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원영희,김욱 한국노인복지학회 2008 노인복지연구 Vol.0 No.42

        The purposes of this paper were to examine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mong the workers of Senior Employment Program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for them. This paper especially focuses on the impacts of individual․job related characteristics and program satisfaction ․program operation related factors on job satisfaction of the workers. 278 workers nationwide were interviewed,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6.0 for Window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mong the workers was a little above the averag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the workers were employer agency(local governments), satisfaction of agency or client perceived by workers, and community network. Other variables affecting job satisfaction include type of employer agency(Korean Association of Elderly People), percent of focusing on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This paper suggest further research to fully understand job satisfaction and to respond appropriate steps for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Senior employment program.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were further discussed.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을 담당하는 실무자들의 직무만족 수준과 개인 및 직업특성, 사업만족, 사업운영에 대한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들의 직무관련 현황을 이해하고 직무환경 개선 시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고찰하였다. 연구대상은 노인일자리사업 담당기관인 지방자치단체, 대한노인회, 시니어클럽, 노인복지관 및 종합사회복지관의 실무자 278명이었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16.0 Win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직무만족은 보통을 약간 넘는 수준으로 높지 않았고, 소속기관(지방자치단체), 참여노인의 서비스를 받는 기관이나 수혜자의 서비스 만족 정도, 기관의 지역연계 정도가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의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기타 소속기관(대한노인회), 노인일자리사업 전담비율, 노인소득의 창출과 생계지원 기여인식, 노인복지 기여인식이 직무만족을 설명하는 데에 유용한 변인들이었다. 향후 노인일자리사업을 정착․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실무자의 직무관련 현황을 잘 이해하고 직무환경 개선시 노인일자리사업 실천현장별 특성의 반영, 지역사회 연계의 강화, 서비스를 받는 기관이나 수혜자 만족에 대한 인식 제고 등의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노인일자리사업의 사회보험 적용과제와 해외 유사정책의 시사점

        지은정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8 No.3

        This paper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policy alternatives of senior job programs through the review of social insurance policy issues and application projects of similar policies for other countri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working time of the elderly under the senior job program is less than 60 hours per month and 60.4% participate in the program for their livelihood. However, even though their demands for the cost of living are very high, these facts are not for all senior job program participants. Also, 200,000 Korean Won per month cannot be regarded as an adequate wage for living expenses. At this point, we are uncertain if the participants are subject to social insurance tax. However, if the participants are still considered as workers in the labor market, it is desirable for senior job programs to be excluded from the application of the labor laws including the expansion of worker’s compensation’s coverage for public interest activists. 본 논문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노인일자리사업의 사회보험 적용과제를 검토하여 노인일자리사업의 현안 해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은 대부분 월 60시간 미만의 초단시간근로자이지만 생계비마련을 위해 참여하는 비율이 높아서 사회보험의 적용대상기준인지 논란이 되고 있다. 그러나 생계비 마련의 욕구가 높아도 60.4%이기 때문에 전체 노인으로 일반화하기 어렵고, 월 20만원의 일자리를 생업으로 보기 어렵다. 사회보험특히 고용보험의 생업에 대한 명확한 기준마련과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가치정립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노인일자리사업의 참여노인을 근로자로 본다면, 노인일자리사업을 노동관계법에서 적용제외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사회보장법 특히, 산재보험은 독립개념설을 적용하거나 사회법적 성격을 강화하여 근로자가 아닌 공익활동자(노인일자리사업 포함)에게도 확대할 필요가 있다.

      • 노인 일자리사업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황선영 그리스도신학대학교 출판부 2010 교수논문집 Vol.10 No.-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Senior Job Programs The study examines how the quality of life is affected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types of the job programs, job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senor job programs. In particular,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is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senior job programs. The Data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or a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aged by 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in 2007. The estimation by ordered logit models shows that significant factors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re gender, marital status, experience of voluntary work, health and economic status, and job satisfaction. It is shown that the type of job programs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but job satisfaction does. Among the lower-level factors for job satisfaction, the significant factor for the quality of life are overall satisfaction, satisfaction on the job contents and intensity, and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 KCI등재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를 통한 노인의 다차원적 변화 검증

        강은나(Eunna Kang) 한국노인복지학회 2018 노인복지연구 Vol.73 No.3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이하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의 삶에 미치는 다차원적인 변화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7년 기준으로 노인일자리사업 신규 참여노인 624명과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를 희망하지만 참여하지 못하고 있는 대기노인 400명의 자료를 확보하여 분석하였다. 표본추출은 지역과 사업유형을 기준으로 제곱근 비례할당방식을 활용하였으며, 개인 변화에 대한 분석은 성향점수매칭분석(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일자리사업은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0.222점 높이고, 고립감은 0.078점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수준도 0.361점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를 통해 의료기관 이용횟수가 월평균 0.491회 감소하였으며, 우울수준은 3.193점 낮추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노인일자리사업은 노인의 사회관계망 규모를 확장시키지는 못하는 것을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노인은 유사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가진 비참여 노인에 비해 심리정서적 기능이 향상되고, 사회적지지가 강화되고,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이 증진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노인일자리사업이 참여자 개인에게 미치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ultidimensional changes of senior job and social activities programs` participants. For analysis, 1,024 cases have been collected by power allocation sampling, 624 cases extracted from the list of participants who have newl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n 2017 and 400 cases collected from the waiting list of the same program.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was used to analysis differences between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The results show that senior job and social activities programs are more likely to increase participant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nd is more likely to decrease loneliness and depressive level. Moreover, participants of senior job and social activities programs are less likely to visit to medical clinics compared to non-participa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articipation in a senior job and social activities programs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psycho-social and physical health and in making the strong social support except enlarging the social network.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has discussed some implications to improve the effects of senior job and social activities programs.

      • KCI등재

        지방정부 노인일자리사업의 사회적 자본 효과 탐색

        기영화(Kee, Youngwha) 한국지방정부학회 2013 지방정부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ocial capital effect of senior job placement programs of local governments. The study collected in-depth interview data from program managers at 17 community senior centers in the Seoul, Incheon, and Gyeonggi area.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grounded theory method of Strauss and Corbin, using open coding and constant comparison. The researchers extracted 179 concepts related to senior job placement programs and the effects were summarized into 19 categor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participating in senior job placement programs can have positive effects on overall health by offering emotional support for seniors, enhancing life satisfaction, and encouraging an active life. Moreover, the program can create social capital in several ways by encouraging interest in the local community, boosting volunteer activities, and fostering interaction across generations. The article concludes by arguing that senior job placement programs are indeed worth it as they can be a significant catalyst for social capital creation by encouraging social participation of seniors.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노인일자리사업의 사회적 자본 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서울, 인천, 경기지역의 노인일자리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17개 노인복지관의 노인일자리사업 담당자를 심층면담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방법을 사용하여 지속적 비교분석으로 개방코딩에 의해 노인일자리와 관련된 개념은 179개로 축약되었으며, 일자리사업 결과는 19개의 범주로 탐색되었다.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들은 일의 중단과 소속에 대한 박탈감을 경험하며, 개인의 경제적 여건이나 활동에 대한 갈망과 심리적 위축상황이 맥락적 조건으로 개인의 특성이나 일자리 혹은 노동의 강도 및 참여동기가 중재적 조건이었으며, 일자리사업 담당자의 일자리 중개 및 발굴, 교육과 모니터링이 상호작용전략으로 작용하였다.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는 노인들의 심리적 안정과 생활의 만족뿐만 아니라 삶의 활력소로 건강증진 효과를 가져오고,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자원봉사에의 참여 및 다른 세대와의 교류와 관계 만들기를 통한 사회적 자본 증진 효과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연구결과 노인일자리사업은 노인들의 사회적 참여와 지역사회와의 관계 형성 및 통합에 기여함으로써 사회적 자본 생성에 기여하고 있었다.

      • KCI등재

        잠재디리클레할당 분석을 이용한 ‘노인일자리’ 관련 신문기사 토픽분석

        이소정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10

        This study aims to find the structure of social disussion on government ‘Senior job program’ by analyzing 1107 newspaper articles on ‘senior job program’ from 11 major newspaper articles and 8 financial newspapers. Topic modeling vi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model was employed for analysis and as result, 5 latent topics were extracted as follows : general information, local government project propaganda, senior life related issues, employment creation effect and market relations. Until 2015, most of the articles focused on the first two topics, indicating not much discourse was formed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However, after 2015, the third topic started to increase and after the launch of Moon Jae In government, there has been a drastic increase in the employment creation related topic indicating that current social discourse mirrored by the media is definitely focused on employment creation aspect of senior job program.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to increase the quality and also enhance employment aspects of Senior job program.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의 사회적 논의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대표적인 대중매체인 신문기사에서 다루어지는 노인일자리 관련 주요 토픽들과 시계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뉴스 통합 데이터베이스인 빅카인즈에 수록된 11개 중앙지와 8개 경제지의 노인일자리사업 관련 기사 1107개에 대해 잠재디리클레할당 방법을 이용한 토픽분석을 실시해 언론 기사에 내재된 노인일자리사업의 잠재토픽을 추출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일반적 정보전달, 지자체 사업 홍보, 노후생활, 고용효과, 시장연계 등 5개의 잠재토픽이 추출되었는데 2015년까지 대부분의 언론 기사가 일반적 정보전달과 지자체 사업홍보에 국한되어 있어 노인일자리사업의 정체성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형성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었던 반면 2015년 이후부터 노인일자리사업의 소득, 안전 등 노후생활 효과 관련 주제가 다루어지는 비중이 증가했으며 특히 문재인 정부 출범이후 고용효과와 관련된 기사가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에 근거해 향후 노인일자리사업의 질적측면 및 고용효과 측면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의 필요성과 고용프레임 이외의 대안적 프레임 제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노인일자리사업의 유사,중복에 관한 연구

        지은정 ( Eun Jeong Ji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5 地方行政硏究 Vol.29 No.4

        Consolidation has been brought forth as a policy solution for the overlap and duplication problem of the senior job programs. However, few academic works have addressed the subject so far. Hence, this study explores the overlap and duplication of senior job programs based on the direct job programs’ target groups and relevant activities. The final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49.3% of the direct job programs are similar in terms of activities. They cannot be, however, regarded as duplicates. Only about 23.9% of the direct job programs are similar with respect to their target groups. In addition, the beneficiaries who are over 65 years of age are merely 7,800 in number, which accounts for only 3% of the senior job programs. It also appears that there is no actual duplication or overlap at the lower levels, which points to the fact that horizontal policy fragmentation is what applies to the direct job programs.

      • KCI우수등재

        한국 노인의 건강 및 사회참여 특성 :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노인을 중심으로

        배재윤 ( Bae Jaeyoon ) 한국체육학회 2020 한국체육학회지 Vol.5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복지부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에 참여한 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건강 및 사회참여 특성을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10월 7일부터 11월 15일까지 참여노인 3,0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조사원이 대면 조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고, 회수된 설문지는 검수과정을 거쳐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노인의 건강 특성은 건강상태와 의료이용 현황을 통해 확인하였다. 참여노인은 사업 참여 전후로 건강상태가 개선되었으나 특정 질환을 앓고 있었고 주기적으로 의료시설을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노인의 사회참여 특성은 사회 인식과 사회활동 참여 정도를 통해 확인하였다. 참여노인은 한국 사회가 평등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고 저출산·고령사회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 것으로 보았다. 이들의 사회활동은 주로 순수 친목, 사교활동 모임이 많았고 인간관계를 위한 활동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참여노인의 여가문화 활동은 기존 실태조사와 마찬가지로 단조로운 특징을 보였고 노년기 사회활동과 대인관계에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활동적 노년의 관점에서 노인일자리 사업에 참여한 노인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노인정책의 방향성을 고찰한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health and social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adults who participated in the Senior Social Activities and Job Program. A survey was conducted on 3,086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for 6 weeks from October 7, 2019, to November 15, 2019.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the face-to-face survey of 3,086 participants.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the SPSS 21.0 program after the review proces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ealth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adults participating in the senior job program were confirmed through the health status and medication use status. The older adults had improved their health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but they were suffering from certain diseases and were regularly using medical facilities. Second, the social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enior citizens participating in the senior job program were verified through social awareness and social participation. Participants had a strong tendency to recognize that Korean society was equal and needed preparation for low birth rates and an aging society. Their social activities were mainly pure social and social gatherings, and activities for human relations accounted for the most. The leisure culture activities of the older adults showed the same monotonic characteristics as the existing surveys and gave great significance to the social activiti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old ag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adults who participated in the senior job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active old age and considered the direction of the policy.

      • KCI등재

        고령자 적합직종은 경비․청소직 외에는 없을까: 시니어인턴십사업과 인력파견형사업을 중심으로

        지은정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19 국정관리연구 Vol.14 No.2

        This study analyzes suitable jobs for people aged 60 years and over by focusing on the agencies of Senior Internship Program・Manpower Dispatch-Type Enterpris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nly 53 out of the 426 (12.4%) of the Korea Employment Classified of Occupations (KECO) are available for aged people. In addition, jobs in private security and sanitation constitute 49.7% of these occupations, with 7 out of 10 occupations serviced by these agencies classified as labor-intensive. This means that the herd behavior toward employment is a serious issue because most people aged 60 and over are employed for simple manual work irrespective of their career. Second, this study highlights that suitable occupations for people aged 60 and over are classified under private security or sanitation irrespective of the basis of analysis Third,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we observed that the suitable occupations for people aged 60 and over are only manual work (security-guard/sanitation jobs) and social welfare occupations. This implies that the Korean government's efforts for supporting the employment of aged people are proving ineffective, even though the policy for people aged 60 and over has been implemented for more than 15 year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reevaluate policies for expanding the options of decent jobs for senior citizens and achieving the policy goal. 본 연구는 60세 이상 일자리 전문기관 가운데 정부지원을 받는 시니어인턴십사업 운영기관과 인력파견형사업 수행기관을 중심으로 고령자 적합직종에 대해 연구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60세 이상에 대한 노동수요는 KECO 426개 가운데 53개(12.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나마도 60세 이상에게 취업알선한 직종은 경비․청소직이 49.7%이고 환경미화원, 주방보조원 등을 포함하면 72.2%로 나타나, 단순노무직으로의 쏠림현상이 심각하다. 둘째, 어떤 지표로 측정하더라도 고령자 적합직종은 경비․청소직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심지어 직업훈련 후에도 고령자에게 적합한 직종은 경비․청소직으로 나타나 예상했던 결과와 달랐다. 셋째, 다차원분석을 실시한 결과, 60세 이상의 적합직종은 경비․청소 관련직, 사회복지 관련직 2가지로 나타났다. 정부가 15년 이상 고령자 적합일자리 개발을 지원하였지만 미진한 것을 알 수 있다. 정부정책의 목표를 달성하며, 양질의 노인일자리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노인 노동력활용에서 나타나는 복지와 노동의 통합 문제 연구: 일본 실버인재센터의 복지와 노동 통합을 중심으로

        박기훈 ( Ki Hun Pak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6 地方行政硏究 Vol.30 No.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welfare and labor integration issues and provides solutions for the problems which are currently confronting the senior job programs. For this, the study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senior manpower, welfare to work, and the foreign case for clarifying the welfare and labor integration through a review of research and case study. As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ly, labor mobilization should be pursued to satisfy welfare and labor at the same time because senior labor has the characteristics of welfare and labor together. Secondly, if the labor is paid in the labor market, integration of welfare and labor is causing a conflict in spite of the most vulnerable senior workers. Thirdly, a silver manpower center shows variable integration of welfare and labor even though it is strengthening labor than welfare in the process of integr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enior job programs need to continue to seek integration as it attempts to integrate various forms of welfare and lab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