했다. 첫째, 중생(新生命), 성결, 재림, 신유 등에 기반을 둔 성결교회의 전형적인 사중복음에 기초하여 김상준의 『四重敎理』를 분석했다. 그는 이 사중교리가 기독교 사상의 가장 중요한 요체(要諦)를 형성한다고 고백했다. 그는 사중교리를 근간으로 하여 기독교의 모든 교리와 가르침을 포괄하고자 했다. 둘째, 김상준의 『四重敎理』와 그 이후의 시기에 전개된 사중복음 사이에 어떤 상이한 점이 있는지를 밝히는 데 역점을 두었으며 1925년 한국 성결교회의 “敎理 와 條例”, 1929년 “信仰個條”, 2001년 기독교대한성결교회(기성)의 “敎理 및 聖禮 典”, 2002년 예수교대한성결교회(예성)의 “信條” 등과 대조하여 살펴보았다. 김상준이 남긴 의미 있는 행적들을 고려할 때 향후 그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 주제들로 외연(外延) 확장함으로써 그의 동양선교회에서의 교육사역, 삼일독립운 동, 정빈 목사와의 석연치 않은 결별, 교회개척과 목회사역, 만주 선교, 에큐메니즘 사고, 장로교와 감리교와의 교류, 저작 목록과 원자료 해제 등 여러 방면의 연구로 확장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초기 기독교 세례예전과 사중복음

        조기연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61

        기독교 복음 안에는 구원과 관계된 여러 개념과 단계들이 있는데, 그 중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이 중생(new birth)과 성화(santification)일 것이다. 전통적으로는 중생이나 성화가 성례전을 통해서 얻게 되는 은총이라고 인식되었으나, 근대 개신교에서는 성례전의 개념이 약화되고 회개, 기도, 말씀 등 개인적 경건이 이러한 은총을 받는 실제적인 방법이라고 인식되었다. 예컨대 교회에서 베푸는 공적인 물세례보다는 열심히 기도하고 말씀 들을 때 ‘성령세례’를 받게 되며, 이것이 실질적인 구원의 은총을 가져다준다고 믿는 것이다. 이러한 기류의 중심에는 성령운동을 강조하는 복음주의 계열의 교회들이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기독교대한성결교회와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를 들 수 있다. 이 교회들의 구원론의 핵심은 소위 ‘사중복음’(Four-fold Gospel)으로 표현된다. 사중복음은 중생, 성결, 신유, 재림 이렇게 기독교 복음의 네 가지 요소를 강조하는 것으로서, 성결교회는 이 네 가지를, 오순절교회는 여기에 ‘축복’을 더한 ‘오중복음’을 자신들의 교리적 정체성으로 주장한다. 문제는 사중복음이나 오중복음을 강조할수록 초대교회로부터 인식되어 왔으며 범 기독교적으로 정체성으로 인정받는 성례전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성례전을 등한시 하게 된다는 사실이다. 사실 따지고 보면 기독교 고유의 성례전인 세례나 성찬 안에 사중복음이나 오중복음의 요소가 이미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기독교 성례전 중의 하나인 세례예전 속에 사중복음적 요소들이 모두 들어있음을 밝혀내려는 목적에서 집필되었다. 성서와 초기 기독교의 세례예전을 조사해보면 중생과 성결과 신유와 재림이라는 사중복음이 각각 나누어진 별개의 은총이 아니라 세례 속에 모두 들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대교회가 세례를 그저 하나의 요식적인 행위가 아니라 세례의 성례전적 차원을 재인식하고 성서와 초대교회의 정신과 실천을 따라 지금보다 더 비중있게 신학적 의미를 되살려 시행한다면 분명 세례의 과정에서 수세자는 사중복음의 네 가지 은총을 경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Among various stages related to the salvation of the Christian Gospel, ‘re-born’ and ‘santification’ could be noted as the most important ones.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re-born and santification are the graces which can be acquired through the sacraments. However, modern protestant churches tends to understand that believers acquire these graces through personal devotion such as repentance, prayer, and listening to the Word. This idea downgrades the importance of the sacrament. In this reason, believers practice water baptism as a meaningless business while practicing prayer and listening to the word with enthusiasm because they believe this kind of devotion bring them ‘spirit-baptism’ which means a real grace of salvation. Evangelical Churches which emphasize holiness movement such as The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and The Full Gospel Church of Korea represent this tendency. Core soteriology of these churches can be expressed as ‘Four-fold Gospel’ which includes re-born, sanctification, healing, and the second coming. The Korea Evangelical Church takes four-fold Gospel, and The Full Gospel Church of Korea takes five-fold Gospel as their dogmatic identity. Five-fold Gospel has one more item ‘blessing’ over the four-fold Gospel. However, we are facing with a problem that the more we stress the four-fold Gospel the more we recede from the traditional mainline churches’ concept of the sacrament. This Essay was written for the purpose to prove that there already exists four-fold Gospel within the sacrament of baptism. Re-birth and sanctification are not separated into two individual steps but an unified one in the process of baptism. Bible and the Early Christianity testify that each grace of the four-fold Gospel are integrated within the process of Christian initiation. Therefore, when we have a new understanding about the baptism in the bible and the early church, we can experience the graces of the four-fold Gospel when we are baptized.

      • KCI등재

        신앙사건의 윤리적 전환 가능성 탐색-사중복음 사상의 보편적 가치윤리를 위한 해석학적 재구성

        김상기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2 기독교사회윤리 Vol.52 No.-

        이 논문에서 신학교리이자 사상으로서의 사중복음을 윤리학의 장에서 재구성하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이라는 사중복음 각각의 이념이 철학윤리의 범주에서 어떻게 논의될 수 있는가를 모색했다. 사중복음 담론이 확대-재생산되기 위해서는 철학적 영역과의 접점을 찾는 일이 우선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보편적 가치에 이어 본 연구는 근사치적 가치로서의 글로벌 가치윤리를 다시 모색하였다. 글로벌 가치윤리로서의 중생은 ‘바뀜’의 가치로 나타나며, 이것은 일종의 변화의 윤리이며, 이는 벗음과 입음이라는 성서적 환복 이미지를 통해 표현된다. 성결은 ‘다름’의 가치로 불려질 수 있으며, 다름으로서의 성결은 다르기에 구별되지만 다르기에 포용할 수 있는 이중의 가치를 보여준다. 신유는 ‘나음’의 가치로 전환되며, 파괴된 몸의 회복으로서의 나음(회복)과 더 건강한 몸의 유지와 지속으로서의 나음(긍정)이라는 두 측면을 모두 포괄한다. 재림은 실존적 죽음과 우주적 심판이라는 종말론적 신앙사건으로서, 그리스도 안에 있는 모든 자에게 재림사건은 영원한 ‘누림’의 가치로 구성되며, 이러한 누림을 위해서는 죄로부터의 실존적 자유와 심판으로부터의 우주적 정의라는 종속적 가치에 의해 실현될 것이다. 이러한 자유와 정의를 위해서는 나의 실존적 죽음과 심판에 대한 적극적 수용력, 즉 받아들임이 전제되어야 한다. The researcher set out to reorganize the Four-Fold Gospel as theological doctrines and ideas in ethic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explored ways to discuss each idea of the Four-Fold Gospel, including “regeneration,” “holiness,”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within the category of philosophical ethics as the priority is to find contact points between the Four-Fold Gospel and the philosophical domain to expand and reproduce the discourse of the Four-Fold Gospel. This study examines global value ethics as approximate values that could reach universal ethics. It encompasses both the aspects of recovery(getting better) as getting better from a destroyed body and positive thinking(better than) as keeping and maintaining a healthier body. The event of the second coming is organized with the value of eternal “enjoyment” to all people within Christ. Such enjoyment can be fulfilled by the subordinate values of existential freedom from sins and cosmic justice from judgments.

      • KCI등재후보

        영국의 웨슬리 성화운동과 미국 A.B. Simpson의 사중복음 ― 성결교 신학의 토대: 연속성과 발전과정을 중심으로

        김영택 ( Young Taek Kim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3 神學과 宣敎 Vol.42 No.-

        전도운동으로 1907년 시작된 한국의 성결교회(기성, 예성)는 한국 개신교의 3대 교단이라고 할 만큼 외적인 성장을 경험하였다. 그러나 성결교회의 신학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일은 외적인 성장을 따라잡지 못하였다. 여전히 성결교회 신학의 정체성에 관한 다양한 신학적 견해들이 경쟁하며 공존하고 있다. 기성과 예성의 대부분의 웨슬리 학자들은 웨슬리 신학이 성결교회의 신학의 기초임을 주장하는 데 반하여, 또 다른 학자들은 사중복음을 성결교 신학의 정체성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웨슬리 신학과 사중복음이 상호배타적이거나 대립적인 신학체계가 아니라 신학적으로 연속선상에 있으며 발전과정에 있다는 것이다. 웨슬리신학이 아니라면 사중복음이라는 방식의 either/or (이것이냐, 저것이냐)의 양자택일의 방식으로 몰아가는 것은 웨슬리 신학과 사중복음에 대한 강한 역사적/신학적 편협성의 결과이다. 이러한 학자들의 간의 신학적 불일치에 의하여 현장의 목회자들과 신학생들은 성결교 신학의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느낄 수밖에 없다. 이제 이러한 혼란을 불식시키고 무엇이 성결교회의 신학인가를 다음세대의 성결교회 지도자들에게 분명하게 밝혀 줄 시기가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반응하기 위하여 한국 성결교회의 신학적이 기반이 되는 존 웨슬리의 성화론과 A. B. 심프슨의 사중복음을 연구하는 일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즉, 성결교 신학의 정립을 위해서는 존 웨슬리의 성화론을 연구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아울러 A. B. Simpson 의 사중복음에 대한 연구 또한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것이다. 한국의 성결교회는 어느 날 갑자기 진공상태에서 탄생된 교단이 아니다. 기독교 역사의 큰 물줄기의 한 흐름 가운데서 시대적 요청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생성된 교회라고 할 것이다. 기독교 역사의 물줄기에는 항상 “성화”에 대한 강조점이 있었다. 웨슬리는 이 성화교리를 강조하며 발전시켰으며 19세기 북미를 초교파적으로 휩쓴 성결운동의 신학적 토대가 되었다. 북미의 성결운동은 성결 교리를 중심으로 사중복음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는데 이 사중복음이라는 용어를 신학적으로 정리하고 최초로 사용한 인물이 A. B. Simpson이다. 그리고 웨슬리의 심프슨의 성결운동은 한국 성결교회에 역사적/신학적으로 큰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이들의 신학적 특징 내지 공통점은 곧 성결교회 신학의 특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므로 성결론을 중심으로 웨슬리의 구원론과 심프슨의 사중복음을 연속성과 공통점을 중심으로 파악하는 작업은 한국 성결교회 신학의 정체성을 찾아 가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신학적 작업이 될 것이다. Since its foundation in 1907, Korea Holiness Church (including Jesus Holiness and Christ Holiness) has experienced a significant outward growth in terms of its membership and the number of local churches. However, it has failed to build up its theological foundation and identity. As a result, there has been different theological views and diversities in the denomination. For this reason, the members of the church and the theological students of the theological seminaries which belong to the denomination have been confused for their theological identity. While Wesley scholars in the denomination argue that John Wesley`s theology is the theological foundation, other historical-theology scholars insist that the four-fold gospel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the second coming of Christ) should be the theological foundation for the denomination. Some argue that if Wesley`s theology is the foundation of denomination, there is no theological difference between the Methodist Church and the Holiness Church. They argue that, therefore, the four-fold gospel should be the theological foundation for the denomination. However, there is one thing we should remember: John Wesley`s theology and the four-fold gospel are not mutually exclusive but complementary each other. In order to articulate a theological foundation for the Holiness church, Wesley`s theology, as well as, A.B. Simpson`s four-fold gospel should be studied. Korea Holiness Church has its significant root historically and theologically derived from John Wesley and A. B. Simpson. John Wesley`s doctrine of sanctification has deeply influenced on the 19th century holiness movement of North America. And the movement was the direct influence for the foundation of Korea Holiness Church. Therefore one should not neglect any of these two theological streams. With special reference to Wesley`s doctrine of sanctification and A.B. Simpson`s four-fold gospel, one should focus on their theological development and continuity rather than discontinuity.

      • KCI등재

        한인 디아스포라 선교운동과 사중복음

        김영택 한국선교신학회 2020 선교신학 Vol.58 No.-

        본 논문은 한인 디아스포라 선교운동과 성결교회의 신학적 정체성 인, “사중복음”과의 관계를 논하고 있다. 먼저, 한인 디아스포라 선교운 동은 이 시대를 위한 가장 효과적이며 적합한 선교방법론임을 밝힌다. 이미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한인들, 특별히 2세대들을 세계선교를 위한 자원으로 세워가자는 한인 디아스포라 선교운동은 이 시대의 가장 탁월한 선교방법론임에 틀림없다. 선교운동은 그 운동을 가능케 하는 신학적 토대와 근거가 필요하다. 필자는 사중복음이 한인 디아스 포라 선교운동을 위한 신학적 동력이 되기에 충분하다고 주장한다. 사중복음의 각각의 주제인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은 성결교회의 신학을 넘어, 복음이 증거되는 곳에서는 반드시 선포되어야 할 기독교의 가장 핵심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전 세계에 흩어진 한인 디아스 포라들이 만일 사중복음의 신학으로 훈련되어 있다면, 그들은 그들이 살아가는 곳에서 그 누구보다 훌륭한 선교사의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diaspora mission movement and “the Four-fold Gospel,” the theological identity of the Holiness Church. The Korean Diaspora Mission Movement is the most effective and appropriate mission methodology for this era. The Korean Diaspora Mission Movement, which aims to establish Koreans scattered all over the world, especially the second generation, as a resource for world mission, must be the most outstanding mission methodology of this era. The missionary movement needs a theological foundation and grounds to enable it. This paper claims that the Four-fold gospel (regeneration, holiness, healing, and the Second coming) is sufficient to be a theological foundation for the Korean Diaspora missionary movement.

      • KCI등재

        일제 말기 성결교회의 수난과 교단 해산

        김승태(Kim Seung-Tae)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5 No.-

        성결교회의 수난과 교단 해산 사건은, 일제가 교회의 신념과 교리를 문제 삼아 교단을 해시킨 전형적인 종교 박해사건 가운데 하나이다. 1942년 6월 일본 본토에서 이 사건의 전조가 되었던 일본기독교단 제6부와 제9부에 소속된 성결교회 계통의 세 교파 교회의 지도자들을 교리를 문제 삼아 대거 검거, 처벌한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은 식민지 한국에도 영향을 미쳐 총독부가 1943년 5월 하순경부터 성결교회 교역자들을 전국적으로 검거하여, 전국에서 교단 통리였던 이명직 목사를 비롯한 34명의 성결교 지도자들을 입건 취조하였다. 그리하여 총독부가 1943년 12월 교단 해산성명을 발표하게 하고, 당시 성결교회에 소속되어 있던 모든 교회를 해산하게 한 것은 성결교회의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이라는 4중복음 가운데, 재림이 “근본적으로 국체의 본의”에 적합지 않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신사참배 거부와 함께 이러한 재림교리와 종말론 설교를 문제 삼은 일제의 탄압은 다른 교파 교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같은 성결교회의 지방 교회였던 강원도 금화성결교회 사건과 경북 군위성결교회 사건만 하더라도 주도자의 개별적 처벌에 그쳤지만, 일본에서의 동일 계열 탄압사건의 여파가 한국교회에까지 미쳤던 것이다. 총독부는 성결교회의 해산성명 발표와 동시에 그 날로 교단 소속 전국 190개 교회의 포교소 폐지계를 받아들이고, 성결교회유지재단에 속한 모든 재산을 적산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한편, 각 교회의 부동산 및 비품 일체까지 그들의 지시를 받아 잔무정리위원들이 처리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일제의 강압에 못이긴 것이라고는 하더라도 형식적으로라도 자발적인 해산을 하고, 더욱이 교단 해산은 교단 총회에서 결의해야 할 사항인데도 불구하고 불법적으로 교무회에서 결의하여, 각 교회에 일방적으로 교단 해산을 통고하는 한편, 잔무정리위원을 두어 일제 당국의 지시를 받아 교회 재산을 처분하여 일제에 바치도록 한 행위는 교단의 변질 못지않게 반성해 보아야 할 문제라고 할 수 있다. The sufferings and dispersion of the Holiness Church in 1941-44 was a typical case of religious persecution, not caused by its certain activities, but by its certain belief system and doctrines. The Japanese Government arrested and punished the leaders of three denominations of the Holiness Church in Japan affiliated to the Japanese Christian Church in June, 1942. A similar persecution followed in the colonial Korea. The General-Governor Government in Korea arrested 34 leaders of the Holiness Church, including Rev. Yi Myong-Jik, in May, 1943, and forced them to issue a statement of the dispersion in December. The reason of the dispersion was that the Government thought that the doctrine of the Second Coming of Christ, one of the four-fold gospel of the denomination, did not suit "the real intention of the nation-state" fundamentally. Along with the refusal of the Shinto shrine worship, the doctrine of the Second Coming and the sermons on eschatology became the cause of the persecution of the other denominations as well as the Holiness denomin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rural areas, only some individual leaders of the local churches were arrested and persecuted. Overall the persecution of the Holiness Church in Japan proper affected the religious policy in the colony and the persecution of the denomination of the Holiness Church was repeated in Korea. When the General-Governor Government in Korea enforced the dissolution of the denomination, the leaders of the church decided its formal dispersion by voting at the committee of the church affairs, not at the general assembly, and notified the decision to each church without the lawful process. Moreover they donated the selling price of the church property to the colonial government. Thus the process of the dispersion of the Holiness Church revealed another case of collaboration with Japanese imperialism.

      • KCI등재후보

        신유의 신학

        박영식 ( Park Young-sik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7 神學과 宣敎 Vol.51 No.-

        본 논문은 한국성결교회의 사중복음의 신학화 작업 중 ‘신유의 신학’을 재정립하고자 하는 목적에 기여하고자 성결교회의 신앙유산을 논의의 자료로 활용하곤 하지만, 여기서 제시될 신유의 신학이 특정교파의 신학으로 머물지 않고 한국교회와 세계교회가 함께 논의할 수 있는 논제가 되기를 바라며 우선 신학사의 한 축을 차지하고 있는 ‘은사중지론’(cessationism)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통해 신유 신앙과 은사지속론(continuationism) 사이의 거리를 확보하고자 한다. 그런 다음 오늘날 신유의 정의와 관련해서 신유의 주체를 재검토하고 신유의 교회론적 의미를 되새김질한다. 또한 하나님의 치유활동과 연관된 고전적인 죄-질병의 매커니즘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 신유의 복음이 죄로부터의 해방을 넘어 총체적 삶의 회복을 지향하고 있음을 강조하고자 하며, 마지막으로 하나님의 치유활동으로서의 신유를 세상의 창조와 종말과 접속시켜 신유의 의미를 개인적 몸의 치료를 넘어 피조세계의 치유로 확대 재생산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the gospel of the divine healing theologically which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is proud of. Here are some points to note. First, I would like to be aware of the divine healing as God’s ‘charis’, and not as power of a person with ‘charistma’. Through the debate with the cessationism, I intend to rescue the gospel of the divine healing from the charistma-centered problems. Second, by rejecting the inevitable link between sin and disease, we will not make the sick more sinners. Third, we want to reveal the ultimate purpose of divine healing by understanding the divine healing as the holistic recovery of life, not simply the healing of the body. Fourth, we intend to expand the scope of divine healing by understanding God's Healing as the activity of God’s creation-salvation that heals not only man but the sick world as a whole. The God who does restore the human body also restores and renews the sick world. From this point of view, our argument is as follows. God's healing is the message of the gospel that we can never give up in our day. It is true, however, that by understanding divine healing as a phenomenon of charismaticism, it is reluctant to accept the healing of God because of the problems of charismaticism. But in the history of the Church, God’s healing has continued, and it is no exception today. However, we should not overlook the fact that the subject of the Healing is God, and do not attribute divine healing to the power of a person with charistma. Also, the scene of the divine healing should be a open and public place called the church. The church is a place where the weak are gathered together without shame, and it is a place where all the saints join for this weakness and seek God's mercy together, and also the place of experiencing the work of the Holy Spirit in strengthening the sick. At this time, the sick should not be defined as sick sinners in the mechanism of sin-disease-repentance-healing. The sick person reminds us of the weakness of all human beings, and it enables us to realize the fundamental existential situation of human that is inevitable to wait for the mercy of God. The church must always be open to these weak beings and provide them with a new community of life through the gospel of divine healing. In this case, the divine healing should be understood as the creation-saving activity of God that restores life through the healing of the body. Divine healing means the creative providence of God, which overcomes the forces of death surrounding man and the created world and leads them into ‘regnum gloriae’. The theology of the divine healing is not a specific denominational theology confined to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but the great faith tradition to be shared and developed by the korean church and the world church dreaming of a new revival after the 500th anniversary of the Reformation.

      • KCI등재

        이명직 목사의 설교세계 분석과 신학적 경향성

        정인교 한국실천신학회 2011 신학과 실천 Vol.0 No.26

        이명직 목사는 한국 성결교회의 신학과 교단의 기초를 제공한 인물이다. 그는 대학교수로 평생을 바친 교육자이자 성서학원장과 학장 교단의 총회장 등을 역임한 행정가였으며 수많은 저서를 남긴 문필가였다. 동시에 그는 그 자신 유명한 설교자였을 뿐 아니라 성결교회 설교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따라서 개교 100주년을 맞는 시점에서 이명직의 설교를 연구하는 것은 분명 의미있는 작업이다. 그의 설교를 보면 신약 본문의 선택이 구약에 비해 3배 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나 그가 신약 선호의 개신교 전통위에 서 있음을 보여준다. 그는 주로 개인적 성결, 청교도적 청빈의 삶 등을 강조한 반면 사회정의나 복음의 역사적 공적 책임등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았다. 이것은 그의 보수적 기질과 신학이 빚어낸 결과로 이러한 개인의 성향은 향후 성결교회의 성격구형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는 매우 다양한 설교방법을 상요하였고 심지어 스토리텔링 기법까지 이미 사용할 만큼 설교적 재능이 풍부한 인물이었다. 이것은 그가 위협적 설득과 이성적 설득 방법을 자유자재로 사용한데서도 극명하게 드러난다. 이명직은 매우 암울한 세계관의 소유자였고 급박한 종말의식에 산 사람이었다. 이런 사고의 경향성과 보수적 신앙으로 인해 복음의 균형있는 차원을 보지 못한 것은 아쉬운 점이라 아니할 수 없다. 비록 그가 성결교회의 발전에 이바지한 공헌이 분명하지만 동시에 그로 인해 성결교회의 발전과 성격구형에 부정적이지 않았는가 하는 것은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우리의 과제이다.

      • KCI등재

        이명직 목사의 신유 이해와 실천에 대한 역사적 연구: 192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윤은석 ( Yun Enseok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1 영산신학저널 Vol.- No.55

        본 논문의 목적은 이명직 목사의 신유 이해와 실천을 1920년대, 1930년대, 1950년대로 분류하여 역사적 관점 속에서 변화의 과정과 그 특징을 확인하는 것이다. 기존까지 이명직의 신유에 대한 연구는 1950년대 이후에 나온 저서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것은 1950년대 이전에 이명직 목사의 신유 이해의 형성 과정을 반영하지 않은 것이다. 이명직은 192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신유 이해와 실천에 있어서 여러 번 변화의 과정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이명직의 신유 이해와 실천의 변화의 과정을 다룬다. 1920년대는 이명직이 적극적으로 신유 실천을 하였고, 또한 결과도 나타났던 시기였다. 반면 1930년대로 접어들면서 신유를 위한 기도에 어떤 결과가 나타났다는 기록이 전무하다. 1950년대에는 신유 기도에 대한 기록조차 없다. 그의 신유 실천이 점점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고, 그와 함께 그의 신유에 대한 강조도 점점 약화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신유에 대한 결과의 부재뿐 아니라 사이비적 신유 사역자들과 이단의 사이비적 치유 실천이 있었다. 그의 신유 이해도 시기에 따라 변화하였는데, 질병의 원인에 대한 이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이해의 폭이 넓어졌다. 이외에도 그의 신유 이해는 시기에 따라 변화하며 발전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론은 문헌연구이다. 이명직은 생애의 대부분을 <활천>의 주간으로 활동하면서 <활천>에 많은 글을 남겼고, 이 중에는 신유와 관련된 글들도 있다. 이외에도 이명직은 여러 저작을 남겼고, 여기에도 신유와 관련된 글이 존재한다. 이러한 글들을 기록연대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이명직의 신유 이해와 실천의 변화를 추적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ssify Myung Chik Lee’s understanding and practice about divine healing into the 1920s, 1930s, and 1950s to identify the process of change and its characteristics from historical perspective. Previously, the studies on the divine healing of Myung Chik Lee were centered on books published after the 1950s. These studies did not reflect the process of forming Myung Chik Lee’s understanding on divine healing before the 1950s. Myung Chik Lee showed the process of changes in his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divine healing several times from 1920s to 1950s.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cess of changing Myung Chik Lee’s understanding on divine healing. In the 1920s, Myung Chik Lee actively sought divine healing and the results were also revealed. But there was no record of any results in prayer for divine healing in the 1930s. In the 1950s, there was not even a record of the prayer for divine healing. It displays that his practice of divine healing has gradually diminished, and along with this his emphasis on divine healing has also been weakened. This change was due to the lack of results of divine healing, as well as the practice of pseudo divine healing ministers and heresy healing practice. His understanding of divine healing has also changed with time, and his understanding of the disease causation has widened over time.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literature research. During most of his life, Myung Chik Lee wrote many writings on the Living Waters including some related to divine healing. In addition, Myung Chik Lee left several works, and there are some writings related to divine healing. Basing on the recording times, these writings will be analyzed to track the changes in Myung Chik Lee’s understanding and practice about divine hea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