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결정력 향상 프로그램 적용이 경도 발달장애 중학생의 자기결정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김수진,정대영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자기결정력 향상 프로그램 적용이 경도 발달장애 중학생의 자기결정력과 자기결정 관련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설계는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설계이며, 집단 간 평점의 차이에 대한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고, 자기결정력의 사전 사후 효과를 좀 더 상세히 연구하기 위해 반구조화 면담법을 사용한 질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대상은 경도 발달장애 중학생 20명이었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인 자기결정력 향상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주 3회, 매회 50분씩 총 30회기에 걸쳐 실시되었다. 자기결정 프로그램은 Field와 Hoffman(1996)의 "자기결정 향상을 위한 5단계 프로그램"에서 제시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우리 실정에 맞게 그 활동 내용을 재구성하였고, 구성요소는 자기인식, 자신의 가치 및 존중, 계획, 실행, 결과에 대한 평가의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력 향상 프로그램의 적용은 경도 발달 장애 중학생의 자기결정력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자기결정력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도 발달장애 중학생은 자기결정 관련 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자기결정력 향상 프로그램은 경도 발달장애 중학생의 자기결정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elf-Determination Improvement Program on promoting the self-determination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il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etest-posttest trial group design. In proceeding the study, the researcher conducted a quantitative survey in which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program and then a qualitative survey in which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used to analyze in detail the pre-and post-tests of self-determination. Middle schools Students with mild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having 10 members. As a result, first, the Self-Determination Improvement Program effectively increased the self-determination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il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measurements of self-determination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were compared to find that the surveyed students' self-determination level were positively improv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Second, the Self-Determination Improvement Program effectively and positively changed the surveyed students' behaviors in relation to self-determination. In this researcher's interviews with pare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pplication, those parents responded that their children as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ild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wed positive behavioral changes in relation to self-determination whil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us, the Self-Determination Improvement Program was effective in positively changing those students' behaviors related to self-determination. In conclusion, the Self-Determination Improvement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the self-determination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ild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청소년의 자기결정력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이영미(Young Mi Lee) 한국아동복지학회 2006 한국아동복지학 Vol.- No.21

        본 연구에서의 자기결정은 실천윤리로서의 자기결정개념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장애인의 삶에 통제력을 행사하는 권리이며 사회복지개입의 성과로서 획득되는 자기결정력을 의미한다. 장애청소년들은 신체활동 범위의 제한으로 인해 사회화 습득의 장이 제한적이고 부모의 과보호로 인해 독립적인 생활을 하는데 제한을 받아 자기결정능력이 제한되기 쉽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청소년들을 위한 자기결정력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천하여 효과성을 검증해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집단프로그램의 내용은 자기탐색, 목표설정, 계획, 실행 및 조정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11명을 대상으로 총 14회기로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사후, 추후검사에서 자기결정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결과의 타당도를 높이고자 다양한 평가방법을 사용하였는데, 특수 학교 교사와 재활원의 생활교사들이 대상 학생의 자기결정력을 사전, 사후에 평가한 결과 자기결정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목표성취척도와 관찰자에 의한 관찰평가 점수를 병행한 결과에서도 자기결정력에 있어 전반적인 향상이 나타났다. Promoting self-determin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become a central part of issues in disability studies. Self-determination is important because it affects the quality of life and affects adult outcome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skill training on high school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During fourteen session, self-determination skill training program was implemented for eleven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a welfare institution. The self-determination program as the intervention in this study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self-determination learning model and `steps to self-determination` curriculum.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four steps: self-exploration, goal setting, planning, action and adjusting.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 pre and post test control group design and for the testing of effectiveness,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s Test are used. The main result is following. First, according to the Self-determination Student Scale and Self-Determination Teacher Perception Scale, improvement on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 was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self-determination program was applied. Second, two social workers collected observation data on a each session. Agreement data across observers were calculated across of the sessions.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and Self-Determination Observation Checklist showed that behaviors associated with being self-determined are increased. Third,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on the level of goal attainment after the self-determination program was applied. Findings from the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he group program to promoting self-determination had an effect on improving self-determin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dditionally, social validation data obtained from the teachers and direct care staff. The ability to self-determine is critica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nterventions to promote self-determination should be a focus of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social work.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practitioners charged with providing servic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uld develop next program, considering our cultural characteristics. Second, this group program should be applied to another social work settings.

      • KCI등재후보

        미혼모의 자기결정 증진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입에 관한 연구

        이영미,최승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5 한국가족복지학 Vol.- No.16

        Self-determination is very important concept as a practical ethics and guidelines. A cocept of self-determination is defined by competence which person can set a goal and acquire in the basis of information, skills, and self-respect of himself/herself. Teen parents are weak because of low self-repspect and negative social prejudice. So they probably have low competence of self-determ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skill training on teen parents who live in agency of teen parents.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four steps: self-exploration, goal setting, planning, action and adjusting. An self-determination skill training program (eleven session) was implemented for nine teen parents(two was dropout). The method of this study is pre and post test control group design and for the testing of effectiveness,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s Test are used. The main result is following. First, according to the Self-determination Student Scale, improvement on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 was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self-determination program was applied. Second, there was positive outcome on the satisfaction of self-determination program content and process. Findings from the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he group program to promoting self-determination had an effect on improving self-determination for teen parents. 사회복지분야에서 자기결정은 실천 윤리와 지침으로써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 결정의 개념을 자신에 대한 지식이나 기술, 자기 존중을 토대로 하여 스스로 목표를 정하고 성취해 내는 한 개인의 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 미혼모들은 낮은 자존감과 낮은 사회적 지위 등으로 취약한 사회복지 대상자이다. 또한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자기결정능력에 제한되기 쉽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미혼모 보호시설에 있는 미혼모들을 위한 자기결정력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천하여 효과성을 검증해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집단프로그램의 내용은 자기탐색, 목표설정, 계획, 실행 및 조정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9명(2명 중도탈락)을 대상으로 총 12회기로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의 자기결정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프로그램의 내용 및 운영 과정에 대한 평가에서도 긍정적인 평가 내용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평가에서도 전반적으로 프로그램에 대해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자기결정 프로그램의 적용이 자기결정력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수준과 경도정신지체 학생의 자기결정 행동 평가에 미치는 효과

        박성우,신현기 한국특수교육학회 2005 특수교육학연구 Vol.40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n parent and teacher's recognition level about self-determination program on self-determination behaviors evaluation of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n par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on self- determination and students' behaviors evaluation on self-determin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parents who received information about self-determination program demonstrated higher recognition on self-determination than the others who did not. Also, the higher recognition on self-determination they possessed the higher their students' self-determination behaviors evaluation were. Secondly, teachers who received information about self-determination program demonstrated higher recognition on self-determination than the others who did not. Also, the higher recognition on self-determination they possessed the higher their students' self-determination behaviors evaluation were. Thirdly, there were no direct correlation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on self-determination and students' self-determination behaviors. 이 연구는 자기결정 프로그램의 적용이 부모와 교사의 자기결정력에 대한 인식수준과 경도정신지체 학생들의 자기결정 행동의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은 부모들이 정보를 제공받지 못한 부모들보다 자기결정력에 대한 인식이 높으며, 경도정신지체 학생들의 자기결정 행동에 대한 평가 또한 높다. 둘째, 자기결정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은 교사들이 자기결정 프로그램에 대해 어떠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한 교사들보다 자기결정력에 대한 인식이 높으며, 경도정신지체 학생들의 자기결정 행동에 대한 평가 또한 높다. 셋째, 자기결정력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수준과 경도정신지체 학생들의 자기결정 행동 간에 직접적인 상관은 없다.

      • KCI등재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정유진 ( Yu Jin Jung ),정주영 ( Joo Young Jeo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4

        이 연구는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학생의 자기인식, 자기옹호, 목표설정, 문제해결과 비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남에 소재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정신지체 학생 2명과 같은 학교, 학년의 비장애 학생 11명을 대상으로 6주 동안, 매주 2회기씩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자기결정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정신지체 학생의 자기결정력 변화 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중재 활동을 촬영하고 분석하였으며, 비장애 학생들의 자기결정력은 학생용 자기결정 검사를 사용하여 중재 이전과 이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정신지체 학생들은 자기인식, 자기옹호, 목표설정, 문제해결 행동에 긍정적인 행동 변화를 보였고, 비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력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다. 이 같은 결과는 장애 학생과 비장애 학생이 통합교육 장면에서 보편적 학습 설계라는 원리에 근거하여 함께 자기결정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긍정적 성과를 얻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s of the self-determination program based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on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without special needs. This study was identify impacts of self-determination program based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on self-awareness, self-advocacy, goal setting, problem solving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without special need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 elementary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11 elementary students without special needs. They took part of self-determination program based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wice a week for 6weeks. For analysing results, all the activities of subjects were recorded by videotape recorder and transcribed by 2 observers, and checklist of self-determination was implemented by students without special needs.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 as. First, the self-determination program based on universal learning design had positive impacts on self-awareness of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self-advocacy, goal setting, and problem solving of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Second, the self-determination program based on universal learning design influenced the positive effect on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out special needs.

      • KCI등재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경도정신지체 학생들의 자기결정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성우 ( Sung Woo Park ),김용욱 ( Yong-wook Kim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6 No.2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program on self-determina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MM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program on self-determination and problems solving abilities of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groups were set up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cores on self-determina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test respectively were set up as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students with MMR who received self-determination instructions show higher scores on self-determination abilities than students with MMR who did not. Secondly, students with MMR who received self-determination instructions show higher scores on problem solving abilities than students with MMR who did not. Thirdly, self-determin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o problem solving abilities. That is, self-detemined studentd with MMR presented a better presented problem solving abilities.

      • KCI등재

        교과중심의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영철 ( Young Chul Lee ),신은희 ( Eun Hui Shi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0 지적장애연구 Vol.1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교과중심의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 의 자기결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에 소재한 J특수학교와 K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초등학생 5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25명씩 배치하여 연구자의 교실에서 매주 4회기씩 8주간에 걸쳐 총 32회기를 실시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교과내용(국어, 사회, 실과)을 토대로 한 `교과중심의 자기결정 프로그램`이며, 프로그램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기결정 능력 척도를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장애정도(경도, 중등도), 연령(만 10세, 11세, 12세)에 따른 차이에 대한 사후검사의 기술 통계량(평균, 표준편차)과 각 실험대상 변인들의 수준 간 평균 차이의 유의성과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고자 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과중심의 자기결정 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교과중심의 자기 결정 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능력의 하위요소(자기인식, 자기관리, 자기옹호, 선택하기, 목표설정, 문제해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urriculum-based self-determination program on the self-determination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at purpose, 25 students were sampled from each J Special School in J City and K Special School in K City by considering chronological age, intelligence, and social quotient. The 50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performed according to pretest-mediation-posttest in order and a total of 32 sessions was performed for 8 weeks by every 4 sessions a week in the researcher`s classroom of the J School for handicapped school. This study used the `curriculum-based self-determination program` based on the curriculum of the basic educational courses of the school for handicapped children for mediation. The post-test results were treated for descriptive statistics(mean and standard deviation) to examin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sability(mild and moderate) and age(10, 11, and 12), and three-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interactive effects of mean differences among the variable level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based self-determination program had positive impacts on the self-determination skills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the curriculum-based self-determination program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sub-elements of self-determination skills(self-awareness, self-management, self-advocacy, choice making, goal setting, and problem solving).

      • KCI등재

        중국 페이즈학교(培智學校) 생활적응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능력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SHAO QIAN,송현종(Hyun-Jong Song) 한국발달장애학회 2020 발달장애연구 Vol.24 No.2

        이 연구는 중국 페이즈학교 생활적응 교육과정에 기반을 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중국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능력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중국 정저우시(鄭州市)에 소재한 Z페이즈학교 고학년(중등학교 1∼3학년)의 2개 학급 26명을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적장애학생들의 자기결정능력과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측정도구는 자기결정능력검사 척도와 사회적 기술 평정 척도를 사용하였다. 중국 페이즈학교 생활적응 프로그램을 독립변인으로 하였고, 자기결정능력과 사회적 기술을 종속변인으로 하였다. 실험설계는 추후검사를 포함한 이질통제집단 사전-사후 설계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페이즈학교 생활적응 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기결정능력의 자율성에 영향을 주는 하위요소에서 ‘학교졸업 후 진로’를 제외한 기타 하위요소는 모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페이즈학교 생활적응 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적 기술 및 하위영역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중국 페이즈학교 의무교육과정표준에 기초하여 지적장애학생들을 위한 생활적응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자기결정능력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the Chinese Special Education School Life Adaptation Program and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self-determination ability and social skills of Chines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tudy was conducted on 26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in two classes of Z-Special Education High School (first to third graders of middle school) located in Zhengzhou, China.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s of application of the program on the self-determination ability and improvement of social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China, the measuring tools used the self-determination ability test scale and social technology equilibrium scale. In order to find out the research problems, the Chinese Special Education School Living Adaptation Program was designa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s for the experimental design, and self-determination ability and social skills were designated as subordinate variables.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pplied with the pre-post design method of dysentery control group including further examination. First, the Chinese Special Education School Life Adapt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determination abilit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ll other sub-components, except for after-school direction, were found to be positive, which affected the autonomy of self-determination ability. Second, the Chinese Special Education School Life Adapt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the social skills and sub-component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stablished a life adapta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n the basis of the compulsory education curriculum standard of the Chinese Special Education School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elf-determination and social skills.

      • KCI등재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중재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이옥인,박은영,신인수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for promoting self-determin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a meta-analysis. 20 articles of pre-post test in one sample were included for analysis. The overall effect size for all studies was 1.486 positive effect. The results from analysis according to categorical variables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size of published dissertation was lager than unpublished articles; Second,interventions for promoting self-determinations were greater than 1 effect size of self-efficacy, goal setting and attainment skill, a model for self-determination,steps to self-determination, others. Interventions for promoting self-determinations were less than 1 effect size of self-determination training, decision making program, self-regulation; Third, self-determination with sub-components were greater than 1 effect size of a goal setting and attainment skill, self-efficacy,self-regulation, self-awareness in order. Self-determination with sub-components were less than 1 effect size of other, problem solving, individual self-advocacy,choice-making, system self-advocacy, self-observation/self-evaluation/reinforcement;Fourth, the effect size of the type of disability was larg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physical disabilities, mental retardation, learning disabilities,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Fifth, the effect size of the type of evaluator was larger parents, participants, teachers in order. Sixth, the effect size of the type of school was larger in high, middle, elementary and transition school. And special school were more the effect size than special education class. The result of our fixed-effects regression analysis by age was that effect size was increased according to duration and mental age. More individual studies of interventions for self-determinations should be accumulating in order to generalize effects. 이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통해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중재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중재프로그램 적용 연구 중 동일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연구를 선별하는 과정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논문은 20편이었다. 연구물을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적인 효과크기는 1.486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범주형 변수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술지 미게재 논문보다 게재 학위논문의 효과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결정력에 관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크기 1이상인 프로그램 유형은 자기효능감, 목표설정 및 선택하기, 자기결정모델, 자기결정 단계, 전환교육, 자기옹호, 기타 순이었고, 효과크기 1이하인 프로그램은 자기결정 훈련, 의사결정 교수 프로그램, 자기조절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결정 하위 구성요소에 따른 효과크기가 1이상인 경우는 목표설정 및 획득, 자기효능감, 자기조절, 자기인식, 자기옹호 순이었고, 효과크기 1이하인 경우는 기타, 문제해결, 자신에 대한 자기옹호, 선택하기, 조직에 대한 자기옹호, 자기관찰, 자기평가 및 자기강화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유형에 따라 발달장애, 지체장애, 정신지체, 학습장애,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순으로 효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평정자 유형별로는 부모, 대상자, 교사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여섯째, 학교급에 따라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전공과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학급이 특수학교에 비해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속형 변수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중재기간이 길고 지능지수가 높을수록 프로그램 효과크기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경도 정신지체 청소년의 자기옹호 및 의사소통 기술 향상을 위한 자기결정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권회연,이미애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5 재활복지 Vol.19 No.3

        본 연구는 자기옹호와 의사소통 훈련을 기반으로 한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경도 정신지체 학생들의 자기결정능력과 자기옹호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일반 중학교나 고등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18명의 경도 정신지체 학생들로 그중9명은 자기결정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나머지 9명은 전형적인 언어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를 시행하기 전 연구대상 학생들과 부모를 사전면담 한 결과, 자기표현력과 자신감증진에 대한 요구가 강했기 때문에 이를 반영한 자기결정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적용하였다.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자기결정기술을 교수하기에 적합한 교수전략을 활용하고, 예비특수교사들에게 자기결정능력과 자기옹호행동의 모델을 보여주고 필요한 도움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자기결정력은 연구대상자의 부모가 평정하도록 하였다. 자기옹호행동과 의사소통 행동은프로그램 참여 과정에서 보인 대상학생의 행동을 관찰 기록하였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특수교사들과의 회의록, 연구자 성찰일지를 통해 자료를 보완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결정프로그램 적용 후 경도 정신지체 아동의 자기결정기술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면서 향상되었으며, 전체 9회기 동안 자기표현의 기회를 가지며 자기옹호 행동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program based on self-advocacy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for the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9 students attended self- determination program and the others attended typical language therapy program. Before the program, the needs of the participants and their parents were checked out. Therefore the program was formed to reflect their needs faithfully and applied carefully. Self-determination skills were evaluated by the parents of the participants. And the self-advocacy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were recorded carefully during the all session and supplemented through the conference attending the researches and preservice teachers. As a result, the self-determination program was effective on the self- determination skills and self-advocacy skills was improved for the 9 session too. Finally, discussion on the future study were presented. To generalize this study’s conclusion, the self determination programs should be lasted for long time and the participants should be various on the degree of the dis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