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단음절 단어의 시각 재인에서 음절빈도효과

        남기춘(Kie Chun Nam),한종혜(Jomg Hye Han),백연지(Yeon Ji Baik),구민모(Min Mo Koo) 언어과학회 2012 언어과학연구 Vol.63 No.-

        In a series of experiments, Korean monosyllabic word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syllables in Korean visual word recognition. In Experiment 1, lexical decision task was performed and the reaction time for high word frequency-high syllable frequency word condition was faster than those obtained from low word frequency-high syllable frequency word condition, with low word frequency-low syllable frequency condition being the slowest. Hence, visual word recognition was faster for high-frequency words than low-frequency words. Moreover, visual word recognition was faster for words that had higher syllable-frequency compared to words with lower syllable-frequency in words with similar word-frequency. In Experiment 2, word naming task was used to examine whether the syllable-frequency effect observed in Experiment 1 was task-specific or task-independent. Experiment 2 failed to show such word-frequency effect observed in Experiment 1 which may indicate that monosyllabic word-frequency effect is task-specific, and that word naming of monosyllabic Korean words could still be possible without lexical access. Although syllable-frequency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in Experiment 1, its effect size was prominently reduced in Experiment 2. Henc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syllable-frequency effect is concerned with the visual word processing that is common in both lexical decision and word naming task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 that syllable plays a crucial role in visual word recognition of Korean monosyllabic words, and that syllable-frequency effect occurs at an independent information processing stage that is readily distinguishable from word-frequency effect.

      • KCI등재

        한국어 2음절 완전어근 한자어의 형태구조 분석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표제어를 중심으로-

        함향 ( Xian Xiang ),호길 ( Hu Ji ),김양진 ( Kim Ryang-jin ) 국제어문학회(구 국제어문학연구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4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2음절 완전어근 한자어의 형태구조적 특징을 밝히기 위해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에 수록된 비서술성 2음절 완전어근 한자어를 중심으로 어절(형태), 음절, 음소의 빈도 및 분포 양상을 살펴보았다. 본고의 분석결과, 첫째, 분석대상이 된 완전어근 80,161개에서 어절 종류수는 총 44,799개였고, 그중에 빈도수가 제일 높은 형태(일련의 소리 연속)는 ‘고사>조사>수장>기수>정사...’ 등의 순인데, 첫음절에서는 ‘戰>神>正>情...’의 순으로 동음이의어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두 번째 음절에서는 ‘事>死>士>史...’ 등의 순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음절빈도에서 첫음절의 토큰은 총 423개였고, 끝음절 토큰은 총 462개였다. 첫음절과 끝음절에서 모두 높은 빈도를 보인 음절은 ‘사>수>전>정...’ 등의 순이고, 가장 낮은 빈도를 보인음절은 ‘눌, 짐, 츤, 탱, ...’ 등이다. 첫음절과 끝음절의 사용빈도에는 거의 차이가 없는 반면, 첫음절에만 쓰이는 일부 한자음절(‘줄’, ‘훌’, ‘쉬’, ‘튼’, ‘갹’, ‘훙’, ‘터’ 등)과 끝음절에만 쓰이는 일부 한자음절(‘닐’, ‘냥’, ‘왈’, ‘랄’, ‘뉵’, ‘뉴’, ‘댁’)이 구별되었다. 셋째, 2음절 완전어근 한자어의 첫음소 중에서 자음으로 시작한 음절은 66,573개, 반모음으로 시작한 음절은 7,622개, 모음은 5,966개로, 자음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했다. 자음에서 높은 빈도를 보인것은 ‘ㄱ>ㅅ>ㅈ>ㅎ>ㅂ...’의 순이고, 낮은 빈도를 보인 것은 ‘ㄲ<ㅋ<ㅆ<ㅌ...’의 순이다. 첫음절에서 모음으로 시작하는 한자어는 두음법칙에 따라 모음의 빈도수에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고유어에서는 보이지 않는 특징이라 할 수 있겠고 ‘자음-반자음-모음’ 전체를 고려한 2음절 완전어근 한자어의 어두음소의 빈도 배열은 고유어의 경우와 현저히 차이를 보이고 있다. 2음절 완전어근 한자어의 끝음절 끝음소에서 종성 끝소리는 47,966개이고, 모음 끝음소는 32,195개이다. 종성은 한국어 말음절에서 가능한 7음소 중, /ㄷ/를 제외한 자음 음소가 ‘ㆁ>ㄴ>ㄱ>ㄹ>ㅁ>ㅂ’의 순으로 나타났고, 모음 끝음소는 ‘ㅗ>ㅔ>ㅜ>ㅣ>ㅏ>ㅓ’의 빈도순으로 나타나는데 고유어와 한자어의 음절 말 구성에 현저한 차이가 있다. 다만 2음절 한자어에서 첫음절과 끝음절의 모음핵 빈도에는 별다른 큰 차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non-predicative 2-syllable complete root Sino-Korean words listed in < Korea University Korean Dictionary >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2-syllable complete root Sino-Korean words and analyzed the frequency an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eojeol (morphology), syllable and phonem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total number of eojeol types was 44,799 out of 80,161 complete roots analyzed, and among them, the morphology (a series of sound continuation)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occurrence was in the order of “gosa>josa>sujang>gisu>jeongsa (고사>조사>수장>기수>정사) ……” For first syllables, the order of contribution in forming homonyms was “戰>神>正>情……”, and for the second syllables,”事>死>士>史......” was the order of importance. Second, in terms of the syllable frequency, the total number of tokens for the first syllable was 423, and the final syllable token was 462 in total. In the first syllables and the final syllables, the syllables that showed high frequency are in the order of “Sa> Su> Jeon> Jeong(사> 수>전>정) ......”, and the lowest frequency syllables were “Nul, Jim, Cheun, Taeng (눌, 짐, 츤, 탱) ……”. The frequency of use of the first syllable and final syllable showed almost no difference, while some differences were observed that some of the Sino-Korean syllables are used only for the first syllable, such as “Jul, Hul, Swi, Teun, Gyak, Hung, Teo(줄, 훌, 쉬, 튼, 갹, 훙, 터)” or only for the final syllable, such as “Nil, Nyang, Wal, Ral, Nyuk, Nyu, Daek(닐, 냥, 왈, 랄, 뉵, 뉴, 댁)”. Third, among the first phoneme of the 2-syllable complete root Sino-Korean words, 66,573 syllables started with a consonant, 7,622 syllables started with a semi-vowel, and 5,966 syllables started with a vowel, showing a dominant proportion of starting with a consonant. Among the consonants, the highest frequency was observed to be in the order of “ㄱ>ㅅ>ㅈ>ㅎ>ㅂ......” and the low frequency was in the order of “ㄲ<ㅋ<ㅆ< ㅌ......” Sino-Korean words starting with a vowel in the first syllable showed a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vowels according to the initial law, which is a characteristic not observed in native Korean words. The frequency arrangement of the onset phoneme of the 2-syllable complete root Sino-Korean words considering the whole of ‘consonant-semi-consonant-vowel’ showed a clear difference from the native Korean words. In the final syllable final phoneme of -syllable complete root Sino-Korean words, the number of final sound of final consonant was 47,966, and the vowel final phoneme was 32,195. As for the final consonant, among the 7 phonemes possible in the Korean word syllables, the consonant phoneme excluding /ㄷ/ showed the frequency in the order of “ㆁ >ㄴ> ㄱ>ㄹ>ㅁ>ㅂ” and for vowel final phoneme, the frequency order was “ㅗ>ㅔ>ㅜ>ㅣ>ㅏ>ㅓ.” In this way,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the syllable composition between the native Korean words and Sino-Korean words. However, in disyllabic Sino-Korean wor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the vowel nucleus between first syllables and final syllables.

      • KCI등재

        첫 음절 토큰 빈도와 타입 빈도가 단어 및 유사 단어 어휘 판단 시간에 미치는 영향

        권유안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4 No.4

        Syllable frequency effect plays an important role in finding evidence supporting the hypothesis, incorporating syllable unit between letter and whole word level.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is defined as the inhibitory effect of words starting with high syllable frequency in lexical desition tasks. According to some studies, syllable frequency can be divided into two values. First is the type frequency which indicates the number of syllabic neighbors sharing the first syllable of a target word. Second is the token frequency which means the accumulated word frequency of the syllabic neighbors. Although type and token syllable frequency can make different effect, there is no evidence in Korean. This study conducted the meta-analyses to access whether the inhibitory syllable frequency effect could be expected by syllabic type or token frequenc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yllabic token frequency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 inhibitory effect in Korean syllable frequency effect and we explained the role of token and type frequency in visual word recognition model. 고빈도 음절로 시작되는 단어가 저빈도 음절로 시작되는 단어에 비해 어휘판단 시간이 느려지는 효과를 음절 빈도 효과라 하고, 이 효과는 시각 단어 재인에서 음절 처리를 포함한 네 수준 모형을 지지해 주는 중요한 효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음절 빈도는 계산 방식에 따라 타입 빈도(동일한 첫 음절을 포함한 음절 이웃 단어의 개수)와 토큰 빈도(음절 이웃 단어들의 누적 빈도)로 다르게 구분되고 각각이 단어 재인에서 다른 효과를 보일 수 있다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음절 빈도 효과에서는 그 효과를 구분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억제적 어휘판단 시간으로 대표되는 음절 빈도 효과가 음절 타입 빈도로 설명되는지 아니면 음절 토큰 빈도로 더 잘 설명되는 지를 기존 연구의 재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어휘판단 시간의 증가는 음절 토큰 빈도의 증가에 의해 설명되었고, 반대로 유사 단어 자극의 어휘판단 시간의 증가는 음절 타입 빈도 및 표기 이웃 크기의 증가에 의해 설명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음절 토큰 및 타입 빈도가 시각 단어 재인에서 이론적으로 어떤 의의를 갖는지를 설명하였다.

      • KCI등재

        어휘 재인에서의 음절 빈도 효과: 한국어 단어와 어절에 대한 회귀 분석 연구

        김준우,이솔빈,김상엽,남기춘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5 No.4

        기존 한국어 시각 어휘 재인 연구에서 음절 빈도 효과는 명사 및 동사와 같은 어휘의 품사, 단어 및 어절 등 어휘의 형태, 나아가 타입 및 토큰 빈도와 같은 음절 빈도의 다양한 계산 방식에 따라 혼재된 결과가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철자형 및 음운형 빈도 각각에 대하여, 타입 및 토큰, 길이 제한 및 길이 무관 빈도 등 네 가지 계산 방식에 따라 첫음절 빈도를 계산하여 기존 한국어 어휘 판단 데이터의 23,173개 단어 및 어절 대상 어휘 판단 데이터를 재분석하였다. 총 8가지 독립적 위계적 회귀 모형에서 용언의 원형 및 굴절형 모두에서 첫음절 빈도의 촉진 효과가 나타난 반면, 명사는 어절에서만 촉진 효과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첫음절 빈도의 촉진 효과는 철자 및 음운형 음절 빈도 모두 빈도 계산 방식과 무관하게 일관적으로 나타났다. 음절 빈도의 촉진적 효과는 한국어의 독특한 모아쓰기 체계의 영향으로 음절 간의 경계가 시각적으로 뚜렷해지고, 이로 인하여 시각 어휘 재인 시 직접적 철자 음절 경로를 통한 어휘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또한, 명사 단어에서의 효과 부재는 단어 빈도 효과와 고빈도 이웃 수의 영향으로 유추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음절의 음운형 및 철자형 표상 모두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Previous studies on syllable frequency effect on visual recognition of Korean words have reported mixed results depending on their part of speech, morphological form (simple vs. inflected form), and measures of syllable frequency (e.g., type or token frequency). The present study reanalyzed lexical decision data from 23,173 words in three datasets (Yi et al., 2017; Kim et al., 2018; Kim et al., 2020). In eight independent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s, four frequency measures were employed for the orthographic and phonological first syllable, respectively. The first syllable frequency was measured in terms of type or token, or whether the length of syllabic neighbors was considered or not. The results showed robust facilitative effects of first syllable frequency in all forms of verbs, adjectives, and adverbs, while only in inflected form for nouns. The facilitative effects of first syllable frequency were demonstrated regardless of frequency measure, both in orthographic and phonological syllable frequency. This facilitative effect of syllable frequency could be due to the Korean writing system, which provides visually distinct syllabic boundaries, resulting in direct access to the mental lexicon via the orthographic route. The null effect of the syllable frequency in noun words could be attributed to their greater number of higher frequency syllabic neighbors (HFSN), compared to the other three categories. Th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the orthographic and phonological representation of a syllable plays an important role in visual word recognition.

      • KCI등재

        한국어 명사 어절의 시각 재인 시 나타나는 첫음절 빈도의 촉진 효과

        권서연,김준우,이솔빈,남기춘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5 No.2

        Syllable plays an important role in Korean visual word recognition. Previous studies on syllable frequency effect have reported mixed results, which showed inhibitory effects in noun words while facilitative effects were shown in noun and verb Eojeols. Furthermore, most studies on Eojeols which reported facilitative effects of first syllable frequency employed correlation and regression approaches, which suggests the necessity of an experiment with factorial design. The present study carried out two lexical decision studies, employing noun Eojeols with 3 and 4 syllabl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irst syllable frequency, controlling for Eojeol length, Eojeol frequency, and the number of meanings. High and low frequency of first syllable were compared in both experiments, while manipulating stem length. In Experiment 1, 3-syllable noun Eojeols were manipulated to have 1 or 2 stem length in syllables, while 4-syllable noun Eojeols were manipulated to have 2 or 3 stem length in syllables in Experiment 2. The results showed that facilitative effects of first syllable frequency regardless of stem length in lexical decision latencies and accuracy in both experiments. These results are in accordance with previous studies on Eojeol. To summarize,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yllable frequency effect in Eojeols while controlling other confounding factors, which showed robust facilitative effect of first syllable frequency irrelevant of Eojeol length, stem length, and Eojeol frequency. Therefore, the current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processing of Eojeol distinct from that of word. 한국어 시각 어휘 재인 시 음절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존 연구에서 첫음절 빈도는 명사 단어에서 억제적, 명사 및 용언 어절에서는 촉진적인 혼재된 결과가 보고되었다. 또한, 촉진적 효과가 보고된 어절 연구는 주로 상관 및 회귀 연구로 진행되어, 음절 빈도 효과에 대한 어절 연구 중 요인 설계를 적용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3음절 및 4음절 명사 어절을 대상으로, 어절 길이, 어절 빈도 및 의미 수를 통제하여 음절 빈도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어근 길이에 따른 음절 빈도 효과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자 복수의 어휘 판단 과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3음절 명사 어절의 어근 길이를 1음절 및 2음절로 조작하였으며, 실험 2에서는 4음절 명사 어절의 어근 길이를 2음절 및 3음절로 조작하여 첫음절 빈도 고, 저에 따른 어휘 판단 과제 반응시간 및 정답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 1, 2 모두에서 어근 길이와 무관한 첫음절 빈도의 촉진 효과가 보고되었다. 이는 기존에 보고된 어절 대상 연구와 궤를 같이하는 결과이며, 단어 대상 연구와는 일치하지 않는 결과이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어절 대상으로 음절 빈도 효과의 요인 설계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어절 길이, 어근 길이 및 어절 빈도와 무관한 음절 빈도 효과를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어 시각 어휘 재인에서 음절의 중요성을 재확인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단어와는 구별되는 어절의 재인 과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SCIESCOPUSKCI등재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in Semantic Categorization Tasks in Korean

        ( Jihye Kim ),( Youan Kwon ),( Kichun Nam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1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 Vol.5 No.10

        Previous studies of syllable frequency effects have proposed that inhibitory effects due to high first syllable frequency were the products of competitions between activated lexical candidates within a lexical level. However, these studies have primarily used lexical decision tasks to examine the nature of syllable frequency effects.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a syllable frequency effect can arise in semantic categorization tasks and whether phonologically or orthographically defined syllables interact with semantically related variables such as morphological family size. If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was created by activations and competitions on a lexical level,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effect was related to semantic categorization tasks. To test this hypothesis, we conducted two experiments. In Experiment 1, morphological family size and phonological syllable frequency were factorially manipulated. In Experiment 2, morphological family size and orthographic syllable frequency were factorially manipulated.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morphemes have no relationship with phonological syllables but do with orthographic syllables. This suggests that phonological syllables and orthographic syllables have different roles in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on visual word recognition process.

      • KCI등재

        한국어 사전 표제어 발음의 음소 및 음절 빈도

        신지영(Jiyoung Shi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1

        배경 및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사전에 등재된 표제어의 발음형을 대상으로 말소리 관련 빈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사전 표제어의 발음형이 보여주는 말소리 관련 빈도 정보, 즉음소 및 음절 관련 빈도 정보는 한국어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정보로서, 한국어 화자들의한국어에 대한 기본적인 언어 지식이라고 할 수 있다. 방법: 표제어 선정에 사용 빈도의 개념이반영된 「연세한국어사전」의 전체 표제어 49,553개 중 잘못된 형, 방언형, 자모, 접사(접두사와접미사) 등과 「표준국어대사전」의 표제어에서 찾을 수 없는 어휘 항목을 제외한 47,401개표제어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해당 표제어들을 대상으로 필자가 정한 원칙에 따라 사전의 발음형을 일일이 확인하고 입력하는 방법으로 자료를 완성하였다. 완성된 자료에서 음소및 음절 빈도를 얻기 위해 SynKDP 1.5.2(일명 깜짝새)가 사용되었다. 결과: 분석 대상이 된47,401개 표제어에서 관찰된 음절은 총 122,761개였고, 음소는 총 290,131개였다. 음소 중에서모음은 122,761(42.3%)개, 자음은 167370(57.7%)개로, 자음의 수가 약간 많았다. 자음 중에는초성이 110,122(65,8%)개, 종성이 57,248(34.2%)개로 초성의 빈도가 높았다. 한국어에 존재하는 36개의 음소 중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음소는 /?/였고, 가장 낮은 빈도를 보인 음소는 /?i/였다.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자음은 /k/였고, 이어서 /n/, /ŋ/, /l/, /?/의 순서를보였다. 가장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인 모음은 /?/였고, 이어서 /i, ?, o, u, ?, ?, j?, w?, w?,jo, ju, j?, wi, w?, j?, ?i/의 순서를 보였다. 사전의 발음형 전체에서 관찰된 음절의 유형수는 총 1,283이었다. 이 가운데 가장 출현 빈도가 높았던 음절은 5,413회를 보인 /h?/였다.이어서 /li, ?i, i, ki, s?, ??k/ 등이 그 뒤를 따랐다. /h?/가 고빈도를 보인 이유는 동사 파생접사 {-하}의 생산성과 유관한 것으로 보인다. 1,283개의 유형 중에서 고빈도 82개 유형, 즉6.4%에 불과한 음절의 유형이 전체 자료의 50.2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결론: 한국어 사전 표제어의 음소 및 음절 관련 빈도 정보는 한국어와 관련된 기초 자료로서음성학, 음운론은 물론, 언어 병리학, 한국어 교육, 음성 공학 분야에서도 꼭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frequencies of Korean phoneme and syllable units based on the careful analysis of entries inthe Korean Dictionary. Information on phoneme and syllable frequencies of the entries is a fundamental knowledge component of the Korean language. Methods: Using 47,401 entries from the Yonsei Korean Dictionary, the occurrence frequencies for units of Korean phonemes and syllables were analyzed. Pronunciations of all the entries were manually checked, and SynKDP 1.5.2 was used to calculate thephoneme and syllable frequencies. Results: A total of 122,761 syllables and 290,131 phonemes were observed from 47,401 entries, with 65.8% of consonants occupying the onset position in the syllable structure. Among 36 phonemes, /?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nd /?/ showed the lowest frequency. Among 19 consonants, /k/ occupied the highest ranking, and /n/, /ŋ, /l/, and /? were the next rankings, in that order. Syllable frequency was also investigated. A total of 1,283 syllable types were observed. However, the most frequent 82 syllable types, i.e., 6.4% of all observed syllable types, accounted for over 50% of the data. Discussion & Conclusion: Information on the phoneme and syllable frequencies of entries in the Korean dictionary is a fundamental knowledge component of the Korean language. Therefore, this type of information is useful not only for Korean linguistics, but also speech pathology,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speech engineering

      • KCI등재

        한글 두 글자 단어와 비단어의 어휘판단에 글자 빈도, 글자 유형, 받침이 미치는 영향: KLP 자료의 분석

        신명석,박창호 한국인지과학회 2023 인지과학 Vol.34 No.4

        본 연구는 한국어 심성어휘 데이터베이스(KLP-DB)의 분석을 통해 글자 빈도, 글자의 모음 유형, 받침 유무 등 글자 수준 정보가 두 글자로 된 단어와 비단어의 어휘판단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반응시간과 오반응률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단어의 어휘판단에는 단어빈도가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만, 첫째 글자의 빈도, 첫째 글자와 둘째 글자의 모음 유형과 받침 유무와 같은 글자 속성이 영향을 미쳤고, 두 글자의 모음 유형의 조합 및 둘째 글자의 빈도와 받침 유무의 조합도 영향을 주었다. 비단어의 어휘판단에는 첫째 글자와 둘째 글자의 빈도, 첫째 글자의 모음 유형, 첫째 글자와 둘째 글자의 받침 유무와 같은 글자 속성이 영향을 미쳤고, 두 글자의 사용빈도의 조합, 모음 유형의 조합, 및 첫째 글자의 빈도와 받침의 조합도 영향을 주었다. 단어빈도는 단어의 어휘판단에서 강력한 영향을 미쳤으며, 글자 속성은 단어보다 비단어의 판단에서 더 일관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휘판단과제에서 단어와 비단어 목록의 구성 및 반응시간의 해석에 글자 속성의 문제를 충분히 고려해야 함을 가리킨다. 글자 속성의 효과에 대한 이해는 단어 재인 과정의 이해에도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how lexical decision of two-syllable words or pseudo-words is affected by syllabic information, such as syllable frequency, syllable (i.e. vowel) type, and presence of final consonant (i.e. batchi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Korean Lexicon Project Database (KLP-DB). Hierarchical regression of RT data showed that lexical decision of words was influenced by the frequency of the first syllable, the syllable type of the first and second syllables, batchim for the first and second syllables, and also by the interaction of the two syllable types and the interaction of syllable frequency and batchim of the second syllable. For pseudo-words lexical decision was influenced by the frequency of the first and second syllables, syllable type of the first syllable, and batchim for the first and second syllables, and also by the interaction of the two syllable frequencies, the interaction of the two syllable types, and the interaction of syllable frequency and batchim of the first syllable. Word frequency had a strong effect on lexical decision of words, while syllabic information had a stable effect on the lexical decision of pseudo-word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yllabic information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in constructing word and pseudo-word lists and interpreting lexical decision time. Understanding the effect of syllabic information will als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word recognition process.

      • KCI등재

        시각 단어 재인시 나타나는 음절 빈도효과의 원인 규명 : 사건관련 뇌전위 연구

        권유안,이윤형 한국언어과학회 2015 언어과학 Vol.22 No.4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syllable type frequency or the syllable token frequency is responsible for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during visual word recognition. In the present ERP study, type and token frequencies of the experimental materials were orthogonally controlled and 20 participates were performed a lexical decision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200 and N400, which have been known as ERP components to mirror syllable processing, were affected by the modulation of the syllable token frequency rather than by the modulation of the syllable type frequency.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at the syllable type frequency is the major source of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during visual word recognition.

      • KCI등재

        음절 빈도 효과의 첫 단계, 한글 음절 처리기가 존재하는가?

        권유안(Kwon, Youan),이윤형(Yoonhyung Lee) 언어과학회 2021 언어과학연구 Vol.- No.98

        The syllable parser is basically assumed in order to explain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One of several roles of the syllable parser is to divide syllables from a multi-syllabic word and transform orthographic representation into phonological representation. Thus, this is necessary in languages with a linear alphabetical writing system because syllable boundaries are unclear. However, the letters of Hangul are packed into syllable blocks, and this provides a visual boundary cue between syllables. Therefore, although it is not necessary to assume the syllable parser in Korean,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has been observed repeatedly in Korean. In order to find the syllable parser in Korean, the present study tested whether or not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is modulated by increasing interval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yllable presentation via three lexical decision tas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