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디어를 활용한 북한선교방안 모색‐대북라디오선교방송을 중심으로

        조수진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1 장신논단 Vol.53 No.5

        Since the national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radio has been the only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Each of the countries began radio broadcasting as a form of psychological warfare to defend each of the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and overthrow their counterparts. However, the overtones of the radio have varied in response to the regime changes. Still, radio has been an effective means of communication toward North Korea for 70 years since the division. South Korea’s radio broadcasting to North Korea includes the terrestrial radio broadcasting, the private broadcasting company using shortwaves and the overseas-based broadcasting and the broadcasting company operated by missionary organizations which cover various subjects. Christian missionary broadcasting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radio broadcasting to North Korea. To that extent, this study extends its focus from the FEBC to other radio broadcastings, which are currently conducting missionary activities in North Korea. There are two sorts of the missionary broadcasting: the terrestrial radio broadcasting using medium waves and the radio broadcasting operated by mission organizations using shortwaves.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y and flow of radio missionary broadcastings to North Korea, which have not gained enough academic attention, and examines how they can be used for the missionary work in North Korea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reunification in the future. The media environment in North Korea is rapidly changing. Accordingly, new media strategies are necessary for missionary work in North Korea. The missionary broadcasting toward North Korea requires a transition and new broadcasting strategies. This study thus suggests for the radio missionary media new strategies covering content creations and media combinations, suitable for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of North Korea and the new generation in the North. 분단 이후 라디오 전파는 남과 북의 유일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었다. 대북방 송은 각자의 체제를 옹호하며 상대를 전복시키려는 심리전 형태로 시작됐으나 정권이 바뀔 때마다 논조가 바뀌면서 그 모습을 달리해왔다. 분단 70여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북한에 정보를 유입하는 수단으로 라디오 전파가 적극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대북방송은 지상파라디오방송(KBS한민족방송과 FEBC극동방송, 초기 CBS기독교방송)과 단파를 활용한 민간대북방송(국민통일방송, 자유북한방송, 북한개혁방송), 해외 주체 대북방송(VOA미국의소리방송, RFA자유아시아방송, 영국 BBC 등), 선교단체가 운영하는 대북방송(OKCN광야의소리, TWR북방선교방송) 등 주체도 다양해진 상황이다. 분단 초기부터 대북방송을 지속해오고 있는 지상파 라디오방송은 KBS한민족 방송과 종교방송인 극동방송이다. 선교방송이 우리나라 대북라디오방송 역사의한 축을 담당해오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극동방송 외에도 현재 전파를 활용해 북한선교 활동을 벌이고 있는 대북라디오 선교방송에 주목한다. 대북선교방송은 중파를 활용한 지상파 라디오방송과 선교단체에서 운영하는 단파 라디오방송으로 구분된다. 이 연구에서는 북한선교 영역에서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대북라디오 선교방송의 역사와 흐름을 분석하고, 향후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북한선교를 위해 대북선교방송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한다. 북한의 미디어 환경이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이제 북한선교에도 미디어를 적극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대북선교방송도 이제는 새로운 방송 전략이 필요한 전환의 시점에 놓여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라디오 선교 매체가 변화하는 북한의 미디어 환경, 그리고 변화하는 세대에 맞게 어떤 방향으로 콘텐츠를 제작하고 새로운 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논의한다.

      • KCI등재
      • KCI등재

        기독교 선교와 정치적 선전의 만남: 동아시아 냉전체제와 FEBC 극동방송의 초기 형성사를 중심으로

        서명삼 한국종교사회학회 2022 종교와사회 Vol.10 No.2

        본 논문은 FEBC 극동방송의 설립과 발전 과정을 사례로 삼아 현대 사회에서 종교와 정치가 교차하고 뒤섞이는 모습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20세기 중반 시작된 전 세계적 냉전 갈등은 미국에 근거를 둔 기독교 단체들이 동아시아에 있는 공산권 국가에 접근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그래서 이들 중 일부는 소위 ‘죽(竹)의 장막’ 너머에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기독교 선교와 반공주의적 정치적 선전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 라디오 방송을 시작했다. 본 연구에서는 FEBC 극동방송의 설립에 참여한 국내외 여러 관련 단체들, 그중에서도 특히 The Evangelical Alliance Mission과 Far East Broadcasting Company라는 두 기독교 조직이 여러 나라의 정치인들, 군 당국자들 그리고 선교 단체들과 교류해온 역사를 추적할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분석은 냉전 갈등의 상황 속에서 종교가 라디오 방송을 매개로 하여 정치와 경제 영역에 진출하며 공적·사적 영역을 넘나드는 양상을 선명하게 드러낼 것이다.

      • KCI등재

        민간 대북방송 출현 이후 대북라디오방송의 변화

        조수진,김도연 한국소통학회 2020 한국소통학보 Vol.19 No.1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radio broadcasting to North Korea (RBTNK) after the emergence of civil broadcasting players to North. Specifically, it pursued to find out the changes in the nature, contents, and programming of RBTNK, focusing on KBS Hanminjok Radio, Far Eastern Broadcasting Company (FEBC), and a civil player, Unification Media Group, during the period of 2006-2016.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more recent it came, the clearer RBTNKs commonly revealed their orientation of broadcasting toward unification, despite their individual character. Second, in programming, they all aimed to diversify their program contents, with the ratio of current affairs/news programs reduced and that of culture/entertainment and culture/entertainment inecreased. In particular, regular programs of RBTNK tended to be softened, but the specially planned programs faithfully reflected then ruling conservative government’s unification policy. Finally, North Korean defectors’ participation in RBTNK increased and their daily lives were highlighted in the programs. 이 연구는 민간 대북방송의 출현으로 행위자(player)가 다양해진 이후의 대북라디오방송의 변화를 연구했다. 구체적으로 전통적 대북라디오방송인 KBS 한민족방송과 종교방송인 극동방송, 그리고 민간 대북방송인 국민통일방송을 대상으로, 2006년부터2016년까지 10여 년간의 대북라디오방송의 성격 변화와 프로그램 편성 등 내용의 변화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첫째 대북라디오방송은 방송사별 특수성에도 불구하고, 최근으로 올수록 통일을 지향하는 전문채널로 변화하는 공통점을 보였다. 둘째 프로그램 편성에서는, 세 방송사 모두 시사/보도의 비율이 줄고 교양/정보와 문화/오락의 비율이 높아졌으며, 프로그램 콘텐츠의 다양화를 지향하고 있었다. 특히, 연구대상 기간이 보수정부 하에 있었음에도 대북라디오방송의 정규 프로그램은 연성화 경향을 보이지만, 특집프로그램에서는 보수정부의 통일정책을 충실히 반영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민간 대북방송 출현 이후 탈북민들의 대북방송 참여가 늘고, 방송 내용에 그들의 일상이 강조되는 모습을 보였다.

      • KCI등재

        A History of Religious Broadcasting in Korea from a Religious Politics Standpoint: Focusing on the Period of a Protestant Broadcasting Monopoly

        이성민 서강대학교 종교연구소 2017 Journal of Korean Religions Vol.8 No.2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context of the ‘‘politics of religion’’ to better understand the place of religious programming in Korea’s broadcasting history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history of Protestant broadcasting in South Korea. Historically, religious broadcasters have been influential in Korea, not in the limited sphere of any specific religion, but in their close ties with the forces of social change. Religious broadcasting in South Korea was initiated because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Republic and its self-image as a ‘‘quasi-Christendom.’’ In the context of the need for South Korea’s military regimes to manage religions by treating them differentially, religious broadcasting experienced a variety of twists and turns, including its marginalization into ‘‘special broadcasting,’’ and its evolution into a social institution for critical journalism. This paper offers a different perspective on the public interest when associated with ‘‘religious broadcas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