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The Effects of R&D Intensity in the Industrial Sectors on Wage Distribution in the United States

        이경곤 대한경영학회 2018 大韓經營學會誌 Vol.31 No.10

        The rising wage inequality over the past decades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the use of technology in the workplace. There is wide agreement that skill-biased technological change (SBTC) has been an important determinant of rising inequality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According to this point of view, extensive skill biased technological change causes that skilled workers become more productive and their wages rise, but the wages of unskilled workers decline. A few number of previous studies show that wage rates in industries with higher technological change is higher than those with the lower change, and also find that the wage gaps within industry become wider as the technological change is larger. In empirical design, it is challenging to find a perfect measure of the technological change in the industries. By exploiting patent application data as a proxy for technological change across 194 industries, this study sheds new light on the source of the wage structure changes over the last two decades. Previous studies concentrated only on the manufacturing sectors, but this study extends across the entire industries by using Wellesley Technology Concordance (WTC) and Silverman’s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 U.S. SIC Concordance system. To estimate change in the wage structure, this study uses 1990 and 2000 Census Integrated Public Use Micro Sample (IPUMS) in 5 percent sample. This study begins with examining the SBTC hypothesis in industrial sectors which have different levels of technological chan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chnological change causes the increase in the earnings of highly educated workers relative to less educated workers. Second, it harms older skilled workers. Therefore, I conclude that wage inequality is strongly tied to the technological change. During the compressed growth in the 1980s, South Korea achieved rapid growth as well as equitable income distribution. Previous studies point out rapid population aging, labor market institute, and market structure as a main source of rising income inequality. Recently due to the more rapid technological change, many people believe th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coming, which implies the income inequality could worsen. In this regard, policies on the human capital would be more important to reduce the income inequality.

      • KCI등재

        기술변화와 인적자원개발 : 4차 산업혁명과 그 변화를 중심으로

        윤현중,최정민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18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1 No.4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recently become a hot issue. It is anticipated that technological change will be developed with key words such as super-connectivity and super- intelligence that may replace a large part of the human labor force, We ar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future change from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oreover, as the way of working is expected to change drasticall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various changes that may arise due to technological change and to deeply study those changing trends in terms of employee compet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that may occur due to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necessit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changes. In particular, we will examine in which level the technological change from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eplace the workforce, and how to respon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doing so, we will examine how much the traditional employment relationship are needed to be changed, and how to be prepared for the chan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who are interested in technology change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최근 4차 산업혁명이 화두가 되고 있다. 초연결, 초지능 등을 키워드로 전개될 기술변화는인간 노동력의 많은 부분을 대체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변화가 기업 경영현장에 급격하게 도입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4차 산업혁명이 변화시킬 미래에 주목하고 있다. 더구나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일하는 방식이 크게 변화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에 기술변화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변화들에 대해 검토하고 이를 인적자원개발 측면에서 심도 있게 다룰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변화와 그 변화에 따른 인적자원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4차 산업혁명기술이 어떠한 수준에서 인력수요와 공급에 영향을 미칠 것인지, 4차 산업혁명은 전통적인 고용관계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지에 대해 파악하였고 이와 관련해서 예상되는 변화와 그 따른인적자원개발과 관련된 아이디어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기술변화와 인적자원개발에 대해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과 실무자들에게 전반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조직 내 4차 산업혁명의 기술 적용에 관한 연구

        정병호,주형근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2020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organizational change for a technological applic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utilized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voluntary acceptance. This research method used structural equations, cluster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organizational implement system, organiz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operating system provided a positive effect on the voluntary technology acceptance of organization members. The voluntary technology acceptance provided a positive effect on the effectiveness of individual task innovation. However, organizational institutionalization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did not affect voluntary acceptance. All independent variables except the organizational institutionalizat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Meanwhile, The three groups by the cluster analysis were classified as new technology apathy, preference, and anxiety groups, and differences appeared among groups in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change variables. The organizational implement system in the technology apathy group and the organizational operating system in the technology anxiety group have a positive effect on voluntary technology acceptance. The technology preference group shows that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leadership and a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institutionalization for voluntary technology acceptance. This study analyzed the technology applic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organization based on the theory of organizational change. There has been reexamined the organizational change theory based on the new technology acceptance by the change of external environmen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innovation. As a practical implication, firms that are interested in a new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hould prioritize preparing an implementation system when designing organizational changes.

      • KCI등재후보

        지역별 새마을금고의 생산성 변화 분석

        김병철 한국비영리학회 2019 한국비영리연구 Vol.18 No.2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productivity change using Mamquist productivity index using distance function for regional the community credit cooperatives in each region from 2013 to 2018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conducted from 2002 to 2012.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change in total element productivity during the analysis period improved by 10.2% on average. When subdividing total factor productivity change, technology change was improved to 1.1 on average, net technology efficiency change was regressed to average on 0.996, and scale efficiency change was improved by 1.006. It has been shown that improvement of pure technology efficiency change is needed. When comparing total factor productivity change from 2002 to 2012 and total factor productivity change from 2013 to 2018, total factor productivity change was improved by year,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productivity change.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Four practical ways to improve total factor productivity change were presented.: First, the efficiency of work processes; Second, fostering employees' risk management and asset management capabilities; Third, search for joint management of low cost and high efficiency; Fourth, increasing loyal customers through specialized strategies. 본 논문은 지역별 새마을금고를 대상으로 2002년부터 2012년까지 기존에 수행했던 연구를 참조해 2013부터 2018년까지 거리함수를 이용한 Mamquist생산성 지수를 이용하여 생산성 변화를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분석기간 동안 총요소생산성의 평균 변화는 1.102로 평균 10.2% 향상되었고, 나누어 살펴보면 기술효율성변화가 1.002, 기술변화가 1.1로 총요소생산성의 평균 변화가 향상된 것은 기술변화의 향상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효율성변화를 나누어 살펴보면 순수기술효율성변화는 평균 0.996으로 퇴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규모효율성변화는 1.006 향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효율성변화의 퇴보는 순수기술효율성변화의 퇴보에 기인 한 것으로 나타나, 순수기술효율성변화의 향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연구인 2002년부터 2012년까지 생산성 변화와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생산성 변화를 살펴보면 모두 년도별로 총요소생산성 변화가 향상되었고, 2002년부터 2012년까지와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생산성 변화의 향상을 비교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생산성 변화의 향상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생산성 변화의 향상을 위한 실무적 방안으로 첫째, 업무 프로세스의 효율화, 둘째, 직원들의 리스크관리 능력과 자산관리능력 함양, 융합 상품 개발을 위한 전문 금융인 양성, 셋째, 저비용 고효율의 공동 관리방안 모색, 넷째, 특화전략을 통한 열성고객 증대 등 4가지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가내하인에서 `전기하인`으로: 남북전쟁 이후부터 1930년대까지 사회변화와 기술변화의 관련성에 관한 시론

        김덕호 ( Deok-ho Kim ) 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 2016 미국학 Vol.39 No.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hange and technological change? According to the technological determinism, a technological change results in a social change, while the theory of social shaping of technology tells us a social change brings about a technological change. Housework has been treated as drudgery. While the industrialization after the Civil War had been propelled, domestic service became common in the middle-class families. Despite the increasing demand from the middle-class families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domestic servants, since 1880s the ratio between domestic servant and family had been declined. At the nearly same time, the electrification in America had been spread. At some point, the electricity had been a part of everyday life; the domestic appliances such as electric iron, vacuum cleaner, washing machine, or refrigerator had been introduced to the American homes under the name of`electric servant.` They were advertised as the time-saving or labor-saving devices for the housework so that they could be expected to replace the domestic servants. In this article, we will trace the possibility of causality between the reduction of domestic servants and the increase of the domestic appliances.

      • KCI등재

        WTO TRIPs 협정과 기후변화협약 기술이전의 촉진

        류병운 법무부 2011 통상법률 Vol.- No.98

        2010년과 2011년 많은 나라들이 무더위, 혹한, 홍수, 폭설 등의 기상이변을 체험하고있어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입증하는 듯하다. 중국, 인도 등 신흥개도국의 급속한 산업화와 급증하는 온실가스 배출 상황에서 개도국의 동참 없이는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 그런데 대부분의 개도국 들은 기후변화 대응 능력과 기술이 부족하여 선진국의 지원과 기술이전이 필요하다. 따라서 유엔기후변화협약은 기술이전을 선진국의 의무로 규정하고 있다. 기후 변화로 인한 심각한 지구 환경의 위험성과 시간적 촉박성, 그리고 기후 변화위기가 주로 선진국에 초래된 측면을 고려할 때 기후 변화 관련 기술은 선진국과 개도국들이 함께 활용하고 기후 변화 위기에 공동 대처를 위한 인류의 공동재산으로 볼 수도 있다. 기후변화 기술이전을 위한 TRIPs 협정의 적용, 적용의 융통성 확보, 그리고 개정은 동(同)협정이 확보하려는 창조에 보상적 이익과, 선진국의 개도국이나 최빈국에 대한 국제 기술이전의 이행 등 기술 확산 요구와의 균형, 즉 개도국과 선진국의 이해의 조화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도 선진국과 개도국의 교량역할을 다해야하며 이는 또한 국내 기후변화 기술산업의 육성을 위한 기술획득전략과 연구개발전략과도 맞물려 있다. 'WTO설립협정'의 전문(前文)에 '지속가능한 개발'이나 '환경보호'의 의지를 천명한 점 등을 고려할 때 기후변화 기술이전 등에 관한 WTO 회원국 국내정책에 대한 WTO 규범 적용에 다소 융통성(flexibility)이 인정될 여지는 있다. 특히 UNFCCC의 체계와 WTO규범간의 조화적 해석 기준을 전제로 예컨대, 기후변화 기술이전 등을 위한 WTO 회원국의 조치가 WTO 규범 위반이 명백하지 않은 경우는 WTO 규범에 위반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TRIPs 협정과 공중보건에 대한 도하 각료선언"의 TRIPs 협정 적용의 '융통성'은 새 UNFCCC체제를 위해서도 도입될 필요가 있다. TRIPs 협정 제13조의 "제한적 예외"의 요건을 지역적·환경적 필요에 따라 구체화하여 관련 기술 특허권을 제한할 필요가 있고, 대부분의 국내 특허법에서 '공익'으로 간주되는 환경 보호, 즉 기후변화에 대응하기위한 강제실시가 개도국에게 허용되어야 한다. 기후변화 특정기술을 TRIPs 협정 제27조의 특허가능성을 예외로 규정하는 방안을 포함하여 친환경 정책수단의 허용이나 엄격한 특허가능성의 국내 기준 도입을 허용할 필요가 있다. 특허의 시장지배력에 따른 특허 대상 기술에 대한 접근 제한의 효과를 고려할 때, TRIPs 협정 제40조를 기후변화 기술에 관해서는 그 적용 요건을 완화 할 필요가 있다. 개도국의 능력배양과 기술이전 비용의 보충을 위해 필요한 금융지원, 즉 "녹색기후기금"의 실질적 재원 확보 수단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하고 세계은행도 기후변화 금융지원 기금 조성에 중요한 역할이 기대된다. During the year 2010 and 2011, many countries suffered from unpredictable extreme weather, such as sultry, severe cold, flood and heavy snow. Those abnormal changes of weather may imply possible disaster resulted from (sudden) climate change. It is hard to face the changes in climate effectively without the cooperation of developing countries, for which developing countries like India and China are the one who responsible for the increase in carbon emission due to their rapid development. However, most of developing countries do not have such technology to deal with the climate change and for that they need support and technology transference from the developed countries. For this reason, the UNFCCC provides the obligatory technology transference to the developed countries.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damages or disaster that could be brought by these climate changes soon, and also the fact that the damages will likely be taken place in the developed countries, the technology of climate change should be considered as a kind of "common tasks of mankind" and it should be shared between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To facilitate climate change technology transfer under the WTO TRIPs Agreement, it is necessary to apply flexibility in the application of the TRIPs Agreement. Also, it needs to balance the interests from creativity and innovation, which TRIPs Agreement tries to protect, and the demand for the diffusion of the technology, by enforcement of technology transfer from the developed countries. Particularly, mutual understanding and asymmetrical relationship is required between the developed and the developing countries. And for this matter, Korea may take the bridging role between the developed and the developing countries, and this role should be designed to bring affirmativ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Korea's climatic change technology like those in renewable energy industries. There is a possibility of the WTO, particularly the DSB, applying flexibility on its rules on climatic change technology transfer for the Preamble of the WTO Establishment Agreement provide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Especially, if there is no clear evidence of violating the standard of WTO in certain cases concerning climate change technology transfer, flexible interpretation of the WTO rules and standards might be helpful in preventing ruling that are inconsistent with the rules. As in the 2001 Doha declaration on TRIPs Agreement and public health, flexibility in the application of TRIPs Agreement should be induced to the new UNFCCC system. Also, the requirement of "limited exception", from the Article 13 of TRIPs Agreement, should be concretize, according to the regional and environmental needs and limit the related technology patent. The financial support, "The Green Climate Fund," for the ability building and technology Transfer of the developing countries, particularly LDCs, needs a route to procure practical financial support. Also, World Bank's crucial role as a financial supporter is expected.

      • KCI등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강제허락의 발동? - 새로운 인센티브 모델의 구상 -

        이일호 ( Lee Ilho ) 중앙대학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17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11 No.2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은 당장 위기에 처한 도서국가뿐 아니라 전세계 모든 나라에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실감하게 되었다. 기후변화가 주로 인간의 활동에서 기인했다는 점이 과학적으로 입증되는 ‘사실’로 받아들여짐에 따라, 기후변화를 억제하고 변화된 기후에 적응하기 위한 활동과 논의 역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활동 중 하나로 기술이전(technology transfer)을 들 수 있다. 이것은 기술을 통해 기후변화를 억제하거나, 변화된 기후에 적응할 수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 논의의 결과이다. 기후변화라는 심각한 상황에서 기술 역시 기여할 수 있고 또 기여해야 한다는 점은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지만, 그러한 기술이 특허 등 지식재산권에 의해 보호를 받을 수 있다는 점, 즉 지식재산권체제제가 나름의 구조와 논리를 가지고 이미 공고한 형태로 존재한다는 점은 문제가 된다. 개발도상국들은 강제실시/허락을 이용해서라도 이른바 친환경 기술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반해 선진국들은 강제허락은 친환경 기술을 개발과 혁신을 좌절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이렇듯 선진국과 개발도 상국은 여타의 논점에 대해서도 줄곧 불협화음을 내고 있는 상황이다. 이 논문은 과연 강제허락을 주장하는 개발도상국과 인센티브와 혁신을 주장하는 선진국의 입장차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 살펴보고, 하나의 방안으로서 새롭고 대안적 인센티브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기존 지식재산권제도의 전제인 인센티브론을 부정하지 않지만, 그것이 제도 자체에 의해 부여되는 것이 아니라 국가와 국제사회가 이를 대안적 수단을 통해 부여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can be observed not only in the small island nations in crisis, but also overall in the global scale. Now it is scientifically proven that climate change is largely attributed to human activities. Discussions are underway to cope with climate change, to reduce GHG emissions and to adapt to changing climate. ‘Technology transfer’ has been discussed as one of the climate actions to handle climate change. It is based on the long debate from the premise that technology can assist countries, especially it help developing countries to assess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r at least adapt to such a changed climate. Although it is naturally accepted that the ability and the purpose of technology is to solve the issues of climate change, it would be problematic that technology is usually protected by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uch as patents. Developing countries allege that they should be given the right to use so-called environmentally sound technologies, even by using compulsory licenses. However, developed countries warn that such measures may circumvent the patent protection and only cause to frustrate the innovation of environmentally sound technologies. Such a confrontation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is not confined to the measures on technologies, but constantly exist on other fields. In this paper, we firstly examine possibility and the conditions of technological way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and discuss how we would overcome the confrontation differently raised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which are represented by compulsory licenses on the one side and incentives and innovation on the market on the other. It will also propose an alternative incentive model as a method to mitigate the tension between them.

      • KCI등재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중국의 산업 및 기술구조 변화요인 분석

        왕춘뢰(Chun-Lei Wang),최용재(Yong-Jae Choi) 한국아시아학회 2021 아시아연구 Vol.24 No.4

        본 연구에서는 1987년부터 2017년까지 중국의 산업연관표를 이용해 산업구조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고, 산업 및 기술구조 변화요인을 소비, 투자 및 수출로 구성된 최종수요 항목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기간 동안 전 산업을 대상으로 산업 및 기술구조 변화요인을 분석한 결과, 산업구조 변화요인은 소비가 72%를 차지하여 산업구조 변화는 대부분 소비 변화로부터 기인하였다. 그러나 2000년대 전후 소비의 설명력이 약화되었는데, 그 이유는 경기침체로 인한 민간소비 둔화와 중국 정부의 수출주도형 성장전략과 투자 활성화 정책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산업별 산업 및 기술구조 변화요인을 분해한 결과, 제조업은 소비가 약 2,541억 위안으로 산업구조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출 역시 약 2,451억 위안으로 산업구조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업은 약 2,206억 위안의 소비 변화가 산업구조 변화에 기인하고, 투자와 수출은 각각 709억, 871억 위안의 변화가 산업구조 변화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업 특성상 서비스업은 중간투입보다는 최종 소비재로 사용되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산업별 기술구조 변화요인을 최종수요 항목별로 분해한 결과, 제조업의 경우 소비의 405억 위안 증가가 기술구조 변화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출보다는 투자가 기술구조 변화를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구조 변화에 있어서도 소비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제조업 보다는 서비스업에서 소비의 역할이 중요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세부 산업별로 산업 및 기술구조 변화요인을 최종수요 항목별로 분해한 결과, 최종수요 변화요인 중 소비의 기여도가 특히 큰 산업으로는 농림어업, 음식료품, 화학제품, 운수 및 보관, 도소매업, 교육 및 보건 등을 들 수 있으며, 투자의 역할이 중요했던 산업으로는 일반 및 특수장비 제조업, 교통운송장비, 전기기계 및 장비, 운수 및 보관, 도소매업, 교육 및 보건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수출의 기여도가 큰 산업으로는 화학제품, 일반 및 특수장비 제조업, 도소매업 등을 들 수 있다. 기술구조 변화 요인에 대한 최종 수요 항목별로 살펴보면 산업구조 변화와 마찬가지로 소비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나, 산업구조 변화요인과 달리 수출 보다는 투자의 역할이 중요하였다. This paper aims to analysis characteristics of the China’s industrial structure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decomposition of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changes for the period of 1987-2017 based on input-output tables. We tried to disentangle and quantify the source of China’s industrial growth.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decomposition analysis for the total industry shows that the one of final demand, consumption accounts for mos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change. It accounts for 72% of industrial change implying that most industrial change is due to the increase of consumption. Second, the decomposition analysis for the technological change of total industry shows that for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consumption accounts for 2,541 billion yuan implying that the technological change comes from consumption as well. In addition, for the service industry, the 2,206 billion yuan of consumption explains the technological change. Third, the decomposition by sub-industries analysis shows that for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405 billion yuan accounts for the technological change. Furthermore, the investment is more important than export in explaining the change.

      • KCI등재

        스키 장비 발전에 따른 스키 기술의 변화

        이문진 한국융합과학회 2023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2 No.9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스키 장비 발전에 따른 스키 기술의 변화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새로운 교수법을 개발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스키 장비의 발전에 따른 스키 기술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과 전문가 회의를 실시하였다. 대한스키지도자연맹의 2018 스키 교본의 역사 부분을 중심으로 17개의 장비 발전 사례를 수집하여 전문가 집단의 평가를 실시했다. 이를 통해 5개의 혁신적인 스키 발전 사례를 선정했다. 끝으로 스키 기술의 변화를 정리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2회의 전문가회의를 실시하여 스키기술의 변화과정을 정리하였다. 결과 스키 장비의 혁신적인 변화는 첫째, 메탈 에지의 개발, 둘째, 알루미늄 스키의 개발, 셋째, 자동 탈착식 바인딩의개발, 넷째, 플라스틱 부츠의 개발, 마지막으로 카빙스키의 개발이 선정되었다. 스키 기술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근대 스키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노르웨이의 텔레마크 기술은 오스트리아의 슈템 기반알베르그 테크닉으로 변화했다. 안정성이 부족한 스키부츠의 특성으로 인해 상체 중심의 회전을 도입하는 방식에 따라 프랑스의 로테이션/오스트리아의 카운터로테이션 기술이 대립하는 시기를 거쳐, 견고한 플라스틱 부츠의 개발로 스키 기술이 수렴하는 시기를 맞았다. 카빙스키의 도입은 스키 기술에큰 변화를 가져왔고, 현재는 회전성이 강한 스키를 정렬된 신체로 외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효율적으로스킹하는 방식으로 수렴하고 있다. 결론 스키장비의 발전은 스키 기술의 변화로 이어졌다. 그럼에도불구하고 아직까지 스키 교수법은 변화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변화된 장비의 특성을 활용한 새로운스키교수법 개발이 시급히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nges in ski technology due to the development of ski equipment.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new teaching methods. Methods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meeting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changes in ski technology due to the development of ski equipment. Seventeen cases of equipment development were collected and evaluated by a group of experts, focusing on the history of the 2018 ski textbook of the Korea Ski Instructors Association. Through this, five innovative ski development cases were selected. Finally, in order to organize changes in ski technology, two expert meetings were hel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o organize the process of changes in ski technology. Result Innovative changes in ski equipment were first, the development of metal edges, second, the development of aluminum skis, third,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removable bindings, fourth, the development of plastic boots, and finally the development of shaped-ski. Changes in ski techniques are as follows. Norway's telemark technology, which can be said to be the beginning of modern skiing, has changed to Austria's stem-based Arlberg techniqu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ki boots that lack stability, ski technology converges with the development of solid plastic boots after France's rotation/Austria's counter rotation technology conflicts according to the method of introducing upper body-centered rotation. The introduction of shaped-ski has brought about a major change in ski technology, and now it is converging in a way that efficiently skims highly rotatable skis by utilizing the maximum external force with an aligned body.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ski equipment led to changes in ski technology. Nevertheless, the ski teaching method has not changed yet.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new ski teaching method using the changed characteristics of the equi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