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지체 영아의 선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실태와 요구분석

        송영희 ( Young Hee Song ),조윤경 ( Youn Kyung Cho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6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3 No.2

        발달에 문제가 있는 영아를 조기에 발견하고 이들에 대한 적합한 지원을 빠르게 제공하는 것은 영아기라는 발달기의 특성상 중요하다. 본 연구는 발달지체 영아를 보육중인 영아반 보육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영아기 발달지체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선별 과정, 지원 실태, 요구를 알아보고자 질적면담을 시행하였다. 서울시 노원구와 중랑구, 도봉구 지역의 민간·가정어린이집 영아반 보육교사 중, 발달지체 영아를 보육중인 교사 12명이 면담에 참여하였다. 면담 내용 분석 결과, 교사들은 첫째, 사회·정서, 의사소통, 인지, 적응행동 등 발달 영역 전반에서 발달지체 양상을 보고하였다. 둘째, 발달지체 영아에 대해 주로 관찰법으로 선별하였으며 체계적, 객관적 선별도구 사용 경험은 거의 없었다. 셋째, 영아의 발달지체에 대해 입소 초기부터 인식하였으나 낙관적으로 수용하였고, 발달지체 진단을 회피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발달지체 선별 후 반복설명하기, 과제 난이도 조절하기, 가정 내 지도방법 제시 등으로 영아와 부모를 개별지원 하였다. 다섯째, 발달지체 영아 지원 시 영아기 발달 및 발달지체에 대한 전문지식의 부족, 부모상담의 미숙, 관련자원의 부족 등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여섯째, 발달지체 영아의 선별과 조기개입을 위해 교사교육, 부모교육, 영유아 건강 검진의 체계적 관리, 연계기관 간 네트워크 조성, 인력지원 등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영아반 보육교사를 위한 지원 방안을 논의하였다. Early screening of congenital or acquired developmental delays and providing early intervention is critical to minimize the impact of developmental delay. The study was implemented the interviews with 12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who were responsible for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s in one or more areas as measured by the Korea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for Infants & Children(K-DST).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reported by teachers showed delays in one or more developmental areas and the environmental issues related to child rearing. Second, teachers attending to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evaluated them generally by observation, were to be lacking in the capacity to use objective and systematic screening methods. Third, they recognized developmental delays as soon as early admission, but they had a tendency to discount the results, and to avoid developmental delay diagnosis. Fourth, after K-DST, teachers provided the supports in a number of ways: repeating instructions, increasing patience, adjusting task difficulty levels appropriately, parental counseling and suggestions for home activities. Fifth, they felt the difficulties in the classroom communication with development delayed infants, in the lack of time, expertise and support, the parental indifference and the difficulty of the counseling process. Sixth, they were required teacher training, parent education, the ongoing health and development monitoring, the networking among the relevant agencies, the supporting personnel for screening and early intervention of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언어발달지연 유아 선별에 따른 지원 실태와 요구 분석

        이진경,조윤경 한국보육지원학회 2011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7 No.4

        본 연구는 보육교사에게 담당하고 있는 유아들 중 또래들에 비해 언어발달이 늦은 유아들이 있는지 물어보고, 이들이 언어발달지연을 보인다고 선별한 유아 30명에 대한 언어와 사회성숙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이들의 선별은 관련 검사 결과 정확하였다. 언어발달지연 유아를 의뢰한 보육교사의 선별기준과 자녀의 언어발달지연에 대한 부모의 수용 태도, 이를 지원하기 위한 보육교사의 현 대처방안과 지원 요구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서울지역에 있는 보육시설 10개 기관 13명의 보육교사에 대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는 학급 내에서 언어발달지연 유아의 결손을 보이는 언어특성과 부적응 행동에 따라 언어발달이 지연된다고 의뢰하였고, 둘째, 자녀의 언어발달지연에 대한 부모들의 태도는 무관심과 사전에 인지하고 있어서 교사에게 먼저 자녀의 언어발달지연에 대해 상담하는 등 다양하였다. 셋째, 보육교사는 학급 내에서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넷째, 언어발달지연 유아를 위하여 전문가와 기관의 지원, 언어발달에 대한 교사교육, 언어발달지연에 대한 자료와 기준의 제시, 낮은 교사 대 아동비율 등의 지원 요구를 제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