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gional Concentration of Agricultural Production and Supply Variability

        김관수,하용현,안동환 한국지역개발학회 2018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0 No.2

        This paper analyzed the impacts of production concentration on variability of production. It addresses beyond-mean-effects of agglomeration economies which highlights a mean-increasing effects of production. Relying on a conceptual model capable of decomposing supply variations into pure yield effects, pure cultivation area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of these two factors based on a coefficient of variation approach,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regional concentration of production on supply variations. We apply our methodology to 6 agricultural products inclusing Chinese cabbage and seasoning vegetable product data during 2009-2013. The decomposition results in relation to regional concentration of production suggest that a pure yield effect component of supply variation has a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degree of regional concentration of production for selected vegetable products, suggesting positive variance effects in relation to agglomeration diseconomies.

      • KCI등재

        Regional Concentration of Agricultural Production and Supply Variability

        Kim, Kwansoo(김관수),Ha, Yonghyun(하용현),An, Donghwan(안동환) 한국지역개발학회 2018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0 No.2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집적경제(agglomeration economies) 효과에 대한 논의가 평균 생산 측면에만 국한되어 이루어져 왔다는 점에 착안하여, 생산의 지역집중이 생산의 변동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실증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생산성의 평균 효과에 국한된 집적경제의 논의를 분산(변동성) 효과로 확장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이론적방법론은 변이계수 분해법이며, 이를 통하여 생산의 변동성을 순수 생산성 효과, 재배면적 효과, 그리고 이 두 가지의 교차효과 등 세 부분으로 분해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으로는 농업부문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 농산물 생산의 지역 집중이 생산의 변동성에 미치는 영 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배추, 고랭지배추, 무, 양파, 파, 마늘 등 6가지 품목의 지역별 생산량 및 재배면적 자료를 이용하여 생산의 변동성을 순수 생산성 효과, 재배면적 효과, 그리고 이 두 가지의 교차효과 등 세 부분으로 분해하였다. 분석결과, 총공급(총생산)의 변동성은 품목별로 유사한 변화 패턴을 보이는 반면, 생산 변동성의 요인은 품목에 따라 매우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산의 지역집중도가 증가할수록 순수 생산성 변화에 따른 생산의 변동성이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농업생산의 경우 생산의 지역집중에 따라 변동성(위험)이 함께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본 연구는 농업생산에는 지역집중에 따른 평균효과를 나타내는 집적경제적 측면이외에도 분산효과를 나타내는 집적불경제(agglomeration diseconomies)적 측면이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