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등교육과정의 현실적 쟁점과 개선방향 :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심상보 韓南大學校 敎育硏究所 2010 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현실적 쟁점들을 정리·분석하여 보다 나은 개선점을 찾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이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진행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으로 확정·발표되기까지 논의되었던 문제들 중에 현장에 적용할 때 야기될 수 있는 문제들을 현실적 쟁점으로 보았다. 연구방법은 필자의 교육과정 관점으로 선행연구와 관련문헌의 고찰과 탐색, 세미나, 공청회, 토론회 자료, 교육과학기술부자료, 신문, 잡지,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 쟁점들을 추출하여 이루어졌다. 특히 기존의 교육과정과는 다른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특징에 나타난 개정 기간,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 총론만의 개정, 자율화, 집중이수제, 학습부담감축, 선택교육과정, 사교육 경감 등을 8가지 쟁점으로 분류해서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통해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필요한 개선점을 제시해 보았다. 결국 교육과정은 모든 학생들에게 적합하게 균형된 교육과정 개발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the curriculum through the careful analysis of the current key issues of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The current key issues have been based on the problems discussed before the announcement of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for future-oriented curriculum. Research methods of this paper are based on the author's points of view for the curriculum. Issues discussed in this research have been derived from various sources such as the literature review, seminars, public hearings, panel discussions, research material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articles from various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the data retrieved from the Internet. Specifically, the key issues have been analyzed in terms of eight different categories: time consumed for the revision, the goals of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the revision of general guideline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the autonomy, focused course-taking, the reduction of a burden of learning, the elective curriculum, the reduction of private education. The key issues ar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curriculum and put more emphasis on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tries to show several suggestions necessary for the better implementation of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intends to help develop well balanced curriculum appropriate for all students.

      • 「2009 개정 교육과정」적용에 따른 교육과정 설계자ㆍ실행자로서의 교원의 역할 탐색

        박은종(Park Eun Jong)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연구 Vol.25 No.-

        현대 사회는 지식 기반 사회, 세계화ㆍ정보화 사회이다. 세계화 시대인 현대 사회에서는 인간의 다양한 생활 속에서 사회적 사상(事象)과 사회적 상황이 발생한다. 모름지기 이와 같은 사회 변화를 이끄는 추동력이자 견인차는 곧 교육이다. 인간의 바람직한 변화를 지향하는 교육은 교육과정(curriculum)으로 학교 현장에서 구현된다. 즉 교육과정은 단위 학교의 다양화된 자율적ㆍ창의적인 교육 설계도이자 이정표이다. 우리나라는 그 동안 여러 차례의 교육과정 제ㆍ개정이 있었다. 2011학년도부터 전국의 초ㆍ중ㆍ고교에 연차적으로 전면 도입, 적용되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은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 등 두 영역으로 편성되어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단위 학교와 개별 교사 수준의 천차만별식 교육과정 설계(편성)ㆍ실행(운영)을 지향하고 있다. 단위 학교와 교사에 따라 자율적이고 다양한 교육과정, 창의적인 교육과정 설계(편성)ㆍ실행(운영)을 강조하고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일선 학교에서 착근하고 바람직하게 실행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설계자ㆍ실행자로서의 이런 학교 교사(교원)들의 역할 제고가 필수적이다. 교사들이 교육과정에 대한 자질과 소양을 함양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학급, 교과의 교육과정을 자율적이고, 창의적이며 다양하게 설계하고 실행하는 데 앞장서야 한다. 결국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자율적 교육과정, 창의적 교육과정, 다양화된 교육과정으로 소임을 다하기 위해서는 이를 직접 맡고 있는 일선 학교 교사(교원)들의 교육과정 자율화ㆍ다양화ㆍ창의성 담보에 대한 역할인식과 역할수행이 선행되어야 한다. Modern society is knowledge-based society,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is a society. In modern society, the globalization era, living in a variety of human social history, and the social situation occurs. By definition, such a driving force for driving social change and the driving force is the right education. Desirable change in human-oriented education and training (curriculum) is implemented in the schools. That is a unit of the school curriculum and diverse voluntary and innovative education plan is a milestone. Country several times during the course of the Chapter and was revised. From 2011 to the nation’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annual introduction of the front, the revised curriculum is applied 2009 experience of the curriculum and creative activities have been organized into two zones, etc. ‘Revised curriculum 2009’ level of the individual schools and individual teachers vary widely Meals curriculum design (organizing) and run (run) is oriented. Schools and teachers are autonomous units, depending on the variety of courses, creative curriculum design (programming) and run (run) has been highlighted. ‘Revised curriculum 2009’ Roots drop in schools and training courses to be run, preferably designers and implementers such as school teachers (teachers) to enhance their role is essential. Qualified teachers for curriculum and foster knowledge basis and is in charge of his class, a course of education autonomous, creative and diverse design and should lead to execution. Finally, ‘revised curriculum 2009’ This is self-oriented courses, creative courses, diversified curriculum to fulfill the mission schools and teachers in charge of it yourself (teachers) in their education and creativity, autonomy, equity and diversity for recognition and implementation should be preceded.

      • KCI등재

        수산.해운계열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 비교 분석

        조진호(Jinho Cho) 한국직업교육학회 2021 職業 敎育 硏究 Vol.40 No.5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수산・해운계열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중등 직업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으며, 두 개정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학생의 과목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해 선택 과목을 적성과 진로에 따라 맞춤형으로 다양화 하였는데 기존 2009 개정 교육과정과는 다르게 교과는 보통 교과와 전문 교과로 구분되고, 보통 교과는 다시 공통 과목과 선택 과목으로 구성되며, 선택 과목은 일반 선택과 진로 선택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보통 교과 심화 과목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전문 교과Ⅰ으로 편성됨에 따라 특성화 고등학교와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하는 직업계고등학교 전문 교과는 전문 교과Ⅱ로 편성되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전문 교과Ⅱ는 NCS 기반 교육과정에 따라 전문 공통, 기초 과목, 실무 과목으로 구분하여 기초 역량과 직무 능력을 갖춘 현장형 인재를 양성하도록 하였다. 셋째, 산업 분야를 교과(군)별로 재편성한 NCS 기반 교육과정을 반영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5개 계열의 62개 기준학과였던 것이 2015 개정 교육과정은 17개 교과(군) 46개 기준학과로 개편되었다. 총 이수 단위 수 204단위, 창의적 체험활동 24단위는 변화가 없었으나 2009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살펴보면, 보통 교과는 65단위에서 66단위로 1단위 증가했으며, 자율편성단위가 29단위에서 28단위로 1단위가 감소하였다. 넷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수산・해운 계열로 구분되던 교과군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선박 운항’, ‘기계’, ‘식품 가공’, ‘농림・수산 해양’ 4개의 교과군으로 분리되었다. 기준학과도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NCS 분류에 의해 농림・수산 해양 교과군의 수산양식과, 해양생산과, 해양레저과로 3개의 학과로 구분하였고, 항해과, 항만물류과, 동력기계과 등은 선박 운항 교과군의 기관과, 항해과로 구분되었다. This study attempted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isheries and maritime education courses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irst,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elective subjects were customized and diversified according to aptitudes and career paths in order to expand students choice of subjects. Subjects were divided into general subjects and specialized subjects. Second, unlike in the 2009 curriculum, the specialized subjects of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organized into specialized subjectsⅡ. specialized subjectsⅡ According to the NCS-based curriculum, it is divided into specialized common subjects, basic subjects, and practical subjects. Third,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re were 62 standard departments in 5 departments, but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reorganized into 46 standard departments in 17 subjects groups. The number of autonomous units decreased by one unit from 29 units to 28 units. Fourth,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curriculum was divided into fisheries and maritime, but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t was divided into four subject groups: ‘Ship Operations’, ‘Machining’, ‘Food Processing’, and ‘Agriculture․Fisheries and marine’. The standard department was also divided into three departments in the fisheries and maritime subject group and two departments in the ship navigation subject group.

      • KCI등재

        미래형(2009) 교육과정에 대한 일 고찰

        김경자 ( Kyung Ja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0 교육과정연구 Vol.28 No.1

        This paper studies the issues raised about `the future-oriented curriculum` and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rom the developer`s perspective. Specifically, first, it discusses about what kinds of confusions the various issues raised about `the future-oriented curriculum` and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really cause in schools. Second, it debates why and by whom the early grades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ideas of `the future-oriented curriculum` has changed to the old ones of `2007 revised curriculum`. Third, it suggests the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oriented curriculum` and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be successful in schools. Issues raised about `The future-oriented curriculum` includes the followings: Is `The future-oriented curriculum` really future-oriented at stated?; Is the goal of raising the globalized person with creativity really the new goal?; Isn`t the goal of raising globalized person different from the raising the person who pursues money rather than other desirable values?; Do the policies of subject clusters and an intensive course completion system alienate the so-called weak subject matters and enhance the status of major subject matters of Korean language arts, mathematics, and English language arts?; Does the inclusion of some specific subject matters in a subject group mean to give up the goal of raising the whole person?; Is the emphasis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 some specific subject matters intended to weaken them?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puts back the contents of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regards to the integrated curriculum. This paper discusses about the problems of putting back the integrated curriculum of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iti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Relevance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early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The legitimacy of power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s a decision maker. Finally, Some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oriented curriculum` and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be successful in schools and benefit to students are suggested. First, a new attitude about the change (metanoia-a fundamental shift of mind) with the complexity of the process of change, dynamism, and uncertainty is recommended. Second, the adaptive expertise with which person responds to changes in their own wills and equips with the change capacity are recommended. Third, the learning organizations are recommended to equips the change capacity with the adaptive expertise.

      • 우리나라 중학교 수학에서 2007 개정과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

        유충현(Chung Hyun Yu),석진영(Jin Young Seok)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교육연구 Vol.2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의 흐름을 살펴보고 교육과정 형태가 시대와 사회의 변화에 따라 창조, 변형, 폐기되어 온 과정을 학습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교육과정에 대한 폭넓고 깊이 있는 시야를 제공하여 현행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이 어떻게 변천하였는지, 그리고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2013년부터 시행되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 과정의 기본방향, 주요 내용 등을 파악하고 2007 개정 수학과 교육 과정과 비교 ·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는 1946년 교수요목을 시작으로 여러 번의 수정을 거쳐 2007 개정 교육과정까지 만들어 졌다. 그러나 국가가 정해준 같은 과목을 같은 내용으로 수업하여 학교의 다양성과 자율성을 인정하지 않고 교과 위주의 교육을 중요시하여 학생들이 다양하게 경험하고 느낄 수 있는 체험활동이나 봉사활동, 진로교육 등 창의성을 키울 수 있는 교육 내용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새롭게 편성하게 되었다. 그리고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비교해보면 기본방향은 7개 항목에서 4개 항목으로 줄어들었고, 추구하는 인간상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이 전인적인 성장 위에 개성을 중시하였다면 내년부터 시행되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전인적인 성장위에 개성의 발달과 진로를 개척하는 학생들의 적성과 진로 등을 고려할 수 있게 하는 변화를 두었다. 중학교 목표는 5개의 항목에서 4개의 항목으로 축약되었지만 수학과 목표는 동일하였다. 그리고 창의력을 키우는 교수 · 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창의력 교수 · 학습 방법을 하나의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학생들의 창의력에 관한 교수 · 학습 방법은 그 전에도 제시하였지만 소주제의 역할만 해왔다. 그러나 이번에는 하나의 교수 · 학습 방안으로 제시되어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개정된 교육과정이 학생들이 수학 학습에 흥미를 느끼고 지속적으로 수학을 탐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었으면 좋겠다. The goal of the research which sees observes and our country curriculum flowing, sees and the curriculum form according to change of time and direction of a ceremony creating, is changed and is disused and studying a process width widely means becomes the help which the problem point of current curriculum provides the range of vision which is depth about curriculum and solves. So the comparisons between mathematics curriculum in 2007 and 2009 especially the changes of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in 2007 and 2009. This includes the characters, the main ideas and the basic direction of the curriculum in 2009 that compared with that in 2007.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to the start of the 1946 syllabus through several modifications were made to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However, to raise the country told us the same class with the same contents as the subject without acknowledging curriculum-oriented education by emphasizing the autonomy and diversity of the school, volunteering, career training, students experience various school feel Activities creativity problems in education lack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ere newly organized. And 2007 revised curricula and revised curriculum 2009 compared to 4 out of seven entries in the default orientation of the topic, seeking a desirable human character , 2007 revised curriculum this holistic growth over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the emphasis on individuality and holistic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on career paths to consider students " aptitude and are able to change the course. Middle school goal from the five items were reduced to four items. But Mathematics and the goal is the sam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improving the student"s creativity are proposed. These are the one of the ways that suggested for cultivating the men of talent globally. Man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student"s creativity were presented before as only the sub-theme. However, in this time, the role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hanged to the main theme. Finally, the revised curriculum for students interested in learning math feel constantly mathematics to explore and take advantage of, I hope helps a lot.

      • KCI등재

        초등학교 실험관찰 교과서의 삽화 및 발문 비교 분석 -2009 개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권택성(Taek-Sung KWON),김용권(Yong-Gwon KIM)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021 水産海洋敎育硏究 Vol.33 No.5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types and roles of illustrations, and the s in the questions in the experimental observation textbooks for 3rd, 4th, 5th, and 6th graders of the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provide basic data that can effectively utilize the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y presenting the changes, trends of the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and suggestions to help develop the experimental observation textbooks of the revised curriculum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comparing and analyzing experimental observation textbooks for 3rd, 4th, 5th, and 6th grader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2015 revised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photographs in the types of illustrations is the highest at 63.6%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58.5%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hich is to give students a more realistic scientific experience through high objectivity and clarity. Second, the proportion of learning theorem in the roles of illustrations is the highest at 40.9%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67.8%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ecause experimental observation textbooks have the quality of auxiliary textbooks. Third, In terms of the science process skills in the questions, the proportion of the basic science process skills is the highest at 74.2%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79.5%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mong the individual items of the science process skills, the proportion of observations is the highest at 32.2%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34.4%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KCI등재

        2009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화학 교과서에서 모델 관련 내용 분석: 수용액 전기 분해를 중심으로

        김기향,장하석,백성혜 대한화학회 2019 대한화학회지 Vol.6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ntents of chemistry textbooks develop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ith the content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o research the change in “the development and use of models”. To do this, we analyzed 8 kinds of Chemistry I textbooks and 6 kinds of Chemistry II textbooks fro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compared them with 4 kinds of Chemistry I textbooks and 4 kinds of Chemistry II textbooks from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scope of the analysis was the explanations of the textbooks related to aqueous electrolysis experiments. In order to compare the contents regarding electrolytes when the same experiments are interpreted with different models, we analyzed contents of 4 kind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fro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9 kind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from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ame experiment was explained by different models according to the grade level and unit, and all explanations were limited to a single model. Also, the tendency to limit the kinds of electrolytes for controlled experimental results is more pronounc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an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rom this results, we suggest that efforts are needed to reflect the “development and use of models” in chemistry textbooks develop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 “모델의 개발과 사용”이라는 항목에서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내용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화학 I 교과서 8종, 화학 II 교과서 6 종을 분석하였으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화학 I 교과서 4종, 화학 II 교과서 4종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범위는 수용액의 전 기 분해에 관련된 내용만 선택하였다. 또한 동일한 실험을 다른 모델로 해석하는 전해질 관련 내용을 비교하기 위하여 2015 개 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2 교과서 4종의 관련 단원 내용을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2 교과서 9종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년과 단원에 따라 동일한 실험을 다른 모델로 설명하고 있었으며, 모든 설명은 단일 모델로 제한하여 제시하였다. 또 한 모델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는 실험 결과가 나오는 전해질의 종류를 제한하는 경향이 2009 개정 교육과정보다 2015 개정 교 육과정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개발된 교과서에서 “모델의 개발과 사용”을 반영하기 위 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음악과 교육과정의 국악 내용 비교 분석 및 개선 방안 : 2009와 2015 개정 음악과 공통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한윤이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6 敎員敎育 Vol.32 No.4

        As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was announced, Its interest has been increased how much changed.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Gugak contents between 2009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then looked through problems and trends of Gugak education and suggested some improvements based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The details of Gugak specified systematically in 2009 Revised Music Curriculum have been erased considerably in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In addition, contents of Gugak were described in universal terms not in Gugak its own terms.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shows that Gugak education is just regarded as one part of music education and generalizes without considering its uniqueness. However it provides sufficiently an opportunity to choose contents and learning activities associated with Gugak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t is appeared that the curriculum emphasizes Gugak education in the Familiarization area compared to previous music curriculum. Compared with 2009 Revised Music Curriculum,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has three problems. First, losing criterion to select and systematize teaching contents of Gugak because of reducing Gugak contents. Second, distorting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Gugak because of generalizing contents. Third, having many duplicate contents and being insufficient teaching-learning methods of Gugak. The improvements for solving this problems are to integrate and to supplement teaching-learning methods of Gugak, to provide a commentary in the table with elements and concept of music, to present systematically details of Gugak in the part of achievement standards explanation and to come up with application plan of Music Curriculum for Gugak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2009와 차기 2015 개정 음악과 공통 교육과정의 국악 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국악 교육 제시 경향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2009와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국악 내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국악에만 해당하는 내용이 상당히 삭제되었고, 국악 특유의 용어보다 보편적인 용어를 중심으로 기술되었다. 이를 통해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국악 교육은 보편적인 음악 교육 안에 포함시켰고, 국악 내용과 활동 선택의 자유를 제공하여 다양한 교재 개발을 유도하려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국악 교육의 문제점은 국악 내용의 축소로 인해 국악 지도 내용 선정이나 체계화를 위한 기준 수립이 어려워지고, 내용을 보편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국악의 내용이나 교수․학습 방법이 왜곡될 수 있다는 점, 교수․학습 방법에서 중복되는 내용이 많고 실질적인 국악 교수․학습 관련 내용이 미흡하다는 점 등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 교수․학습 방법의 보완 및 통합적 제시, 음악 요소와 개념 체계에 대한 해설 제공, 성취기준 해설의 국악 관련 내용 구체화, 교육과정의 국악 내용 구현을 위한 방안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 최근 과학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쟁점 및 향후 과제: 2007 년, 2009 년 개정을 중심으로

        김희백(Kim, Heui-Baik)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1 교육연구와 실천 Vol.77 No.-

        이 연구는 2009년에 개정된 과학교육과정의 방향을 그 배경과 아울러 조사함으로써 교육과정의 개발과 설계, 단위 학교의 적용 단계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파악하고 향후 과제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기본방향을 반영하지만, 과학기술계의 전문가에 의해 개정이 주도되어 융합형 10학년 과학이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2009 개정 과학교육과정은 특성으로는 학생의 인성과 창의성 추구, 최소 과학 이수 단위 수의 확보, 교육과정의 분권화와 자율화를 통한 수준 높고 의미있는 학습 경험의 제공 등을 들 수 있다. 2009 개정 과학 교육과정은 학교 과학교육 개혁에 바람직한 방향을 제공하고 있으나, 촉박한 교육과정 개정 일정으로 인해 교육과정에 대한 검토가 미흡한 결과로 내용 범위와 수준의 적절성에 의문이 제기되며, 단위 학교와 교육청 수준의 새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부족은 학교 과학교육의 실행을 어렵게 한다. 교육과정 개정에서 나타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의사결정을 거쳐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기간과 절차를 제도화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과정 개발에 교사를 비롯한 다양한 사회 구성원이 각자의 권한을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hallenge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developing and designing curriculum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production of the 2009 science curriculum as well as its background. The science curriculum revision conducted in 2009 reflects the spirit of the 2007 science curriculum; however, the difference is that integrated science for the 10th grade was developed by scientis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09 revision are as follows: It highlights the converging competencies of creativity and integrity as key competencies; it increases the minimum number of science courses high school students have to complete; and it allows some local autonomy of the school curriculum, which provides students with more relevant and appropriate learning opportunities. The 2009 science curriculum reflects a desirable direction for school science education reform. Nevertheless, the tight schedule for the curriculum revision left not only the curriculum content overextended and too difficult for students owing to the lack of reviewing processes, but also school curriculum implementation is not guaranteed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owing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new curriculum at local education offices and schools. It is suggested that the system of curriculum revision, including the standard procedures and the time frame, should be reformed. It is further recommended that participants from various backgrounds, particularly teachers, should be authorized to provide a voice in developing curricula.

      • KCI등재후보

        2009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한춘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0 사회과교육연구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directions of development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based on main issues that have been discussed and expressed as conflicts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order to develop a better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first, it is needed to establish desirable relations between the general and the particular in social studies. Although development is not possible without effects of the general side, the basic characteristics and purposes of social studies should be maintained during the development. Second, because the ultimate purpose of social studies is to foster quality of desirable democratic citizens, or citizenship, it is needed to establish a conception of citizenship responding to the 21st century? knowledge-information-oriented society and then based on it, to present contents and educational methods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Third, it is needed to present a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more detail than the existing one and one document of curriculum into which a nation-level curriculum document and curriculum manual are integrated. Fourth, the 2009 Revised Curriculum should present measures of practical methods of integration in order to recover the essence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Fifth, it is needed to establish purposes and to construct content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with which the merits of grade cluster and subject cluster, characteristic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can be promoted and practiced effectively. Finally, it is needed to organize a conference of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in order to develop desirable a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as well as to establish research institutions to conduct the development. 본 논문은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나타난 그 동안 논의되고 갈등으로 표출된 주요 쟁점들을 중심으로 2009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지금보다 더 좋은 사회과 교육과정이 개발되기 위해서는 첫째, 총론과 각론(사회과)의 바람직한 관계 설정이 필요하다. 즉, 총론의 영향을 받지 않고 개발할 수는 없지만, 사회과의 기본적인 성격과 목표는 변함없이 유지되는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사회과의 궁극적인 목적이 바람직한 민주 시민의 자질, 즉 시민성의 육성이므로 21세기 지식 정보화 사회에 부응하는 시민성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것을 토대로 사회과 교육 내용과 교육방법 등이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사회과 교육과정을 현행 교육과정보다 상세하게 제시하고,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문서와 교육과정 해설서를 통합하여 하나의 교육과정 문서로 제시하여야 한다. 넷째, 2009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은 사회과 교육의 본질이 회복될 수 있도록 실질적인 통합 방안(개념 중심, 사회문제 중심, 스트랜드 중심 등)을 제시해야 한다. 다섯째, 사회과 교육내용은 최소필수 학습내용과 학습요소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한다. 여섯째,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인 학년군과 교과군의 장점을 살리고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사회과 목표 설정과 내용 구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끝으로 바람직한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을 위한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 협의회 구성, 더 나아가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연구기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