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SNS 활동이 집단지성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의식을 매개로

        이화영,조남억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5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youths’ social media activities on collective intellige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 sense of community on their relationship.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on 305 valid questionnaires. There were several key findings that resulted. First, the amount of youths’ social media use and the reason for use, sense of community, and collective intellige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Second, the amount of youths’ social media use and the reason for use positively influenced collective intelligence. Additionally, a sense of commun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social media use and collective intellig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son for using social media and collective intelligence. Third,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effect on collective intelligence was the reason for using social media, and in particular, the subfactor of seeking inform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social media has become a daily activity for youths to briefly and frequently access and obtain the information they need; they experience a strong emotional connection when interacting with a large number of members through the use of social media; and clear goals and a high level of a sense of community likely lead to a manifest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In particular, youths who use social media when seeking information are likely to generate collective intelligence and be better able to utilize it. The study has particular merit in that it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a sense of community in explaining collective intelligence. In addition, collective intelligence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value of social capital formation ahead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collective intelligence through the sense of community is expected to emerge as an important factor for enhancing the quantity and quality of social capital in the future. This will have major implications for ongoing development and research on various programs designed to enhance youths’ sense of community. 본 연구는 청소년의 SNS 활동이 집단지성에 미치는 영향과 청소년의 SNS 활동과 집단지성 간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과 경기 지역의 청소년 30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소년의 SNS 이용 강도와 이용 동기, 공동체의식, 집단지성은 모두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청소년의 SNS 이용 강도와 이용 동기는 집단지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NS 이용 강도와 집단지성, SNS 이용 동기와 집단지성 간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지성에 대하여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이용 동기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 동기의 하위요인 중에서도 정보추구 동기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청소년들에게 SNS는 짧은 시간, 수시로 접속하여 자신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는 일상적 행위가 되었으며, 그러한 이용행태로 다수의 구성원과 상호작용할 때 강한 감정적 연계를 느끼며 분명한 목적을 인식하고 높은 공동체의식을 갖춤으로써 집단지성 발현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정보를 목적으로 SNS를 이용하는 청소년이 집단지성을 생성하고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청소년의 SNS 활동과 집단지성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집단지성을 설명하는 데 있어 공동체의식의 중요성을 규명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뿐만 아니라 집단지성은 4차 산업혁명을 앞둔 시점에서 사회적 자본 형성의 중요한 가치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공동체의식을 통한 집단지성의 향상은 앞으로 사회적 자본의 양과 질을 높이는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청소년들의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과 연구를 위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호텔 종사원의 사회지능이 사회적 지원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철,황성혜 대한관광경영학회 2010 觀光硏究 Vol.24 No.6

        호텔 종사원은 외부적으로는 고객과 친밀한 관계, 내부적으로는 동료들과 협력적 관계에서 업무수행을 해야 한다. 이런 이유로 호텔기업은 사회적 능력이 우수한 종사원을 선호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호텔 종사원의 사회지능이 사회적 지원과 직무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 것이다. 개인의 사회적 능력을 나타내는 사회지능은 사회적 정보처리, 사회적 기술, 사회적 인지 등 세 가지 하위요소의 구성된 트롬소 사회지능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직무성과는 개인성과와 조직성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서울, 부산, 대구 지역에 소재하는 13개 호텔 종사원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방식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했으며, 회수한 353장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사회지능은 사회적 지원과 개인성과 및 조직성과에, 사회적 지원은 개인성과 및 조직성과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서 사회지능 수준이 높은 종사원일수록 직장 상사와 동료로부터 사회적 지원을 많이 받으며, 개인성과 및 조직성과의 수준도 높으며, 또한 사회적 지원을 많이 받는 종사원일수록 개인성과 및 조직성과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론적 시사점과 함께 호텔종사원의 사회지능을 활용한 인적자원관리의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how social intelligence-which is individual’s social ability ?affects job performance, how social intelligence affects social support, and finally how social support affects job performance. Social intelligence is measured with Tromso Social Intelligence Scale which is comprised of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social skill, and social awareness. Also, job performance is measured in two different measures: individual performance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which is non-individual performance. By using the convenient sampling method, the survey activities were conducted throughout 13 different hotels in Seoul, Daegu and Busan. Data from 353 hotel employees was collected through self-administrated,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intelligence affects both individual performance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Also social intelligence affects social support, and social support affects individual performance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Therefore, a hotel employee with higher social intelligence score has better job performance, and receives greater social support from his or her supervisors and colleagues. Furthermore, a hotel employee who gets many social supports has higher job performance.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 사법제도의 사회적 가치 실현체계의 법적 기초 연구

        박기주 사법발전재단 2022 사법 Vol.1 No.59

        Social and economic changes bas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re also affecting the conservative judicial system. Online-based legal services are being developed one after another, and legal expert system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re also developing. Our judiciary is also promoting a ‘smart court building project’ with the goal of 2024. The meaning of the move to introduce the resul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velopment into the judicial system is that it raises a fundamental question about the judicial system that determines the value of our society. We are witnessing a situation in which people's trust in the justice system has sharply declined after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manipulation of judicial affairs. The root cause of such low trust lies in overlooking the fact that the judicial structure is not simply a system formed by lawyers, but a complex system in which various values, facts, and norms of society interact. The ultimate end consumers of justice were the people, and the judicial system without their trust became a factor that raised questions about the fundamental role and meaning that determine the value of the society. The discussion of introduc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into the judicial system goes beyond the question of whether it is justified or feasible. It is based on a more fundamental sense of problem that seeks to innovate the distrusted current judicial system. The possibility that we may be more trustworthy of new technologies, especially the “judgment machine,” a mechanical algorithm without personal bias, may reflect the fundamental crisis of our judicial system. Artificial intelligence can give some degree of credibility to the judicial system, and a positive contribution is expected. However, the indiscriminate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without thinking about the fundamental structure and value of judicial decisions can undermine the ideological and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the judicial system itself. It is necessary to seek the direction of institutional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to promote the fairness of the judicial system without compromising the subjectivity of human judgment about norms, which is an essential area of ​​the judicial system. It is important to think about how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used in the process of trying to strengthen the subjectivity of norm judgment on legal and social values ​​by human beings themselves. Under such a premise, it will be possible to innovate the judicial system that realizes social value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n, the question is what role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represen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can play in the innovation of the judicial system. The standard of judicial judgment of ordinary people is influenced by uncertain information and public opinion. In order to overcome this, it is important for the general public to recognize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judicial judgment and to have the standard for correct judicial judgment. The general public should be able to clearly recognize the problem of structural uncertainty that appears throughout the judicial system and be able to overcome it through objective procedures.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to the judicial system should begin in the field that can technically remove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judicial system.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o provide more objective procedures and clarity in the recognition of facts and presentation of evidence. In order to innovate the more fundamental judicial system, social consensus on the social values ​​and moral orientation pursued by our society is necessary. Artificial intelligence is triggering institutional changes and development along with economic changes in our society. Although the magnitude and extent of the chan...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기반의 사회·경제 변화는 보수적인 사법제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온라인 기반의 법률서비스가 속속 개발되고 있으며 인공지능을 활용한 법률전문가 시스템도 발전하고 있는 중이다. 우리 사법부도 2024년을 목표로 ‘스마트 법원 구축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인공지능 발전의 결과를 사법체계에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주는 의미는 우리 사회의 가치를 결정하는 사법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기 때문이다. 우리는 박근혜 정부의 사법농단 사건을 거치면서 사법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급격히 저하된 상황을 목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신뢰 저하의 근본적인 원인은 단순히 사법 구조가 법률가들에 의해 형성된 체계가 아닌 사회의 다양한 가치와 사실과 규범이 상호작용하는 복합적인 시스템이라는 사실을 간과한데 있다. 사법의 궁극적인 최종 소비자는 국민이었고 그들의 신뢰가 없는 사법체계는 그 사회의 가치를 결정하는 근본적인 역할과 의미에 대한 의문을 제공하는 요인이 된 것이다. 인공지능 시스템을 사법체계에 도입하려는 논의는 그것이 정당한가 혹은 실현가능한가의 문제를 넘어서 지금의 사법체계에 대한 불신과 이를 혁신하려는 보다 근본적인 문제의식에 기초하고 있다. 새로운 기술 특히 인격적 편견이 없는 기계적 알고리즘인 ‘판결기계’를 더 신뢰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우리 사법체계의 근본적 위기를 반영한 것일지도 모른다. 인공지능은 사법체계에 일정 부분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긍정적 기여도 기대된다. 하지만 사법판단의 근본적인 구조와 가치에 대한 고민 없이 무분별한 인공지능 시스템의 도입은 사법제도 자체의 이념적·철학적 토대를 무너뜨릴 수 있다. 사법의 본질적인 영역인 인간의 규범판단의 주체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사법의 공정성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제도적·기술적 발전의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인간 스스로 법적·사회적 가치에 대한 규범판단의 주체성을 강화하려는 노력의 과정에서 인공지능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가의 문제를 고민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한 전제 위에서 인공지능 발전을 기초로 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사법체계의 혁신이 가능할 것이다. 그렇다면 인공지능으로 대표되는 과학기술의 발전은 사법체계의 혁신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가 문제 된다. 일반인들의 사법판단의 기준은 불확실한 정보와 여론에 영향을 받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일반인들이 사법판단의 구조적 한계를 인식하고 올바른 사법판단의 기준을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법체계 전반에 나타나는 구조적 불확실성의 문제에 대해 일반인들이 확실히 인식할 수 있고 이를 객관적인 절차로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사법제도에 인공지능의 도입은 사법제도의 구조적 한계를 기술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분야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특히 사실인정과 증거제시에 있어서 보다 객관적인 절차와 명확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보다 근원적인 사법체계의 혁신을 위해서는 우리 사회가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와 도덕적 지향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인공지능은 우리 사회의 경제적 변화와 함께 제도적 변화와 발전도 촉발하고 있다. 그 변화의 크기와 범위를 예상할 수는 없지만 지금과는 다른 근본적인 변화가 예측된다. 이러한 변화의 파고 속에서 우리가 지켜야 할 궁...

      • Correlation between Nursing Students’ Social Indirect Trauma, Coping Ability,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COVID-19

        YoungShin Lee 한국성인간호학회 2021 성인간호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8

        Aim(s): COVID-19 is a highly contagious disease that causes fear of infection even if it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hus acting as an indirect trauma to some exten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o confirm the degree of social indirect trauma of nursing students due to COVID-19 an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coping ability,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Method(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related variables were measured for nursing students 136 at one university in Chungcheongbuk-do. Using the SPSS-21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correlations were analyzed. Result(s): The average subjective physical health status of all participants was 2.93±.69(min. 1, max. 4 points), and the average subjective mental health statue was 3.12±.73 (min. 1, max. 4 points). The average indirect trauma score was 2.26±.75, the average coping ability was 1.88±.32, the average social support score was 3.17±.53, and the average emotional intelligence score was 5.02±.84. Female students had higher indirect trauma scores than male students (2.33±.68 female students, 1.52±1.00 male students, t=3.88, p</001). The better the subjective physical health, the lower the indirect trauma score and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score. The better the subjective mental health status,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score and emotional intelligence score. Indirect trauma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physical health (r=-.18, p=.03)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intelligence (r=.18, p=.04). Coping ab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r=.44, p<.001),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positive correlation (r=.45, p<.001). Social support was related to coping 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r=.52, p<.001), subjective physical health status (r=.23, p=.01), and subjective mental health status (r=.19, p=.03) was a positive correlation. Conclusion(s): The better the subjective physical health, the lower the indirect trauma caused by COVID-19.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direct trauma, suggesting that high emotional intelligence contributes to sensitively responding to social indirect trauma.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effect of awareness of physical health on emotional ability.

      • KCI등재

        애착유형에 따른 영유아의 정서지능 및 사회 지능 간의 구조분석

        심숙영 ( Young Sook Sh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3 아동교육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애착유형을 안정애착과 불안정 애착으로 분류하여 정서지능과 사회지능의 관련성을 조사하고, 애착유형과 사회지능 간의 정서지능의 매개역할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안정애착을 보일수록 정서지능이 높았고, 이는 사회지능의 사회지식, 사회표현성, 사회유연성이 높아지는 결과로 이어진 반면, 불안정애착을 보일수록 전서지능이 낮았도, 이는 사회지능의 사회지식, 사회표현성, 사회유연성이 낮아지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지능이 안정애착과 사회지능, 불안정애착과 사회지능 사이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정서지능은 사회지능과 직접적인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사회지능의 사회지식, 사회표현성, 사회유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애착유형, 정서지능과 사회지능 간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애착유형과 사회지능 간의 전서지능 매개효과를 경험적으로 입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intelligence, and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them. Two hundred and eighteen young children of 12-38 months in child care cent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young children of secure attachment were more likely to show better the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in turn promoted social intelligence. Whereas the young children of insecure attachment were more likely to less the emotional and social intelligence. Also the links between attachment and social intelligence were fully mediated by emotional intellig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ecure attachment relationship to parents foster social intelligence by promoting high levels of emotional intelligence.

      • KCI등재

        듀이의 “사회적 지성” 개념의 교육적 함의

        홍남기 ( Nam Ki Ho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3 교육철학연구 Vol.35 No.1

        현대 교육학 이론에서는 지적인 능력을 각 개인이 개별적으로 형성, 소유한 것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에 듀이에 의하면 지성은 각 개인에게 귀속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주관적으로 형성, 공유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지성이 활성화될 때 각 개인이 지적, 도덕적으로 성장하게 된다. 듀이가 말하는 ‘사회적 지성’은 집단적 의사소통을 통해 상호주관적으로 공유되는 지성이라는 점에서 볼 때, 최근에 회자되는 집단 지성과 유사하다. 하지만 민주적 공동체라는 맥락에서 사회적 지성은 도구적 합리성에 머무르지 않고 의사소통적 합리성을 지향하는 집단 지성이 된다. 이는 교육적 차원에서 각 개인의 지성을 고립시켜 경쟁하는 교육 목표가 아닌 공동의 지성을 협동적으로 구성하면서 상호 간의 이해를 추구하는 교육 목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듀이는 사회적 지성을 증진하는 방안으로서 공감적 의사소통의 활성화와 공적인 관심사에 대한 반성적 탐구의 강화를 제시한다. 이는 교육적 차원에서 논증적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공감적 의사소통을 활성화해 보다 확장적이고 창의적인 사회적 지성을 형성하는 방안으로, 그리고 공적인 관심사에 대한 즉각적이고 지속적이며 체계적인 탐구를 강화해 학습자가 공동의 이해관심을 매개로 성장하게 하는 방안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Modern education theories often describe intellectual faculty as the one that each individual has formed and possessed for himself. But John Dewey argued that intelligence does not belong to each individual but has been formed and shared inter-subjectively. And individuals can attain to intellectual and moral growth as far as this intelligence is activated. Dewey`s ``social intelligence`` is similar to the concept of collective intelligence which is popular recently in that social intelligence is shared inter-subjectively through collective communication. But Dewey`s intelligence is accompanied by communicative rationality as well as instrumental rationality. In pedagogical dimension, social intelligence is embodied in educational objectives which reconstruct common intelligence cooperatively, not objectives which make each person`s intelligence isolated and competed each other. Moreover, according to Dewey the activation of empathetic communication and the reinforcement of reflective inquiry into public interests are the best ways which improve social intelligence. In pedagogical dimension, this argument can be embodied into the practice which activates empathetic communication as well as argumentative communication to form more expansive and creative social intelligence, and the practice which intensifies the immediate, continuous, systematic inquiry into public interests in order that learners should grow intellectually, morally by the medium of common interests.

      • KCI등재후보

        가족건강성이 유아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부모역할지능의 매개효과

        강보미,김경철 한국 영유아 교육·보육학회 2023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6 No.1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health on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social emotions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parent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health and early childhood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 to November 30, 2021, on 228 mothers with children aged 3 to 5 attend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Gangwon and Jeollanam-do using family health, parental intelligence, and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measures. The collected questionnaire data wer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α,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the SPSS WIN 22.0 program and the AMO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mily health, parental intelligence, and early childhood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showed high levels based on averag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y health and parental intelligence, family health and infant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and parental intelligence and infant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respectively. Third, in the effect of family health on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social emotions, mother-parental intelligence was found to be a completely mediating variable.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parental education and parental counseling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 healthy family in the development of social emotions in children and to improve family health and mother’s parental intelligence,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ocial emotions. 본 연구는 가족건강성이 유아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부모역할지능의 매개효과 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지역과 전남지역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28명을 대상으로 가족건강성, 어머니부모역할지능, 유아사회정서발달 척도를 사용하여 2021년 11월 1일∼11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 된 설문자료는 SPSS WIN 22.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건강성과 어머니부모역할지능, 유아사회정서발달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과 어머니부모역할지능, 가족건강성과 유아사회정서발달, 어머니부모역할지능과 유아사회정서발달 간에는 각각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건강성이 유아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부모역할지능은 완전 매개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사회정서발달에 있어서 건강한 가족의 중요성과 함께 어머니부모역할지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가족건강성과 어머니부모역할지능의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및 부모상담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일반논문 : SNS 사회적 텍스트와 집단지성 간의 상관성 연구 ­트위터를 중심으로-

        이봉일 ( Bong Il Lee ),김혜민 ( Hye Min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7 No.-

        본 연구에서는 SNS의 활용이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텍스트를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대표적 소셜 미디어인 트위터 현상에 초점을 맞추어 오늘날 현대사회에서 펼쳐지고 있는 소셜미디어와 집단지성의 상관성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SNS가 새로운 시대의 핵심적 사회적 의사소통 도구로 쓰인다는 점에서, 필자는 텍스트 생산자의 의도에 따라 텍스트 기능을 분류해 보고 또 그 기능 속에 내재된 진짜 의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SNS 사회적 텍스트 속에 내재된 숨겨진 의도의 변모양상이 트위터와 팔로워 간 사회적 관계 속에서 잘 드러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텍스트 생산자들은 트위터라는 SNS 사회적 텍스트를 통해 주로 어떤 목적으로 발화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텍스트 언어학에 기초하고 있는 브링커의 텍스트 유형에 주목하여 사례들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하여 트위터라는 SNS 사회적 텍스트에 담긴 단어와 문장의 수사적 표현 속에 담긴 2차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었고, 그것은 새로운 맥락 속에 놓일 때 원래의 의미와는 다소 동떨어진 차이를 보여준다는 사실 또한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SNS 사회적 텍스트의 수사적 표현 속에 내포된 트위터와 트위터, 트위터와 팔로워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SNS가 사회적 관계의 확장을 이끌어내어 결속적 사회자본을 확장시키고 있다. 그 관계 속에는 개방과 공유, 그리고 협업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집단지성이 활성화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사실은 SNS 상에서 창출할 수 있는 사회적 효과가 매우 크다는 것과 개방과 공유, 그리고 협업속에서 전문적 또는 비전문적인 집단지성의 발판이 마련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우리의 삶과 밀접한 기술현상, 우리의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미디어 현상들이 함의하고 있는 언어학적, 사회학적, 더 나아가 철학적 차원의 다양한 성격들을 분석하고 심층적으로 밝혀내는 작업은 그 시대적 의의를 충분히 확보한 의미있는 일이다. This paper aims to have an empirical analysis on how application of SNS social text has effect on social relation, focusing on twitter phenomenon which is typical social media, and time role of social correlations about collective intelligence. In the fact that SNS social text has been used as a essential tool of social communication in a new era, I classify text function according to intention of the producer`s intention of SNS social text and analyse the real intention implied in the text function. The result is that we can know that the aspect of transformation hidden intention implicit in SNS social text can be revealed in social relation between twitter and follower. I pay attention to Brinker text patterns based on text linguistics in order to examine for what purpose does text producer has speech through SNS social text. I can figure out the second meaning in rhetorical figures of words and sentences contained in twitter of SNS social text. When it is placed in a new context, a new meaning that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meaning can be created. In social relationship between twitter and twitter, twitter and follower implied in rhetorical figures of SNS social text, a new collective intelligence such as openness, sharing and common cooperation becomes activated. SNS social text helps expand bonding social capital that can extend social relation. It is inferred that social effect creating from SNS is great and that professional or amateurish collective intelligence establishes a foothold in process of openness, sharing and common cooperation. It is important task of recognizing core project of the era to analyse and study in depth phenomenological characteristics of linguistic, societal and philosophical dimensions implicated in media that has a direct effect on our lives and livelihood.

      • KCI등재

        유아교사의 정신화와 사회지능의 관계에서 민감성의 매개효과

        김소연,채진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敎員敎育 Vol.38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mentalization, sensitivity, and socialintelligence and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sensitivity on influential relationships between theirmentalization and social intelligence. Method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175 homeroom teachers in charge of three-five-year-oldchildren at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Jeolla, Gyeongsang,and Gangwon provinces. Collected quantitative data was treated with the SPSS 25.0 version programto obtain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Mediating effects were testedwith Model 4 of the PROCESS macro for SPSS version 3.4. Result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rded a medium levelor higher in mentalization, sensitivity, and social intelligence. They showed the highest level ofmentalization in its subelement, and secondly, sensitivity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impactsof their mentalization on their social intelligence. Conclusion: This would appear to indicate that the mentaliz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rectlyaffects the enhancement of social intelligence and indirectly affects through sensitivity. These resultssuggest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higher mentalization form higher social intelligence, andhigher mentalization affects sensitivity improvement, which can improve social intelligence. The presentstudy offered basic data about early childhood teachers' mentalization, sensitivity, and social intelligence,demonstrated close positive influential relationships among their mentalization, sensitivity, and socialintelligence, and showed that these variables could be improved by teachers' efforts, thus holdingsignificance. These findings could inspir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make efforts to increase theirmentalization, sensitivity, and social intelligence level and ultimately help young children make betteradjustments to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and develop into healthy children, contributingto the higher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정신화, 민감성 및 사회지능의 수준과 유아교사의 정신화가 사회지능에미치는 영향의 관계에서 유아교사의 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국내의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서 현재 만3,4,5세 담임으로 근무하고 있는 서울, 경기, 충청, 전라,경상, 강원 지역의 담임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양적자료는 SPSS 25.0 version을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변인들 간의 관계는 Pearson의 적률 상관관계분석으로알아보았다. The PROCESS macro for SPSS version 3.4의 Model 4를 통해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정신화와 민감성 및 사회지능의 수준은모두 중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정신화가 사회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민감성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정신화가 높은 유아교사일수록 높은 사회지능을 형성하며, 높은 정신화는 민감성향상에 영향을 주며, 이로 인해 사회지능이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정신화,민감성 및 사회지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유아교사의 정신화와 민감성 및 사회지능의 높은정적인 영향관계를 밝히고, 이 변인들이 교사의 노력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밝히는데 의의가 있다. 이는유아교사가 정신화와 민감성 사회지능을 보다 높은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유아가 기관에 보다 잘 적응하고 건강한 유아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 유아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John Dewey의 지성에 대한 개념분석과 교육적 논의

        박준영(Park, Zoon You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4 敎育思想硏究 Vol.15 No.-

        본 연구의 목적은 Dewey의 지성 개념을 명료화하여, 교육현장에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Dewey는 지성을 과학적 사고방법이라 하였다. 과학적 사고방법으로서의 지성은 반성적 사고과정의 특징을 지닌다. 또한 지성은 자연 과학을 탐구하는 방법이지만 사회문제에도 적용될 수 있다. Dewey는 이것을 사회적 지성이라 하였다. 이러한 Dewey의 지성 개념은 오늘날 우리의 교육현장에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첫째, 지성의 개념은 이성의 개념과는 달리 과학적 사고 방법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학습자는 자신의 지성을 계발시켜 삶의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계발시키도록 노력해야 한다. 둘째, 지성의 특성은 과학적 사고 방법에 기초한 반성적 사고과정이다. 교육자는 학습자에게 반성적 사고를 단계별로 실험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지성은 과학적 사고방법에서 출발하고, 반성적 사고과정의 특성을 지닐 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성의 특징을 지닌다. 따라서 교육자는 학습자가 건전한 사회에 입문할 수 있도록 사회적 환경의 축소화된 개념 구조를 제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et suggestion to the field of education by clarification of Dewey's concept of intelligence. Dewey said that intelligence is a scientific thinking method. The characteristic of intelligence as a scientific thinking method is a reflective thinking process. The intelligence is a searching method for the natural science though it could be applied even in social problem. Dewey called it a social intelligence. Such Dewey's concept of intelligence gives following suggestion to the current education field. First, concept of intelligence should be recognized as a scientific thinking method, unlike concept of reason. Therefore, a student must develop his own intelligence and endeavor to develop the ability to solve by oneself the problem confronting with process of life. Second, the characteristic of intelligence is a reflective thinking process that is founded on a scientific thinking method. So, the teacher must endeavor in order to provide an educational environment for student to test step by step the reflective thinking. Third, the intelligence start from the scientific thinking method, the quality of intelligence is a reflective thinking process and a social intelligence. Accordingly, the teacher must endeavor to provide the reduced concept structure of social environment to a student, who will be able to enter into the wholesome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