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학 전공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전북지역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강영숙(Young Sook Kang),이은정(Eun Jung Lee)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6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15 No.-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들의 진로상담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주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최근 대학생의 진로교육 및 진로상담에 관한 관심과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분석결과를 통해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진로상담을 위한 정보를 얻고자 함이었다. 전라북도에 위치한 3개 대학의 사회복지학 전공자로써 3학년과 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106명이 분석대상이 되었다. 전공만족도는 ‘교과과정 만족도’, ‘진로방향 만족도’, 그리고 ‘사회적 인식’으로 세 가지 하위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수준은 3.19로 중간 보다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다. 전공만족도는 3.16으로 다소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전공만족도의 하위 차원별로 살펴보면 사회적 인식의 평균값이 3.74로 가장 높았으며, 교과과정 만족이 2.83, 그리고 진로방향만족이 2.91로 나타났다. 전공학과 내부적 요인(교과과정, 진로방향)보다는 외부적 요인(사회적인식)에 의한 전공만족 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교과과정 만족을 위한 학과 과목 재편성, 전공관련 취업 정보를 학생들의 적성에 맞게 제공하는 등의 학과 내부의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중다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전공만족도 중 사회적 인식이 진로결정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주변으로부터 사회복지학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들었다고 인식하는 경우와 학과가 인기가 있을 때, 전공이 사회생활에 유리하다고 생각할 때 진로결정수준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ive data to college counselors and instructors for the career counselling of students majoring social welfa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the major satisfac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on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As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the career education and the career counselling among colleges and undergraduate students being spread widely, the finding of this study may provide variable information to the college instructors for the career counsell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social welfare. For the analysis, undergraduate students of three universities in Jeonbuk area were surveyed. These respondents were the third and fourth grade majoring social welfare. 106 respondents were analyzed. Major satisfaction was measured with three dimensions such as ‘curriculum satisfaction’, ‘career direction satisfaction’, and ‘social perception satisfaction’. One of the major findings was that the mean of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score appeared to be 3.19 out of 5.0 point maximum scale, which means a little higher level than mid-point. Major satisfaction score appeared to be 3.16 out of 5.0 point maximum scale. The means of three dimensions of major satisfactions showed that social perception satisfaction was 3.74, curriculum satisfaction was 2.83, and career satisfaction was 2.91. The means of curriculum satisfaction and career satisfaction were higher than the mean of social perception satisfaction. The instructors of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need to try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and give the job information related with social welfare. The multi-liner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social perception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Specifically, the more students perceived the good image of social welfare, the popularity of social welfare and the benefit of social welfare in social activities, the more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was increased.

      • KCI등재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사회복지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정진희(Jin-Hee Jeong),원미순(Mi-Soon Won),이수진(Soo-Ji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7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사회복지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상담 및 진로지도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서 5개 대학의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 502명을 대상으로 사회복지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였으며 자료처리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수준은 보통보다 약간 낮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사회복지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과는 별다른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진로준비행동과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복지 자기효능감의 세 하위변인중 클라이언트 지지 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과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 자기효능감은 행동적인 측면인 진로준비행동과 관계가 깊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tribute to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guidance for universities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by examining how the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students a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 self-efficacy and the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respondents. For this study, the social work self-efficacy, the levels of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preparation-related behavior of 502 students of social welfare in five universities were measured. The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collected data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levels of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preparation-related behavior were slightly lower than mid-point on 5 point scale respectively. Secondly, social work self-efficacy was not correlated to their career decision levels while social work self-efficacy positively affected to the career-related behavioral levels. In particular, the client support self-efficacy of the three sub-factors in social work efficac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level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nsequently, social work self-efficacy of the participants intensively was correlated with their career preparation-related behavioral levels.

      • KCI등재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수준이 사회복지학 전공생의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강종수(Jong-Soo K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2

        이 연구는 사회복지학 전공생을 대상으로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수준이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된 것으로, 강원도 소재 4개 대학의 사회복지학과 재학생 351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직업가치관은 내재적 가치관과 외재적 가치관으로 측정하였고, 진로결정수준은 진로결정수준검사(CDS)를 사용하였으며, 전공몰입은 몰입상태척도(FS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사회복지학 전공생의 직업가치관은 내재적 가치관은 4.05로 외재적 가치관 3.34 보다 높았으며, 진로결정수준은 3.43, 전공몰입은 3.54로 중간값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외재적 가치관은 진로결정수준(r=-.55, p<.001)과 전공몰입(r=-.51***)에 부(-)적 상관관계를, 반면에 내재적 가치관은 진로결정수준(r=.47***)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수준이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종합모형에서 직업가치관의 외재적 가치관은 전공몰입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β-.34, p<.001), 반면에 내재적 가치관(β=.31, p<.001)과 진로결정수준(β=.18, p<.001)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가치관, 진로결정수준 및 전공몰입에 관한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work values and the career decision level on the major commitment of th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For this purpose, a survey of 351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at 4 universities located in Kangwon-do was condu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e work values consisted of intrinsic values and extrinsic values. The career decision level was measured by the career decision scale (CDS) and the major commitment was measured by the flow state scale (FS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decision level (3.43) and major commitment (3.58) of th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were slightly higher than the mid-point on the 5 point Likert scale. In addition, the intrinsic work value (4.05) were higher than the extrinsic work value (3.34). Second, the intrinsic work values and career decision level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major commitment. Third, the extrinsic work valu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major commitment (β-.34, p<.001); however, the intrinsic work value (β=.31, p<.001) and career decision level (β=.18, p<.001) had a positive effects on the major commitment. This paper also discuss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work values, career decision level, and major commitment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 KCI등재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기초한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구조모형 검증

        유영주,박지선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전공 특성에 부합한 적절한 진로지원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Lent 등(1994)의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기초하여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 조사대상은 사회복지 현장실습을 경험한 3개 대학의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 132명으로, 인지적 요인(결과기대), 흥미요인(전공선택만족), 목표요인(진로결정수준), 수행요인(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SPSS 24.0과 AMOS 24.0를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CFI=.904, TLI=.887, RMSEA=.068로 통계학적으로 적합한 수준을 보였다. 둘째, 주요변수 간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결과기대가 높을수록 전공선택만족이 높아지고, 이는 진로결정수준을 증가시켜 진로준비행동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향상을 위해서 학생 개인의 인지적 요인 및 흥미요인 등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지원 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fo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social welfare major students based on Lent et al. (1994)’s Social-cognitive Career Theory so as to provide essential baseline data for establishing proper career support strategies that suit the distinctive nature of social welfare stud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132 social welfare major students from three colleges who have completed social welfare field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actor (outcome expectation), vocational interest factor (major selection satisfaction), goal factor (career decision level), and work performance facto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analysis, SPSS 24.0 and AMOS 24.0 were us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del’s goodness of fit was found to be at a statistically ideal level with CFI=.904, TLI=.887, and RMSEA=.068.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imary variables is as follows: as outcome expectation increased, major selection satisfaction grew, which then increased the career decision level and led to the improvement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s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 customized route support program considering the perceived and interesting factors of individual students to improve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social welfare majors.

      • KCI등재

        중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관한 연구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학교 중심으로

        김명숙(Kim, Myung-Sook),최인덕(Choi, In-duk)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21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 No.39

        본 연구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성격특성, 사회적 지지, 직업 가치관이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에 위치한 중학생 311명은 설문조사를 진로전담교사, 전문상담교사, 교육복지사 7명은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 프로그램과 질적연구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중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성격특성 중 개방성, 외향성, 신경증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중 부모 지지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진로 관련 담당자들이 생각하는 중학생의 진로결정수준 영향 요인은 개인적 특성과 성향을 고려한 진로지도, 사회적 지지원의 탐색과 영향, 가치관 명료화 및 직업 가치관 탐색의 중요성, 진로지도 프로그램 변화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와 심층면담 통합연구를 통해 자유학년제 확대 운영으로 중학교 학생들의 진로탐색 기회를 높이고 있는 시점에서 진로지도의 방향성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찾을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how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and job values affect career decision levels for middle school students who operat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s. This study carried out the survey with 311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Chungcheongnam-do Province and also in-depth interviews of career teachers, professional counselors, and seven education welfare workers. The data analysis was done throug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and qualitative data analysis. The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factors affecting middle school students’ level of decision-making for their career were openness, extroversion, and neuroticism among personality traits, and parental support among social support. Affecting factors that career counsellors chose were career guidance considering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exploration and influence of social support, the importance of clarifying values and exploring career values, and career guidance program changes. Through survey and research integrating in-depth interview, this study found important implications to identify the direction of more specific career guidance methods during the time when the schools are trying to increase the middle school student’s chances of exploring their careers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free school year system.

      • KCI등재

        사회복지전공생들의 전공 선택 동기, 전공 만족, 임금 눈높이가 사회복지 진로 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원도 원주 지역 대학생을 중심으

        한상범,이충연,손은아,신지연,이예지,이태희,조수민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22 한국사회복지교육 Vol.59 No.-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생들을 대상으로 전공 선택 동기, 전공 만족 수준, 희망 임금과 실제 사회복지사가 받을 것으로 예상하는 임금과의 차이가 진로 결정 수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강원도 원주 지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사회복지전공생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전공생들은 적성과 흥미 등을 고려하여 스스로 결정한 정도를 의미하는 내재 요인에 의해 전공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았으며 장⋅단기 외재 동기수준은 낮아 전공을 선택함에 있어 외부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전공만족 수준은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나 상대적으로 학과에 대한 사회적 평판에 대해서는 높지 않게 인식하고 있었다. 사회복지전공생들은 본인들의 희망 초봉에 비해 다양한 분야의 사회복지사 초봉이 월평균 40만원 가량 낮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전공 선택 동기, 전공 만족, 임금 눈높이가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내재 요인에 의해서 전공을 선택할수록, 전공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진로 결정 수준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반면, 자신이 희망하는 임금과 사회복지사 임금 수준에 대한 인식 수준의 간극이 크면 클수록 진로 결정 수준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기반으로 사회복지교육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의 내·외적 진로장벽과 사회복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배영자(Bae, Young-Ja),심성지(Shim, Seong-Jie)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社會科學硏究 Vol.29 No.4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이 지각한 내?외적 진로장벽이 사회복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이 과정에서 진로포부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의 4년제 대학 6곳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 4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Baron &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이 지각한 내적 진로장벽은 사회복지 진로결정수준에 직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진로포부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이 지각한 외적 진로장벽은 사회복지 진로결정수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진로포부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이 사회복지분야로의 진로결정을 보다 확고하게 유지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실천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s of internal and external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on social welfare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aspirations in this process. To attain the goal, a survey was conducted to 478 undergraduates majoring in Social Welfare at six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are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3-step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by Baron & Kenny (1986) by using SPSS 12.0.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nternal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affect social welfare career decision level directly negatively, and at the same time, they exert indirect effects as well with career aspirations as mediation. And external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did not affect social welfare career decision level directly; however, they showed indirect, negative effects with career aspirations as mediation. Based on the study findings, a practical implication was presented that could help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maintain and develop social welfare career decisions more firmly.

      • KCI등재

        사회복지전공 전문대학생의 전공만족이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민아(Jung, Min Ah),김희성(Kim, Heesung),김은혜(Kim, Eun Hye)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7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5 No.-

        본 연구의 목적은 2년제 전문대학 사회복지 전공생이 인지하는 전공만족이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 과정에서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지역 2년제 전문대학 3곳의 사회복지 전공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으며, 최종적으로 236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각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모형을 통해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전공만족의 영향에서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 과, 2년제 전문대학 사회복지 전공생의 전공만족은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그리고 전문직 정체성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발달의 행동적 측면인 진로준비행동이 사회복지 전공생의 전공만족과 전문직 정체성 간의 관계를 매개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2년제 전문대학에서의 진로준비를 통해 사회복지 전공생의 사회복지 전문직 정체성을 개발함으로써 실천역량을 갖춘 사회복지사를 양성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major and professional identity of college social welfare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survey was conducted to social welfare students at three college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a total of 236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analyzed for Pearson’s correlation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results identified that students’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major had a direct effect on profess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major and professional identity was mediated b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eaturing behavioral aspects of the social welfare career develop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re suggested for the improvement of social welfare education at college to facilitate the social welfare professional identity of students leading to the competent social workers in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