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눌 수증론의 해오(解悟)와 증오(證悟)의 의미 재조명

        이수미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23 철학사상 Vol.89 No.-

        In the backdrop of the sudden and gradual debate, which was initiated in 1981 when the Supreme Patriarch of Korean Chogye Order, Sŏngch’ŏl (1912-1993), criticized Chinul’s (知訥, 1158-1210) idea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tono chŏmsu, 頓悟漸修) in favor of “sudden awakening accompanied by simultaneous cultivation” (tono tonsu, 頓悟頓修), the philosophical and soteriological significance of “sudden” and “gradual” for enlightenment and cultivation in Chinul’s thought has been studied from various perspectives. One of the focal points of this debate is whether Chinul's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is consistent with kanhwa Sŏn (看話禪) practice, which Chinul emphasized in his later years. This is because the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is associated with the “understanding-awakening” (haeo, 解悟) attained through intellectual understanding (chihae, 知解) of Buddhist doctrinal teachings, while the kanhwa Sŏn is considered a practice that transcends any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leads directly to “realization-awakening” (chŭngo, 證悟). Advocates of the sudden awakening accompanied by a simultaneous cultivation approach strongly reject intellectual elements in enlightenment, deny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and kanhwa Sŏn. They argue that Chinul’s emphasis on kanhwa Sŏn in his later years is attributed to a transformative shift in his philosophical outlook. On the other hand, proponents of Chinul's philosophical framework seek to explain the soteriological connection between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and the kanhwa Sŏn. From this perspective, they assert that although understanding-awakening is obtained through intellectual elements, it ultimately culminates in the realization-awakening. Ultimately, the sudden and gradual debate can be approached as a question of whether the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and kanhwa Sŏn are consistent, centered on the role and legitimacy of intellectual understanding in enlightenment and cultivation.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issue of consistency between the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and kanhwa Sŏn by reconsidering the meanings of the understanding awakening and the realization-awakening. In the polemical situation, there has been a tendency for the understanding-awakening to be contrasted with the realization-awakening, being either completely disregarded or merely regarded as an incomplete realization. Considering these aspects, first, the current views on these two types of awakening are critically examined in terms of the fundamental issues that underlie awakening and cultivation. Subsequently, Chinul’s view of the understanding-awakening is reevaluated in light of the concept of “nature-origination” (sŏnggi, 性起). Based on this analysis, the soteri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understanding-awakening and the realization-awakening is discussed, and the issue of the consistency between the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and kanhwa Sŏn is addressed.

      • KCI등재

        Pojo Chinul 普照知訥 and the Sudden-Gradual Issue

        Robert E. Buswell(로버트버스웰)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3 佛敎學報 Vol.0 No.66

        지눌은 간화선이라는 명상 기법에 관하여 기술하고 그것의 사용을 지지한 최초의 한국 승려이다. 지눌이 그의 저작에서 대략적으로 설명한 간화선에 접근하는 방식은 임제종내에서 표준이 된 그것과는 몇 가지 중요한 점에서 다르다. 이러한 차이점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지눌이 자신이 선호한 돈오점수라는 수증론적 방식과 간화선 수행 사이에서 조화를 추구했다는 점이다. 중국과 한국에서 임제 선사들 사이에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간화선에 대한 해석은 이 명상 기법을 돈오돈수라는 수증론적 체계를 반드시 수반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간화선을 극단적인 돈오지상주의로 볼 경우 이 기법은 깨달음의 체험 그 자체에만 집중하는 것으로 간주되는데, 이는 완전한 깨달음은 어떠한 수행의 형식이 되었건 그것들을 모두 저절로 완벽하게 만들어 버릴 것이라는 가정에 근거한 것으로서 깨달음과 수행 양자를 ‘즉각적’인 것이 되게 한다. 이러한 새로운 간화선 체계를 그가 선호했던 돈오점수의 수증론과 조화시키기 위하여 지눌은 선 수증론의 접근 방법에 있어서의 상당한 간극을 극복해야 했다. 첫째로 그는 비록 신중한 태도를 보이긴 했지만 간화선을 돈오점수의 틀 안에 통합될 수 있는 접근 방법으로 취급한다(다시 말해 바른 이해는 즉각적인 깨달음[돈오]을 낳고, 간화선은 이어지는 점진적 수행[점수]을 구성한다는 것이다). 지눌이 화두를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것 또한 간화선을 돈오점수의 틀에 통합하기 위한 방편을 제공한다. ‘뜻을 탐구함’[參句]을 통해 처음의 즉각적인 해오(解悟)를 일으키고, ‘말을 탐구함’[參句]을 통해 인식의 장애[所知障, jneyavarana]를 극복하여 증오(證悟)를 얻는 것이다. 두 번째로 지눌은 간화선을 그가 이전에 검토한 깨달음과 수행을 설명하는 갖가지 불교 교학적 설명들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별개의 기법으로 다룬다. 곧 화두는모든 다른 수증론의 틀을 초월하는 특별한 ‘경절의 방편’[徑截門]인 것이다. 은밀히 돈오돈수를 간화선에 관한 그의 저작 중에 수용함으로써 지눌은 그가 선호했던 수증론의 토대를 무너뜨리고 돈오점수라는 그의 독특한 방법론에 대한 비판을 야기하기도 하였다. Chinul was the first Korean Buddhist teacher to write about the kanhwa Son technique and to champion its use. The approach to kanhwa Son that Chinul outlines in his writings differs in some important respects from that which becomes normative within the Linji/Imje tradition. The most crucial of these differences is the accommodation Chinul seeks to accomplish between his preferred soteriological approach of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tono chomsu) and kanhwa practice. The interpretation of kanhwa Son that is generally accepted by Linji teachers in both China and Korea views the technique as involving the soteriological stratagem of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tono tonsu). Where kanhwa Son is viewed as radical subitism, the technique is claimed to focus exclusively on the enlightenment experience itself, the presumption being that a full and complete awakening would automatically perfect any and all forms of cultivation, thus rendering both awakening and practice sudden. In order to reconcile this new system of kanhwa Son with his preferred soteriology of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Chinul must negotiate a quite considerable divide in Chan/Son soteriological approaches. Chinul takes two distinct approaches to this reconciliation. First, he treats kanhwa Son as an approach that can be incorporated, albeit hesitatingly, into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viz., generating correct understanding constitutes sudden awakening; kanhwa Son constitutes the subsequent gradual cultivation). Chinul``s distinction between two distinct types of hwadu investigation also allows for a way of incorporating kanhwa Son into sudden awakening/ gradual cultivation: investigation of its meaning (ch`amui) generates the initial sudden understanding-awakening; investigation of the word (ch`amui) overcomes the cognitive obstructions (jneyavarana) and results in the realization- awakening. Second, Chinul treats kanhwa Son as a separate technique that has nothing at all to do with Buddhist scholastic accounts of the different outlines of awakening and cultivation he had examined previously: viz., the hwadu was a special kind of shortcut expedient that transcends all other soteriological schemata. By tacitly accommodating sudden awakening/sudden cultivation in his late writings on kanhwa Son, Chinul undermined his own preferred soteriology and prompted critiques of his signature approach of sudden awakening/ gradual cultivation.

      • KCI등재

        禪宗에 있어서 ‘頓悟’의 受容과 그 展開

        金鎭戊 한국선학회 2006 한국선학 Vol.15 No.-

        본 논문은 道生의 ‘頓悟成佛論’으로부터 제시된 ‘頓悟’와 그와 관련된 頓漸論爭, 天台와 華嚴宗 兩宗에 있어서의 돈오설, 그리고 禪宗에 있어서 돈오론의 수용과 그 전개과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전통적인 불교의 ‘깨달음’에 대한 입장은 이른바 次第로 깨달음을 열어 가는 ‘漸悟’이지만, 중국에 불교가 전래되면서 중국인들의 사유양식과 사상경향 등의 요소들과 결합되어 새로운 방법론으로 대두된 것이 바로 ‘頓悟’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돈오의 제시는 이른바 頓漸論爭을 발생시키는데, 최종적으로는 중국불교의 모든 종파에서 돈오론이 수용되었고, 특히 깨달음을 극도로 강조하는 禪宗에 있어서는 핵심적인 禪理로서 자리하게 된다. 그러나 시대의 변화에 따라 불교학의 변천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돈오의 이론은 도생이 제시한 것과는 어느 정도 차별이 발생하게 된다.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圭峯宗密의 돈오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宗密의 영향을 받아 나타난 것이 高麗中期 韓國禪의 重興祖로 알려진 普照國師 知訥의 ‘頓悟漸修’라고 할 수 있다. 사실 ‘돈오론’이 지니고 있는 사상적 가치는 또한 무궁하다고 할 수 있다. 부분의 합은 전체가 될 수 있다는 가정 아래 진행되어 온 부분에 대한 심화연구에 대하여 최근에 일어난 전체는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야만 참답게 전체를 볼 수 있다는 ‘全一主義(Wholism)’의 반론이 바로 ‘돈오론’의 입장임을 생각한다면, 돈오론이 지니는 뛰어난 논리성을 쉽게 짐작할 수 있는 것이다. 20세기에 서구에서 일어난 반론이 이미 5세기에 도생이라는 천재적 불교인에 의하여 제창되었던 것이다. 또한 동북아 불교의 역사 속에서 그것은 하나의 正統으로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내려오고 있다. The essay is focused upon elucidating the doctrine of ‘Sudden Awakening’ in the Order of Tian-tai and Hua-yan, and the introduction and developing process of the Chan Order. 'Sudden Awakening' is referred to as a new methodology of being closely connected with such elements as Chinese thought and its trend in the course of introducing Buddhism into China. The Awakening of traditional Buddhism, however, is such ‘Gradual Awakening’ that a Buddhist makes the orderly stages of awakening. The introduction of 'Sudden Awakening' gave rise to the discussions of Sudden Awakening, and so the doctrine of 'Sudden Awakening' was presented in all the Buddhist Orders. In particular, it is uniquely regarded as the principle of Chan in the Chan Order that put a great emphasis upon the stage of awakening. However, different from original view of Dao-sheng, the doctrines of 'Sudden Awakening' were made according to the periodical transitions of Buddhism. One of the representative doctrines was the new interpretation of 'Sudden Awakening' by Zong-mi, and finally it led to Ji-nul's doctrine of 'Sudden Awakening and Gradual cultivation', which was one of Buddhist representatives in the dynasty of Corea. The doctrines of 'Sudden Awakening' and its logic can be understandable in the context of Wholism. In this sense, it can be possible to say that it has a tradition in the East Asia of Buddhism.

      • 지눌의 깨달음과 수행

        김부용(Boo-yong Kim)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0 불교와 사회 Vol.2 No.-

        지눌 선사의 일생은 출가와 깨달음 그리고 정혜결사로 요약할 수 있으며, 기록으로 나타난 삶 전부가 정혜결사와 관련된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선사는 수선사 결사에서 삼문을 열어서 수행을 지도하고, 『금강경』과 자신의 깨달음에 계기가 되었던 경론에 의거해서 법을 펼쳤다. 아울러 자신의 저술로써 수행 지도의 내용을 보완해 나갔다. 선사의 저술에 나타난 수행관련 내용은 돈오점수론 및 돈오점수에 의거한 정혜수행과 경절문 간화선으로 압축된다. 선사는 ‘돈오점수는 모든 성인들이 법칙으로 삼아 닦았던 수행의 원칙이며, 정혜수행은 모든 수행문의 귀결처’라고 하였다. 또 경절문은 정혜수행 이외에 선문에서 말을 여의고 깨달음에 들어가는 별도의 수행문이라고 하였다. 돈오점수는 자기의 마음이 본래청정하고 본래 번뇌가 없어서 부처님과 털끝만큼도 다르지 않음을 깨닫고, 이 깨달음에 의지해서 자기의 마음을 닦는 수행이다. 자기의 무명으로 분별하는 마음이 바로 제불의 보광명지임을 信解하고 이 믿음을 의지해서 닦는 수행이다. 이 깨달음과 닦음은 선문과 교문이 차별이 있을 수 없다. 마음이 부처이고 자성이 불성임을 깨닫고 닦기 때문에 이 깨달음에 의지해서 닦는 悟後修를 성인의 태를 기르는 수행[聖胎長養]이라고 하며, 이 수행을 오래 오래하면 성인을 이룬다[久久成聖]고 하였다. 선사가 가르치는 정혜수행과 경절문 수행도 돈오를 의지해서 닦는 悟後修이다. 다만 근기에 따라 다를 뿐이다. 정혜수행은 공적영지하며 적적성성한 자기 마음의 체와 용을 닦는 수행이다. 근기가 뛰어나지 못하다면 먼저 정을 닦아서 산란한 마음을 다스리고 뒤에 혜를 닦아서 혼침을 다스려서 선후로 혼침과 산란을 고르게 조화시켜 성적등지, 정혜등지에 이를 수 있고, 근기가 뛰어난 사람이라면 한 생각에 정혜가 함께 밝아서 성성적적을 이루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근기의 차이를 지눌 선사는 수상문과 자성문으로 설명하였다. 달인의 정혜 닦는 수행은 정혜가 원명하며 功用에도 떨어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경절문 수행은 화두를 참구하는 수행이다. 『절요』와 이후의 저술에서는 원돈문에서 남을 수 있는 알음알이의 장애와 정혜수행의 자성문에서도 닦는 남을 수 있는 공용의 장애를 없애는 수행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하지만 선사가 지적한 것은 자신의 체험에 비추어 이러한 장애가 있다면 경절문으로 없앨 수 있다는 것이다. 돈오를 의지해서 닦는 悟後의 수행문에 우열이 있을 수 없다. 다만 수행하는 사람의 근기는 각자 다르기 때문에 근기의 차이를 먼저 말한 것이다. 지눌 선사는 경절문 수행에도 참구문과 참의문이 있다고 하였다. 참구문은 일념으로 의심을 타파하여 몸소 일심의 도리를 증득하고 반야를 발휘하여 불법을 널리 유통시키는 사람들이 닦는 수행이다. 참의문은 당시 간화수행자가 의심을 타파했다는 경우는 대부분 참의에 해당하며, 이는 원돈문으로 正見을 드러낸 것과 비슷하다고 한다. 하지만 이들은 見聞解行의 功이 있어서 이양만 추구하는 문자법사와는 달라서, 참의문으로 바른 지견을 나타내는 사람도 드물기 때문에 당시에는 귀하게 여긴다고 하였다. 참구문을 닦는 것이 마땅하지만 참의문이라도 바른 수행의 문에는 든 것이다. 정혜수행을 자성문은 물론 수상문도 바른 수행의 길이라고 수용했던 것과 같은 설명이다. 경절문을 닦는 수행자 각자의 근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지눌 선사가 열었던 삼문도 각각의 수행문은 모두 먼저 깨닫고 돈오한 이 깨달음을 의지해서 닦는 수행이다. 다만 수행을 하는 사람이 각각의 근기에 따라서 각각의 수행문으로 입문하여 닦아나갈 따름이다. 지눌 선사의 체험에서처럼 원돈문과 자성문에서 남는 장애가 있다면 경절문으로 없애는 加行이 있을 수는 있다. 하지만 이는 수행문의 차이가 아니라 수행자의 근기에 따른 것이다. 돈오돈수와 돈오점수도 마찬가지다. 경절문은 돈오돈수의 수행이며 나머지는 돈오점수의 수행이라고 이해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돈오를 의지하여 닦는 悟後修의 내용을 근기에 따라 구분한 이름일 뿐이다. 정혜수행과 경절문 수행을 돈·점으로 나눈 것이 아니라 각각의 수행문에 돈수하고 점수하는 근기가 다를 수 있다는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정혜수행은 근기에 따라 자성문과 수상문으로 구분하고, 경절문도 근기에 따라 참구문과 참의문으로 구분하여 설명한 것이다. 문제가 있다면 수행문이 아니라 수행하는 사람에 달렸다. 지눌 선사가 열었던 삼문도 같은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초전법륜 이후 오늘날까지 모든 수행자들은 각각의 수행문으로 각각 수행의 길을 걸어갔다. 다만 각각의 근기가 달라서 빠르게도, 느리게도, 전혀 수행의 공이 없는 듯 보이기도 했을 뿐이다. 깨달음의 길에는 우열이 있을 수 없다. 지눌 선사에 따르면, 이들이 돈오했다면, 이들 모두는 聖胎를 長養하는 수행으로 성인을 이루는 수행의 길을 갔을 따름이다. 선사는 이 길을 牧牛行이라 하였다. Seon Master Jinul (知訥, 1158~1210)'s life can be summarized in three key words: his leaving home, his awakenings, and the Samādhi and Prajñā Community. Furthermore, it wouldn't be an overstatement to say that his whole recorded life is related with the Samādhi and Prajñā Community, or Seon Cultivation Community. He guided people's practice with his own three major approaches and he talked the dharma on the basis of Buddhist texts including the Diamond Sutra by which he could awake before. Besides, he supplemented his teaching with his own writings. His teaching of practice seen in his writings is, also, summarized into the sudden awakening and gradual cultivation,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and the shortcut method of Hwadu seon. He said, “the sudden awakening and gradual cultivation is a principle of practice which every saint takes a rule and cultivates, and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is conclusion of all practice approach,” and added that the shortcut method was another approach to awakening without language in seon besides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First of his three major approaches, the sudden awakening and gradual cultivation is, after awakening that one's mind is originally pure and non-deluded and that everyone is not different from Buddha at all, practicing one's mind relying on this awakening. It is also, after having the faith and understanding that one's delusively discriminating mind is just like the bright radiating wisdom of all buddhas, practicing mind depending on this faith. These awakening and cultivation are not different between seon and doctrines from each other. Because one cultivates after awakening that one's mind is just Buddha and that one's own nature is the Buddha nature, cultivating after awakening is called by the practicing of cultivating saint's womb (聖胎長養), and, therefore, everyone can make oneself saint through these practice for long and long time (久久成聖). Jinul's other two practice,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and the shortcut method, are also cultivating after sudden awakening. These are classified just by people's capacities. The second,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is practicing the essence and function of mind that has both the voidness and numinous awareness (空寂靈知) and the calmness and alertness (寂寂惺 惺). Practitioner with low capacity must calm down his/her restless mind through practicing samādhi first, and then control his/her depressed mind through prajñā. This practice makes his/her restless and depressed mind harmonious, and enable the practitioner to reach attaining the concurrent alertness and calmness, or the concurrent samādhi and prajñā. Meanwhile, practitioner with high capacity can develop samādhi and prajñā concurrently at the first moment, and then reach the concurrent alertness and calmness without pause. Jinul explained these different capacities with terms of the Following Appearance Gate (隨相門) and the Own Nature Gate (自性 門), and said that practice of samādhi and prajñā by whom had reached such a position cultivated was those of samādhi and prajñā were bright and perfect, and those of no falling to function. The last third, the shortcut method is practicing of cultivating Hwadu. In his Excerpts from the Dharma Collection and Special Practice Record (法集別行錄 節要) and other works, he explains that the shortcut method is the practice of removing both obstacles of knowledge remained in the Perfect and Sudden Gate (圓頓門), and obstacles of function in the Own Nature Gate (自性門) of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His point, from his own experience, is that these obstacles arisen during the practice can be removed by the shortcut method. Although practice after sudden awakening is equal to everyone, people's various capacities makes

      • KCI등재

        비교종교학의 관점에서 본 한국불교의 頓漸論爭 - 頓悟頓修 없이는 그리스도교가 무너진다

        서명원(Seo Myeong-Won) 보조사상연구원 2005 보조사상 Vol.24 No.-

          The sudden-gradual debate (頓漸論爭) taking place in the country of the Morning Calm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has become a central feature of Korean Buddhism. It has been chiefly enacted by Master T"oeong So?ngch"o?l (退翁性徹), 1912-1993) from the Haein Monastery (海印寺), advocating a sudden-sudden approach of awakening and cultivation (頓悟頓修). So?ngch"o?l thus radically rejects the sudden-gradual paradigm (頓悟漸修) that has been the hallmark of Korean Buddhism since Master Chinul (知訥, 1158-1210), from the Songgwang Monastery (松廣寺).   For So?ngch"o?l, true sudden awakening definitely transforms someone into a Buddha. Such is the experience of the Buddha ?akiamuni and anything that falls short of that definition, i. e. that requires further practice to achieve buddhahood, should never be called ‘sudden awakening’. Moreover, in sharp contrast with Chinul promoting an amalgamation of So?n (禪) and Hwao?m (華嚴) doctrine, along the line of Guifeng Zongmi (圭峯宗密), So?ngch"o?l bases himself on a thorough reading of the Chan Canon (禪藏) to advocate a complete break with all scholastic teachings.   Though So?ngch"o?l has achieved during his lifetime the status of an outstanding national figure and of a great meditation master, his doctrinal views have been rejected as too dogmatic and fundamentalist by most Korean academics. They generally tend to be much more attracted by Chinul"s inductive thought and diachronic view of time. Indeed, a close study of So?ngch"o?l"s numerous works reveal a highly deductive mind and a predominantly synchronic conception of reality. However, despite those undeniable flaws, So?ngch"o?l"s teachings on sudden awakening, achieved almost exclusively through the practice of kanhwaso?n (看話禪) and along the line of Dahui Zonggao (大慧宗?), clearly seem to defend a point that deserves to be heard by anyone genuinely interested in Korean Buddhism.   In an attempt to bring new light on the debate, this paper examines whether or not structures of mystical experience resembling the divergent approaches of Chinul and So?ngch"o?l can be found at work in early Christianity. Indeed, though in somewhat different forms, the sudden-sudden and the sudden-gradual paradigms are clearly present in the New Testament: the former being the privilege of the founder of the tradition, and the latter that of the vast majority of his followers. It must be noticed, however, that the gradual paradigm cannot exist by itself; it has to be moving in the orbit of the sudden one. In other words, the gradual practice that follows an initial and sudden awakening - through which a disciple understands that he can become like his master - can only take sense if the founder himself has suddenly achieved the ideal of full realization toward which his disciples are progressively striving. Christ does not require at all from his disciples that they become as suddenly and definitely enlightened as he himself became when he was baptized, at the outset of his public life. Nevertheless, he does expect them to share his identity as completely an perfectly as possible in order to be able to take over the task of announcing his kingdom. During that growth process, if he generally displays a considerable amount of patience, he also scolds them, at times, because of their slowness to achiev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ruth. They are thus called to work more diligently at filling the gap between what he is and what they are. Ultimately, though, it is the death of their master that will allow them to achieve this goal. In other words, a full appropriation of their master"s teachings and way of being can only be achieved through a radical separation from him.     The above results can foster a better Buddhist-Christian encounter within the Korean peninsula. They show that the key para

      • KCI우수등재

        지눌 사상의 여래장적 해석

        한경옥 불교학연구회 2022 불교학연구 Vol.73 No.-

        Chinul is known to have turned around ideologically from sudden awakening/ gradual cultivation (頓悟漸修) to koan meditation (看話禪) in his later years. In this regard, this paper argues that Chinul did not change his ideas. Rather, he insisted on the unity of enlightenment between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and koan meditation, as well as Seon and Hwaom, based on Tathāgata-garbha thought. This was possible because Chinul inherited spiritual knowledge by nature (性自神解) and completely empty spiritual knowledge (空寂靈知) from Wonhyo (元曉) and Chongmil (宗密). These two terms have been emphasized as an intellectual characteristic in East Asia’s history of Tathāgata-garbha thought. They refer to the enlightenment of the Tathāgata-garbha, and share the awakening at the stage of gyeondo (見道) in Yogācāra. Chinul used “understanding-awakening (解悟)” in much the same sense as completely empty spiritual knowledge. He explicated three elements of understanding-awakening, which are self-contemplation (反照), belief in Buddha nature, and understanding of scriptures. Chinul’s understanding-awakening is similar to the ideas of Dahui Zonggao (大慧宗杲), because he also emphasized self-contemplation and did not disparage intellectual understanding of scriptures (知解). Chinul focused on understanding-awakening as the key to penetrating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and koan meditation. Chinul thought that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and koan meditation are the combination of munyeomsu (無念修, thinking without thinking) and pansasu (辦事修, being compassionate and helping others). Munyumsu is a process of observing thoughts. If we can observe thoughts, we will realize that there is Buddha-nature beyond thoughts. Pansasu is a practice of helping others with compassion. Chinul emphasized not only enlightenment but also ethical behavior. Therefore, we can see that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and koan meditation are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on the basis of Tathāgata-garbha thought. Chinul developed a practice theory for ordinary people, and achieved a characteristic of korean Buddhism. 지눌은 초기에 돈오점수를 강조하였고, 후기에는 돈오점수보다 더 높은 깨달음을 지닌 간화선으로 전회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 본고는 지눌이 돈오점수에서 간화선으로 전회한 것이 아니라, 여래장사상을 바탕으로 돈오점수의 돈오와 간화선의 돈오의 일치를 추구하였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는 먼저 여래장의 의미를 보성론 과 불성론 에서 고찰하고, 공의 지혜를 지닌 여래장의 의미를 바탕으로 지눌의 사상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공의 지혜가 없으면 여래장을 일견하고 무분별지를 증득할 수 없기 때문에, 여래장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동아시아의 선과 화엄사상은 초기불교부터 이어진 공사상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여래장사상은 동아시아에서 원효의 성자신해(性自神解)와 종밀의 공적영지(空寂靈知), 지눌의 해오(解悟)와 같은 지적(知的) 성격을 강조한 전통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지눌의 해오는 성자신해와 공적영지를 바탕으로 불성에 대한 믿음, 반조, 경론에 대한 깊은 이해를 포괄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눌이 법집사기 에서 돈오점수론과 간화선의 수증론을 모두 이야기한 것은, 두 수증론의 돈오가 모두 동일한 여래장의 깨달음이기 때문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지눌이 간화선의 깨달음을 돈오점수의 깨달음보다 더 높게 보았다고 해석해 왔고, 실제 지눌 이후의 한국불교는 간화선 우위의 선교겸수 전통으로 이어져 왔다. 만일 선 안에서 간화선의 돈오가 돈오점수의 돈오보다 높다고 한다면, 간화선의 돈오를 우위에 두고 선과 화엄의 돈오가 일치될 수는 없기 때문에 지눌의 선교일치론은 깨어지고 만다. 본고는 지눌의 사상을 여래장사상으로부터 해석할 때, 이러한 선과 교 사이의 불필요한 지위논쟁을 일으키지 않으며 지눌이 본래 가졌던 사상적 의도를 보다 선명하게 파악할 수 있다고 보았다. 지눌은 공성(空性)을 품은 여래장사상을 바탕으로 돈오점수론과 간화선을 통합적으로 사유하고 평범한 사람들을 위한 수증론을 발전시킴으로써 한국불교의 한 특성을 이루었다.

      • KCI등재

        돈오점수에 관한 일고(一考): 견성론을 중심으로

        김용환(Kim, Yong hwan),서왕모(Seo, Wang mo) 보조사상연구원 2019 보조사상 Vol.53 No.-

        돈점의 문제는 불교 수행에 있어서 수행자가 올바른 관점으로 들어가게 하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그것은 바로 실천의 문제이다. 성철이 제기한 지눌 비판은 한국 불교계에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켰으며, 특히 불교학계에 심대한 영향을 미친 것은 분명하다. 성철의 비판에 대한 지지 또는 반대의 의견을 제시하는 많은 논문이나 책들이 출간되었고, 사람들의 입에 회자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의 연구의 흐름을 보면, 견성론의 견지에서 돈점 문제를 직접적으로 궁구한 연구는 그렇게 눈에 뜨이지 않는다. 또한 대체로 성철의 관점 또는 보조의 관점 중 어느 한 쪽을 지지하는 입장에서 상대편의 관점을 비판하거나, 또는 두 가지 입장을 종합하여 이해하려는 형식으로 전개된 연구가 많았던 것 같다. 이 논문에서는 사전에 성철이나 보조의 어느 한쪽을 지지하는 입장에서가 아니라, 원효가 제시하는 견성론(見性論)이라는 보다 객관적인 견지에서 보조와 성철의 견성관을 검토한다. 즉, 원효가 『열반종요(涅槃宗要)』에서 제시하는 견성론이라는 공통의 준거틀을 근거로 하여 보조와 성철의 견성관을 조망하고, 양자가 가진 견성관의 본질적인 문제를 드러내며, 양자의 차이가 어디에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우리는 먼저 선행 연구에서 밝혀진 돈점 문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견성 사상의 토대가 되는 『대반열반경』에서 말하는 ‘문견(聞見)’과 ‘안견(眼見)’이라는 견성의 두 가지 유형을 소개하며, 이에 대하여 원효가 제시하는 견성의 세 가지 관점인 견성의 구경성(究竟性), 편재성(遍在性), 증득성(證得性)을 제시한 다음, 이를 보조와 성철의 견성관에 적용하여 분석할 것이다. 그 결과 우리는 견성의 구경성, 편재성, 증득성이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보조와 성철의 견성관을 고찰할 때, 양자 사이에 본질적인 차이가 있지 않다는 흥미로운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론이 타당하다면, 이는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중요한 점을 시사점과 과제를 제시해 준다. 첫째, 돈점 논쟁의 핵심이 견성론에 있는 것이 아니라면, 그것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가? 둘째, 돈오점수 체계와 돈오돈수 체계의 상호 관계성을 어떻게 규명할 수 있을 것인가? 셋째, 한국불교의 정체성의 관점에서 이러한 결론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The sudden-gradual issue is an essentially important enterprise that practitioners have to undertake with right perspectives, and it is indeed a matter of praxis. Seongcheol’s critique of Chinul have sparked immense repercussions through out Korean Buddhist communities. In academia, a large number of research papers and books have been published against or in support of Seongcheol. Nevertheless, it is found from the literature that not much research has been done to rigorously investigate the sudden-gradual issue, directly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a theory of seeing the Buddha-nature. Most research is polemical in nature, taking a position ex ante to support one of the two Seon masters while criticizing the other. In this paper, rather than taking a position in support of either Bojo or Seongcheol, we rely on Wonhyo’s theory of seeing the Buddha-nature - a more objective ground for investigation - to examine two masters’ perspectives on seeing the Buddha-nature. So, on the basis of a common framework suggested by Wonhyo in his Doctrinal Essentials on the Nirvana Sutra, our focus is on the two masters’ perspectives on seeing the Buddha-nature. This reveals the underlying structure of their point of views and the source of two masters’ different viewpoints as well. In our analysis, a striking result is obtained that there is essentially no difference between two masters’ perspectives. Further implications on this unexpected conclusion are discussed in the paper.

      • KCI등재

        퇴옹성철(退翁性徹)의 돈오돈수적견성(頓悟頓修的見性)과 구경각(究竟覺)에 대한 고찰(考察)

        서명원(Myong-won So)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2

        본고의 목적은 퇴옹성철선사의 돈오돈수적 견성과 구경각의 철학적 의미를 그의 언어관을 중심으로 심도 있게 규명하는 데 있다. 올해는 그의 탄생 백주년이 되는 의미 있는 시기로, 주지하다시피 불교역사상 어느 누구보다 더 강경하게 돈오돈수론을 주장했었던 그의 입장은 한국불교사의 또 다른 거성, 보조지눌선사의 돈오점수론과 극단적인 대립각을 형성함으로써 역사상 돈점논쟁의 불씨를 다시 한 번 부각시켰다. 이 과정에서 성철은 많은 이들의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는데, 필자는 이러한 비판에 대해 언어문(言語門)에 기초한 지눌의 입장과 달리, 진여문(眞如門)에 근거한 그의 입장은 학문적 관점에서보다는 종교적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바이다. 해석학적 순환의 측면에서 성철은 다양한 역사적 맥락을 토대로 전통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추구하기보다 변화와 양립할 수 없는 절대적 전통만을 강조하며 철저한 연역적 사고구조와 공시적 시간관을 견지했는데, 이는 한 개인의 진리관에 내재한 상대성과 역사성에 대한 인식의 결핍에서 비롯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기실 그의 사상마저도 당시 위기에 처해있던 한국불교에 개혁이 필요하다는 시대적 요청에서 비롯된 것이었으며, 또한 북한 공산주의와의 대립 및 군사정권 치하라는 당시 한국의 정치·사회적 상황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성철이 입적하기 6년 전에 출간된 저서로, 그의 돈오돈수적 견성과 구경각 사상을 입증하기 위한 마지막 사자후로 볼 수 있는 『육조단경 돈황본 현토·편역』에 대한분석을 근거로 판단해 보건데, 그가 얼마나 육조혜능을 자신의 중심인물로 삼았는지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의 모든 업적을 혜능의 권위 하에 두고자 지극히애를 썼다고 볼 수 있는데, 아쉬운 점은 혜능과 그의 저서로 알려져 있는 『육조단경돈황본』에 대한 역사적 비평에서 비롯된 결과들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성철의 돈오돈수적 견성과 구경각 사상에 근거한 깨침의 체험은 ``모든 언어를 초월한 무차별 경지에 도달하는 것``이기에, 이것에 대한 어떠한 해석도 그 본연의 의미를 제대로 담을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철이 여러 저서와 법어집을 남겼다는 사실은 그가 ``언어의 그림이론``과 ``깨달음을 통해서 얻은 인식이 언어를 초월한다는 이론``의 양단간의 균형을 추구했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다. 그러면서도 그는 초지일관 대중들이 언어의 한계에 구속되지 않기를 간절히 바랬다. 비록 성철이 주장하는 체험이 ``원인이 없는 非認知的순수한 의식의 국면 체험(Uncaused & NonCognitive Experience of Pure Consciousness)``이기에 그것을 제대로 이해한다는 것이 어쩌면 영원히 불가능한 일일 수도 있으나, 단순한 돈오와 체험의 수사법(Rhetorics of Immediacy and Experience)일 뿐이라고 말할 수는 없을것이다. T`oeong Songch`ol 退翁性徹(1912~1993) ranks among the most outstanding monks of the 20th Century. He served as meditation master of the famous Haein Monastery 海印寺(1967~1993) for twenty-six years, including twelve years (1981 ~1993) as Patriarch of Chogyejong 曹溪宗, by far the largest Korean Buddhist order. But his place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is not without controversy, particularly his utter rejection of the then well-established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Practice Doctrine ( tono chomsuron頓悟漸修論) advocated by Master Pojo Chinul 普照知訥(1158~1210). The effort to replace it with his own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 Doctrine ( tono tonsuron頓悟頓修論) of ultimate awakening ( kugyonggak究竟覺) through the seeing of one`s nature ( kyonsong 見性) has so alienated the vast majority of Korean Buddhist scholars that it is still difficult to find balanced accounts of Songch`ol`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Here I argue that Songch`ol must be seen not as an academic, but as a religious figure who earnestly dedicated most of his life to the practice and teaching of meditation. In short, the roots of Songch`ol`s Sudden/Sudden Teaching, based on the Gate of Thusness ( chinyomun眞如門) as opposed to Chinul`s Gate of Words ( onomun言語門), were more religious than academic. Dating from 1967, this teaching arose not from an objective re-interpretation of Chinul, but from the need to reform Korean Buddhist tradition that was in a deep state of disarray after several centuries of decay. In contrast with Chinul`s heuristic and inductive interpretation of Buddhist tradition, Songch`ol`s hermeneutics are far more assertive and deductive. In many ways they reflect the authoritarian socio-political context of the Cold War in which they were born (Senecal 2012, 38~53). As he claims that the practice of kanhwason看話禪allows the achievement of an uncaused and noncognitive experience of pure consciousness that has the power to definitively transform anyone into a Buddha, Songch`ol places his teaching under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Sixth Patriarch Huineng; moreover, he seems to completely identify himself with the latter. With such a doctrine, which powerfully evokes the rhetorics of immediacy and experience described by Faure and Sharf respectively (Faure 1991; Sharf 2000), but without being reduced to them, the sudden/gradual debate has reached an unprecedented degree of exacerbation in Buddhist history (Chong Yongsik, 84).

      • KCI등재

        知訥 頓悟漸修論의 本旨-返照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남영근 한국불교연구원 2024 불교연구 Vol.0 No.61

        지눌(知訥)의 돈오점수(頓悟漸修)에 대한 기존 연구는 성철(性徹)의 영향으로 교학(敎學)과 관련 있는 해오(解悟)를 선문(禪門)의 깨달음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에 관해 주로 논쟁하였다. 지눌 사상에서 해오는 중요한 개념이지만, 그가 해오점수를 통해서 강조하고자 하는 바는 오히려 증오(證悟)라는 궁극적 경지이고, 증오에 도달하기 위한 반조(返照) 수행의 중요성이다. 돈오점수론의 목표는 자성문정혜(自性門定慧)라는 증오의 경지에 있으며, 수상문정혜(隨相門定慧)의 반복을 통해 자성문정혜(自性門定慧)에 이르는 과정은 점수의 구체적 내용으로서 반조의 공덕을 쌓아 해오에서 증오로 나아가는 것이다. 지눌이 말년에 제시한 간화경절문(看話徑截門)은 해오점수라는 그의 기존 입장과 모순되는 것으로 이해되지만, 간화경절문의 화두참구(話頭參究) 역시 증오-자성문정혜라는 궁극적 경지에 도달하기 위한 반조 수행의 맥락에 있으며, 기존 돈오점수론의 취지와 다르지 않다. 즉 지눌의 돈오점수론은 증오-자성문정혜의 경지에 도달하기 위한 반조 수행으로 일관되며, 이것이 ‘밖에서 찾지 말라’는 지눌의 본지(本旨)이다. Existing research on Chinul's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mainly debated whether the enlightenment based on understanding, Jie-Wu[解悟] could be recognized as the Zen thought under the influence of Seongcheol[性徹]. Although Jie-Wu is an important concept in his thoughts, what he wants to emphasize through the ‘Jie-Wu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解悟漸修]’ is rather the ultimate enlightenment, Zheng-Wu[證悟], and the importance of practicing reflective observation, fanzao[返照] to reach the ultimate enlightenment. His theory on samādhi[禪定] and prajñā[智慧] is a process of reaching Zheng-Wu from Jie-Wu by accumulating fanzhao cultivation. The Ganhwa[看話] practice proposed by Chinul in his later years is understood to contradict to his existing theory, but this is also the result of understanding his thoughts centered on Jie-Wu. The key-concepts(話頭) of the Ganhwa practice is also in the context of the practice of fanzhao to reach the ultimate state of samādhi and prajñā[自性門定慧], and it is not different from the purpose of his existing theory. In other words, Chinul's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is consistent with the practice of fanzhao to achieve Zheng-Wu, which is the main idea of his thought. 'Don't look for outside'.

      • KCI우수등재

        천태에서 바라본 깨달음 논쟁

        이병욱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6 No.-

        이 논문은 깨달음의 관점에서 천태사상을 조망한 글이다. 더 자세히 말하자면, 해오 (解悟)와 증오(證悟)의 관점에서 천태사상을 검토한 것이다. 2장에서는 성철의 돈오(해오) 점수의 비판에 대해 살펴본다. 성철은 해오는 교종의 수행법이라고 비판하고, 그 관점에서 보조지눌의 ≷수심결≸의 내용을 비판하고, 증오가 선문(禪門)의 종지라고 주장한다. 3장에서는 천태사상의 상대지관, 원돈지관, 육즉에 대해 해오와 증오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상대지관(相待止觀)은 순서가 있고 서로 의지함이 있는 지관인데, 이는 공(空), 가(假), 중(中)의 순서로 깨달음을 심화시켜 나가는 것이다. 여기서 ‘공’을 깨닫는 것은 해오에 해당하고, ‘중’을 깨닫는 것은 증오에 해당한다고 해석한다. 원돈지관(圓頓止觀) 은 처음부터 실상을 깨닫는 것인데, 해오와 증오의 관점에서 본다면, 이는 증오에 해당 한다. 육즉(六卽)은 천태의 수행단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것은 이즉, 명자즉, 관행즉, 상사즉, 분진즉, 구경즉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즉(理卽)은 수행자가 보리심을 간직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명자즉(名字卽)은 천태의 핵심 가르침인 일심삼관을 배우는 것이 다. 관행즉(觀行卽)은 지식의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고 마음을 관조하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to study Tientai’s thought from the viewpoint of enlightenment. To be specific, this article is to study Tientai’s thought from the viewpoint of understanding and awakening ( 解悟 ) and of full realization ( 證悟 ). In chapter two, I will study Seongcheol’s criticism on sudden enlightenment (understanding and awakening) and gradual cultivation. He criticizes that understanding and awakening is a practice method of the doctrinal school. From that point of view, he criticizes Bojo’s Secrets on Cultivating the Mind. He insists that full realization is the core of Zen. In chapter three, I will study, from the viewpoint of understanding and awakening and of full realization, the interdependence cessation and observation ( 相待止觀 ), perfect and sudden cessation and observation ( 圓頓止觀 ), and six stages of Tientai’s thought. Interdependence cessation and observation ( 相待止觀 ) is in order and interdependent, which intensifies the enlightenment in the order of emptiness ( 空 ), nominal designation ( 假 ), the mean ( 中 ). In this point, to realize emptiness is understanding and awakening, and to be enlightened on the mean is full realization. Perfect and sudden cessation and observation ( 圓頓止觀 ) is to realize true original nature ( 實相 ) from the beginning. From the viewpoint of understanding and awakening and of full realization, this is full realization. Six stages ( 六卽 ) is stages of practice methods in Tientai; stage of buddha nature ( 理卽 ), stage of verbal identity ( 名字卽 ), stage of practice of meditation ( 觀行卽 ), stage of seeming buddhahood ( 相似卽 ), stage to perceive reality a bit at a time ( 分眞卽 ), and the stage of complete enlightenment ( 究竟卽 ). The stage of seeming buddhahood and the stage to perceive reality a bit at a time are understanding and awakening, and the stage of complete enlightenment is full realization. By the way, six stages is not to say simply about understanding and awakening or full realization, but to say about the stage of practice before understanding and awakening. From this point of view, I think that six stages is necessary meditation practice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