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교역조건의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

        강명주 한국자료분석학회 200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0 No.4

        The paper addresses the current issue of terms of trade in Korea. The study points out tha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shrink of the terms of trade since 2000. In general, it takes for granted that if the terms of trade becomes worse, it will make a negative impact on the balance of trade and gross national income in real terms. Further, it will enforce to reduce the consumption and investment domestically and finally get worse on the employment. The paper compares original terms of trade with modified one and shows that modified terms of trade is much more improved than that of original one. However the main purpose of the paper is to find out what is the fundamental determinants of the terms of trade in detail and finally is to provide some insights to improve the terms of trade. It turns out that the main cause of the diminution of the terms of trade is due to the falling of the semiconductor's price in export, and an increasing price of the imported oil and of the raw material(iron and steel, grain etc) as well. The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when the oil price increased by 1 percentage, then the terms of trade was shrank by 0.43 percentage. This study also indicates that the index of export high value is a major force to improve the terms of trade by 0.95 percentage. In order to achieve better terms of trade, it is necessary to make a high quality goods to dominate other countries in export. It is also required to use energy more efficiently and develop an alternative energy. 우리나라의 교역조건은 1980년대와 1990년대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2000년대 들어 세계 IT경기가 크게 위축되면서 다시 악화되었다. 이처럼 교역조건이 악화되면서 무역수지의 흑자와 실질 국민소득이 감소하고, 더불어 소비와 투자도 부진하게 되면서 고용이 정체되는 등 교역조건의 악화는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교역조건의 변동 추이를 분석함은 물론 모형을 통하여 교역조건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교역조건의 개선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2000년 이후에 나타난 교역조건의 추세를 보면, 반도체와 무선통신기기 등 IT품목의 가격 급락으로 수출단가가 크게 하락한 반면에, 유가 및 국제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수입단가가 크게 오르면서 교역조건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 회귀분석의 결과, 환율 및 유가가 다른 변수에 비해 교역조건의 악화에 더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역조건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부가가치가 높은 새로운 산업의 육성을 통해 IT품목 위주의 수출구조를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정부개입에 의한 인위적인 환율제도보다는 좀 더 신축적인 환율의 변화를 통해 교역조건의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가 및 국제원자재 가격의 상승에 따른 교역조건의 악화를 줄이기 위해서는 에너지 이용의 효율성 제고와 대체에너지 개발 및 자원보유국가와의 외교를 더욱 강화하여 해외자원의 개발에 더 많은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 KCI등재

        Term Spread와 Credit Spread의중국 실물경제 예측력 비교 연구

        이기영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8 中國硏究 Vol.76 No.-

        According to recent studies, it is shown that both Term Spread and Credit Spread have more predictive power than PMI and Leading Indicator in predicting changes of Chinese real economy. If so, which of the Term Spread and Credit Spread has more predictive of the economy? Otherwise, is it possible to use only one of them, or is it more efficient to use the two together to predict the Chinese economy? This study started from the curiosity of these topics. In-Sample-Forecasting takes the economic recession and the GDP change rate as the dependent variables, and the predictive power on them is compared through various models. The results reveal that both the Credit Spread and Term Spread predict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Chinese economy. However, it is shown that in the short term the predictive power of Term Spread is not significant, but that of Leading Indicator is so. Consequently, in the short term, it can be seen that Term Spread and Leading Indicator have similar information and Credit Spread has different information from them. As for Out-of-Sample-Forecasting, when Term Spread and Credit Spread are compared respectively, the predictive power of Credit Spread is statistically superior in the mid to long term. When compared with AR(1) model, only Credit Spread shows statistically superior predictive power to AR(1) model. In addition, it is revealed that when Term Spread and Credit Spread are used together, they have superior predictive power to respective use of them. Finally, when the model is established by adding Term Spread and Credit Spread to the PMI and Leading Indicator, it is shown to have significantly high predictive power, with Credit Spread added. In respect of change value of t-value according to Time Varying, Credit Spread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all times while Term Spread is not so in some sections, which discloses that Credit Spread has more robust predicative power. 표본 내 예측(In Sample Forecasting)에서는 종속변수를 경기불황, GDP변화율 두 가지로 놓고 이에 대한 예측력을 여러 가지 모형의 비교를 통해서 진행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Credit Spread와 Term Spread는 모두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게 중국경제 변화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단기에 있어서 Term Spread의 예측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선행지수(Leading Indicator)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보았을 때 단기에 있어서는 Term Spread와 선행지수가 비슷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Credit Spread는 이들과는 다른 정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본 외 예측(Out of Sample Forecasting)에서는 Term Spread와 Credit Spread를 각각 비교했을 때는 Credit Spread의 예측력이 중장기에 있어 통계적으로 우월했고, AR(1)모형과 비교했을 때는 Credit Spread만 AR(1)모형에 통계적으로 우월한 예측력을 보였다. 그리고 Term Spread와 Credit Spread를 같이 사용했을 때가 각자 따로 사용했을 때보다 우월한 예측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PMI와 선행지수에 Term Spread와 Credit Spread를 각기 추가해서 모형을 구성했을 때에는 Credit Spread를 추가했을 때의 예측력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간에 따른 (Time Varing) t-value의 변화값은 Credit Spread의 경우 모든 시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했고, Term Spread의 경우 일부 구간에서 유의하지 않아 Credit Spread의 예측력이 더 강건한(robust)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내부 및 외부용어집합 통계치에 기반한 영어 용어 추출 방법의 평가

        강인수(In-Su Ka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4

        용어추출은 도메인 텍스트 모음으로부터 도메인 용어 목록을 인식하는 작업이다. 용어추출의 기존 효과적인 방법들은 비교사 방식으로 동작하며, 후보 용어 집합을 추출하는 작업과 후보 용어에 용어중요도를 할당하는 작업을 주요 단계로 포함한다. 후보 용어의 용어중요도 계산과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후보 용어의 내부 및 외부용어집합을 활용한다. 내부용어집합은 후보 용어에 포함된 다른 짧은 용어들의 집합이며, 외부용어집합은 후보 용어가 포함된 다른 긴 용어들의 집합이다. 본 논문에서는 후보 용어의 내부 혹은 외부용어집합으로부터 후보 용어의 용어 강도를 계산하는 다양한 강도 함수들을 제시하고, 이들 용어 강도 값들과 C-value 점수를 결합하는 용어 중요도 계산 방법을 소개한다. 생물학 및 전산언어학 분야 영어 데이터셋을 사용한 성능 평가에서는 제안된 방법의 용어추출 성능을 비교하고 분석한다. 제안된 방법은 생물학 및 전산언어학 분야 데이터셋에 대해 각각 최대 1%와 3% 차이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Automatic term extraction is to recognize domain-specific terms given a collection of domain-specific text. Previous term extraction methods operate effectively in unsupervised manners which include extracting candidate terms, and assigning importance scores to candidate terms. Regarding the calculation of term importance scores, the study focuses on utilizing sets of inner and outer terms of a candidate term. For a candidate term, its inner terms are shorter terms which belong to the candidate term as components, and its outer terms are longer terms which include the candidate term as their component. This work presents various functions that compute, for a candidate term, term strength from either set of its inner or outer terms. In addition, a scoring method of a term importance is devised based on C-value score and the term strength values obtained from the sets of inner and outer terms. Experimental evaluations using GENIA and ACL RD-TEC 2.0 datasets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term extraction methods for English. The proposed method performed better than the baseline method by up to 1% and 3% respectively for GENIA and ACL datasets.

      • KCI등재후보

        계약자유와 약관의 내용통제

        정진명 한국소비자법학회 2019 소비자법연구 Vol.5 No.2

        Today, the terms are widely used in everyday transactions, regardless of the debate about the inclusion in the contract. The controversy about the agreement with the freedom of contract has been resolved to a certain extent because the terms have an indispensable reality in the economic life of modern society.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has not yet been solved satisfactorily in relation to freedom of contract, which is the formation of the terms by one of the contracting parties. In other words, the terms raise the fundamental problem of the self-determination of the individual because one party of the contracting parties can influence his interests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other party. The unilateral nature of the contractual terms neglects the risk to the individual's self-determination defects and is linked to the protection of interests against the justice. This conflicts with the principles of private autonomy because it means the restriction of self-determination and self-determination by those who are bound to accept the terms. Therefore, the terms need to be grounded in the relationship with private autonomy. The problem of uniformity in the formation of the terms was solved through content control. The content control of the contract is composed of the control of whether the regulation of the terms through the “Act on the Regulations of Terms and Conditions” actually exists as the physical limit of the freedom of contract, and whether the approved legal status and the rights of decision are executed in accordance with law and order. Therefore, in the case of formal private autonomy and competition failure in the market, how to control the contents of the contract is a problem. Therefore, this paper tries to check the unfair contract risk from the uniformity in the formation of the terms and review the contents of the legal basis for securing the legitimacy of the contract. 오늘날 약관은 계약내용에의 편입에 관한 논쟁과 상관없이 일상 거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약관은 현대사회의 경제생활에서 더 이상 빼놓을 수 없는 실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계약자유와의 정합성에 대한 논쟁도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 그러나 약관은 계약자유와 관련하여 아직 만족스럽게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있는데 계약당사자 일방에 의한 약관 형성이 그것이다. 즉 약관은 계약당사자 일방이 상대방으로부터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고 상대방에게 자신의 이익을 관철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개인의 자기결정에 대한 근본문제를 제기한다. 약관 작성의 일방성은 개인의 자기결정 흠결에 대한 위험을 간과하며, 또한 정의 관념에 반하는 이익의 보호와 연결되기 때문에 거래조건의 일방적 형성과 그 부당성의 상관관계는 매우 중요하다. 이는 약관을 승낙할 수밖에 없는 자의 의사 및 자기결정에 대한 제한을 의미하므로 사적 자치의 원칙과 충돌된다. 따라서 약관은 사적 자치와의 관계에서 그 정당성에 대한 근거가 필요하다. 약관 작성의 일방성 문제는 내용통제를 통하여 많이 해결되었다. 여기서 약관의 내용통제는 계약자유의 물적 한계로서 약관규제법에 규정된 규율이 실제로 존속하는지에 대한 통제와 승인된 법적 지위와 결정권이 법질서에 부합하게 실행되었는지에 대한 통제로 구성된다. 따라서 형식적인 사적 자치 및 시장에서 경쟁 실패의 경우에 약관의 내용통제는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가 문제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약관 작성의 일방성에서 오는 불공정한 계약위험을 제거하고 약관의 정당성 확보를 위한 법교의적 근거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약관의 내용통제에 대하여 검토해 보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국회의원 임기 제한에 관한 연구

        문재완 한국공법학회 2018 공법연구 Vol.46 No.3

        This paper argues for the imposition of term limits upon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Though the Constitution of Korea articulates that the President shall not be reelected after five-year period of a term, it does not express anything on term limits on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but four-year period of a term. A comparative study on exper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ill be much helpful to design term limits for the National Assembly. The idea of term limits has been popular in the United States since the Continental Congress adopted the Articles of Confederation, under which terms limits kept representatives to three terms in any six-year period. Though term limits were not included in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there are still lots of strong advocates for term limits. 15 states have term limit restrictions on their state legislators. The rationale for term limits on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is the same as the President. Power without term limits shall corrupt. Academic studies show that senior members, who have been elected more than twice, have enormous powers in controlling other members in the legislative process. In Korea, cross voting is extremely rare and members used to follow decisions of the political party they belong to. Therefore, deliberation before voting disappears. To restore deliberative democracy reformation is needed in our political system. Term limits upon members might be an effective way to change the political culture. A bill was introduced in the National Assembly on November 21, 2017 to impose a term limit upon senior members. According to the bill, members who have elected more than three times in the same election district are not eligible to run in the same district. As it is less restrictive than any other imaginable way among term limits, it is not unconstitutional. Rotation in office in the legislative body by adopting term limits would provide a useful check on the powers of career members. The National Assembly will be composed of professional politicians and the people who are good at deliberation. 국회의원의 동일 지역구 4연임을 제한하는 법률안이 국회에 계류 중이다. 본 논문은 국회의원 연임 제한의 정당성과 연임 제한 법률안의 위헌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분석의 깊이를 더 하기 위하여 의원 임기 제한을 실시하고 있는 미국에서의 논의를 비교법적으로 검토한다. 의원 임기 제한의 주장은 우리나라에서 낯설지만, 민주주의 역사에서 보면 새로운 것이 아니다. 의원 임기 제한은 공직 순환근무의 이상과 역사적 경험에 뿌리를 두고 있다. 공직 순환근무는 그리스ㆍ로마 시대에서 시작되어, 르네상스 시대 베니스와 피렌체에서 발전한 후 미국에서 실현되었다. 의원 임기 제한은 미국 연합헌장에 명시되었고, 독립선언서를 작성한 토마스 제퍼슨이 역설하였으며, 1990년대 시민운동으로 활발하게 실현되었다. 지금도 미국 15개 주에서 주의원 임기 제한이 실시되고 있다. 의원 임기제한의 정당성은 대통령 임기 제한과 마찬가지로 권력남용의 우려에 있다. 의회는 의원으로 구성된 합의제 기관이기 때문에 의원의 권력남용은 의회의 기능 훼손으로 나타난다. 우리나라 국회의 경우 심의 또는 숙의 없이 집권당의 당론에 따라 독단적으로 안건이 처리되거나, 소수당의 당론에 따른 저항으로 의사결정이 지연되는 일이 다반사로 발생한다. 다선 의원은 당론 결정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국회 기능 훼손에 상당한 책임이 있다고 보아야 한다. 더구나 다선 의원의 의정활동에 대한 평가는 높지 않다. 다선 의원은 국회에서 심의 또는 숙의하는 과정보다 당내 헤게모니 장악이나 지역구 관리에 더 신경 쓴다. 의원 임기 제한으로 공직 순환근무가 실현되면 국민의 대표를 직업으로 여기는 사람이 아니라, 국민과 소통할 수 있는 사람이 대표가 될 수 있는 기회를 얻는다. 그렇게 될 때 대의기관인 국회는 숙의민주주의를 실현할 수 있다. 의원 임기 제한의 방식은 평생 재직기간을 누적하여 제한하는 방식과 연속 재직기간을 제한하는 방식이 있다.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안은 동일한 지역구에서 4연임을 제한하는 내용으로 느슨한 형태의 임기 제한 방식이다. 입법되더라도 동일한 지역구에서 12년까지 의원으로 활동할 수 있고 다른 지역구국회의원 또는 비례대표국회의원으로 선출될 수 있기 때문에 공무담임권의 제약 정도는 미약한 반면 정치 신인의 국회 진출을 제고하고 당론 정치를 배척하고 국회의 심의 내지 숙의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국회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공익적 가치가 크다고 본다.

      • KCI등재

        역사용어의 범주와 『역사용어사전』의 편찬방법

        최갑수(Choi, Kabsoo),김지영(Kim, Jiyoung),양희영(Yang, Heeyoung),최진묵(Yang, Heeyoung) 한국사전학회 2015 한국사전학 Vol.- No.26

        This article aims to report and explain the features of ‘Dictionary of Historical Terms’ and the process of its compilation. ‘Dictionary of Historical Terms’ was planned to gather up the results of historical researches since the establishment of modern historiography in Korea and to seek new directions and possibilities of historical research. All words used in historiography as well as proper nouns such as personal names and place names are included in historical terms, but the compilation team of the ‘Dictionary of Historical Terms’ limited the category of historical terms. In general, historical terms embrace four types of terms; ① old lexicons in historical sources ② words in historical researches ③ terms translated from foreign words ④ words in other studies related to history. The compilation team mostly chose concepts considered important or used frequently in historical narratives and excluded proper nouns such as names of persons, places and affaires. The compilation team categorized the chosen terms into three classes according to their degree of importance and determined the amount of description by classes. In this process formed the planning committee which would establish some principles of article description, the committee of entry selection and the editing committee which would review article manuscripts and advise revisions and supplements. In the same time organized ‘conferences of lexicography’ for helping the understanding of methodology of dictionary compilation and ‘conferences of comparative history’ for encouraging the communication and developing the prospect of comparative history between academic disciplines divided into Korean History, Asian History and Western History. ‘Dictionary of Historical Terms’ could be said to be an indicator which shows not only the capability of our historical studies and the current state of academic accumulation but also the limit of developing of our own historical terms.

      • KCI등재

        『고려사』 소재 외교문서에 나타난 중국 국가 직접 呼稱語와 고려 自稱語의 유형과 대립 양상

        송병우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5 石堂論叢 Vol.0 No.61

        This study trys to figure out the types of national address terms and the aspect of the conflict between the types in 204 diplomatic documents in Goryeo History which Goryeo dynasty send to Chinese dynasty. National address terms fall into calling Chinese dynasty and calling Goryeo dynasty oneself, and the former is address terms and the latter is self-address terms. The national address terms is divided a direct address terms which don’t have a figurative expression and a indirect address terms which have a figurative expression once again. This study sets a limit on a direct address terms. The direct address terms are composed of ‘modifier+modificand’, and the typical modificand of the address terms is ‘朝’ and ‘國’, and the typical modifier of that is ‘上’ and ‘大’. The typical address terms combined the modifier and modificand is ‘上朝’, ‘上國’, ‘大朝’ and ‘大國’. In addition to the typical address terms, there is another type of address terms using different modificand such as ‘大宋’, ‘大邦’ and ‘上都’. The direct self-address terms also are composed of ‘modifier+ modificand’, and the typical modificand of the self-address terms is ‘國’ and ‘邦’, and the typical modifier of that is ‘小’. The typical address terms combined the modifier and modificand is ‘小國’ and ‘小邦’. In addition to the typical self-address terms, there are lots of self-address terms which have low frequency of use such as ‘本國’, ‘我國’, ‘當國’, ‘擧國’, ‘闔國’, ‘周邦’. The direct address terms and direct self-address terms are fall into two category, one is to have a function of just calling a nation without emotional nuance using emotive meaning, and the another one is to have a function including emotional nuance shch as respect opposite nation and express humbleness of its own country. The former is a neutral expression and the latter is a rhetorical expression. The direct address terms and direct self-address terms show a aspect of conflict between the neutral expression and the rhetorical expression. This aspect of conflict depend on using modifier which has emotional nuance, or not. In addition, the rhetorical expression also have a aspect of conflict between direct address terms and direct self-address terms such as <上-下>, <大-小>, <皇-侯/屬>, <國-家> and <都-邑>. This aspect of conflict is understood that it is extended application on confucian order of rank such as a grade of rank between father and son. 본 연구는 고려에서 중국 왕조에 보낸 『고려사』 소재 204건의 외교문서에 나타난 국가 호칭의 유형을 파악하고, 이 유형의 대립 양상을 조명한 것이다. 국가 호칭은 중국 국가를 호칭한 것과 고려 자국을 호칭한 것으로 구분되는데, 전자는 호칭어, 후자는 자칭어라 한다. 본 연구는 호칭어와 자칭어 가운데 비유적 표현이 없는 것을 ‘직접 호칭어’와 ‘직접 자칭어’라 규정하고 이들만을 대상으로 유형을 파악한다. 직접 호칭어는 주로 수식어+피수식어 형태로 구성된다. 호칭어의 대표적 피수식어는 ‘朝’와 ‘國’이고, 대표적 수식어는 ‘上’과 ‘大’이다. 따라서 ‘上朝’, ‘上國’이나, ‘大朝’, ‘大國’이 직접 호칭어의 대표적 유형이다. 이외에 간헐적으로 ‘大宋’, ‘大邦’, ‘上都’와 같이 피수식어를 달리하는 호칭어도 있다. 직접 자칭어 역시 주로 수식어+피수식어 형태로 구성된다. 직접 자칭어의 대표적 피수식어는 ‘國’과 ‘邦’이고, 대표적 수식어는 ‘小’이다. 따라서 ‘小國’, ‘小邦’이 직접 자칭어의 대표적 유형이다. 이외에 ‘本國’, ‘我國’, ‘當國’, ‘擧國’, ‘闔國’, ‘周邦’과 같은 자칭어도 종종 쓰인다. 이들 직접 호칭어와 직접 자칭어는 감정적 색채를 배제하고 국가 호명의 기능만을 하는 것과 상대 국가 존중과 자국 겸양과 같은 감정적 색채를 포함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 있다. 전자는 중립적 표현이고, 후자는 수사적 표현이다. 이에 따라 직접 호칭어와 직접 자칭어는 모두 중립적 표현과 수사적 표현의 대립 양상을 보인다. 이들의 대립은 주로 감정적 색채를 포함하는 수식어의 사용 여부에 따라 대립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수사적 표현 또한 <上-下>, <大-小>, <皇-侯/屬>이나, <國-家>, <都-邑>과 같은 호칭어와 자칭어의 대칭적 대립 양상을 띤다. 이러한 대립은 즉 어버이와 자식의 위계와 같은 유교적 위계질서의 확대 적용으로 이해된다.

      • KCI등재

        우리나라 2011 초등수학 교육과정 등재용어의 조성에 관한 연구

        박교식,권석일 대한수학교육학회 2012 수학교육학연구 Vol.22 No.3

        As one of the trials for a systematic approach to mathematics terms which occupies an important place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compositions of listed terms in 2011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are discussed in this study. To this end, listed terms are classified in view of three points and looked for their characteristics, from which implications are found out for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First of all classifications into grade-group and domain-specific terms, then into newly coined terms and terms from everyday life, and then into korean terms and chinese character terms and english terms are attempted. Next, terms with a kernel and terms without a kernel are distinguished, and in this process, term-sets are presented. Finally, object terms, operation terms, relationship terms, measure terms, conditions terms, graphics terms, name terms are classifi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are suggested. First,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many of the listed terms in 2011 curriculum are newly coined and chinese character terms. Second, the interconnections between terms should be considered. Third, a variety of roles and functions of the terms should be considered.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교수 학습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수학 용어에 체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시도의 한 가지로, 2011 등재용어의 조성에 관해 논의한다. 이를 위해 등재용어를 세 관점에서 분류하여, 분류 결과로부터 초등학교 수학 교수․학습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다. 먼저 용어에 대한 일차적 분류로서 학년군별 및 영역별 분류, 조어 및 일상어별 분류, 그리고 한글, 한자어, 영어별 분류를 시도한다. 다음으로는 용어의 연결성에 주목하는 분류로서 핵을 갖는 용어와 그렇지 않은 용어를 구별하고, 이 과정에서 용어집합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용어를 그 역할과 기능에 따라 대상 용어, 조작 용어, 관계 용어, 측도 용어, 상태 용어, 도표 용어, 기명 용어로 분류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 교수·학습과 관련하여 다음의 제언을 한다. 첫째, 등재용어의 상당수가 조어이면서 한자어라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용어의 상호연결성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용어의 역할과 기능이 다양하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 KCI등재

        잠정(暫定), 배제(排除), 단행(單行), 병행(竝行) 정립 과정을 거쳐 일본어로부터 유래된 한국어 법령 용어

        김동욱 ( Dong Wook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1 유라시아연구 Vol.8 No.4

        법령 용어는 입법 당시부터 완벽을 기대하기 힘들며, 점차 사회 상황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보편타당한 완벽한 법령 용어란 있기 힘들다. 그러기에 안정된 법령 용어로 정착하는 과정, 즉 ‘정립 과정’을 거치게 된다. ‘법령 용어의 정립’이란 법률어가 법규의 표현수단으로써 유효한 상태임을 의미한다. 법률어도 정립 당시의 결정사항과 모순되는 변화요인을 포함한 채로 서서히 안정적으로 정립되어 가는 것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하루하루 변천 과정을 거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법령 용어의 정립’은 효력 관계를 따지는 잠정 정립과 배제 정립 또한 어격(語格) 관계를 따지는 단행 정립과 병행 정립으로 나눌 수 있겠다. 정립 과정은 획일적이고 명확한 경계선이 있는 것이 아니며, 여러 법규들의 구체적인 표현마다 같은 용어라도 균일하지 못 한 쓰임새가 나타나는 것은 어쩔 수가 없는 측면이 있다. 정립 과정 4분류에 근거하여 일본어의 법령 용어 정립 사례를 살펴보고 한국어의 법령 용어와 어느 정도 유사하고 상이한지 분석하였다. ·효력의 관계를 따져 잠정(暫定) 정립과 배제(排除)정립 ·어격(語格) 관계를 따져 단행(單行)정립과 병행(竝行)정립 법령 용어와 일상어 양쪽 모두 서로 간에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화를 거치는 정립 과정을 거치게 된다. 법령 용어의 정립 과정에서 일본 법령 용어의 유래와 한국 법령 용어의 의미가 어떻게 유사하고 다르게 안정화되었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향후 알기 쉬운 우리말 법령 용어 개선 작업에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법령 용어의 개선 작업은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중요하고 사용빈도가 높으면서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어려운 법령 용어를 선별하여 이를 우선하여야 할 것이다. 난해한 법령 용어와 일본어로부터 유래된 한자어를 예외 없이 모두 알기 쉬운 순우리말로 바꾼다는 것은 불가능할지도 모른다. 언어마다 본질적인 차이가 있어서 순우리말 어휘로는 정확하게 기존 한자어에 대체하기 힘든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Our social situation change gradually, So we can`t hardly expect perfect law terms from the beginning. The current social situation may be inconsistent with the past social situation that created legal terms. There is a settlement process. Even at this moment legal terms are becoming gradually stabilizing. There are two kinds of formulation of law terms. The one is ‘temporary formulation` and ‘exclusion formulation` that depends on legal effect. The other is ‘single formulation` and ‘combination formulation` that depends on language format. This is not a clear distintion and there is no clear boundaries. Even the same law term have different usage in various law sentences. This ambiguous contradictions could not be avoided in a real legal situation. This contrastive analysis compared Korean and Japanese law term according to following four kinds of classification. 1. temporary formulation (legal effect) 2. exclusion formulation (legal effect) 3. single formulation (language format) 4. combination formulation (language format) The law term and practical language have been influenced each other for a long time. And they have been formulated gradually. It must be very useful for improvement of Korean law term to contrast with the formulation process of Japanese law term. We can improve Korean law term and sentence depends on this kinds of basic research. We have to be very careful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law term and sentence. At first we need to choose frequently used law terms. It would be almost impossible to change all the Korean law terms that came from Japanese language in Japanese Imperialism Period. But we still have to try it and not to give up. It is our destiny for our real independence from Japanese Imperialism Period.

      • KCI등재

        19세기 중반 중국어 대표자역본 번역에서 발생한 ‘용어논쟁'이 초기 한글성서번역에 미친 영향(1843~1911)

        안성호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09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0 No.-

        기독교 선교역사에서 가장 논란이 되었던 문제 중에 하나는 성서를 선교지의 언어로 번역할 때 ‘God'을 어떻게 번역하느냐에 있었다. 왜냐하면 용어 ‘God'은 기독교와 성서의 핵심이며, ‘God’을 어떻게 번역하느냐에 따라 현지인들의 기독교에 대한 이해가 판이하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논쟁은 ‘용어논쟁(Term Controversy)’이라고 불렸다. 1847년 중국어 대표자역본 번역위원회에서는 중국전통종교 지고신 ‘상제’(上帝)를 주장하는 런던선교회 번역자들과 중국의 다신론적 상황에는 기독교의 유일신이 존재할 수 없다는 전제 하에 ‘일반적 용어’(a generic term for God)인 ‘신’(神)을 주장한 미국선교회 번역자들 간에 중국개신교역사상 가장 격렬한 용어논쟁이 발생했다. 결국 양측은 타협점을 찾지 못했고, 런던선교회의 ‘대표자역본(上帝)’과 미국선교사들의 ‘브리지만-컬버트슨(神) 역본’ 등 두 가지 역본이 공존하는 분열의 결과를 낳게 됐다. 이 용어논쟁으로 말미암아 런던선교회 번역자인 메드허스트와 레그는 중국 전통종교문헌 안에 나타난 ‘상제’와 ‘신’의 용도를 조사하였고, 중국 전통종교 내에 기독교의 유일신론적 계시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제’와 기독교의 ‘야훼’ 간의 유일신적 공통점이 있음을 발견했다. 그 결과 중국 전통종교는 기독교선교의 ‘적’이 아니라 중국인들과 기독교 간에 디딤돌(stepping stone), 혹은 ‘접촉점’(point of contact)’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1877년 만주의 스코틀랜드 연합장로교 선교사였던 존 로스는 동료 맥킨타이어와 한국인 조사들과 함께 최초의 한글성서번역을 시작한다. 1879-81년 로스는 안식년차 영국에 머물면서 대표자역본의 ‘용어논쟁’시 장본인이었던 옥스퍼드대학 중국학교수 레그와 교류를 통해 그의 진보적 타종교 신학의 영향을 받게 된다. 그 결과 1882-3년 로스는 그의 한글번역본에서 ‘상제’를 저본으로 한국 전통종교의 지고신 ‘하나님/하느님(Heavenly Lord)’을 사용하였고, 이 ‘하나님/하느님’ 저변에는 ‘상제’로부터 전달된 유일신사상과 성취신학이 저변에 존재하게 됐다. 19세기 후반 미국선교사들이 주도했던 한국선교현장에서도 예외 없이 ‘용어논쟁’이 발생하였다. 로스 역본의 ‘하나님/하느님’을 시작으로, 이수정 역본의 ‘신,’ 언더우드의 ‘샹뎨’(上帝), ‘』신,’ ‘여호와’와 ‘상주’(上主), 그리고 영국성공회의 ‘텬쥬’(天主) 등등 여러 용어들이 논쟁 가운데 혼용되었지만, 로스 역본으로부터 비롯된 ‘하』님’ 외에 모든 용어는 사라지게 되었다. 그 결과 1906년과 1911년 공인역 구역 『셩경젼셔』에서는 ‘하』님’을 공식적으로 채택하면서 한글성서번역의 ‘용어논쟁’은 30여년 만에 종결됐다. 특별히 ‘하』님’이 채택된 이유는 20세기 초반 게일 등의 재한 미국선교사들이 ‘성취신학’에 기인하여 ‘하』님’이 한국토착종교와 기독교 간의 접촉점이라는 점과 ‘하』님’이 기독교의 ‘야훼’와 같은 유일신 ‘하나님’(The Great One)이라는 점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이는 로스 역본의 ‘하나님/하느님’의 저변에 존재하던 유일신사상이 재한 미국선교사들이 ‘성취신학’에 기인하여 발견한 ‘하나+님’(The Great One)으로서의 ‘하』님’과 함께 수면으로 부상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대표자역본의 ‘용어논쟁’을 통해 발견된 ‘상제’은 로스역본의 ... In the history of Christian Protestant missions in China, no issue was more controversial than translating the term for God into Chinese in their polytheistic religious context. In the New Testament translation committee of the Delegates' Version in 1847, a sharpe debate, known as the ‘Term Controversy,’ broke out. Whereas two American missionaries argued for Shen (a generic term for god), three London Missionary Society (hereafter LMS) missionaries claimed Shang-Tee, the highest deity of the Chinese ancient religion. As a result, this controversy caused them to publish two separate editions - ‘Delegates Version (Shang Tee)’ and ‘Bridgman-Culbertson Version (Shen).’ On the other hand, it led the LMS missionaries to an intensive research on the Chinese religions, so that they perceived the Chinese religions not as an obstacle to the Christian mission but as the ‘preparation’ for the Chinese in leading them to the Christianity. From 1877 to 1887, John Ross (United Presbyterian Church of Scotland, hereafter UPCS) translated the first Korean Bible on the basis of the Delegates' Version, and there he rendered God as Hananim, the highest deity of the Korean shamanism, on the basis of Shang Tee, perceiving Hananim as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God of Christianity. During 1879 to 1881, as Ross contacted James Legge, professor of Chinese studies in Oxford University, in his furlough in Britain, Ross was influenced by Legg in regard to his translation of the Korean term for God as Hananim in his first Korean Bible Version (hereafter KBV). As the American missionaries began to set their feet in Korea from 1884 onwards, they took a lead of the Korea mission including the translation of Scripture. Forming the translation committees, they translated many versions with various terms. This resulted in the ‘Term Controversy’ in Korea too. However, as Hananim had been consistently preferred, other terms gradually disappeared. As a result, solving the ‘Term Controversy,’ the American missionaries eventually made an agreement to affirm Hananim in the 1906 and 1911 Authorized KBV (hereafter AKBV) by the fulfillment theology, which led them to perceive Hananim as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monotheistic God of Christianity at the turn to the twentieth century. This paper argues that, first, the term Hananim and its monotheistic meaning in the 1906 and 1911 AKBV stem from Shang Tee in the Delegates' Version by the LMS missionaries. Second, the monotheistic meaning of Shang Tee had been transferred to Hananim by Ross in 1882 when he rendered Hananim on the basis of Shang Tee in his first KBV, and it had been embedded in Hananim since then. Third, the monotheistic meaning of Hananim was outwardly re-emerged to the American missionaries when they affirmed Hananim as the monotheistic term for God in the 1906 and 1911 AKBV by the propulsive influence of the fulfillment theology at the turn to the twentieth century. Lastly,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e term Shang Tee and its monotheistic meaning in the Delegates' Version contributed, whether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proliferation of the early Korean Church, because the term Hananim stem from Shang Tee and Shang Tee itself as the term for God in the Chinese Bible and Korean-Chinese Bible for the high-educated Korean peopl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nabling Koreans to find a mirror to their own true god in the Christian religion as the pont of contact with the God of Christia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