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서사화를 통한 성찰 글쓰기 교육 -‘말’에 대한 자기서사 담화를 중심으로-

        박혜영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양교육연구소 2024 후마니타스 포럼 Vol.10 No.1

        This paper analyzes the direction and effectiveness of writing through self-narrativization as part of self-exploration and reflection for college students in liberal education. Self-narrativization is a writing method that describes events experienced by the writer in a chronological and causal manner. The subjects of self-narrative consist of the experiencer(in other words, experiencing subject), the writer(narrative subject), and the narrator(describing subject). In self-narrativization, the experiencer and the writer are the same. They are only separated by the temporality of the narrative. Therefore, if the narrator is in the first person, the self-confessional statement from the internal perspective of the writer and the narrator is strengthened. If the narrator is in the third person, the writer objectively describes the events of the experiencer from the external perspective of a third party. This self-narrative method was applied to the reflective writing of words by university student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Students used self-narrative discourse strategies such as establishing a first- or third-person narrato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arrator, controlling the narrative tense, and considering the order of narrative construction in order to focus on the events of the word. Self-narrativization inevitably involves self-reflection, and writing is both an outcome of self-narrative life and another starting point.

      • KCI등재

        자기이야기와 자기서사 그리고 치료작업

        홍재범 ( Hong Jaebeom ) 겨레어문학회 2020 겨레어문학 Vol.65 No.-

        이 논문은 내담자의 자기이야기와 이를 담화의 과정을 거쳐 표현한 자기서사의 유기적 관계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기이야기와 자기서사의 관계는 근본적으로 서사학의 이야기와 서사의 관계와 동일하다. 서사학의 분석 대상이 허구적 구성물이라는 점이 다를 뿐이다. 자기이야기와 자기서사는 서사치료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왜냐하면 내담자의 주요문제를 내담자가 언어화하는 내용에 근거하여 파악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내담자는 상담가에게 자신이 살아온 삶, 사실이나 사건에 대해 정리되지 않은 정보를 쏟아놓게 된다. 내담자에 의해 언어화된 모든 정보는 내담자의 머리 속에 존재하는 자기이야기의 편린들로 자기서사를 구성하는 내용들이다. 치료사가 일반적인 상담가들과 변별되는 지점은 내담자의 자기이야기와 자기서사의 유기적 관계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내담자가 언어화된 자기서사를 통해 자기이야기를 반성적으로 대상화하고 자신의 문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자기이야기를 상상하고 실현할 수 있도록 서사적 자극을 줄 수 있어야 한다. 프로이트의 엠마 치료작업은 이러한 관계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내담자는 자기이야기를 말이나 글 또는 그림이나 사진, 영상 또는 몸 등을 표현 매체로 삼아 외화시키게 된다. 즉 내면의 것을 타인이 눈으로 지각할 수 있도록 다양한 매체를 선택해 담화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다양한 표현 매체 중 특히 기왕에 산출된 문자텍스트를 도구로 활용하여 치료 활동을 수행하는 경우를 ‘문학치료’로 간주해 왔다. 이러한 문학치료가 소기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자기이야기와 자기서사의 유기적 관계에 대한 통찰이 필수적이다. 이때 담화의 방식을 문자적 외화로 국한시키는 것은 내담자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제한적 효과에 멈추게 된다. 언어화를 포함한 다양한 담화의 방식을 통해 내담자의 문제의 해결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심리치료의 본래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organic relationship of the counselee's self-story with self-narrative which is expressed through the process of discours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tory and self-narrative is essentially the same as story and narrative in narratology. There is only a difference in the fact that the subject of analysis of narratology is a fictional composition. Self-story and self-narrative occupy a key position in narrative therapy. This is because the main problem of the counselee has to be identified based on the contents which the counselee verbalizes. The person in charge will pour out unorganized information about his or her life, facts, or events to the counselor. All the information verbalized by the counselee is the content that composes self-narrative with the convenience of the self-story that exist in the counselee's head. The point at which therapists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general counselors should be able to clearly recognize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ee's self-story and self-narrative and provide narrative stimuli so that the counselee can reflectively target the self-story and imagine and realize a self-story that can overcome his or her own problem situation through a verbalized self-narrative. Freud's Emma therapeutic work is an example of this relationship. The counselee will use the self-story as a medium of expression, such as words, writings, pictures, photographs, images, or bodies, to externalize.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discourse will be carried out by selecting various media so that others can perceive what is inside. Among the various expressive media, the use of specific written text previously created as tools to perform therapeutic activities has been regarded as ‘literature therapy’. In order for these literary treatments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s, insight into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self-story and self-narrative is essential. At this time, limiting the method of discourse to literal externalization stops in the limited effect of bringing about changes in the inner circle. Exploring how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unselee through various discourse methods, including verbalization, could contribute to achieving the original goal of psychotherapy.

      • KCI등재

        스토리텔링을 통한 자기 성장과 교육

        Min-Yong Lee 한국독서치료학회 2017 독서치료연구 Vol.9 No.1

        This paper deals with the self-growth and education through storytelling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ology. According to brain/mind sciences, story is a basic principle of mind. Most of our experience, our knowledge, and our thinking is organized as stories. We interpret every level of our experience by means of storytelling. Although cognitive science is associated with mechanical technologies like robots and computer instruments that seem unliterary, the central issues for cognitive science are in fact the issues of the narrative mind. we organize information in story form. It is how we understand the world around us, and communicate each other. The personality formation and mental development are closely linked with narratives. Narratives are useful to self-growth.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ology, there is a concrete narrative level as text and three abstract narrative levels such as story, narration, and textuality. This paper, therefore, shows how narratives play a role for self-growth, and how the main components of the narrative levels can be used effectively for that. The contents of this pater are follows: 1) The Utility of Narratives for Self-Growth and Education in Terms of cognitive Narratology. 2) Theory of Narrative Layers in Narratology. 3) Narrative's Abstract Layers and Self-Growing through Storytelling. 4) two exemplary narratives for self-growth through storytelling: self-growth through storytelling in Arabian Nights, and self-growth through storytelling in focusing discourse layer of narrative. The king Shahrayar in Arabian Nights can make an alternative story with a self-growing power after listening to the tales Scheherazade tells. it is a self-growth and character education for him through strorytelling focusing on story layer. On the other hand, Annie in the Michael Gabriel’s storytelling residency narrative has experienced a self-growth through restorytelling her traumatic stories. it is her self-growth and chara

      • KCI등재

        놀이 중심의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이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박설미,여인숙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09 놀이치료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놀이 중심의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이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00모자원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다. 선정방법은 사회복지사로부터 적응에 어려움이 있다고 의뢰된 아동 중에서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여 하위 33%에 속하는 아동 6명을 선정하여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에 각각 3명씩 배정하였다. 연구문제는 놀이 중심의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이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자아존중감 척도, 언어표현, 행동, 삶에 대해 긍정적으로 서술하는 이야기 내용)에 미치는 효과이다. 이야기치료의 프로그램은, 자신의 문제 분리, 대안적 문제 해결, 능동적인 문제 해결 및 유능감 경험의 요소를 중재전략으로 하고 저항을 감소하는 놀이의 치료적 요인을 활용하였다.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자아존중감 척도 점수를 비교하였고, 실험집단은 매회기 자기와 타인에 대한 긍정, 부정 언어표현과 자아존중감 관련 행동, 삶에 대해 긍정적으로 서술하는 이야기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놀이 중심의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 척도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으며, 긍정언어표현은 증가하였고, 부정언어표현은 감소하였으며 행동 및 이야기의 내용도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따라서 놀이 중심의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은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킨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a play-based narrative therapy program on self-esteem of the child in a single parent famil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living in X single mothers' home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selection process of the subjects was as follows. A social worker recommended several children whose had difficulties in socializing. Among the suggested, six children with lower 33% self-esteem were finally subjected to the study after a self-esteem test. They were grouped into a control and a test group with three children for each. The research task was to examine changes in self-esteem by applying a play-based narrative therapy for the children of a single parent family. The details of the self-esteem to be measured involved the self-esteem scale, verbal expression, behavior, and narrative positively describing their own life. The narrative therapy program was devised with a moderating strategy such as self-understanding, distinction of one's problems, alternative problem solving, active problem solving, and competence experience. It was also designed to utilize a therapeutic element of the play which reduces resistance. The self-esteem scale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compared to examine an increase of the self-esteem of the children. Analyzed were positive and negative verbal expressions of self and others, behavior related with the self-esteem, narrative positively describing one own's life in each s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play-based narrative therapy enhanced the self-esteem of the child in a single parent family. More specifically self-esteem scale improved, positive verbal expressions increased, negative verbal expressions decreased, and contents of behavior and stories became more positive. In conclusion, it proved that a play-based narrative therapy enhanced the self-esteem of the child in a single parent family.

      • KCI등재

        우울증 상담에서의 자기서사

        이강옥 ( Lee Kang-ok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2 문학치료연구 Vol.24 No.-

        우울증 상담에서 자기서사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먼저 우울증 상담에서 자기서사를 활용할 때의 유의사항을 정리했다. 자기서사는 말하게 하기보다 쓰게 하는 것이 좋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기 경험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갖추게 하는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편하게 자기서사를 쓰고 그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도록 배려를 해야 한다. 내담자가 반론할 기회를 보장해주면서 상담자도 적극적인 의견을 개진해야 할 것이다. 내담자의 자기서사에 대해 상담자가 특별히 착목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자기서사가 지리멸렬한 것은 내담자의 서툰 글쓰기 혹은 기억망실 현상과 긴밀한 관련이 있다. 나열의 구조는 내담자가 자기 삶의 특별한 부분을 알지 못한 데서 비롯하기도 한다. 또 자기 상처부분을 의도적으로 숨기려거나 아니면 상처부분을 자각하지 못한 것과도 관련이 있다. 반복은 상황이나 사고 등에서 비슷한 대목들이 거듭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내담자의 실제 상황이 그러한 데서 비롯하기에 `부정적 상황의 반복`이라 할 수 있다. 우울증 환자들이 `자동화된 부정적 사고`를 하기 때문에 자기서사에 특정 서술 구조가 되풀이되기도 한다. 삶의 구조가 아니라 삶에 대한 관점과 해석이 반복되는 것이다. 대조는 내담자의 자기 부정으로 귀결된다. 우울증 자기서사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관철되는 것은 `시간적 대조`이다. 초점화 부분은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내담자가 자기 삶에서 중요하게 생각한 부분이고 또 그것을 드러내고자 한 부분이다. 그런 점에서 상담자가 그 중심이나 정점의 성격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상담의 과정은 자기서사의 수정 보완 과정이기도 하다. 상담 중 회상이나 자기 최면, 자기 진술의 절차를 통하여 내담자는 먼저 쓴 자기서사의 내용과 시각을 조정하면서 새로운 자기서사를 써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애초 자기서사가 문제적인 것이라면, 그 문제성을 밝히고 극복함으로써 마침내 `대안적 자기서사`를 창출할 수 있다. 대안적 자기서사는 자기의 위대성을 발견하고 인정하는 쪽으로 귀결되어야 할 것이다. 그것이 미래의 밝은 자기를 만들어내는 원동력이 되며, 이미 그 속에 미래가 배태되어있다고 하겠다. 이상과 같은 자기서사의 다시쓰기 과정은 우울증 극복의 과정이기도 하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methods of applying self-narrative to depression therapy and foreground some problems in utilizing self-narrative. Writing is a better method for self-narrative than narrating. The counselor should provide some methods to help patients form a positive perspective on their own experiences. Counselors should also encourage patients to write self-narrative and talk about it in relaxing environment. While guaranteeing patients a right to object, counselors should actively express their own opinions. The paper suggests several points for counselors to pay special attention to. Incoherence of self-narrative is closely related to either patients` lack of ability to write or their amnesia. Parallel structure of self-narrative is due to patients unawareness of their own lives` special events. It is also related to patients` intentional cover-up of the painful experiences or their inability to take notes of them. Repetition of similar circumstances and incidents in a self-narrative reflects patients` own lives, resulting in `a repetition of negative circumstances`. Since the patients of depression tend to have `automated negative thinking`, certain types of narrative structure repeat themselves. What`s exposed is not the structure of their lives but the repetition of their perspectives of and interpretations on their lives. Contradictions in self-narrative are led to their self-denial.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aspect in depression patient`s self-narrative is “time contradiction.” Foregrounded are moments patients consider significant ei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nature of those moments. The process of therapy is complementing and amending of the problematic self-narrative. It is desirable for patients to write a new self-narrative, while negotiating with their previous perspectives and contents through the process of retrospect, self-hypnosis, and self-narration. Exposing and overcoming of problems in self-narrative would help create `an alternative self-narrative`. This alternative self-narrative should lead patients to discovery and recognition of their greatness. It will be the source of creating a brighter self for future. Such process of rewriting self-narrative is also that of overcoming depression.

      • KCI등재

        이청준 소설에서의 자의식적 서술과 자기반영성 : 『축제』(1996)를 중심으로

        이채원 ( Lee Chae-wo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0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47 No.-

        This paper is to study about the self-conscious and self-reflexivity in fiction by Lee, Chung-Joon, focusing on The Festival. Especially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properties of metafiction. It constructs the dual structure: the writing of story and the story of writing. This structure is the narrative device that betrays the expectation of illusion and disturbs the absorption toward the virtual world. Besides the meta-narration and self- conscious narration lead to the world the border which separates between the real and fiction. In self-conscious metafiction, the narrator becomes a character, a critic, a theorist and an author. In The Festival, there are the first person narrator and the third person narrator but the aspects of narration by the narrators are undiscerned. So the same meaning and interpretations are emphasized repeatedly by the self-conscious and meta narration in a frame structure. In film, there are cinematic self- conscious devices instead of eliminating the critical narrations belongs to fiction. Especially an fairy tale inserted in film shows the cinematic self-reflexivity interfering illusion. While fiction is the genre where the language of the narrator governs the narrative, the dominant factor in film is the visual image. The narrator dominates the narrative in fiction becomes weak in film and other characters come to the surface. Also as a cinematic device, the frame in outer frame leads to different ending scene from ending of fiction. These differences in fiction and film extend the reception esthetic of readers and audiences.

      • KCI등재

        書簡體 自己敍事의 주요 양상과 自己形象

        안득용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2

        This paper focuses on looking for meaning in the way the ancestors took care of their own identity and cared for their lives by reviewing the aspects of epistolary self-narratives. In order to faithfully approach this subject, the works selected for this purpose include “a letter to Min Ho the vice minister of the secretary’s office (答芸臺亞監閔昊書)” written by Cheonchaek (天頙), “a letter to Ryu Jahan the governor of the Yangyang county (上柳襄陽陳情書)” written by Kim Siseup (金時習), and “a letter to Yeongwoon the buddhist monk of Yujeom buddhist temple (與楡岾寺僧靈運書)” written by Ryu Mongin (柳夢寅). I analyzed these works and got the following results. First, Kim Siseup’s “a letter to Min Ho, the vice minister of secretary’s office” is a model of an epistolary self-narrative. This work shares certain points with the narratives of the chronological age, but it suggests that the process of life is not isolated and concentrated in the center point while emphasizing the inner aspect of oneself. Second, Ryu Mongin, in “a letter to Yeongwoon the buddhist monk of Yujeom buddhist temple,” tries to reconstruct his own life through justification. Although it has some limitations, this work is significant in broadening the horizons of our self-narrative by presenting the direction of life and adding to the past works, as well as acting as a commentary of the works written by Ryu Mongin. Third, Cheonchaek’s “a letter to Min Ho the vice minister of secretary’s office”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works on self-narrative in the pre-modern era. There is value in creating a narrative body close to the autobiographical version of modern meaning, beyond the traditional level, by expressing the existential troubles between governing and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through the monologue. In this sense, an epistolary self-narrative is, basically, a genre formed from an attitude that examines one’s self and reflects on one’s past life. In other genres of self-narrative, self-examination and self-reflection can be seen, but it is hard to find a case in which self-identity is established through self-examination and self-reflection among the restructured works of the whole of one’s life, and they took care of their own life. In addition, the time when the epistolary self- narrative appeared is also rarely faster than that of the epistolary self-narratives. This is the meaning of epistolary self-narratives and their literary historical location. 본고는 書簡體 自己敍事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고찰함으로써 선인들이 자기의 정체성을 고민하고 삶을 돌보았던 모습에서 의미를 찾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충실히 다가서기 위해 대상으로 선별한 작품이 天頙의 「答芸臺亞監閔昊書」, 金時習의 「上柳襄陽陳情書」, 柳夢寅의 「與楡岾寺僧靈運書」인데, 이 작품들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첫째, 김시습의 「상유양양진정서」는 서간체 자기서사의 典型이다. 이 작품은 年代記 형식의 자기서사와 일정한 공유점도 있지만, 그와는 달리 삶의 과정이 고립되어 있지 않고 구심점으로 응집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자신의 내면을 부각시켰다는 의미가 있다. 둘째, 유몽인의 「여유점사승영운서」는 辨明을 통해 자신의 삶을 재구성하려고 시도한다. 이것이 일정한 한계가 되기도 하지만, 삶의 지향을 제시하고 과거의 행위는 물론 자신이 지은 작품의 해설까지 곁들임으로써 우리 자기서사의 지평을 넓혔다는 의의도 갖는다. 셋째, 천책의 「답운대아감민호서」는 전근대 우리의 자기서사 중 내면적 갈등을 가장 뚜렷하게 부각시킨 작품이다. 獨白을 통해 經世와 出家 사이에서의 실존적 고민을 토로함으로써 전통적인 수준을 넘어 현대적 의미의 自敍傳에 가까운 敍事體를 창조했다는 가치가 있다. 이로써 볼 때, 서간체 자기서사는 기본적으로 자신의 내면을 省察하고, 지난 삶을 反省하는 태도 위에 형성된 장르이다. 여타 장르의 자기서사에서도 반성과 성찰이 보이지만, 자신의 삶 전반을 온전히 재구성한 작품군 가운데 성찰과 반성을 통해 자아의 정체성을 수립하고 자신의 삶을 돌보았던 경우는 찾기 힘들다. 뿐만 아니라 그 출현 시기 역시 서간체 자기서사 보다 빠른 경우는 거의 없다. 이것이 서간체 자기서사의 의미이자 그 문학사적 위치이다.

      • KCI등재

        김유정의 〈생의 반려〉에 나타난 자기 반영적 서술과 아이러니 연구

        정연희(Jung Yeon-hee)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3

        김유정의 자전적 소설 〈생의 반려〉는 자기반영적 서술의 특징을 보여준다. 이 소설은 일반적인 자선소설의 서술유형을 따르지 않는 서술적 특이성을 보이는데, 그것은 미장아빔의 방식으로 이중화되는 자기응시의 서술로 드러난다. 또한 서술의 특이성은 자기현시의 아이러니와 비결정적 아이러니와 연결된다. 자전소설의 통상적인 서술형식이 서술자 ‘나’가 자신의 이야기를 한다고 할 때, 〈생의 반려〉는 외형상 서술자 ‘나’가 남의 이야기를 한다. 서술주체와 서술대상이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존재가 아니라 아예 독립적인 인물로 등장하는 것이다. 이는 응시의 주체가 분열적 주체임을 의식하는 자의식적 글쓰기의 형식으로 간주된다. 구체적으로 미장아빔의 방식으로 이중화되는 자기반영적 글쓰기는, 타자에 기입된 자신 혹은 자신에 기입되어 있는 타자를 반복적으로 응시하는 존재론적 순간이 된다. 다른 한편으로 〈생의 반려〉는 아이러니를 포함한다. 주인공과 서술자로의 인격적 분리는, 말하기 싫고 차마 말할 수 없는 마음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하고 싶은 마음의 모순 속에서 자기 현시의 아이러니를 구현한다. 뿐만 아니라 부정의 사고과정으로 서술패턴을 이루는 비결정적 아이러니는 의식과 정신의 수준에서 이해된다. 김유정은 근본적인 불일치가 공존하는 현실과 완전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는 언어적 비극을 작가적 실존의 조건으로 예민하게 인식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언어의 아이러니에 대한 그의 감각은 〈생의 반려〉의 전반적인 서술형식에 새겨져 있다. 이로써 우리는 김유정 문학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자기반영적이고 자의식적인 현대적 스타일을 확인하게 된다. The essay is the study on the Narrative of Self-Reflection, that is Self-Gaze, in the autobiographical novel 〈Partner in the Life〉 of Kim Youjeong. And 〈Partner in the Life〉 shows the composition of irony through the pattern of dialogic form, and the irony of self-betrayal through the narrative method as a whole. Generally the narrative form of an autobiographical novel is that the narrator ‘I’ narrate his story to the reader, but the narrative type of 〈Partner in the Life〉 is exceptional. The subject of narrative and the object of narrative is not one person who has split into in time, for example empirical subject and narrated subject, but two persons individually are who separated personally, for instance the main character and narrator. This narrative feature is regarded as the form of the subject’ self-reflective writing, he is not identical subject but divisive subject. Speaking narrated patterns, self-reflective narrative is doubled with method of Mise en abyme, and self-reflective writing has become the ontological moment, like as Lacan’s self-gaze. As it were, 〈Partner in the Life〉 is called the writing in front of mirror as the form of self conscious. Speaking as the Lacan’s way, I’m looking at me, staring at me. 〈Partner in the Life〉, as self-reflective writing, has concluded irony. that is the Irony of Self-betrayal. This irony is understood to be the degree of the consciousness and the thought, that is the existing method and the thinking process. This novel’s irony has to do with the method of narrative and existing as a whole. Whether external reality or internal reality, there are coexisted constant discordance, and then contradictoriness of existence is the inevitable condition of survival. And so the author Kim Youjeong can be named ironist. We can verify this fact through his linguistic struggle in the autobiographical novel 〈Partner in the Life〉. With this, we can check on the self-conscious modern style as another feature of the his literature.

      • KCI등재

        필기체(筆記體) 자기서사(自己敍事)의 자기형상(自己形象)과 자기변명(自己辨明): 이식(李植)의 「서후잡록(敍後雜錄)」을 중심으로

        안득용 ( An Deuk-yo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4 No.-

        자기서사(自己敍事)는 자신의 존재 흔적을 남기고, 자아와 세상에 대해 증언하며, 과거의 선택을 정당화하고자 서술한다. 조선 중기를 지나며 다양한 장르로 그 영역을 확장하던 자기서사는 장르의 친연성 때문에 필기(筆記)와도 교직하여 새로운 자기서사 장르를 형성했는데, 그것이 필기체 자기서사이다. 본고는 비교적 이른 시기에 저술된 필기체 자기서사인 이식(李植)의 「서후잡록(敍後雜錄)」을 대상으로 삼아 자기형상(自己形象)과 자기변명(自己辨明)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필기체 자기서사의 서술 동기와 전개 양상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서술 동기는 단편의 자기서사보다 넓은 지면에 자신의 삶을 대별할 수 있는 사안을 기록할 수 있다는 점, 필기 장르의 특성 상 온갖 이야기를 자유롭게 기록할 수 있다는 사실, 즉 포괄성과 유연성이 가장 크게 작용했다. 아울러 동일한 주제나 유사한 사건을 하나의 기사로 묶어 서술할 수 있다는 장점 역시 필기체로 자기서사를 서술한 동기이다. 둘째, 필기는 대체로 일상의 사소한 사안에서부터 첨예한 정치적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내용을 담을 수 있다. 따라서 그 전개 양상 역시 공(公)과 사(私) 양 측면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다만 조선 중기를 지나면서 여타 자기서사와 마찬가지로 사적인 측면이 부각된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이식의 「서후잡록」은 그의 「택구거사자서(澤?居士自敍)」, 「자지속(自誌續)」 등과 함께 삼부작을 형성하고 있다. 다만 그 규모는 「서후잡록」이 압도적으로 큰데, 포괄적이면서 유연한 필기의 장르적 성격과 자기변명을 위해 다양한 이야기를 한 지면에 풀어놓은 지점에서 그 이유를 찾아야 한다. 이식의 「서후잡록」은 `고립자신(孤立自信)`과 `문예(文藝)`를 중심으로 서술되었다. 그는 이처럼 주변인, 경계인으로서의 자기형상을 왜곡 없이 정확하게 형상하기 위해 내적 정합성과 기사 간의 유기성을 적극 활용하여 철저히 자신을 변명했다. 다만 이식의 자기변명 역시 그가 서술한 여타 글이나 동일한 사안에 대해 다른 이들이 남긴 기록과 비교해 보면, 기억의 착오나 과장과 축소의 과정을 거치며 일정하게 왜곡된 사례가 있어서 서술의 사실성을 꼼꼼히 살펴보아야 했다. 이로써 보자면, 「서후잡록」이 새로운 내용·형식의 필기체 자기서사 장르를 개척했다는 점은 가치 있고, 자기서사에서 자기변명을 본격적으로 시도했다는 사실 역시 의미 있다. 다만 과도한 자기변명으로 인해 자신의 삶을 냉정하게 돌아보며 반성하는 데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보였다는 점, 그 사실성 역시 의심해 볼 법하다는 사실 등은 한계라고 할 수 있다. Self-Narratives are written for leaving existence, giving testimony of self and world, and justifying their choices. Self-narratives and miscellaneous writings made miscellaneous self-narratives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because of similarity of those genres. I studied on self-form and self-justification in Lee, Sik(李植)`s Seohujaprok(敍後雜錄) which was first miscellaneous self-narratives. This report researched self-form and self-justification in Miscellaneous self-narratives,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features. First, the describe motives of miscellaneous self-narratives had great diversity, flexibility, and organization by topic. Second, miscellaneous writings contained various contents. So there were public and private contents in miscellaneous self-narratives. But the private contents were stood out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Lee, Sik`s Seohujaprok, taekkugoesa`s jaseo(澤?居士自敍), and jajisok(自誌續) organized a trilogy. But Seohujaprok was thickest, because miscellaneous self-narratives had great diversity, flexibility. Lee, Sik`s Seohujaprok focused on the isolation and the literature. He justified his choices by making good use of inner matching and inner correlation. I knew that Lee, Sik`s self-justification was distorted by mistake of memories and exaggeration and reduction of memories. So I scrutinized his self-narratives, and compared his self-narratives with another self-narratives. To conclude, Lee, Sik`s Seohujaprok was worth, because this self-narrative developed miscellaneous self-narratives, and tried to self-justification in earnest. But there was no self-examination in this self-narrative. That is the problem in this self-narrative.

      • 「생명연습」에 나타난 ‘자기 세계’의 실존적 의미와 고백의 연행 서사

        한은주(Eun-Ju Han) 慶熙大學校 大學院 2021 高凰論集 Vol.69 No.-

        본 연구의 목적은 김승옥의 단편 「생명연습」이 주인공인 화자가 고백적 글쓰기의 방식으로 ‘자기 세계’의 형성을 시도하는 연행적 텍스트라 보고 이를 규명하는 것이다. 「생명연습」은 자아가 처한 현실의 조건과 대결하여 자기존재의 근거를 찾기 위해 연행을 실행하는 실존적 텍스트이다. 자기를 대상화하는 자기의식은 대자존재의 지위를 유지한 채 즉자존재를 경험하고자 한다. 그러한 자기상을 조성하는 자기의식 공간을 작가는 ‘자기 세계’라 명명한다. 하지만 즉자존재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타자의 시선이기 때문에 실존적 불안이 초래된다. 불안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타자가 제공하는 자기기만적인 동일성에 안주한다면 타자의 시선에 의해서 판단되고 결정되는 비주체적인 대상으로 전락한다. 이로부터 주체성의 동요와 자기상의 분열이 발생한다. 「생명연습」의 인물들은 이와 같은 모순적 상황에 직면하여 자아나 타자를 폭력적으로 소거하는 극단적인 대응방식을 통해서라도 살아남으려는 양상을 보여준다. 화자와 한교수의 ‘자기 세계’는 ‘고백’이라는 언어적 연행을 통해 작동한다. 고백은 현재의 자기라는 대자존재로서 과거의 자신이라는 즉 자존재를 구성하는 연행 서사이다. 한교수의 고백이 ‘자기 세계’를 유지하기 위한 발화적 자기 폭로라면, 화자의 고백은 ‘자기 세계’를 형성하기 위한 글쓰기이다. 화자는 유년 시절 형의 죽음으로 고착된 ‘자기 세계’의 균열을 어쩌지 못하고 유예된 상태에 머물러 있었다. 그러던 중 한교수와의 대화와 그의 고백을 통해 자신 갱신의 계기를 발견한다. 완벽한 ‘자기 세계’를 지닌 것으로 생각했던 한교수는 화자에게 은폐된 균열을 들키고 이를 수습하기 위해 과거를 고백한다. 화자는 존경하던 한교수 역시 자신과 비슷한 부류임을 발견하고 그것이 인간 실존임을 깨닫는다. 이를 계기로 감춰진 과거를 복원함으로써 현재의 자신을 설명하고 ‘자기 세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요컨대, 화자와 한교수는 서로를 타자로 발견하고 연행 서사를 통해 즉자-대자의 결합 가능성을 재확인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im Seung-Ok's short story, "Saengmyungyunseup(생명연습)" as a performance text in which the narrator, the main character, attempts to form a 'self-world' through the method of confessional writing. "Saengmyungyunseup" is an existential text that confronts the conditions of reality in which the ego is placed and executes the performance to find the basis for its existence. The self-consciousness that objectifies the self seeks to experience the existence of 'Being-in-itself' while maintaining the status of 'Being-for-itself.' The space of self-consciousness that creates such a self-image is called 'self-world.' However, existential anxiety is caused because it is the gaze of the other that provides the experience of 'Being-in-itself.' If we settle for the self-deceptive identity provided by the other in order to escape from anxiety, we fall into a non-subjective object judged and determined by the gaze of the other. This results in agitation of subjectivity and division of self-image. In the face of such contradictory situations, the characters in "Saengmyungyunseup" show the aspect of surviving even through extreme countermeasures of violently erasing the self or others. The 'self-world' of the narrator and Professor Han works through the verbal performance of confession. Confession is a narrative as performance that constitutes the self-existence of the past self as 'Being-in-itself.' If Professor Han's confession is an utterance of self-exposure to maintain 'self-world,' the narrator's confession is writing to form 'self-world.' The narrator remained in a suspended state, unable to do anything about the rift in his 'self-world' that had been fixed by the death of his older brother in childhood. In the meantime, he discovers an opportunity to renew himself through a conversation with Professor Han and his confession. Professor Han, who thought he had a perfect 'self-world,' reveals the cracks hidden by the narrator and confesses his past in order to fix it. The narrator discovers that Professor Han, whom he admires, is also of a similar person to himself and realizes that it is a human existence. By restoring the hidden past, he tries to explain himself in the present and form his 'self-world.' In other words, the narrator and Professor Han discover each other as others and reconfirm their potential as 'Being-initself'-' Being-for-itself' through the narrative as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