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1세기 자위에 근거한 무력행사의 적법성

        정경수(JUNG, Kyung Soo) 국제법평론회 2009 국제법평론 Vol.0 No.30

        무력행사법(jus ad bellum)의 현대적 부활이자 국제법의 발전의 중요 성과로 인정받는 무력행사의 일반적 금지는 21세기 중대한 도전에 직면하게 된다. 한편으로는 새로운 형태의 테러, 소위 ‘메가테러리즘’(mega-terrorism)의 부상이고, 다른 한편에서는 이에 대응하는 대테러전쟁의 전개이다. 특히 미국의 선제적군사행동론에 입각한 테러와의 전쟁이 자위권 발동의 시간적 한계와 대상범위를 이완시키거나 해체시킴으로써 무력행사금지원칙의 중대한 변경을 가져왔는가라는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미국의 선제적 군사행동론의 구체적 표현인 예방적 자위와 선제적 자위는 안전보장이사회와 회원국들의 일반적 지지를 받지 못함으로써 헌장 제51조의 자위권 행사요건에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내지 못했다. 또한 이를 뒷받침하는 국가실행이 충분하지 않고 이를 반대하는 법적 확신이 지배적인 상황에서 관련 관습 국제법이 생성되거나 부상하였다고 볼 수 없을 것이다. 자위권 행사대상 범위와 관련하여 일반적인 테러에 대한 자위권 행사를 허용하는 헌장기관의 관행 역시 확립되지 않았다. 그리고 안전보장이사회는 테러집단의 정주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자위권 행사를 명시적으로 허용한 적이 없으며, 테러집단의 테러공격에 대한 책임이 국가책임법상 정주국가에게 귀속된다고 인정하지도 않았다. 따라서 21세기 대테러전쟁을 통한 자위권 발동의 시간적 한계와 자위권 행사대상의 확대 시도는 기본적으로 20세기 후반 확립된 일반적 무력행사의 금지체계를 변경시키는데 성공하지 못했고, 그 결과 무력행사법에 관한 헌장체제의 패러다임은 여전히 지배적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20세기 후반의 자위에 관한 국제법이 21세기에도 그 근간을 유지하지만, 부분적으로는 21세기의 법 요청적 상황을 수용하여 자위의 개념이 확대되는 변화가 나타났다. 그것은 일반적인 테러와 중대한 테러를 구별하여 중대한 테러에 대해서는 자위권 행사가 인정되었는데, 이것은 자위가 비국가적 행위자에게도 적용된다는 적용대상의 확대를 낳은 것이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바는 이러한 법변화에는 안전보장이사회의 역할이 절대적이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안전보장이 사회는 1945년 헌장체제가 훼손되지 않는 한 21세기 무력행사법의 변화과정의 중심에서 그 방향을 지배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hibition of the use of force, which is recognized as a modern restoration of jus ad bellum and a significant achievement in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law, faces new challenges in the 21st century. While it is challenged by the rise of a new form of terror or a rise of ‘Mega-terrorism’, it is also challenged by military countermeasures against terrorism. In particular, it gives rise to serious controversy on whether America’s preemptive military action doctrine is bringing considerable changes in the principle of the non-use of force by dissolving the conditions necessary to exercise self-defence such as time frame and the scope of target. The unilateral initiatives and acts of the United States, which has tried to legalize anticipatory/pre-emptive self-defence, have not generally supported by the UN Security Council and the Member countries, so that in effect they did not lower the criteria for justifying self-defence under Article 51 of the Charter. Moreover, it is difficult to claim that such acts are supported under customary international law for it lacks sufficient state practice and opinio juris, considering that most states are against it. Regarding the scope of application for self-defence, there has been no general practice under the UN Charter which permits the act of self-defence against terrorists. Furthermore, th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have not expressly authorized the right to self-defence against nations where terrorist organizations reside in, and it has not even found that acts of terrorists are attributable to the state. Therefore, the attempt to fight against terrorism in the 21st century by lowering the criteria for exercising self-defence, in terms of the time frame and the scope of target, has failed to transform the general criteria established in the late 20th century for the principle of the non-use of force. As a result,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urrent principle enshrined in the UN Charter for the non-use of force is still dominant today. The law on the use of force established in the late 20th century has formed a fundamental basis for international law in the 21st century. However, the concept of self-defence has changed its scope of definition to accommodate contemporary situations in the new legal order. There is a distinction between serious and general forms of terrorism in that the right to self-defence was only recognized for serious acts of terrorism, and not for general acts of terrorism. It was a result of the tendency to expand the scope of application by including non-state actors as new actors of international law. It is worth noting that the UN Security Council played a crucial role in making such changes in the legal framework. Therefore, unless the 1945 Charter-based system is dismantled, it can be expected that the UN Security Council will be a dominant actor in guiding the evolutionary developments in the context of the principle of the non-use of force.

      • 국제법상 무력사용금지의 원칙과 그 예외에 관한 고찰 : 대 이라크전에 있어서 미국의 무력사용에 대한 적법성 논의를 중심으로

        김부찬(Boo-Chan Kim) 大韓赤十字社 人道法硏究所 2006 人道法論叢 Vol.- No.26

        UN 헌장 제2조 4항에 규정되고 있는 ‘무력사용 금지의 원칙’과 그 예외에 대하여 UN 헌장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특히 이를 2003년에 발생한 대 이라크 전에 있어서 미국 무력사용의 적법성과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무력사용금지의 원칙’에 대한 예외에 대해서는 우선 헌장에 명시되고 있는 제7장의 ‘집단적 안전보장제도’와 제51조의 ‘자위권’(예방적 자위를 포함)의 관점은 물론 ‘인도적 간섭’ 또는 ‘민주적 간섭’과 ‘자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간섭’ 등 헌장외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정당화 근거들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무력사용 금지의 원칙’이 국제법상 강행규범으로서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전의 유지에 커다란 역할을 수행해 왔기 때문에 그 예외의 인정은 최소한의 범주로 제한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2003년 발생한 미국 주도 다국적군의 이라크에 대한 무력사용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현행 국제법상 미국이 당초 주장했던 ‘예방적 자위권’에 근거한 경우는 물론 최종적으로 미국이 국제법상 무력사용의 적법성에 대한 근거로 내세운 “무력사용에 대한 UN 안보리의 허용” 여부에 관해서 검토한 결과 그 적법성이나 정당성을 인정하는 데는 문제가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그리고 ‘인도적 간섭’ 이나 ‘민주적 간섭’ 또는 ‘테러리즘에 대한 자위’ 등 여타의 근거도 미국의 무력사용을 정당화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고 본다. 미국이 주장하는 적법성 논거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헌장 제2조 4항과 제51조의 시행과 관련된 안보리의 주도적인 역할과 권한을 도외시하고 미국의 일방적인 판단에 따라 자위권이 행사되거나 안보리 제 결의의 해석 및 그 효력에 대한 최종적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면, ‘무력사용금지의 원칙’을 규정하고 있는 헌장 제2조 4항은 더 이상 규범력과 실효성을 가질 수 없게 되고 국제법의 위상에 치명적인 훼손이 가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오늘날 국제사회에서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민주적이며 효과적인 ‘글로벌 거버넌스’를 위하여 ‘국제적 법치주의’를 제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국제법의 위상 제고와 UN과 같은 국제기구의 권한 및 역할 강화가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법의 정립 및 집행 기관으로서 UN의 역할이 한층 더 강화될 수 있도록 하지 않으면 안 된다. UN의 재건 및 위상 강화가 국제사회가 법적 공동체로 거듭나기 위한 필요조건이 아닐 수 없다. The central rule on the use of force, the prohibition of the threat and use of force contained in Article 2(4) of the UN Charter, is currently the subject of debate. Although there is no comparable and precise agreement on the exact scope of the prohibition, most States and scholars generally agree that the principle of non-use of force is not only treaty and customary law but also jus cogens. The current debate centered on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2(4). Scholars of restrictive reading argue that Article 2(4) reflected existing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nd States may invoke the customary law in order to justify their use of force in addition to the exceptions to the prohibition of use of force contained in the Charter. On the contrary, scholars of expansive reading assert that Article 2(4) was a radical departures from previous customary law, and it should be construed as a strict prohibition on all use of force except the justifications such as military sanction on the basis of Security Council Resolution and the right of self-defence expressly admitted in Articles 42 and 51. One exception to the principle of non-use of force in Article 2(4) is the use of force on the basis of Article 42. UN Security Council may utilize or authorize the use of force under Article 42. The aim of the drafters of the UN Charter was not only to prohibit the unilateral use of force by States in Article 2(4) but also to centralize the control of the use of force in the Security Council under Chapter 7. The system of maintaining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by the active role of Security Council is so called 'collective security system.' Another exception to the prohibition of use of force is the use of force on the basis of the right of self-defence in accordance with Article 51. The law on self-defence becomes, however, the subject of the most fundamental disagreement between States and between scholars. The divisions over the scope of the right of self-defence, especially to whether 'anticipatory or preemptive self-defence' and 'self-defence to protect its nationals' are lawful, are much discussed and date back to the creation of the UN. Although some scholars argue that at the time of the conclusion of the UN Charter there was a wide right of self-defence under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llowing the protection of nationals and preemptive self-defence. At present, many scholars, however, argue that the meaning of Article 51 is clear; the right of self-defence arises only if an armed attack occurs, and 'self-defence to protect its nationals' or 'preemptive self-defence' may not be justified. At times, some scholars argue that use of force could be justified on the basis of non-Charter justifications such as 'intervention to protect its nationals,' 'humanitarian intervention' or 'pro-democratic intervention,' though, these non-Charter justifications would be irrelevant to the extent that the existing law of non-use of force still remains. In March 2003, coalition forces led by the United States invaded Iraq. At first, as the basis for the invasion of Iraq under international law, considerable attention was paid to the doctrine of 'preemptive self-defence' expressed by the Bush Administration in its September 2002 report to the Congress on national security and the legal theory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But, ultimately, when explaining the legal basis for its action against Iraq, the United States did not assert that the invasion of Iraq was permissible under international law due to an evolved 'right of preemptive self-defence.' Rather, the United States asserted that the invasion was lawful because use of force in war against Iraq was exercised on the basis of the authorization made by the Security Council Resolution 678, reaffirmed by the Resolutions 687 and 1441.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e legal theory and basis actually asserted by the United States is not persuasive. First, the strategy of preemp

      • 武力攻擊의 槪念 變化와 自衛權에 대한 再解釋

        김찬규(Charn-Kiu Kim) 大韓赤十字社 人道法硏究所 2009 人道法論叢 Vol.- No.29

        집단적 안전보장 체제로서의 UN은 무력사용을 일반적으로 금지하되 자위권의 행사와 집단적 제재의 경우에만 그것을 허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자위권 행사가 UN 체제하에서 예외의 경우에 해당한다는 점 및 자위권 행사라는 미명하에 역사상 수많은 악행이 자행되어 왔다는 경험으로 해서 UN 창설 초기에는 자위권에 관한 규정인 헌장 제51조를 엄격히 해석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드높았다. 그리하여 UN 헌장 제51조 하에서 자위권 발동의 요건으로 돼 있는 “무력공격이 발생하는 경우”라는 기준 중 “경우”(if)란 말을 “경우, 그리고 경우에 한해서”(if and only if)라고 해석해야 한다는 의견이 압도적이었다. 헌장 제51조의 “경우”란 말을 “경우, 그리고 경우에 한해서”라고 해석하면 자위권의 행사는 무력공격이 발생한 “후”가 아니면 안 되고, 또한 자위권의 행시는 “무력공격”이 있는 경우가 아니면 안 된다는 해석이 나온다. 하지만 UN 헌장 발효 직후에도 이 같은 해석에 이의를 제기한 학자들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헌장 제51조가 무력공격의 가능성을 앞질러 제거해 버리겠다는 예방적 자위(preventive self-defence)까지 인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무력공격의 급박한 위협에 대한 대응”으로서의 선제적 자위(anticipatory self-defence)는 인정하고 있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었다. 이에 대한 유권적 해석이 나온 것은 1986년 6월 27일의 국제사법재판소 판결을 통해서였다. Nicaragua case에서 동 재판소가 현 국제법상 자위권에 대해서는 헌장 제51조의 규정과 관습국제법상의 규정이 공존하고 있으며 전자가 후자를 “포섭해 대신하는”(subsumes and supervenes)것이 아니라고 한 데서 그것을 보게 된다. Nicaragua case에서 재판소는 헌장상 선제적 자위가 인정되고 있는가의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나 이것이 재판 청구 사항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판단을 유보했다. 동일한 사정은 Case Concerning Armed Activities on the Territory of the Congo(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v. Uganda)에 대한 2005년 12월 19일의 국제사법재판소 판결에서도 발견된다. 하지만 Nicaragua case에서 재판소가 자위권에 대해서는 헌장 제51조의 규정과 관습국제법 상의 규정이 공존하고 있으며 전자가 후자를 포섭해 대신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고 있기 때문에 UN 헌장 하에서도 선제적 자위가 존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관습 국제법 하에서는 선제적 자위가 인정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선제적 자위에 관한 문제는 대량살상 무기 등 새로운 전쟁 수단의 등장 및 그 운반수단의 혁신으로 실질적으로 무의미한 것으로 되었다는 측면이 있다. 예컨대, 핵탄두가 달린 대륙간 탄도유도탄(ICBM)의 경우를 생각할 때, 그것이 피공격국의 상공에서 폭발할 때가 무력공격의 시기(始期)가 아님이 확실하기 때문이다. 과거 소련 시대에 우랄산맥 깊숙한 곳의 사일로(silo)에서 발사된 ICBM이 미국 심장부까지 도달하는 데는 약 30분 전후의 시간이 소요된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이때 소련에서 발사된 핵탄두 부착 ICBM이 미국의 주요 도시 상공에서 폭발해야 무력공격이 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그렇다면 발사 버튼을 눌렀을 때가 무력공격의 개시 시간인가, ICBM이 베링해협을 지나 알래스카 상공에 들어 왔을 때가 무력공격의 시기(始期)인가 하는 문제가 있긴 하지만, 어쨌든 그것이 미국 주요 도시의 상공에서 폭발해야 무력공격이 일어났다고 보지 않게 되었음은 분명하다. 이것은 과학기술의 발전에 의해 무력공격의 개념이 달라졌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동시에 선제적 자위에 관한 평가도 달라졌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The present article consists of five chapters - an introduction, the meaning of Article 51 of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Article 51 of the Charter and the anticipatory self-defence, on armed attack(where in three subdivisions are also included, namely the meaning of armed attack, accumulation of events theory and incipient time of armed attack), and the conclusion. In Introduction, the present writer tried to clarify the reason why he had chosen the title, the Changing Concept of Armed Attack and Its Impact on the Law of Self-Defence, and the way how to develop the contents is also explained. The intention of the present writer in selecting the title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the changing concept of armed attack and its impact on the law of self-defence. In so doing, the present writer has traced the innovation of weapon system and the means of delivery. Second chapter deals with the meaning of Article 51 of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Immediately after the coming into force of the Charter, two opposing view emerged around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51. One school sticks to the narrow and strict view, namely the word "if" in the article should be interpreted meaning as "if and only if". If this view is accepted the article should be understood as excluding the anticipatory self-defence. The other school takes the liberal view, that is the article recognizes the anticipatory self-defence. Third Chapter examines evidence discernible in Article 51. In that relation the present article examines carefully the judgment delivered by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in the Nicaragua case. Fourth Chapter inquires into the meaning of the armed attack In the course of it the present article explores in detail the accumulation of events theory and incipient time of armed attack.

      • KCI등재

        UN헌장 제51조상의‘무력공격’에 이르지 않는 소규모 적대행위에 대한 무력대응 가능성과 그 국제법적 한계 -‘부대자위권’의 개념정립을 위한 시론 -

        안준형(Ahn Junhyeong) 대한국제법학회 2019 國際法學會論叢 Vol.64 No.4

        2010년 3월 천안함 피격사건과 동년 11월 발생한 연평도 포격사건은 한반도에서 북한의 군사도발이 발생할 경우 국제법상의 자위권 행사 가능성과 그 구체적 범위에 관한 논의를 촉발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 사건들에서는 북한의 도발 자체가 자위권 행사의 대상인 ‘무력공격’에 해당한다는 점에 대하여 별다른 이의가 제기되지 않았다. 그러나 한반도에서 주기적으로 반복되고 있는 북한의 소규모 기습도발에 대해서도 이상의 논의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된다. 국제사법재판소는 1986년의 Nicaragua case에서 자위권 행사의 전제가 되는 무력공격 요건에 일정한 임계점을 설정함으로써, 규모와 효과 면에서 일정한 중대성을 충족하지 못하는 소규모 적대행위에 대해서는 UN헌장 제51조의 자위권 행사가 허용되지 않는다고 설시한 바 있기 때문이다. 특히 ICJ가 중대성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대표적 사례로 제시한 ‘단순 국경충돌’은 통상적인 북한의 무력도발 유형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그와 같은 소규모 적대행위에 대해서는 피해국에게 있어 사실상 어떠한 무력대응도 허용되지 않는 것인지 의문이 제기될 수밖에 없게 된다. 그동안 국내에서 이루어진 자위권에 관한 논의는 주로 천안함 피격사건과 연평도 포격사건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그 범위는 주로 ‘국가자위’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따라서 남북간의 군사적 대치 국면에서 주로 비무장지대나 북방한계선에서 이루어지는 소규모 국경충돌 시 원용 가능한 소위 ‘부대자위’에 관한 논의는 좀처럼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부대 차원에서 일선 부대 지휘관이 공격을 받았을 때 구체적으로 언제, 어떠한 방식으로, 어느 범위까지 대응 가능한지를 가늠하기 위해서는 국제법상 부대자위권의 법적 근거와 그 한계가 명확히 해명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국가들의 법적 확신을 보여주는 교전규칙을 바탕으로, 부대자위권 역시 UN 헌장 제51조에 따른 국가자위권의 하위 범주에 속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논의는 유엔 헌장 제51조에 따른 무력공격의 중대성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소규모 적대행위에 대한 무력대응의 법적 기초와 그 한계를 좀 더 명확히 하는 데 유용한 이론적·실천적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inking of ROKS(Republic of Korea Ship) Cheonan in March 2010 and the shelling of Yeonpyeong‐island in November of the same year provided an opportunity to discuss the possibility and specific scope of self-defence under international law in the event of a North Korean military provo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se cases, little objection was raised that North Korea’s provocation itself was an ‘armed attack’, subject to self-defence. However, it is questioned whether the above discussion can be applied to North Korea’s repeated small‐scale surprise provoca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1986 Nicaragua case), only those attacks that meet an undefined ‘scale and effects’ threshold trigger the right of national self-defence. In particular, the “mere frontier incident” presented by the ICJ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failure to meet gravity requirements is a normal type of North Korean armed provocation. In that respect, for such small‐scale hostilities, questions are raised as to whether virtually no armed response is allowed for the affected country. In the meantime, the scope was mainly focused on national self-defence in that the discussion on right of self-defence in Korea has mainly targeted the sinking of ROKS Cheonan case and the Yeonpyeong‐island shelling case. Therefore, in the military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Koreas, it is true that it is hard to find a debate about so‐called “unit self-defence” that can be used in small‐scale border collisions, mostly in the Demilitarized Zone or the Northern Limit Line. To determine when, in what way, and to what extent, when a frontline unit commander is attacked at the unit level, under international law, the legal basis and limitations of the right of unit self-defence will need to be elucidated. In this paper, based on the rules of engagement that show the opinio juris of countries, it is concluded that the right of unit self-defence is a subset of the right of national self-defence under Article 51 of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Such discussions could be useful theoretical and practical tools to clarify the legal basis and limitations of armed responses to small scale hostilities that do not meet the gravity requirements of armed attack under Article 51 of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 KCI등재

        유엔 헌장상의 자위권 규정 재검토 ― 천안함사건에서 한국의 무력대응과 관련해서 ―

        제성호 서울국제법연구원 2010 서울국제법연구 Vol.17 No.1

        Article 51 of the United Nations Charter has acknowledged the right of self-defence as an inherent right of a state if an armed attack occurs against that state. However, a right of self-defence is not clear in the scope of its application. Some scholars argue that the relevant article of the United Nations Charter limits the scope of the right of the self-defence recognized under the customary international law, but it is difficult to agree with the view in light of the judgment delivered by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in the 1986 Nicaragua case. Today, even under the UN Charter system, the right of anticipatory self-defense should be admitted at least in case of a nuclear attack with the strict conditions. Otherwise, the attacked state which lose defence capabilities due to such an unexpected nuclear attack could not make counter-strike against the attacking state. However, it is difficult to accept the legal justification of a military response of a state to terrorist attacks as self-defence based on “a pattern of attacks” argument. Meanwhile, the act of sinking Cheonanham (Cheonan vessel) by the North Korean torpedo attack could constitute an armed attack provided for Article 51 of the Charter. Notwithstanding the fact, it's inappropriate for South Korea to exercise a right of self-defence in the present case. That's why the sinking is a by-gone blow. The use of force of a punitive nature ex post facto should be regarded as armed reprisal or military retorsion rather than a legitimate exercise of self-defence. Such an armed response is not allow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peaceful settlement of international disputes under Article 2 Paragraph 3 of the United Nations Charter. Of course, it's exceptional in cases where UN Security Council authorizes the use of force expressly or implicitly. But it may be hard for us to expect the authorization of the UN Security Counci in the Cheonanham case. Therefore, it is reasonable for South Korea to submit the case to the UN Security Council in close cooperation with the countries concerned and seek a peaceful solution by taking advantage of the United Nations' mechanism.

      • KCI등재

        정당방위의 ‘상당성’에 대한 고찰

        김슬기(Kim Seul ki)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圓光法學 Vol.33 No.2

        최근의 정당방위 기준과 관련한 논란은 위법성이 조각되는 정당방위(형법 제21조 제1항)와 형이 임의적으로 감면되는 과잉방위(형법 제21조 제2항), 처벌되지 않는 과잉방위(형법 제21조 제3항) 및 위법성이 그대로 인정되는 범죄행위의 구별에 관한 기준을 모색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우선, 정당방위가 인정되기 위해서는 사회적 타당성의 관점에서 최소한의 법익 균형성과 수단 및 방법 선택에 관한 침해의 상당성이 인정되어야 한다. 이 때 불법한 공권력 행사에 의한 침해, 사적 공간인 주거 침입을 수반한 침해 등의 경우에는 상황적 특수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상당성이 인정되지 않는다면 다음으로는 책임을 소멸시킬 정도의 불안, 공포 등으로 기대가능성이 인정될 수 없는 상황인지 검토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도에 이르지 않는 경우에도 책임이 감경되고 일정한 정책적 판단에 따라 형의 감경 또는 면제가 인정될 수 있는 사안인지 판단하여야 한다. 대표적으로 가정폭력이나 학대 등의 지속적 침해와 지휘, 감독 관계에 있는 자에 의한 침해 등에 대해서는 방위자의 특수한 심리상태가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단계적 검토 없이 ‘사회통념상 용인될 수 없어 정당방위나 과잉방위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식의 판단은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The latest issue regarding the legal standards of Self-Defence raises the need to identify the criteria for dividing ‘Self-defence(Criminal Act Article 21(1))’ which can be justified, ‘Excessive Self-Defence(Criminal Act Article 21(2))’ which can be mitigated arbitrarily and ‘Excessive Self-Defence(Criminal Act Article 21(3))’ which shall not be punishable. Firstly, in order to be recognized as Self-Defence, there should be minimum balance of legal interests which is socially valid and reasonable infringement on the choice of menas and methods. In judging these issues, some particular aspects need to be reflected in certain situations, such as violations of illegal use of governmental authority, violations from burglary and such. If such reasonableness is not recognized, then the concerned circumstance should be examined whether fair expectability of legal conduct cannot be acknowledgeable because of anxiety or fear amount to exempting responsibility. However, if this is not feasibl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exemption of responsibility and mitigation or remission of sentence would be acceptabl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n a certain policy. In particular, special psychological state is concerned in a case of repeated domestic violence.

      • KCI등재후보

        김정일의 방어기제와 상징전략

        차승만 한국보훈학회 2012 한국보훈논총 Vol.11 No.4

        The works for the equalization of Kim Jong Il = Kim Il Sung had been reinforced all the more to imprint Kim Il Sung as the founder of self-reliance theory, Kim Jong Il as the embodier of self-reliance theory for the purpose of fixation of the past hereditary composition of Kim Jong Il in North Korea. The agitation or change of self-reliance theory means the collapse of not only myth of Kim Il Sung but also the collapse of the system of Kim Jong Il it self from the view point of North Korea. Accordingly the authority of North Korea has no alternative but devote all their energy to the symbolic strategy for the purpose of sticking to the self-reliance theory. Especially seen from the functional relation between the system of Kim Jong Il and the self-reliance theory, it would not be wrong to say that in fact, the political power of Kim Jong Il depends on completely how the self-reliance theory as the base of justification is maintained. The construction of political image to the effect that Kim IlSung that is to say is Kim Jong Il with the self-reliance theory as the center plays a key role in maintaining the system of Kim Jong Il. Accordingly the strategy of symbol to build the system of Kim Jong Il in North Korea devoting all of their energy in the composition works of Kim Il Sung and Kim Jong Il appeared successful once. In the policy of symbol, by the way, to accomplish the target originally intended, the practical base capable of justifying the logic in their way should be prepared. Even in case of a plausible strategy of symbol, if the fictiveness is as much as strong, the adverse effect would appear by the internal contradiction within themselves finally. The strategy of symbol indeed for the purpose of hereditary succession of Kim Jong Il based on the unreasonable fiction called self-reliance theory; rather the unintended result as the major characteristic of symbol policy owing to the high degree of manipulation so to speak, there would be a big possibility to be confronted with the crisis of counteraction inevitably. In this study, laying emphasis on the enhancement of symbol fabrication with the self-reliance theory as the center in the dark side of creation of political power structure connected from Kim Il Sung to Kim Jong Il in North Korea, the adverse effect to be generated from the distortion in the symbol manipulation in connection with the possibility of collapse of political power structure in North Korea has been investigated. In its course, what kind of political symbol has been used as well has been analyzed. We could know that Kim Jong Il had the command of the utilization of leadership, the metaphorical strategy of symbol saying Kim Il Sung = Kim Jong Il, the strategy of myth creation, the counteractive strategy of symbol. The political strategy of symbol, by the way, such as the strategy of symbol seen in the metaphor of Kim Il Sung = Kim Jong Il, etc. is shown with the big possibility of failure. Anyway, to use the strategy of symbol for the system of North Korea is because there is an effect to be produced by the symbol. Namely, it may be concluded because the symbol plays a role to conceal the truth at the same time gives the psychosocial satisfaction to the people. 과거 북한 김정일의 세습구도 정착화를 위해 김일성은 주체사상의 창시자, 김정일은 그 구현자로 각인시키기 위한 김정일=김일성 등식화 작업이 일층 강화시켰다. 따라서 김일성-김정일 합성화 사업에 총력을 기울여 온 북한의 김정일 체제 구축을 위한 상징전략이 일단 성공하였다고 하겠다. 그런데 상징정책도 본래 의도한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그 나름대로의 논리가 정당화될 수 있는 현실적 근거가 마련되어야 하다. 따라서 어떤 그럴듯한 상징전략일지라도 그 허구성이 강하면 강한 만큼 종국에 가서는 그 자체내의 모순에 의해 역기능을 드러낼 것이다. 주체사상이라는 터무니없는 허구에다 기반을 둔 김정일 세습을 위한 상징전략이야말로 그 조작성의 고도화로 인해 오히려 상징정책의 주요한 특성인 의도되지 않은 결과, 즉 반작용의 위기를 필연적으로 맞게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에서 김일성=김정일로 이어지는 권력구조의 창출 이면에는 주체사상을 중심에 둔 고도의 상징조작이 작용했다는 점을 중시하고, 상징조작에서의 왜곡성이 초래 할 역기능을 북한의 권력구조의 붕괴가능성과 관련시켜 검토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떠한 정치적 상징을 이용했는지를 분석하였다. 김정일은 리더십 활용상징전략, 김일성=김정일 은유상징전략, 신화창조전략, 대응상징전략을 구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김일성=김정일 은유에서 보여 지는 상징전략 등 정치상징전략은 실패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여 진다. 여하간 북한 체제를 위해 상징전략을 사용하는 것은 상징이 가져다주는 효과 때문이다. 즉 상징은 진실을 은폐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사람들에게 심리사회적 만족을 주기 때문이라는 결론을 내릴수 있다.

      • KCI등재후보

        천안함 피격사건과 자위권 행사

        이병오(LEE Byung Oh) 국제법평론회 2010 국제법평론 Vol.0 No.32

        지난 3월 26일 우리나라는 북한의 공격에 의한 ‘천안함 피격사건’이라는 참상을 경험하였고, 이를 계기로 향후 유사한 도발사건의 발생시 우리나라가 취할 수 있는 국제법적 정당한 자위권은 무엇인가에 관한 의문이 환기되었다. 왜냐하면, 이러한 자위권은 국제평화주의와 무력행사금지원칙의 유일한 예외로서 오늘날 특정 국가가 타국에 대하여 행사할 수 있는 일방적 무력행사에 관한 유일한 국제법적 정당화 요소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행 자위권은 발동요건으로서 유엔헌장 제51조의 ‘무력공격’의 존재와 그 내재적 한계로서 관습법과 판례가 인정하는 ‘필요성’, ‘비례성’ 및 ‘긴급성’이 요구되므로, 정규군이 행사하는 상당한 정도의 무력공격이 발생한 경우 즉각적으로 이를 격퇴할 수 있는 것이 무력대응일 수밖에 없는 때 그러한 대응의 목적과 정당히 비례할 정도로 이루어지는 무력을 행사할 권리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입장에서 천안함 피격행위 당시에는 북한의 명백한 불법적 무력공격에 대하여 이를 격퇴하는데 무력대응을 할 수 있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나, 적어도 북한의 실질적 공격행위가 종료한 시점 이후에는 ‘필요성’이나 ‘긴급성’이 요구된다고 할 수 없음으로, 아무리 ‘정당화될 수 있는 지연’(justifiable delay)의 논리가 적용된다고 하더라도 합동조사단의 발표시점 이후나 현시점에서의 자위권을 행사는 불가할 것이다. 예방적 자위권의 개념은 유엔헌장 제51조의 해석과는 무리가 있으나, 자연권이라는 본질적 속성상 제한적으로 인정된다고 보아야 하며, 이러한 입장에서 차후 북한의 중대한 군사적 도발이 예상되고 그 무력공격 위협의 압도적 중대성 및 급박성이 인정된다면 이를 효과적으로 저지하기 위한 비례적인 무력대응이 가능할 것이고, 이 경우 ‘누적적 사건론’에 따른 공격의 현재성을 인용할 수 없지만, 그 논리에 따른 공격의 예상 증명이 용이할 것이므로 예방적 자위를 판단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한편, 자위권 내지 예방적 자위권의 행사가 국제법적으로 합법적이지 않더라도 반드시 그 자위 결과가 정당화될 수 없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즉, 실질적으로 북한에 대한 무력대응시 국제공동체 내지 유엔을 위한 설득력 있는 증거를 철저히 수집ㆍ제시하고 결과적으로 그러한 대응이 북한의 군사적 도발위협에 비례한 정도로 효율적으로 행하여지고, 그러한 위협요소만을 제거하는데 국한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면 국제공동체의 비난 가능성을 줄이고 우리의 정당방위에 대한 불가피성을 통해 실질적으로 면책받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기 때문이다. Republic of Korea underwent a disastrous attack on its naval warship ‘Cheonan’ by North Korea on the 26th of March, which have aroused questions regarding self-defense rights under International law our nation could exercise in similar situations. The right of self-defense is the sole exception to the prohibition on the use of force and in the era of international peace, and a unilateral use of force by a state can only be justified by it. The right of self-defense is exercised by the UN Charter Article 51, by the existence of an ‘armed attack’, and also ’necessity’ and 'proportionality' is required as an immanent limit by customary law and case law. If an armed attack by the size of a near regular military forces occurs, a possible immediate response can only be by way of force, and this kind of use of force exercised within its object to respond and in proportion is called the right of use of force. According to this perspective, a definite illegal armed attack by North Korean on our Cheonan warship calls for an for an armed response. However, after the actual attack of the North Koreans, the ‘necessity’ and ‘urgency’ cannot be required and even though the theory of 'justifiable delay' is applied, the right of self-defense cannot be exercised after the report of the co-investigation. The concept of anticipatory self-defense cannot be derived by interpreting the UN Charter Article 51, but it can be acknowledged restrictively by the right of natural law. By this perspective when a serious armed provocation is anticipated and if its seriousness and urgency is acknowledged, a proportionate armed response could be exercised to effectively block it. In this case, the presence of an attack by 'the theory of accumulation of cases' cannot be quoted but a anticipated verification of an attack is re levant by this theory and can be effective in judging anticipatory self-defense. However, even though the exercise of self-defense or anticipatory self-defense is not legitimate under international law, the exercise of self-defense can be justified. By collecting and presenting persuasive evidence to the international society and the UN in the case of armed response to North Korea showing that the response was proportionate and restricted to eliminating armed threat, and receives such evaluation, our self-defense could be actually justified and be exempt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 KCI등재후보

        불법행위법상의 정당방위

        김천수(Kim Cheonsoo),임종수(Lim Jong Soo) 한국법학원 2011 저스티스 Vol.- No.122

        이 논문은 정당방위에 대한 민법 제761조의 해석론을 전개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국내외 관련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쟁점들을 상세하게 언급하였다. 먼저 주요 용어는 정당방위의 대상행위인 가해행위의 행위자를 ‘가해자’로, 그의 불법행위를 ‘가해행위’로, 이익을 방위하는 자와 그의 행위는 ‘방위자’와 ‘방위행위’로, 방위행위로 보호되는 이익의 주체가 방위자가 아닌 다른 사람인 경우에 그 사람은 법문 표현대로 ‘제3자’로, 단서의 “피해자”는 ‘제3의 피해자’로 표현하였다. 논의의 체계를 크게 요건론과 효과론으로 구분하였고, 요건론은 다시 세 요건으로 구분하여 ‘가해행위’에 관한 논의, ‘방위행위’에 관한 논의, ‘부득이한 상황’에 관한 논의로 나누었다. ‘가해행위’에 관하여는 그 유책성, 위법성, 직접성 등을 언급하였다. ‘방위행위’에 관하여는 방위의 의사와 방위 이익의 내용과 주체, 관련 이익의 균형성 및 방위의 시기와 수단을 다루었다. ‘부득이한 상황’에 관하여는 방위행위의 시간적 불가피성, 단계적 불가피성(후퇴의무를 포함)과 함께 방위권 남용을 논의하였고, 요건론에서 그밖에 도발된 가해행위에 대한 방위와 요건에 대한 입증문제를 언급하였다. 효과론은 방위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의 귀속에 관하여 가해자와 방위자의 관계와 제3의 피해자와 방위자의 관계로 나누어 기술하였고, 제3의 피해자에 대한 가해자의 책임을 언급하였으며, 요건 미비의 방위행위에 대한 방위자의 책임이라는 관점에서 오상방위와 과잉방위를 논의하였다. 그리고 관련 쟁점에서 학생체벌 문제를 각주에 언급하였다. This paper is aiming at the detailed analysis of Section 761 of Korean Civil Code, that is ruling the self-defence and the defense of others. Its main part could be divided into the two areas including requirements and effects of the self-defence and the defense of others. When the person defending his own interests and the others' interests is asked to compensate for the damages caused in the course of the protection, he or she could have a defence if he or she would establish and prove the requirements for the defence including the existence or threat of the unlawful attack from the plaintiff or others, his or her intention of protection of the interests, the proportionality between the interests of plaintiffs and defendants, the necessity and inevitability of taking the method for the protection, and the on-going threat to the interests of the defendant or the others. If the defendant in tort liability action would succeed in establishing and proving such requirements, his or her could be exempt from the liability for the damage inflicted to the plaintiff. There are some critical issues related with the corporal punishment by a teacher in school. They include the issues of whether the punished student's attack directly aiming at the infringement of the teacher's right to teach or the students' right to learn or not, whether the teacher had the intention of protection of the interests or not, whether the value in the interests of the teacher or the other students precede the value in the interests of the personal rights damaged by the corporal punishment.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 teacher's liability could be excluded through the self-defence or the defence of others if he or she punished the students corporally only for the education or retaliation of the students, or if the corporal punishment was put on the students who ended their wrongdoing completely, and so on.

      • KCI등재

        초등학생들의 택견 수련동기와 참여수준 및 수련만족도의 관계

        김영만(Young Man Kim),오세이(Sei Yi Oh) 한국사회체육학회 2009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37

        This study aimed to seek the effect of taekkyon training motivation to training satisfaction of elementary students. and to afford basic data helping taekkyon training for the trainers.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in the comparison of training motivation per gender, intellectual and perceptive motivation shows statistically meaningful gap. However, training satisfaction didn`t show meaningful gap among the all groups. Second, in the comparison of training motivation per academic years, social and perceptive motivation didn`t show meaningful gap. However, intellectual motivation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gap. And in the comparison of self-satisfaction, self-defence satisfaction, technical acquisition satisfaction, and mental satisfaction didn`t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gap. However physical satisfaction shows statistically meaningful gap. Third, in the comparison of perception per experience level, intellectual and social motivation didn`t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gap. However, perceptive motivation shows statistically meaningful gap. And in the comparison of self-satisfaction, physical satisfaction didn`t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gap. However self-defence satisfaction, technical acquisition satisfaction and mental satisfaction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gap. Fourth, in the comparison of training motivation per training period, perceptive motivation and mental satisfaction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gap. However, intellectual and social motivation didn`t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gap, but perceptive motivation shows statistically meaningful gap. And in the comparison of self-satisfaction, self-defence satisfaction, technical acquisition satisfaction, and physical satisfaction didn`t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gap. However mental satisfaction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gap. Fifth, in the comparison of training motivation and training satisfaction on Taekkyon per participation rate, the participation level and period didn`t effect on training motivation and satisfaction. Sixth, in the result of analysis of training motivation influence on training satisfaction, perceptive motivation among the self-defence satisfaction variables, intellectual motivation, social motivation, perceptive motivation among the technical learning satisfaction variables and intellectual motivation, perceptive motivation among the physical satisfaction variables, intellectual motivation, social motivation, perceptive motivation among the mental satisfaction variables influence meaningfu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