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쓰기 양상 분석을 통한 쓰기 기초학력 도달 수준 설정 가능성 탐색 - 문장 쓰기를 중심으로 -

        최종윤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9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7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if it is possible to set an achievement level of basic academic skills for writing through the analysis on aspects of writing. To measure aspects of writing, the study was conducted for 139 second graders of an elementary school at Gyeonggi-do. It explored a possibility to set an achievement level of basic academic skills for writing based on sentence writing.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n achievement level of sentence writing was suggested by sentence constructing abilities. As for the sentence constructing abilities, the study suggested an achievement level of sentence writing considering words, parts of speech and sentence structures observed in students’ aspects of writing. achievement levels of sentence quantity and content were suggested from writing of several sentenc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nvestigated a possibility for setting an achievement level of sentence writing, one of basic academic skills for writing, through analyzing students’ aspects of writing. 이 연구의 목적은 쓰기 양상 분석을 통한 쓰기 기초학력 도달 수준 설정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쓰기 양상 측정 대상을 경기도 A 지역 초등 2학년 학생 139명으로 정하였다. 연구 결과, 문장 구성 능력을 중심으로 한 문장 쓰기 도달 수준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었다. 학생의 쓰기 양상에서 관찰된 낱말, 품사, 문장 구조, 문장의 양, 문장의 문체 등을 고려하여 문장 쓰기 도달 수준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학생의 쓰기 양상 분석을 통해 쓰기 기초학력 중 문장 쓰기 도달 수준 설정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Secondary School Teachers’ Practices, Perceptions and Problems Regarding English Writing Instruction

        Dong-Ju Lee(이동주)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07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14 No.2

          This paper demonstrates the findings of an investigation into Korean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s’ practices and perceptions regarding writing instruction. The research employs in-depth interviews with a small number of teachers to identify: (a) teachers’ practices of writing instruction and assessment in the classroom; (b) teachers’ perceptions of writing instruction; (c) teachers’ evaluation of students’ writing abilities; and (d) teachers’ concerns or problems in teaching of writ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exist discrepancies among teachers’ practices, perceptions,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the curriculum provides writing goals that are too high for students; teachers cannot help focusing on low-level features of writing mainly due to students’ poor writing ability; and teachers and students do not have an urgent necessity to teach and learn writing, since writing is not tested in the CSAT. The paper concludes by providing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writing instruction in the Korean secondary school English classroom.

      • KCI등재

        대학생 글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오류 양상

        정희모(Chong, Hee-mo),유혜령(Yu, Hye-ryeong) 중앙어문학회 2012 語文論集 Vol.52 No.-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errors and to calculate frequency of erros in 43 texts of college students" writing. The result is that the most frequent errors are "error of the word spacing", "missing constituent of sentence", and "improper choice of words". The erros of the word spacing in students" texts occur mainly in sentences which have noun phrases, modifiers, or bound nouns. The omission of subject is the most frequent error of "the missing constituent of sentence". Through the error of "improper choice of words", we noticed that the college students don"t know differences of basic meaning of words. The other high frequency errors are "errors of highly complicated syntactic structure", surplus of sentence meaning", "errors of punctuation marks" and so on. Of the errors which is ranked in top 10 by error frequency, errors of sentence level, especially grammatical errors frequently occurred in the college students" texts This suggests that teaching of sentence writing, especially teaching of grammar is needed for Korean Students. Also through this analysis, it was found that error frequency per 100 words in Korean texts is much more than in English tex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s have to teach grammar and orthography regulations in education of writing from middle school period.

      • KCI등재후보

        문장 쓰기의 문법 오류 양상에서 나타나는 초등영어 문법교육의 필요성

        김태은 ( Tae Eun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5 외국어교육연구 Vol.29 No.3

        한국의 초등학교 영어학습자는 음성 언어와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는 현 영어교육과정에 의한 가르침을 받아왔다. 만약 의사소통 중심교육과정이 적합하고 효과적이라면, 학생들은 배웠던 내용을 쓰기에 표현할 수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6학년 학생들이 쓴 문장 쓰기에서 나타난 문법 오류 양상을 살펴보는데 있다. 100명의 6학년 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4가지의 문법 영역에 대한 문법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각 문법 영역 당 20개의 문장 쓰기를 하였다. 본 연구에 중점으로 살펴본 문법 영역 4가지는 동사, 조동사, 명사, 소유형용사/소유대명사를 포함한다. 총 8,000개의 문장을 수집하였고, 수집된 문장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문법 오류 양상을 문법 영역별로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현 초등 영어교육을 보완할 점으로 문법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는 Canale과 Swain이 규정한 의사소통 능력의 정의 와도 일맥상통한다. 의사소통 능력은 문법적 능력을 필수 요소로 포함하고 있기때문이다. English language learners in elementary school in Korea have been taught by the current English curriculum, which mainly focuses on developing spoken languages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If this communicative competence-focused curriculum works properly, students would be equipped to express what they have learned in writing. With this rational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grammatical errors in sentence-level writing produced by sixth graders. A total of 100 sixth graders from four clas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engaged in a task of writing 20 sentences, which was designed to test their grammatical competence on four areas of grammar. These four focal grammar areas include verbs, modals, nouns, possessive, and adjectives/possessive pronouns and were assessed, respectively. 8,000 sentences were collected altogether, and their grammatical errors in these sentences were analyzed to elicit frequent aspects of errors in each grammatical a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all for more attention to teaching English grammar in elementary schools, which aligns with Canale and Swain(1980)’s definition of communicative competence. That is, communicative competence requires grammatical competence as a necessary element.

      • KCI등재후보

        간접적 피드백의 유형에 따른 문법 오류 수정과 문장 쓰기 능력 향상

        이선민 ( Sun Meen Lee ),김태은 ( Tae Eun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간접적 피드백이 즉각적 문법 오류 수정과 문장 수준의 영어 쓰기 능력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탐구하는데 있다. 서울시 OO초등학교의 6학년 초등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네 그룹의 실험집단으로 나뉘어 각각 다른 유형의 간접적 피드백을 제공받았다. 사용된 네 가지의 간접적 피드백 유형은 부호, 부호와 예시문, 밑줄, 밑줄과 예시문이다. 6학년 영어 학습자들이 가장 빈번하게 범하는 오류를 중심으로 주어-동사 일치,동사 이중사용, 조동사의 오류, 명사 단, 복수의 형태, 소유격 사용의 다섯 가지 문법 요소를 선정하여, 이에 대한 간접적 피드백의 즉각적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처음쓰기와 교정쓰기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사전 쓰기와 사후 쓰기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교사의 간접적 피드백이 해당 문법 지식 발전과 문장 쓰기 능력 발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연구 결과로 간접적 피드백은 모든 실험집단에 문법 오류 수정 및 문장 쓰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특히 부호 형태의 간접적 피드백을 제공 받은 집단이 밑줄을 제공받은 집단보다 간접적 피드백을 통한 문법 지식 발전 및 문장 쓰기 능력 향상에 더욱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더불어, 예시를 제공하는 간접적 피드백의 효과는 대부분의 문법 요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는데, 이를 통해 예시와 함께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학습자들의 즉각적인 문법 오류 수정에 효과가 있다고 나타났다. 또한, 예시와 피드백을 함께 제공하는 것이 문법 지식 및 문장 쓰기 능력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나 예시 없이 피드백만 제공하는 것보다 더욱 효과적인 방법은 아님을 함께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irect corrective feedback on immediate grammatical error correction and sentence-level writing abili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00 sixth graders divided into four groups with four different types of indirect corrective feedback including code, code plus example, underline, and underline plus example. The five aspects of grammar frequently in error (i.e., verbs, modals, possessives, subject-verb agreement, singular and plural nouns) were selected as focal ones. In order to explore the immediat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indirect corrective feedback, their first writings and corrected writings were compared. In addition, the pre-writing test and post-writing test result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to confirm whether the teacher’s feedback could help the participants improve their grammatical knowledge about the five focal grammar areas and their sentence-level writing skill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effects of indirect corrective feedback made positive impacts on correcting errors and improving writing skills in all groups. However, overall code-groups yielded better results than underline-groups. Furthermore, the effects of providing examples in feedback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in most of the grammar areas, which indicates that providing feedback with examples had a positive effect on immediate grammar error correction.

      • KCI등재

        문장 교육을 위한 울타리(Hedge) 표현 연구

        유유현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9 사고와표현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as hedge some sentence elements which considered to be bad expressions in writing such as uncertain expressions, expressions of subjectivity, and conjunctive adverb; and to identify their functions and malaise for the benefit of teaching writing. To begin with, some boundary easing signs can show prudent attitude reserving one’s judgment on accuracy of proposition; but reduce the value of information. Overuse of such signs could be considered that the writer doesn’t make an effort to clarify what Second, subjectivization and objectification devices define whose opinion or fact it is; and then they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proposition. So the source of the information should be judged to be reliable and could not be used if it is main content. Third, previewing device is restrictively used when you notice the content of writing in advance for attracting attention or when the reader interpret the role of information in the way of the writer. Fourth, evaluating information device is used when the writer could predict the response of the reader. It could be detrimental not to reveal the emoion or judgment regardless of the reader. 이 글은 문장 교육을 위해 각 문장이 가진 소통적 기능을 연구해야 함을 주장하고, 글쓰기에서 나쁜 문장의 요소로 취급되어 온 불확실성 표현, 주관성을 드러내는 표현, 접속부사 등의 안내 표현 등의 기능과 역기능을 명확히 밝혀 글쓰기 지도에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먼저 ‘일종의’나 ‘-을 것 같다’ 등의 경계 완화 표지는 명제의 정확성에 대한 판단을 유보함으로써 신중한 태도를 보여줄 수 있으나, 정보의 가치를 떨어뜨린다. 글에 너무 많이 사용하면 필자가 정확한 사실을 확인하려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으므로 정보의 정확성을 희생해도 글 전체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곳에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두 번째로 다룬 주관화⋅객관화 장치는 해당 의견이나 사실이 누구의 것인지를 밝혀 글쓴이의 책임을 줄이고 독자의 신뢰를 얻는 방법이다.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글의 주된 내용에 사용하는 경우 무책임한 태도로 비춰질 수 있다. 세 번째로 다룬 예고하기 장치는 글의 내용을 미리 알려 관심을 끌거나 독자가 필자와 같은 방식으로 정보의 역할을 해석해야 하는 곳에 한정적으로 사용한다. 짧은 글에서 예고 표현이 사용되면 글의 긴장감을 떨어뜨릴 수 있으며, 과도한 사용은 독자에게 의미를 강제하게 되므로 거부감을 줄 수 있다. 네 번째로 다룬 정보 평가하기 장치는 필자가 독자의 반응을 예측할 수 있을 때 사용한다. 독자를 고려하지 않고 필자의 감정이나 판단을 드러내는 것은 글에해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문화적 텍스트의 문체 분석 -한일 번역물의 문말표현을 중심으로

        김한식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11 통번역학연구 Vol.14 No.2

        Translation studies have recently made a lot of progres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 Korea. If we pay attention to the process of translation, there are several factors that make it difficult to translate, and cultural elements are one of the significant factors. Many papers analyzed translation strategies for cultural elements, with the focuse on what kind of translation strategies were used by a translator among substitution, omission, addition, etc. In this study, the texts that contains relatively large amount of cultural elements in their contents are referred to as 'cultural text'. This thesis analyzes the writing style of cultural texts by focusing on the expressions at the end of sentences. The speech level of Korean-Japanese translation is also analyzed to identify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based on the results, the paper makes suggestions for translation education. The educators and students are recommend to have more interest in the writing styl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907년 의병전쟁 참여세력의 존재양상과 일제의 대응- 경기ㆍ강원ㆍ충청 재판기록을 중심으로 -

        심철기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7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0

        The regions of Gyeonggi Province, Gangwon Province, and Chungcheong Province were the centers of the Righteous Army (Ŭibyŏng) Movement in the early years of the Righteous Armies Wars. The most number of Righteous Armies were active in Gyeonggi Province in the years of 1907 to 1908, in Gangwon Province in the years 1907, and in Chungcheong Province in the years of 1906 to 1907. These provinces can be analyzed in further detail on the level of counties and prefectures: Hanseong, Yangju, Pocheon, Majŏn, and Yongin were the centers within Gyeonggi Province; Wŏnju, Yeongwol, Pyeongchang, and Hoengseong were the centers within Gangwon Province; and Hongju, Chungju, and Jecheon, along with four other counties were the centers within Chungcheong Province. These areas were regions where the major leaders of the Righteous Armies were active. In other words, the regions where there were many participants in the Righteous Armies in Gyeonggi Province, Gangwon Province, and Chungcheong Province were the centers of the Righteous Armies Wars. Based on such concentrations of the Righteous Armies in numbers, fundamentally, the Righteous Armies recruited people in their main strongholds, even though the Righteous Armies recruitment occurred in other regions the Righteous Armies activities were in multiple counties and prefectures. However, an examination of participation on the level of soldiers reveal that there were a variety of forms in participation, including voluntary participation, coerced conscription by the Righteous Armies troops, mercenary for livelihood, and simple participants mobilized for miscellaneous services. Meanwhile, they were the people who were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ed by the invasion policies of the Japanese empire. After the Russo-Japanese War in 1904, the Japanese empire instituted invasion policies such as demanding the exploitation right for barren land, mine examination, forest lumbering, and currency reform. The Japanese also expanded into the Korean Empire (Great Han Empire, Taehanjeguk) with their foothold on these invasion policies, and the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the provinces of Korea became places of plundering for their profit. As such, Koreans were faced with the pillage of the Japanese empire that was beyond the ideological plundering, but an actual and physical act of plundering by the Japanese empire that they experienced firsthand. Such situations aggravated the anti-Japanese sentiments, becoming a cause for locals to participate in the Righteous Armies movement or sponsoring and cooperating with the Righteous Armies. In other words, while there were various motives for participating in the Righteous Armies, the comprehensive reason for their participation in the Righteous Armies was in the reality in which they faced the actual and direct acts of plundering by the Japanese. The Righteous Armies Wars in the regions of Gyeonggi Province, Gangwon Province, and Chungcheong Province greatly reduced when the Recapture the Capital Operation (Seoul chin’gong chakchŏn) failed, and the major leaders of the Righteous Armies died in battle or were arrested. The tactics of the Righteous Armies also changed, and securing war supplies in small-sized units became their main activity. Furthermore, the punishment of the pro-Japanese groups such as the Advancement Society (Iljinhoe) and secret agents (Miljung) also became their main activity. Such changes in the tactics of the Righteous Armies were affected by the harsh repression by the Japanese empire. In order to repress the Righteous Armies, the Japanese empire committed indiscriminate slaughters and issued documents of acquittal as a conciliatory polity. They attempted to prevent people from volunteering and participating in the Righteous Armies and their activities, as well as attempting to prevent the expansion of the Righteous Armies. Such measures taken by the Japanese empire also appear in the adjudications. The Japanese empire pre...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일대는 의병전쟁 초기 의병활동의 중심지였다. 경기도는 1907~8년에, 강원도는 1907년에, 충청도는 1906~7년에 가장 많은 의병이 활동하였다. 이를 군현단위로 보면 경기도는 한성, 양주, 포천, 마전, 용인 등이, 강원도는 원주, 영월, 평창, 횡성 등이, 충청도는 홍주, 충주, 제천을 비롯한 4군 지역 등이 중심지였다. 이들 지역은 주요 의병장이 활동한 지역이었다. 즉,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의 의병참여자가 많았던 지역은 의병전쟁의 중심지였다. 이는 의병활동이 여러 군현에 걸쳐서 전개되는 것이 일반적이라서 의병모집이 다른 지역에서도 나타나지만 기본적으로는 주 활동무대에서 의병을 모집하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병사층의 참여형태를 보면, 자발적인 참여, 의병부대에 의한 강제 징집, 생계를 위한 용병, 잡역 등에 동원된 단순 가담자 등 다양한 형태로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그들은 일제의 침략정책에 직ㆍ간접적인 피해를 입고 있던 사람들이었다. 1904년 러일전쟁 이후 일제에 의해 진행된 황무지개척권 요구, 광산조사, 산림벌채, 화폐개혁 등의 침략정책과 이를 발판으로 대한제국에 진출한 일본인들은 지방의 중소도시까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한 침탈의 장으로 만들었다. 이제는 관념적인 일제의 침탈이 아닌 실질적인, 몸소 체험할 수 있는 일제의 침탈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반일감정을 고조시켰으며, 지역민들이 의병운동에 참여하거나 의병을 후원, 협조하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즉, 의병에 참여하는 의도는 다양하였지만 그들이 의병에 참여하게 된 포괄적인 원인은 실질적이고 직접적인 일제의 침탈에 직면한 현실에 있었던 것이다.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일대의 의병전쟁은 서울진공작전이 실패로 돌아가고 주요 의병장들이 전사하거나 체포되면서 크게 위축되었다. 의병전술도 변화여 소규모 부대로 군수물자를 확보하는 것이 주된 활동이 되었다. 또 일진회, 밀정 등에 대한 처단이 주요 활동으로 나타났다. 이런 의병전술의 변화에는 일제의 의한 가혹한 탄압이 영향을 미쳤다. 일제는 의병을 탄압하기 위해 무차별 살육을 저질렀으며, 회유책으로 면죄문빙을 발급하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의병에 대한 지원, 참여, 확산을 막겠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일제의 의병에 대한 방침은 판결에서도 나타나고 있었다. 의병을 ‘폭도’로 규정하여 폭력성을 강조해 의병을 탄압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측면에서 교수형 등 극형이 선고되었다. 반면에 귀순하거나 단순 가담자는 면소하거나 비교적 가벼운 형을 선고되고 있었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