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증언절차의 소송법 규정위반과 위증죄의 성립여부 : 증언거부권 불고지를 중심으로

        이희경 한국형사판례연구회 2011 刑事判例硏究 Vol.19 No.-

        Criminal procedure holds the discovery of substantive truth as its highest value. However, this fact-finding function cannot be the sole aim of criminal procedure to be attained at all costs. Rather, it is constrained by the principles of due process and a timely trial. Therefore, although the Criminal Code provides for the crime of perjury which deters witnesses from hindering a fair trial with false testimony, the Criminal Procedure Code partially concedes the fact-finding function of criminal procedure by providing for the witness’s right to refuse testimony as a function of due process.This right to refuse testimony is enforced by the obligation to inform the witness on the existence of this right. The question is, if the judge questions a witness in violation of the right to refuse testimony and the obligation to inform, and the witness makes a false statement under oath, can the witness be punished for perjury? This is a question of weighing the values of substantive truth and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when they are in contradiction, as due process is the source of the right to refuse testimony and, in certain circumstances, constitutes a limit on the ideal of substantive fact-finding.The decisions in this study take the position that the standard for finding a witness guilty on perjury should be whether there has been an actual hindrance to exercise the right to refuse testimony due to the failure to inform. In this sense, the cases give more weight to the due process considerations of witness examination than previous Korean Supreme Court cases. However, the studied cases are incorrect in limiting the affirmative defense to perjury to those cases where the failure to inform resulted in an actual hindrance to exercise the right. The witness is an individual who bears the obligation to appear at court even though it is not the witness’s own trial, swear a legally binding oath, and testify, all in the interest of substantive fact-finding. The Criminal Procedure Code obligates these witnesses to give testimony, but also gives them the right to refuse testimony where the witness may incriminate himself or herself or close family members. The obligation to inform the witness of this right forms a procedural safeguard to enforce the right. Therefore, the presiding judge’s failure to inform the witness of the existence of the right is a violation of due process and the testimony is given illegally, meaning the witness should not be found guilty of perjury even if the testimony was false.The obligation to inform the witness of the right to refuse testimony exists to guarantee the right to refuse testimony by reminding the witness of the right, thereby giving the witness the ample opportunity to reached an informed decision on whether to stay silent or testify. Therefore, the obligation to inform (Article 160 of the Criminal Procedure Code) guarantees the exercise of this right even when the witness does not know he or she has this right, or is ignorant of how to exercise the right. If the presiding judge violates this regulation and compels the witness to testify without informing the witness that the witness has the right not to testify, such an act on the judge’s part is far more than a minor infraction that has no effect on the legal existence of the crime of perjury. In the cases where the court has failed to inform the holder of the right to refuse testimony, there is no expectation that the witness in question will not commit perjury. It is worth noting that the newly amended Criminal Procedure Code now provides for the exclusion of illegal evidence, and due process is increasingly important at trial as well as during the investigative phase. Therefore, a failure to adhere to laws protecting the witness, especially the failure to inform the witness of a right to refuse testimony should be a full defense to the crime of perjury.

      • KCI등재

        ‘형사소송법 제314조 증거능력에 대한 예외’의 예외 -대상판결 : 대법원 2019. 11. 21. 선고 2018도13945 판결-

        안정빈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20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Vol.12 No.1

        What is the discovery of the substantial truth? The actual truth is where the judge of the final trial reache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al legitimacy. The purpose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is not to reveal the absolute truth that only God knows, but the conclusion of the final trial reached by keeping the procedural legality at each stage of the criminal procedure. As the supplementary opinion points out, the ideology of trial-centeredness and the discovery of substantial truth should be regarded as mutually complementary, not as confrontational, or as having superior values to either. In other words, trial-centeredness are the most effective means of reaching the discovery of substantial truths. The suspect might be guilty, and the investigative agency may think the suspect is guilty, but that is not the substantial truth. It is not the substantial truth that is being accused. The substantial truth is not the point of discovery, but the point of reaching by following the procedure. Therefore, it is strange to tell the substantial truth in the area of the evidence of illegal collection. This is because the area of the law on the exclusion of illegal collection and collection is an area where the truth matter should not be brought in. While it is a good word to say that if a judge issues a warrant in the middle and crosses the steps, the causal relationship is diluted (dilution of the first procedural behaviors), it does not recognize the exception to perjury for the sake of harmony with the substantial truth. It is absurd to say that these are allowed in order to harmonize with the discovery of substantial truth. Isn't the word "harmony with the substantial truth”-anyhow- for making “being guilty”? In this paper, the opposing views of trial-centeredness and substantial truths, which have been at issue in recent Supreme Court cases, were analyzed in conjunction with the right to refuse testimony. 형사소송법이 추구하는 목적은 절대적 진실을 밝혀내는 것이 아니라 형사절차의 단계별로 절차적 적법성을 지켜서 최종심에 도달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직접심리주의와 공판중심주의는 실체적 진실 발견에 이르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수단으로 작용한다. 피의자는 분명 혐의가 있을 것이고, 수사기관은 피의자가 혐의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그것이 실체적 진실은 아니다. 다시 말하면 혐의를 받고 있는 것이 곧 실체적 진실은 아니라는 것이다. 생각건대 실체적 진실이란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절차를 지켜가며 도달하는 지점이다. 따라서 위수증 영역에서 실체적 진실을 언급하는 것이 적절해 보이지 않는다. 위수증 영역은 실체적 진실을 들여오지 말라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중간에 법관이 영장발부하고 여러 단계 건너가면 인과관계가 희석(제1 절차 위법이 희석)된다’는 말은 좋은 관점이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실체적 진실과의 조화를 위해서 위수증 예외를 인정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실체적 진실 발견과 조화를 이루기 위한 목적만으로 이러한 것들을 허용할 수는 없다. 따라서 실체적 진실과의 조화라는 말이 혹시 ‘유죄’를 위한 것은 아닌지 고민해 보아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최근 대법원 판례에서 쟁점이 된 공판중심주의와 실체적 진실의 대립된 관점을 전문증거 등과 연계하여 평석해 보았다.

      • KCI등재

        위증죄의 성립범위와 판단방법

        최병각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東亞法學 Vol.- No.60

        If a sworn witness makes a false testimony he or she commits a perjury. The party in civil suit may be sanctioned with perjury when he or she swears an oath and gives a false testimony without exemption or denial of oath. The defendant in criminal court is free from perjury because oath is not necessary to present defendant’s own statement. The co-defendant is subject to perjury if he or she is called as a witness in a separated proceeding. The convicted have a right to refuse testimony which may incriminate himself or herself or close family members in the accomplice’s case. When the presiding judge omits informing the witness of the right to refuse testimony, the witness should not be found guilty of perjury even if the testimony is false. A false testimony consists of statements which are inconsistent of objective truth and are presented against subjective memory. Perjury is accomplished when a witness examination day is over. So if a witness reverses a false statement in a single day, he or she does not commit a perjury. A same testimony which is a reliable evidence by a court might be a false statement by another court. 법률에 의하여 선서한 증인이 허위의 진술을 한 때라야 위증죄가 성립한다. 민사소송의 당사자신문에서 선서를 면제받거나 거부하지 않고 선서한 다음 증언거부 없이 허위진술한 당사자에게 과태료와는 별도로 위증죄의 죄책을 물을 수 있을 것이다. 형사소송의 피고인이 피고인신문에서 허위의 진술을 하더라도 따로 선서 절차를 거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위증죄로 벌할 수 없다. 공범 아닌 공동피고인은 증인선서 후 허위진술을 하면 위증죄에 해당하고, 공범인 공동피고인은 먼저 변론분리를 한 다음 증인선서 후 허위진술을 해야 위증죄가 성립한다. 다만 공동피고인을 증인으로 신문할 경우 증언거부권, 특히 헌법 제12조 제2항에 근거한 진술거부권을 확실히 충분히 보장해야 할 것이다. 증언거부권자가 증언을 거부하지 않고 허위진술을 하면 적법행위에 대한 기대가능성이 있다고 보아 위증죄로 벌할 수 있다. 유죄판결이 확정된 자에게도 형사소추나 유죄판결에 관련될 수 있는 사실과 연관된 증언은 그 사유만 소명하면 언제나 얼마든지 거부할 수 있고, 특히 공범에 대한 사건에서 증언거부권이 인정된다고 하겠다. 증언거부권을 고지하지 아니한 경우 증인이 증언거부권을 행사하는 데에 사실상 장애가 초래되었느냐 여부에 따라 위증죄의 성립여부를 판단할 것이 아니라 재판장의 직무수행이 위법 내지 적법절차 위반에 해당하기 때문에 증인에게는 위증죄의 죄책을 물을 수 없다고 해야 할 것이다. 진술의 허위성을 객관적 진실과 주관적 기억 가운데 무엇을 기준으로 할지 견해가 갈리지만, 객관적 진실과도 일치하지 않고 주관적 기억에도 반하는 경우에만 허위진술에 따른 위증죄를 인정해야 할 것이다. 동일한 기일의 허위진술은 포괄하여 하나의 위증죄로 되고, 신문절차가 종료한 때 기수가 된다. 같은 기일에 허위진술을 번복하면 위증죄가 아니지만, 새로운 기일에 종전 기일의 허위진술을 번복하더라도 이미 성립한 위증죄는 그대로이되, 자백․자수에 따른 필요적 형감면은 적용된다. 동일한 내용의 증언을 어느 법원은 신빙성을 인정하고 다른 법원은 그 증언의 신빙성을 부정할 수 있다. 확정된 유죄판결의 증거가 된 처음의 증언을 부정하는 새로운 증언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나중의 증언을 허위진술로 판단할 수는 없다. 허위진술 여부는 판단의 시점, 근거 및 주체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 KCI등재

        형사소송법상 반대신문권과 증거능력의 관계

        이주원(Rhee, Joo-Won)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18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Vol.10 No.2

        현행법상 반대신문의 기회를 보장하는 법리는 전문법칙과 (교호신문제도에 포함된) 반대신문권이다. 반대신문의 기회보장이 증거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증거마다 다르다. 우선, ‘피고인 아닌 자’에 대한 전문서류에서, 원진술자(피고인 아닌 자)가 공판기일에서 그 성립의 진정을 인정하면서도 그 진술내용을 탄핵하려는 반대신문에 대하여 묵비한 경우이다. 이는 증인에 의해 실질적인 반대신문의 기회가 봉쇄되는 경우이다. 첫째, 제312조 제4항이 적용되는 진술조서의 경우에는 반대신문의 기회보장이 증거능력의 요건으로 명시되어 있으므로 증거능력이 없다. 원진술자의 법정출석 및 반대신문이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에는 설령 제314조(증거능력에 대한 예외) 또는 제318조(당사자의 동의와 증거능력)에 따라 증거능력이 인정되더라도, 그 증명력은 제한된다. 둘째, 제313조 제1항이 적용되는 일반 진술서 내지 진술기재서의 경우에는 반대신문의 기회보장이 증거능력의 요건은 아니므로, 진정성립을 인정한 이상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이 경우에도 그 증명력은 제한될 여지가 있다. 셋째, 제314조의 적용 여부는 증언거부 유형과 대상 증거에 따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원진술자의 묵비가 정당한 증언거부권의 행사인 경우에는 제314조가 적용되지 않는다. 원진술자의 묵비가 정당한 이유 없이 사실상 증언을 거절 한 경우에는, ① 반대신문의 기회보장이 증거능력의 요건인 전문서류에 대해서는 제314조가 적용되지 않지만, ② 반대신문의 기회보장이 증거능력의 요건이 아닌 전문서류에 대해서는 제314조가 적용된다. 한편, 법정진술인 경우에는 그 사정이 다르다. 피고인 아닌 자가 공판기일에서 증인으로 증언하면서 그 증언내용을 탄핵하려는 반대신문에 대하여 묵비한경우에도, 법정증언 자체는 증거능력이 인정된다. 마지막으로, 반대신문권은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의 핵심적인 내용으로 그절차적 보장이 중요하다. 증거능력의 문제를 떠나, 실질적인 ‘무기평등’ 차원에서 그 절차적 권리로서의 기능이 더욱 존중되고 강화될 필요가 있다. The legal principles that guarantee the opportunity to cross-examine are the hearsay rule and the right to cross-examine (included in the cross-examination system). Guaranteeing the opportunity of cross-examination effect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and such effect differs according to what the evidence is. First of all, regarding the documentary hearsay of a ‘person other than the criminal defendant’, the case is that the person making the original statement (person other than the criminal defendant) admits the authenticity of its formation during the trial but keeps silent as to the cross-examination impeaching the content of its statement. This is the case where the opportunity for an actual cross-examination is blocked by a witness. Firstly, admissibility of evidence is denied in the case of a protocol of statement in which Article 313 (4) applies, since guaranteeing the opportunity to cross-examine is a requirement for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such Article. In a case where the person making the original statement fails to attend the trial and no cross-examination was made, although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is acknowledged pursuant to Article 314 (Exception to Admissibility of Evidence) or Article 318 (Agreement of Parties and Admissibility of Evidence), its probative value of evidence would be limited. Secondly, admissibility of evidence is admitted in the case of a written statement or testimony document in which Article 313 (4) and its authenticity of formation are admitted, since guaranteeing the opportunity to cross-examine is not a requirement for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such Articl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probative value of evidence would be limited in this case. Thirdly, it is necessary to classify whether Article 314 applies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refusal to testify and what kind of evidence it is. Article 314 does not apply in the event that the silence of a person making the original statement is a lawful exercise of a right to refuse to testify. In the event that the silence of a person making the original statement is a refusal to testify without a justifiable cause, ① Article 314 does not apply to a documentary hearsay whose admissibility of evidence requires guaranteeing the opportunity to cross-examine, whereas ② Article 314 applies to a documentary hearsay whose admissibility of evidence does not require guaranteeing the opportunity to cross-examine. Turning to the statement at trial, the situation is different. In the event that a person other than the criminal defendant testifies as a witness during the trial but keeps silent as to the cross-examination impeaching his testimony,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regarding the trial testimony itself is admitted. Finally, right to cross-examine is the essence of the right to fair trial, and ensuring its procedure is important. Apart from the issue of admissibility of evidence, it is necessary to respect and strengthen the function of such procedural right even more in view of achieving actual equality of opportunity in the procedures.

      • KCI등재

        위증죄에 있어서 사실진술의 기대가능성에 대한 판단기준

        신치재(Chee Jae Shin) 중앙법학회 2009 中央法學 Vol.11 No.3

        Object of judgment: The Supreme court 2008. 10. 23. Adjudication 2005do10101 judgment. In here, the Supreme Court`s position of a standard of judgment for the possibility of expectation of a statement in an offense of false testimony related to right to refuse testification of the accused who is convicted guilty in The Supreme court 2008. 10. 23. Adjudication2005do10101 judgment is contemplated. I like to finalize the annotation with the following summary about the Supreme Court`s judgment. First, since the reason why the right to refuse testification is not acknowledged for the accused who is convicted guilty and the problem regarding the accused, who are questioned to be expected to testify from perspective of average man instead of the offender`s under the concrete condition at the time of the act in a ground of the release from liability, are two different subjects, among the Supreme court`s reasons for the judgment , the reason stating that the original judgment is a violation of law because it influenced the judgment by misunderstanding the principle of the right to refuse testification is reasonable. Therefore, The original court`s judgment are appropriate because it differentiated between the right to refuse testification of the accused who is convicted guilty in a mater of separate complicity and a matter of the possibility of expectation of statement about the truth if the accused testified. Second, since a possibility of expectation to legal act should be judged based on the concrete condition at the time of the act from perspective of particular doer in specific case, the theory of average man which is the position of the precedent is confused illegality with liability. Also, the concept of the average man or the conscientious average man is not defined well enough.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expectation to legal act is not appropriate because if a judge emphasizes an average man`s national legal system or a duty of abiding-law as the basis of an argument in order to justify his or her judgment in a fictional concept, it is possible to end up the theory of state, which is very risk. Therefore, The Supreme Court`s judgment, which remands after reversal the original court`s judgment by accepting an appeal of the prosecutor who asserts that there is a violation of law influenced by the original judgment`s misunderstanding of the right to refuse testificatoin and the possibility of expectation`s legal principal, is not reasonable.

      • KCI등재

        형사증거법상 변호인 작성 법률검토 의견서의 증거능력 - 변호인­-의뢰인 특권 도입여부와 관련하여 -

        신이철 대검찰청 2019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64

        Korea adopts the regulations of a counsel’s responsibilities of nondisclosure. However, in other countries, there are no well-written regulations as the attorney-client privilege (ACP). During the time of discussion as to whether the attorney-client privilege could be acknowledged, a recent Supreme Court holding directly denied the attorney-client privilege. However, there have been many voices of criticism against such privilege arguing that taking the legal advice of a lawyer may actually be disadvantageous for the client. It is unclear whether the court holding was issued in consideration of such criticism, however, while the Supreme Court directly denied the attorney-client privilege and held that the legal statement submitted as evidence of guilt corresponds to ‘a statement or a document providing that statement (hearsay evidence) prepared by a party other than the defendant’ pursuant to Article 313(1) of the Criminal Prosecution Act, the lawyer, who prepared the statement in court, exercised his right to refuse to testify, thereby disproving the authenticity of its establishment, and it was held that the statement does not correspond to Article 314 of the Criminal Prosecution Act, and thus,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the legal statement is ultimately denied. The result based on the content of such court holding achieves an equivalent effect of acknowledging the attorney-client privilege, which is acknowledged under the Anglo-American law, by exceeding the meaning of admissibility of a hearsay statement pursuant to the Criminal Prosecution Act. However, it would be necessary for the client to receive sufficient assistance by his counsel by acknowledging the right for a client to actively protect his own information, instead of the indirect method as in the court holding. Accordingly, through legislation, it should be provided that the collection of evidence based on the conversations or documents prepared between the client and the attorney should be restricted, in principle, and if the details of such communication is illegally disclosed, it would be necessary not to permit its use as evidence that is disadvantageous against the defendant. Ultimately, if attorney-client privilege is acknowledged through well-written regulations, the unnecessary disputes so far may be wiped out, and the client will be able to safely receive an attorney’s assistance not only during prosecution, but also in everyday life, which will allow the substantial guarantee of the basic rights of the nation. 우리나라에서는 변호사법과 형법 및 형사소송법 등 관련 법률에서 변호사에게 비밀유지의무에 대한 규정을 두고 있지만, 외국과는 달리 변호인-의뢰인 특권(ACP) 만큼은 명문의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그동안 변호인-의뢰인 특권이 과연 헌법상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제12조 제4항)로부터 도출될 수 있느냐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던 중, 최근의 대법원 판례가 ‘피의자 또는 피고인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이 일상적 생활관계에서 변호사와 상담한 법률자문에 대하여는 그 비밀의 공개를 거부할 수 있는 특권을 도출할 수 없다’고 판시함으로써 변호인-의뢰인 특권을 정면으로 부정하고 있다. 그러나 변호인-의뢰인 특권이 인정되지 않으면 변호사에게 법률자문을 구하는 것이 오히려 의뢰인에게 불리할 수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이러한 비판을 염두에 두고 내린 판결인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대법원 판례는 변호인-의뢰인 특권을 정면으로 부정하면서도 검찰이 유죄의 증거로 제출한 법률의견서에 대하여 형사소송법 제313조 제1항에 규정된 ‘피고인 아닌 자가 작성한 진술서나 그 진술을 기재한 서류(전문증거)’에 해당한다고 판시하면서도, 공판정에서 작성자인 변호사가 형사소송법 제149조에 따라 정당하게 증언거부권을 행사함으로써 성립의 진정함이 증명되지 않았음은 물론, 형사소송법 제314조의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사유로 인하여 진술할 수 없는 때’에 해당하지도 않는다고 판단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법률의견서의 증거능력을 부정하고 있다. 이러한 대법원 판결의 내용을 두고 공판중심주의의 취지를 반영해 형사재판에서 전문증거의 사용을 엄격히 제한하고, 증거법 측면에서는 정당한 증언거부권의 행사를 보장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할 여지가 충분히 있겠지만, 적어도 결과에 있어서만큼은 단순히 형사소송법상 전문증거능력에 관한 의미를 넘어 영미법상에서 인정되고 있는 변호인-의뢰인 특권을 사실상 인정한 것과 같은 효과를 이끌어 내고 있다. 그러나 판례처럼 우회적인 방법이 아니라 의뢰인에게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뢰내용을 보호할 수 있는 권리를 인정함으로써 충분하게 변호사의 조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입법을 통하여 의뢰인과 변호사간 온·오프라인 대화 내용, 상담 및 변론 과정에서 작성한 문서 등에 대하여는 증거수집을 원칙적으로 제한하는 내용으로 규정되어야 하며, 나아가 의사교환 내용이 위법하게 공개된 경우 이를 피고인에게 불리한 증거로 사용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철저히 증거능력을 배제시키는 방향으로 규정을 둘 필요가 있다. 결국 명문의 규정을 통하여 변호인-의뢰인 특권을 인정하게 되면 그동안의 불필요한 논란을 불식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의뢰인은 소송절차에서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안전하게 변호사의 조력을 받을 수 있게 되어 국민의 기본권도 실질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믿는다.

      • KCI등재

        기자의 취재원 보호와 증언거부권

        이규호 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12 민사소송 Vol.16 No.2

        According to Article 315 of Korean Civil Procedure Act, a witness may refuse to testify when he or she is examined on matters falling under his or her technical or professional secrets. In this regard, one of the key issues is whether a reporter's privilege falls under the scope of professional secrets. The reporter's privilege raises different questions than other professional secrets. The professional secrets claimed by attorneys, medical doctors,psychotherapists, and clergy members are designed to protect the client's or patient's private statements from disclosure. With the reporter's privilege,however, it is the reporter who is seeking protection for the right to publish or broadcast the source's information while keeping the source's identity secret. Although confidentiality may also protect the source, the privilege's primary goal is to protect the reporter's freedom of speech to publish the news without government interference. There are divided approaches in Korea as to whether the reporter's privilege is absolute. I think the reporter's privilege is not absolute. Hence, a court should take into account several factors by a balancing test in order for it to allow the reporter's privilege. Those factors include public interest in keeping the news sources' identity secret, the existence of alternative evidence, burden of proof, and the importance of secrecy of the news sources'identity. The balancing test will support constitutional value of the freedom of speech. At the outset, this Article will explore the overview, history and legal sources of the reporter's privilege. Second, the Article will discuss whom the reporter's privilege protects and what the privilege protects. Third, the Article will explain how to apply the privilege in America and Japan. Finally, the Article will propose whom the reporter's privilege protects,what the privilege protects, and how to apply the privilege in Korea.

      • KCI등재

        미국 수정헌법 제1조와 기자의 증언거부권에 관한 연구

        이구현(Koo Hyun Lee) 한국언론법학회 2015 언론과 법 Vol.14 No.3

        미국 대법원은 Branzburg v. Hayes 등의 판결에서 기자들은 그들이 취재를 통해 취득한 정보에 대해 법정에서 증언을 거부할 조건부 특권은 인정하지만 절대적 특권은 인정할 수 없다는 취지의 의견을 제시한 바 있으며 아울러 대법원은 기자들은 다음의 세 가지 상황이 아닌 경우에는 법정에서 증언을 거부할 수 있음을 밝혔다. 첫째, 연방대배심이 수사하고 있는 범죄와 관련한 정보를 기자가 현재 보유하고 있다고 믿을만한 충분한 사유가 존재하는 경우, 둘째, 기자가 가지고 있는 정보가 여타 다른 수단과 방법으로는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셋째, 수정헌법 제1조를 침해할 수 있을 정도로 국가이익이 우월한 경우이다. 하지만 대법원은 판결을 통해 미국 수정헌법 제1조는 기자들이 주법원의 배심이나 연방배심 앞에 출두를 거부하거나 증언을 거부할 어떠한 조건적인 특권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시했다. 수정헌법 제1조가 기자들에게 허용하는 것은 연방대배심의 수사에 있어 악의적으로 기자를 기소하는 경우와 순수한 수사목적이 아닌 취재원과의 관계를 단절시키고자 하는 공적인 괴롭힘에 대해서는 예외적으로 기자의 특권을 허용한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그 외의 상황에서는 취재보도 목적이라 하더라도 일반인과 같이 소환에 응해야 하고 증언을 거부할 수 없다고 판시했다. 현재 연방증거법(Federal Rule of Evidence) 510조는 증인의 특권은 미국법원에 의해 근거와 경험에 따라 해석되어야 함으로 Common Law의 원칙에 의거 규율된다고 명시되어 있다. 1980년 미국 법무성은 대법원의 판결에 대한 수정 없이 효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규칙을 채택한바 있는데 언론기관에 기자들을 소환하거나 전화기록 등 문서를 강제로 제출하게 할 경우 공공이익과 사법의 공정한 집행 등을 비교ㆍ형량(balancing)해야 한다고 제시한 바 있다. 미국 법무부의 취재보도 지침에 의하면 모든 미국의 매체는 장래에 발생될 소환명령을 고려하여 대안 정보원으로부터 정보를 얻기 위한 합리적인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고 명기하고 있으며 연방 검사들은 사건에 대한 특별한 요구를 설명하면서 언론매체와 협의를 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미국 법무부의 이러한 지침이 나온 배경을 살펴보면 그동안 연방차원에서 무조건 기자의 증언거부권에 대한 반대 입장을 고수해왔던 태도를 언론의 자유와 취재원 보호라는 측면으로 방향을 일부 선회한 것이 아닌가라는 긍정적인 메시지를 주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