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시 재산세 공동과세제도의 자치구 재정건전성 개선효과 분석: 광역시 자치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최정우,이유현,배수호 한국지방자치학회 2012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4 No.3

        Since 2008, Seoul has been operating the property tax-sharing system in order to ease the financial gap among 25 administrative districts. This system has contributed to mitigating financial imbalance among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but it also has created revenue changes since property tax accounts for the largest portion of own revenue sources. These changes can affect administrative district's fiscal soundness. This study analyzes how the property tax-sharing system has affected fiscal soundness using a DID(difference in difference) method between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eoul and Six metropolitan cities. Here fiscal soundness is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hree aspects:(1) the ratio of operating expenses in total expenses, (2) the ratio of own project/business expenses in total expenses, and (3) the ratio of own general revenues in total general revenues. For the purpose of comparing with Seoul's administrative districts, three comparison groups are employed as follows: (1) 15 administrative districts in Busan (2nd largest city in Korea), (2) 44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ix metropolitan cities (excluding Seoul), and (3) 25 administrative districts selected among Since 2008, Seoul has been operating the property tax-sharing system in order to ease the financial gap among 25 administrative districts. This system has contributed to mitigating financial imbalance among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but it also has created revenue changes since property tax accounts for the largest portion of own revenue sources. These changes can affect administrative district's fiscal soundness. This study analyzes how the property tax-sharing system has affected fiscal soundness using a DID(difference in difference) method between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eoul and Six metropolitan cities. Here fiscal soundness is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hree aspects:(1) the ratio of operating expenses in total expenses, (2) the ratio of own project/business expenses in total expenses, and (3) the ratio of own general revenues in total general revenues. For the purpose of comparing with Seoul's administrative districts, three comparison groups are employed as follows: (1) 15 administrative districts in Busan (2nd largest city in Korea), (2) 44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ix metropolitan cities (excluding Seoul), and (3) 25 administrative districts selected among the 44 administrative districts using a quasi-experimental design. According to DID results, the property tax-sharing system did not make any contribution to either an increase in the ratio of own project/business expenses in total expenses or an increase in the ratio of own general revenues in total general revenues. However, the system has contributed to an increase in the ratio of operating expenses in total expenses. As a conclusion,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system has promoted available resources and financial flexibility in administrative district's finance. 2008년부터 서울시는 자치구간 재정격차 완화를 위하여 자치구의 가장 큰 세원인 재산세를 대상으로 공동과세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본 제도는 자치구의 재정불균형 완화에 기여한다는 정책효과를 지니지만, 자치구의 세입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재산세를 대상으로 하므로 각 자치구의 세입변화를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세입변화는 자치구 재정건전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산세 공동과세제도가 재정건전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DID(difference in difference)방법론을 활용하여 서울시와 타 광역시 자치구와 재정건전성 비교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재정건전성을 자체사업비율, 자체세입비율, 경상경비비율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며 각각의 지표에 대해 부산시 자치구, 서울시를 제외한 5개 광역시 44개 자치구, 마지막으로 준실험설계(quasi-experimental design)를 통해 서울시 자치구와 유사한 재정규모를 지닌 25개 자치구를 선별하여 비교분석을 각각 실시한다. 분석결과, 공동과세제도는 자체사업비율, 자체세입비율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지만 경상경비비율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산세 공동과세제도는 자치구 재정에 있어 가용자원의 증가와 재정의 탄력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재산세 공동과세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

        李咏桓,盧秀晩 한국의정연구회 2011 의정논총 Vol.6 No.2

        2007년 7월 20일 개정되고, 2008년 1월 1일 시행된 개정 「지방세법」상 재산세 공동과세제도는 기초자치단체들 간의 많은 이해관계의 충돌과 논란에도 불구하고 도입되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재산세 공동과세제도의 시행 전후를 비교하여 시행이전에 기대하였던 효과와 시행이후에 나타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고 있다. 재산세 공동과세제도는 서울시의 기초자치단체들 간 재정력의 격차를 완화하는 데는 일정한 기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기초자치단체의 자주재정권 및 평등권의 침해, 그리고 공동세를 배분방식 등에 있어서 몇 가지 문제점과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서울시가 재산세의 공동과세제도를 도입한 이후 기초자치단체들 간의 재정여건이 많이 변화하였다. 따라서 재산세 공동과세제도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공동세를 배분하는 비율을 재조정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현실적으로 기초자치단체의 자주재원을 확충하는 방법으로 지방소비세나 지방소득세를 광역자치단체뿐만 아니라 기초자치단체에도 배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한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들 간의 재정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동차세 같은 시세를 자치구세로 전환하거나 광역자치단체와 자치구들 간에 공동세화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Property tax sharing implanted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been undoubtedly contributed to reduce the fiscal capacity differences among the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However, it is undoubtedly true that Property tax sharing has brought many issues such as the violation of fiscal independence of local governments, the violation of equal rights, and the distribution method for revenue generated by property tax sharing. But, the new issues have appeared as it introduced property sharing tax. Also, the financial conditions between Seoul and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has been changed. As a result, it has become necessary to adjust the property tax between Seoul and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from the ratio of 50 to 50 to the ratio of 40 to 60 or 30 to 70. In addition to this, the current ratio of 80 to 20 for national tax and local tax needs to be changed. It’s not practical method to help local government by distributing the local allocation tax and subsidies. Therefore, the local consumption and income tax that is to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should be distributed not only to the wide-area autonomous government but also to the existing local government so that the local government could establish the fiscal independence. Alternatively, the city imposed tax such as the motor vehicle tax could be converted to the local government imposed tax or to tax sharing system in the ratio of 50% to 50% between Seoul and autonomous districts in order to reduce the fiscal imbalances.

      • KCI등재후보

        서초구 재산세율 인하 조례안 의결 무효확인 청구 사건(대법원 2020추5169)에 관한 소고

        김소희 한국지방세학회 2021 지방세논집 Vol.8 No.1

        Seocho-gu Council passed the ordinance bill that reduces the property tax rate on houses under Article 111 Paragraph 3 of the Local Tax Act by applying the so-called flexible tax rate system. The Mayor of Seoul ordered a request for reconsideration, saying that this ordinance bill violates tax legalism because the proposed ordinance bill is to create a new taxation standard section. This ordinance bill was promulgated as it was. Then, the Mayor of Seoul argued that this ordinance bill established a new taxation standard section rather than the 'tax rate', and deviated from the scope of the Local Tax Act. The argument eventually went to the Supreme Court. In principle, Local governments should have an independent financial regime, but because we take the tax legalism that the categories and rates of tax are stipulated by law, the taxation autonomy of local governments are formed and restricted by law. Although limited, the flexible tax rate system gives local governments a certain discre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of the flexible tax rate system, Article 111 Paragraph 3 of the Local Tax Act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respecting the taxation autonomy of local governments as much as possible. In this case, it would be difficult to regard the above ordinance bill as illegal becaus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it deviated from the scope mandated by the Local Tax Act. If the Supreme Court decides that above ordinance bill violates the tax legalism, because the tax standard section is newly established and it deviates from the scope delegated under Article 111 Paragraph 3 of the Local Tax Act, it is believed that the flexible tax rate system under Article 111 Paragraph 3 of the Local Tax Act will result in virtually no effect on the property tax on houses. The research on the justification of Article 9, Paragraph 3 of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Act and the activation of the flexible tax rate system will need to be conducted additionally. 서울특별시 서초구의회는 코로나-19사태가 장기화됨에 따라 국・내외 경제활동이 크게 위축되면서 당초 예상보다 민생・경제여건의 전반적인 어려움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재산세 급등으로 인한 조세부담을 경감하고자 지방세법 제111조 제3항에 따른 소위 탄력세율제를 적용하여 주택에 대한 세율을 경감하는 조례안을 통과시켰다. 서울특별시장은 본 조례안은 지방세법에 없는 ‘공시가격 9억원 이하’라는 과세표준 구간을 신설하는 것이어서 조세법률주의에 위반된다며 재의요구를 지시였으나 서초구정장은 의회에 재의를 요구하지 않았고, 2020.10.23. 위 조례안을 그대로 공포하였다. 그러자 서울특별시장은 위 조례안이 지방세법의 위임범위를 일탈하여 ‘세율’이 아닌 추가적인 재산세 감면 요건을 규정한 것으로 포괄위임 금지의 원칙 및 명확성의 원칙에 반하는 것으로 효력이 없다고 주장하며, 대법원에 조례안의결무효확인 청구와 함께 집행정지 신청을 하였고, 집행정지 신청이 인용되어 조례안의결무효확인 청구사건에 대한 본안판결이 있을 때까지 위 조례안 의결의 효력은 정지되었다. 지방자치단체는 원칙적으로 자주재정권을 가져야 할 것이지만 조세의 종목과 세율은 법률로 정해야 한다는 조세법률주의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의 자주재정권은 법률에 의하여 형성되고 제한을 받는다. 지방세 관련법에 없는 세목은 조례로 정할 수 없고 세율은 지방세 관련법에서 일정한 범위를 정하여 위임한 범위 안에서 조례로 정할 수 있다는 것이 현행 헌법의 해석과 판례이다. 제한적이나마 지방자치단체에 과세자주권의 내용으로서 세율결정권에 일정한 재량을 부여하고 있는 것이 탄력세율제도이다. 탄력세율제도의 취지를 고려할 때, 지방세법 제111조 제3항은 가급적 지방자치단체의 자율권을 존중하는 차원에서 해석되어야 한다. 이렇게 볼 경우 위 조례안은 지방세법에서 위임한 범위를 일탈하여 위법하다고 보기 어려울 것이다.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일정한 정책 목적에 따라 적용대상을 한정하여 지방세법 제111조 제3항의 세율조정권을 행사하였고 과세표준 구간이 신설되는 결과가 되었다고 해서 법률에서 정한 ‘과세표준’ 이라는, 세율을 적용하는 기준이 되는 금액 자체를 변경, 결정권을 행사한 것이라고 볼 수는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서초구 재산세율 인하 조례안이 적용대상을 한정한 결과 과세표준 구간을 신설하게 되고, 이 경우 지방세법 제111조 제3항의 위임범위를 일탈하는 것이라는 이유로 위법하다고 할 경우, 과세자주권으로서의 지방세법 제111조 제3항의 탄력세율제도는 주택분 재산세에 대하여는 사실상 효용을 상실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주택 재산세 탄력세율제도의 활용을 제약하는 종합부동산세법 제9조 제3항의 타당성 및 과세자주권의 관점에서 탄력세율제도의 활용이 제고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 토지이용이 지방세입에 미치는 영향 : 서울특별시 조정교부금 제도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Jung, Chang-Mu,Kim, Kwang Woo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2000 도시과학논총 Vol.26 No.1

        The underlying theme of this article is an exploration of the linkages between tax and land use policies at the local level. The local fiscal impact of zoning regulations and land us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s assessed by first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then investigating the statistical relationship between nonresidential development and local tax bas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s that office development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iscal benefits while commercial development is inversely related to tax revenue. Based on empirical findings, a tax-base sharing system is introduced. Under the system, each municipality must contribute to a regional fund of tax revenus from its commercial tax base. This money then will be redistribut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amount of nonresidential for taxbase competition. It also creates greater equity in the ability to fund local services. It is a way of addressing the fact that different municipalities have unequal amounts of taxble property and therefore differ in their ability to raise revenue. Tax-base sharing has the potential to reduce competition berween communities, while enabling them to offset of the negative effects of urban sprawl.

      • KCI등재

        서울시 자치구간 재산세 공동세 제도 추진방안 분석과 대안 모색방안

        최병호(崔炳虎),정종필(鄭鍾弼) 한국지방정부학회 2007 지방정부연구 Vol.11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최근 서울시 자치구간 재정격차 완화를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재산세 공동세 제도에 대하여 그 도입에 따른 재정적 영향, 기대효과 및 문제점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해보는 것이다. 특히 지방재정이론과 실증분석에 근거하여 문제에 접근함으로써 현재 제시된 방안에 대한 합리적인 대안을 제안한다.<BR>  공동세제도의 도입에 앞서 자치구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재산세를 공동세로 둠으로써 자치구의 재정적 자율권을 포기할 것인가에 관한 판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현재 제안된 방안에 의하면 공동세를 별도로 두더라도 최종적인 재원배분은 조정교부금제도와 연계되어 결정된다는 점, 재산세를 이용한 재분배 및 공동세 편입비율의 근거가 명확하지 못하다는 점, 그리고 재정격차 완화에 관한 실익이 예상보다 훨씬 적다는 점 등 다양한 문제가 지적될 수 있다. 따라서 재정격차 완화의 필요성이 인정되어 공동세를 도입하더라도 조정교부금제도와 분리한 별도재원으로 유지할 근거가 없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ongoing debate on the introduction of the new shared-tax system among the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We investigate the rationale for the new system under fiscal decentralization and its redistributive effects.<BR>  Given that the tax autonomy of the autonomous districts is extremely restricted, their fiscal autonomy will be given up by the introduction of the new share tax system. It is also shown that the new system has many problems with respect to its fiscal source, distribution method, and equalization effect. Most importantly, the redistribution of fiscal revenues among the autonomous districts under the shared-tax system is closely linked with the existing fiscal equalization grant named the autonomous district control grant. Therefore, there is no rational to operate two different fiscal equalization grant systems with the same objective. Even if it is required to introduce the share-tax system because of political reasons.

      • KCI등재

        서울시 재산세 공동과세제도가 자치구의 재정건전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최정우 ( Jung Woo Choi ),김나래 ( Na-Rae Kim ),배수호 ( Su Ho Bae ) 한국정책학회 2012 韓國政策學會報 Vol.21 No.2

        본 연구는 2008년에 도입된 서울시 재산세 공동과세제도가 자치구의 재정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25개 서울시 자치구를 대상으로 구축된 2005년부터 2010년까지 6년치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재정건전성을 경상경비 비율, 자본지출비, 자체사업비율, 자체세입비율 등 네 가지 측면에서 분석한다. 분석방법으로 집단 간 비교분석과 회귀분석을 활용한다. 서울시 25개 자치구 전체를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에 따르면, 공동과세제도의 도입이 경상경비비율의 감소, 자본지출비의 증가, 자체사업비율의 증가를 가져왔고 이는 결과적으로 공동과세제도를 통해 재정건전성이 개선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재산세가 감소하지 않은 자치구를 비롯하여 재산세가 감소한 자치구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공동과세제도의 도입이 일부 자치구의 재산세를 감소시키기는 하지만, 재정건전성의 악화로까지 이어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동과세제도는 자치구의 전반적인 재정건전성을 개선하는데 일부 기여를 하고 있으며 재정보전 금이 존재할 경우에는 재산세가 감소하는 자치구에 있어서도 재정악화를 야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공동과세제도로 발생하는 자치구 간 갈등의 해결, 공동과세제도의 원활한 운영, 타 지역에서의 도입 논의에 있어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that the Property Tax-Sharing System, established in 2008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had on administrative district's financial condition. In particular, financial condition in administrative district is measured by the following variables: (1) the ratio of operating expenses in total expenses, (2) capital expenses, (3) the ratio of own project/business expenses in total expenses, and (4) the ratio of own general revenues in total general revenues. To do that, the paper uses cross-sectional time-series data over the 6 years from 2005 to 2010 in 12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eoul, and employs two research methods, i.e., ANOVA (analysis of variance) and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empirical results, financial condition in administrative districts has been generally improved since the system was established in 2008. In details, it has contributed to a decrease in the ratio of operating expenses, an increase in capital expenses, and an increase in the ratio of own general revenues. But it should be careful to draw any conclusion on the system's long-term effects on financial condition in administrative districts, because it have been operating in a short period of time.

      • KCI등재

        중국 지방정부의 재산관련 지방세 제도 고찰과 개선방안

        민기,호륙평,임용연 대한정치학회 2022 大韓政治學會報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지방정부의 재산관련 지방세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중국은 1994년 분세제 개혁이후 지방정부는 재정수입 부족현상에 직면하게 된다. 중앙정부는 지방정부에 대한 재정지원 없이 의무적 사무를 지방정부로 떠넘김으로서 그 결과 지방정부는 재정압박과 막대한 채무에 직면하게 된다. 이처럼 지방정부의 재정지출 부담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지방정부는 세목의 신설이나 차입의 법적 권한이 없고, 지방공공재정에서 재산관련 지방세의 비중도 매우 낮아 재정압박에 직면하고 있다. 지방세입으로 충당하지 못한 재정지출의 수요를 조달하기 위해 많은 지방정부는 비정상적인 예산 외 수입원인 토지 사용권 양도금에 재정의존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정상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의 재산관련 지방세목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거래과세 재산세 중심에서 보유과세 재산세 중심으로 지방세를 전환할 것, 재산관련 과세물건에 대한 과세표준 산정의 선진화 필요와 지방세의 지방공공서비스에 대한 조세가격 기능을 강화하여야 한다는 점을 본 연구는 개선방안으로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the improvement measures of property related local taxes in Chinese local governments. Since China introduced the current system of taxation known a tax sharing system, the local governments have been facing revenue shortages. As a result, many local governments have experienced fiscal stress and incurred large local debt in recent years because numerous unfunded central mandates and the large fiscal gap between expenditure responsibilities and revenues capacity. In spite of fiscal stress in local governments, China’s local governments have not been granted any legal authority for taxing or borrowing and the property tax plays a very limited role in the local public finance structure. Many local governments turn to off-budgetary revenue sources, fees for leasing land use rights. We study examines the current property related local taxes in order to the fiscal stresses that local governments are facing. This study suggests three measures. First, the current property tax structure focuses more tax burden at the possession stage than the transaction stage. Second, the local governments should develop an advanced assessed value system of the property related taxations objects. Last, the relations between local tax and a price for local public goods must be strengthened.

      • KCI등재

        서울시 재산세공동과세제도 운용 개선방안 연구 -조정교부금제도 개편과 합리적 연계를 중심으로-

        유태현 ( Tae Hyun Yoo ),한재명 ( Jae Myung Han ) 한국재정정책학회 2014 財政政策論集 Vol.16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ctual states of the Property Tax Sharing and the Adjustment Grants Systems among the several measures which are implemented to reduce the financial gaps among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and to suggest an effective alternative to improve the system of Property Tax Sharing by tying up with the Adjustment Grant System which was recently reform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wo alternatives, which could strengthen the effect of the system of Property Tax Sharing, are able to be suggested. One is to switch the allocation method from Equal to Differential Allocation under still maintaining the sharing ratio of the property tax for City Government, and the other is to adjust the sharing ratio of the property tax for City Government at the modest level, i.e., from 50% to 55%. It is anticipated that the proposal can help narrow down financial gaps among 25 autonomous districts and deliver social services to every citizen with no discrimination due to geographical residences in Seoul.

      • KCI등재

        재산세공동과세제도의 수평적 재정형평성 효과에 관한 연구 : 공급비용과 배분방식을 중심으로

        최정열 ( Jeong Yeol Choi ),금현섭 ( Hyun Sub Kum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地方行政硏究 Vol.26 No.4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n the horizontal fiscal equity of the shared property tax system(revenue sharing) initiated by Seoul Municipal Government since 2008 with respect to two distinguished points; first, it compares the equal allocation method of the shared property tax revenue in progress with other allocation methods(the financial power index, the population size index, and mixed index), second, it takes into account the service supply cost differentials among 25 autonomous districts. Analysis shows that 1) the shared property tax system in Seoul has contributed to the decrease in horizontal fiscal disparity but the effect size is a pretty modest rather than significant, and 2) a allocation method by the financial power seems better than the current equal allocation method.

      • KCI등재

        재정분권에 대한 이해와 오해 - 지방소비세 제도와 재산세공동과세 제도를 중심으로 -

        김태영 한국지방행정학회 2019 한국지방행정학보 (KLAR) Vol.16 No.3

        The paper attempts to clarify the concept of fiscal decentralization so that they could successfully proceed the decentralization policy. The fiscal decentralization focuses on the devolution of fiscal authority to the local government. In case of transferring the tax money from national government to local governments, it could be as the same as general revenue sharing among local governments. The property tax sharing system of Seoul shows that it targets to reduce the fiscal disparity among district governments in Seoul. In the view of benefited district government from the system, it could be misunderstood as a fiscal decentralization policy. In the same token, the newly introduced local consumption tax system might mislead the benefited local governments to regard the local consumption tax as a fiscal decentralization policy. Specifically, the modified local consumption tax lost the decentralization spirits in the process of legalization. Fiscal decentralization is related to the transfer of fiscal authority to the local governments, not to the transfer of financial resources to the local governments. 이 글은 재정분권(fiscal decentralization)의 개념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를 최소화하고자 시도된 것이다. 재정분권에 대한 가장 큰 오해는 중앙정부의 재원이 지방자치단체로 이양되는 것을 재정분권으로 간주한다는 것이다. 그 결과 재정여건이 열악한 지역이 오히려 재정분권을 더 강하게 요구하는 아이러니가 발생한다. 재정분권은 스스로의 책임 하에 재원을 확충하고, 재원을 재량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권한을 중앙정부로부터 지방자치단체로 이양하는 것을 의미한다. 얼핏 큰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재원(financial resources)의 이양과 권한(authority and responsibility)의 이양 간에는 큰 차이가 있다. 국민조세부담을 고정시킨다면, 전자는 중앙정부가 세금을 거두어 지방자치단체에 나누어 주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실상 재정집권에 해당되지만, 후자는 지방자치단체가 스스로 세금을 거두어 재원을 확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재정분권에 해당된다. 법정교부세율의 상향 조정을 재정분권으로 오해하는 것도 재정분권의 개념에 대한 오해에서 기인된다. 이 글은 지방소비세제도와 서울시 재산세공동과세 제도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재정분권에 대한 오해를 최소화하고자 작성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