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문화 경관 및 장소를 통한 지역역사지리의 구성 - 충남 부여군을 사례로 -

        권선정(Seonjeong Kwo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7 기전문화연구 Vol.38 No.2

        지역지리(regional geography)는 지역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지리학의 오랜 전통으로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자연ㆍ인문현상이나 그들 사이의 관계를 함께 관심 갖는 분야이다. 본고에서는 현재 수행되고 있는 지역지리의 구성을 비판적으로 고민하면서 지역의 차이나는 모습 즉 지역민이나 외부인 들에게 해당 지역의 생김새를 어느 정도 그려볼 수 있게 하는 실제적인 지역 지리의 구성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지역이 경험해 온 역사적 변천에 대한 관심인데, 이는 현재적 시점 중심의 지역지리 구성에 대해 시간 요소를 접목시키는 역사지리적(historical geography) 접근을 말한다. 다음으로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특징적인 경관이나 장소에 대한 관심인데,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수많은 파편 중에서 지역의 차이나는 모양새 소위 지역정체성 (지역성) 구성을 위한 ‘역사문화 경관이나 장소’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지리 구성이다. 여기서 ‘역사문화 경관 및 장소’는 역사적 사건이 관련되어 있거나 지역민에게 의미 있는 경험대상으로 유지돼 온 물질적, 언표적 공간텍스트로서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파편 조각들 즉 수많은 시간 지층을 머금고 있는 역사지리적 접근대상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관심과 관련해 구성되는 지역지리를 본고에서는 지역역사 지리(regional historical geography)로 규정하고, 충청남도 부여군을 사례로 지역의 전통적 모습이나 주요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여러 시간단면 상의 지리적 재현물 즉 ‘역사문화 경관이나 장소’에 대한 역사지리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사례 지역인 충남 부여군은 흔히 ‘백제의 고도(古都)’, ‘백제문화 권’으로 알려져 있고 지역민이나 지자체에서도 백제 또는 백제시대를 빼놓고 부여를 생각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정도이다. 이러한 현재적 입장에서의 부여 지역의 장소 의미 구성은 부여군 소재 대표적인 역사문화 경관으로서 국가지정문화재를 비롯한 국가등록문화재, 도지정문화재, 도문화재자료, 향토유적 등의 시기별, 지역별 분포 상황을 통해 충분히 의미가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그렇지만 현재의 부여군은 ‘백제의 고도’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현재의 부여읍 일대를 포함한 부여현(扶餘縣)만이 아닌 석성현(石城縣), 홍산현 (鴻山縣), 임천군(林川郡) 등 조선시대 네 개 군ㆍ현이 함께 유지되어 온 지역이다. 이에 ‘백제의 고도’로서 부여의 장소정체성과 관련된 역사문화 경관 외에 조선시대 부여 지역 각 군ㆍ현의 행정중심지였던 읍치(邑治)에 주목하여 부여 지역의 전통 중심지 및 공간구성, 길 체계 그리고 근대 이후 국토공 간의 재편 과정에서 경험한 지역의 역사적 변화과정을 함께 탐색해 보았다. 특히 전통도시 읍치가 갖는 역사적 장소성과 관련해 읍치 진산과 주산에 대해서도 주목하였다. Regional geography is a long tradition of modern geography that has tri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 region. It is an approach that has studied both natural and human phenomena of the region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m. In this paper, while critically considering the current regional geography, I tried to propose an different approach of constructing regional geography which is able to draw a picture of the regional difference, regional approximate appearance to the regional people or outsiders. The first is the interest in the historical transition that the region has experienced, which refers to a historical geographical approach that incorporates the time factor into the geograph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time. The next is the interest in the characteristic landscape or place that constitutes the region. They may be a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and place that could construct the regional identities and localities. Her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and places are spatial fragments that constitute the region as material and linguistic texts that have been associated with historical events or have been meaningful experiences for regional people. Such landscapes and places are the meaningful objects of historical geography for constructing regional geography. In this paper, I d like to define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as an approach with regard to these problematic considerations. And then I tried to construct the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of Buyeo County, Chungnam Province through the geographical representations,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and places , on the cross-section of time which can identify the traditional appearances and major historical changes of the region. Buyeo County is often known as the ancient capital of Baekje or Baekje cultural area . It is almost impossible for regional people and local governments to think about Buyeo County without Baekje Kingdom or Baekje era. In this present position, it could be possible enough to construct the regional identity of Buyeo County as the ancient capital of Baekje or Baekje cultural area through some representativ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in Buyeo County such as the national cultural properties and the regional remains, etc. However, we should not forget that the current Buyeo County includes the current Buyeo-eup area directly related to Baekje, but also other prefectures such as Seokseong-hyeon, Hongsan-hyeon, Imcheon-gun in the Joseon Dynasty. In other words, it is an area where four counties and prefectures have been kept together for a long time. So, in addition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related to the regional identity of Baekje as the ancient capital of Baekje , I had to focus on Eupchi which was the administrative center and the regional transportation node of each county and prefecture in the Joseon Dynasty. I think that Eupchi could be a clue and passage to explore the traditional appearances and the historical process of region. It shows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region experienced in the reorganization process of the traditional center and space composition, the road system, etc. In particular, I have also paid attention to Jusan and Jusan of fengshui, the Korean traditional geography, in connection with the historical place meaning of the Korean traditional city Eupchi.

      • KCI등재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육과정 변천과 지역 단원 구성의 특징

        강창숙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8 No.2

        In this study, the chang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Geography in high school were analyzed from the syllabus period to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It focuses on internal demand aspects and external influence asp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tent organization of Korean Geography was composed of systematic geography centered on human geography after 『Geography I』 in the second period. Until the second period, 『Geography I』 was composed of the traditional regional geography, and in the fourth period, 『Geography II』 was changed to a regional geography method. Second, in the national curriculum, Korean Geography was changed to a compulsory subject period of 『Our Country Geography』→ blank period for Our Country Geography→a compulsory subject period of 『National Geography』→chaotic period of National Geography→ a compulsory subject period of 『Korean Geography』→and elective subject period of 『Korean Geography』. Third, in the systematic geography-centered content organization, regional geography was composed of one or two units, including ‘geography of living in each region,’ which is a key topic, or in conjunction with ‘the meaning of the region and regional classification’ or ‘unification and division of national territory.’ Finally, the regional classification was centered on functional regions, but in actuality was based on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regional names according to regional classification were made up of different names, such as different hierarchical names, at different times when i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ir regional scop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교수요목기부터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지역 단원 구성, 지역 구분 등 내재적 측면과 사회과 편제 등 외재적 측면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지리는 제2차 교육과정기 『지리 I』부터 인문지리 중심의 계통지리로 구성되었다. 지역지리 단원은 제2차 시기 『지리 I』까지 전통 지역지리(지방지) 체계로 구성되었고, 제4차 시기 『지리 II』부터 지역지리 체계로 변화되었다. 둘째, 국가 교육과정에서 한국지리는 『우리나라 지리』 필수 과목기→우리나라 지리 학습 공백기→『국토지리』 필수 과목기→국토지리 학습 혼란기→『한국지리』필수 과목기→『한국지리』 선택 과목기로 변천되었다. 셋째, 계통지리 중심 내용 체계에서 지역지리는, 핵심 주제가 되는 ‘각 지역의생활’이 1개 단원으로 포함되거나, ‘지역의 의미와 지역 구분’ 혹은 ‘국토 분단과 통일’ 단원과 연계되어 2개 단원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역 구분은 기능 지역 중심으로 이루어졌지만, 그 실제는 행정구역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지역 구분에 따른 지역명칭은 그 범위와 지역성을 가늠하기 어렵게 명명되거나 위계가 다른 명칭이 혼용되었다.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영어권 및 불어권 국가에 있어 지역지리학의 발달

        안영진 ( Young-jin Ahn )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현대사회과학연구 Vol.22 No.-

        근대 지리학이 성립한 이래 지리학의 핵심으로 굳건히 자리 잡아 온 지역지리학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비과학적이라는 비판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폐기되어야 한다는 주장까지도 받았다. 특히 지역지리학은 1950년대에 들어서서 계량혁명을 거치면서 논리실증주의를 바탕으로 한 공간분석 지리학이 등장하면서 지리학의 주변으로 밀려 나기도 했다. 그러나 지리학 내에서 지역지리학의 의의가 꾸준히 강조되고 그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1980년대 이후 지역지리학은 르네상스를 맞이하기도 했다. 이 논문은 영어권 및 불어권 국가들을 중심으로 지역지리학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지역지리학에 대한 비판과 함께 지역지리학에 대해 제기된 문제점들을 먼저 살펴보고, 이를 뒤이어 1980년대를 거치면서 새롭게 대두한 신지역지리학와 함께 그 발전흐름을 고찰하고자 한다. Regional geography, once considered the centerpiece of modern geography, was not only criticized as unscientific after World War II, but also argued that it needed to be abolished. In particular, regional geography was pushed into the margins of geography by the ‘Quantitative Revolution,’ when the so-called ‘spatial geography’ based on logical positivism emerged. However, since the 1980s, regional geography has even experienced a renaissanc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regional geography within geography.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process of changes in regional geography with a focus on English- and French-speaking countries. In addition to the criticism of regional geography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e problems raised in regional geography were first explained, and since the 1980s the new regional geography and its direction of development has been analyzed.

      • KCI등재

        지역지리교육의 개념 논의와 방향 모색

        조성욱(Cho, Sungwook) 한국지역지리학회 2018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에서는 지역지리교육에서의 논의 점을 살펴보고, 교육목표 설정과 교육내용 구성 방법을 중심으로 대안을 모색했다.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면, 첫째, ‘지역지리’와 ‘지역지리교육’은 연구와 교육이라는 측면에서 구분되어 사용될 필요가 있다. ‘향토교육’은 향토애라는 정의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었고, ‘지역학습’은 지역을 학습의 수단으로 고려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지역학습’과 ‘지역지리교육’은 학습대상의 지역 규모가 다르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둘째, 지리학에서의 지역 개념 변화과정을 학습을 고려한 지역 개념으로 재구조화하여 조직개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셋째, 지역 규모의 개념은 가능한 한 구체적이고 시각적이며 단계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지역지리교육의 교육목표는 3개 영역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즉, 1영역은 학습 내용(지식, 이해)은 무엇인가?, 2영역은 학습 과정에서 육성하고자 하는 기능과 역량은 무엇인가?, 3영역은 학습과정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태도 및 가치관은 무엇인가? 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교육내용 선정에서는 지역의 개념 인식, 지역성과 변화, 상호작용 등의 지역이해와 이러한 지식 학습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태도, 가치관, 활용으로 구분하여 선정할 필요가 있다. 교육내용 조직 방법은 초등학교 단계에서는 지역에 대한 인식과 지역성 이해에 중점을 두는 지역 중심 방법, 중학교 단계에서는 지역의 변화와 지역 간의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는 주제 중심 방법, 고등학교 단계에서는 지역의 쟁점을 중심으로 조직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This study looked at the points of discussion in regional geography education and sought alternatives on educational goals and constructing educational contents. The summary of discussion, First, ‘regional geography’ and ‘regional geography education’ need to be used in terms of research and education separately. And ‘local education’ focus on the emotional aspect of localism, ‘local learning’ regards the region as a means of learning. And ‘local learning’ and ‘regional geography education’ are have a difference in regional scale. Second,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process of change of regional concept in geography as organizational concept by restructuring in geography education. Third, regional scale in geography education should be presented as concretely and visually and step by step as possible. The educational goals of regional geography education needs to be presented in three domains. Domain 1 is what is the learning contents(knowledge and understanding)?, Domain 2 is what are the functions and competencies you want to foster in the learning process?, Domain 3 is what are the attitudes and values? In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divided into regional understanding such as regional recognition, locality and regional change, interaction among regions and attitude, value, utilization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learning process. In the organization method is that regional-centered method focusing on regional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in the elementaryschool level, the subject-centered method which enables deeper learning in the middle school level, the issues-centered method focusing on the regional issues at present in the high school level.

      • KCI등재

        20세기 이후 중국 지역지리 과정(課程)의 변화 고찰

        董玉芝,김석주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9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7 No.2

        Regional geography plays an irreplaceable role in the development of Geography Curriculum in China.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regional geography is also the vane of geography education in China. This paper divides the development of regional geography curriculum into local chronicle period, embryonic period, imitation period, stagnation period, revitalization period and reform perio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subject development and content setting of geography curriculum. From the local chronicles period to the embryonic period, “regional geography” was the initial system, and “regional geography” completely replaced the local chronicles. The period from imitation to cessation is the most distinctive political color. Regional geography has been declining from full imitation of the Soviet Union to full scale. After four adjustments of the geographical outline, regional geography formed a revitalization period with junior middle school as the main pattern and senior high school as the supplement pattern. In the 21st century, China’s education has entered the eighth curriculum reform in an all-round way. Compulsory geography education and high school geography education have changed from syllabus to curriculum standard, and then into a comprehensive reform period. It has formed a compulsory pattern for both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지역지리는 지리학의 중요한 구성부분으로서 지역지리 과정의 발전 변화를 통하여 중국 지리교육의 발전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문은 지역지리 과정의 시대적 배경, 학과 발전, 내용 설치 등의 측면에서 지역지리 과정의발전을 지방지, 맹아, 모방, 정체, 발전, 개혁 등의 6개시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의 과정내용의 특징과 변화에 대해고찰하였다. 지방지시기에서 맹아시기에 이르기까지 “지역지리”는 초보적인 체계를 갖추었으며 “지역지리”는지방지를 대체하였다. 모방시기에서 정체시기까지는 뚜렷한 정치적 색깔이 있어 지역지리 전반에 걸쳐 소련을모방하였으며 크게 위축되었다. 그 후, 4차의 지리대강 조정을 거쳐 지역지리는 중학교를 중심으로 하고 고등학교를 보충으로 하는 진흥시기에 들어섰다. 21세기에 들어서서 중국의 교육은 전반적인 제8차 과정개혁을 걸쳐의무교육 단계의 지리교육과 고등학교 지리교육은 개혁시기에 들어섬으로써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지리는 모두 필수과목으로 지정되었다.

      • 同心圓 構造 中心의 模型을 이용한 地理敎育課程 計劃

        芮庚熙 청주대학교 학술연구소 2003 淸大學術論集 Vol.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suggestions that are related for geography curriculum planning using concentric model and its related model in Korea. 1. The contents of study are below. (1) General considerations of geography curriculum planning using the concentric model. (2) Some trends of geography curriculum planning using the concentric model in United Kingdom. (3) The geography curriculum planning using the concentric model of W. E. Marsden and three-year program using the concentric model of Marsden. (4) Conceptual, regional, concentric, logical approaches of Lee, Chan and Lim, Duck-Soon and the concentric model of Lee, Yang-Woo. (5) Examples of the concentric approach using inquiry models of G. T. G. Rimmington. 2. The suggestions that are related for geography curriculum planning using concentric models and its related models in Korea are below. (1) The concentric approach is used to integrate the topic and region in order to complement regional method and systematic method. In the concentric approach, local study is valuable in itself and has additional merits to integrate our state and other parts of the world. The local study is required to use large scale map and to learn local task by map learning. Therefore, we must strengthen to use large scale map and learn local task by map learning in the local study of concentric approach. (2) The concentric model of W. E. Marsden is the most important and valuable model of geography curriculum planning. By the application of this model, we can constitute curriculum planning of the local geography and state geography of korea. (3) If a school is located in rural town and other metropolitan region, the concentric model of Marsden can be used to emphasis other view points of geography. Therefore the concentric model of Marsden is seen to have valuable suggestions of geography curriculum planning in Korea. (4) If the conceptual-regional-concentric-logical approach of Lee, Chan and Lim, Duck- Soon and the concentric model of Marsden are to compare the flexibility, the latter has the more flexibilities than the former. The concentric model of Marsden is applicable to study local community, local study and national geography of Korea. (5) Though the model A and B of G. T. G. Rimmington are not just fit the concentric approaches, they are valuable to inquiry the field as immediate examples to study the empirical facts to develop the test of facts and to applicate in the various states and other parts of continents. Therefore, geography teachers of Korea must try to strengthen inquiry learning using the model A and B in the concentric framework.

      • 지역역사지리학의 관점에서 본 ‘역사부평’의 문화경관과 지역 정체성

        전종한(Jong Han Jeo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6 기전문화연구 Vol.37 No.-

        지역역사지리학(regional historical geography)이란 역사지리학의 하위 분야로서 어떤 지역(a region)을 매개로 그곳에서 전개된 자연과 인간의 관계, 지역적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환경과 문화와 역사의 연동 관계를 구명하려는 분야이다. 본 연구는 지역역사지리학의 관점에서 공간적으로는 부평 지역, 시간적으로는 전근대 시기, 달리 말해 소위 ‘역사부평’의 지역 정체성을 궁극적 도달점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여러 선행 연구를 토대로 지역역사지리학의 전통적인 주제들을 추출한 다음, 이를 부평 지역에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일곱 가지의 세부 테마들을 선정하였고 이들을 역사부평의 지역 정체성에 접근하기 위한 기본 내용 체계로 삼았다. 첫째, 지역의 정체성과 지역 이미지를 가장 함축적으로 담고 있는 대표 지명과 그 의미, 둘째, 부평의 치소 입지와 권력 공간의 구성, 셋째, 지역의 지리적 환경에 대한 인식과 인지, 넷째, 인문지리의 핵심 요인인 주요 사회집단과 인물(주요 성씨 집단과 배출 인물), 다섯째, 지역 경제의 단면을 알려주는 주된 생업 기반과 인구 분포, 여섯째, 지역문화를 표상하는 문화경관 및 상징적 장소들, 일곱째, 시간에 따른 지역의 변모과정을 엿볼 수 있는 경관 변화 및 지역구조의 변동이 그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 지역역사 지리학의 기본 내용 체계를 어떻게 구성할 것이며 구체적 서술 방식을 어떻게 전개할 것인지를 위한 유의미한 실험적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is a subfield of historical geography. It is a fiel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having been developed there through a certain region,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environment, culture and history in the local context. In this study, the regional identities of so called historic Bupyeong , i.e. that of premodern Bupyeong, were set as the ultimate destination of study from the viewpoint of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To this end, the author extracted traditional major themes of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based on several previous researches, then applied them to the historic Bupyeong, and selected seven themes as follows: first, the representative name and its meanings that represent the regional identities and regional image most implicitly; second, the composition of historic Bupyeong s location and composition of the space of power; third, the awareness and perception of geographical environment; fourth, the major social groups and figure(major genealogical groups and its great figures); fifth, the main employment base and population distribution; sixth, cultural landscapes and symbolic places representing local culture; seventh, the landscape changes and the dynamics of regional structure that would show the changing process of the region through time. These seven themes consists of the framework of concents to approach the regional(local) identities of historic Bupyeong.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e an meaningful experimental example of how to construct the contents framework of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and how to develop a specific narrative method to regional historical geographies in Korea.

      • KCI등재

        한국의 신지역지리학

        최병두(Choi, Byung-Doo)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1

        이 논문은 2000년대 이후 한국의 신지역지리학의 발달 배경 및 종합적 연구 동향에 관한 앞선 논문에 이어서, 인문지리학의 주요 전공분야들에서 이루어진 경험적 지역 연구의 동향과 과제를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장소와 경관 에 관한 역사문화지리학, 산업지구(또는 클러스터)에 관한 경제지리학, 도시 네트워크와 분화에 관한 도시(사회)지리학 에서 지역이 어떻게 연구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각 전공분야들에서 연구자들은 지역을 지칭하기 위해 각기 다른 용어들을 사용하고 있지만, 지역의 특수성을 보편적 과정과 관련시키고, 본질적 실체이지만 또한 담론적 구성물로 이 해하며, 영역성보다는 네트워크나 관계성에 더 많은 관심을 두고 있음이 확인된다. 이러한 공통점들은 기존의 전통적 지역연구에서 벗어나 신지역지리학의 경향을 반영한 것으로 평가된다. 앞으로 지역 연구에서 지역의 개념화를 위한 주요 과제로, 특수성/보편성, 실체성/구성물, 그리고 영역성/관계성의 이분법을 극복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지역에 관 한 경험적 연구의 주요 이슈로 새로운 관점에서의 지역적 종합, 지역 내・외적 관계로서 지역불균등발전, 그리고 대안적 지역 만들기 등이 제시된다. This paper is to consider trends and issues of regional research in major sub-fields of human geography in Korea, following the previous one which dealt with contexts and general trends of new regional geography in Korea since the 2000s. They include historical and cultural geography on place and landscape, economic geography on industrial districts or agglomerated regions (i.e. clusters) and urban (and social) geography on urban networks and differentiation. Even though researchers in sub-fields have used different terms and concepts to identify region, they are in common to relate specificities of region to general processes such as (de)modernization, (de)industrialization, and globalization, to understand region as social and discursive constitution as well as substantive reality, and to give more attention to socio-spatial networks and relationality than territoriality of regions. These common points seem to reflect the emerging trend of new regional geography, and to get rid of existing traditional concept of region. It is suggested that major tasks for conceptualization of region in future research are to overcome dichotomy of speciality and generality, of substantive reality and discursive constitution, and of territoriality and relationality, and that important issues for empirical research on region include regional synthesis from new perspectives, uneven regional development as relational process in and between regions, and producing practice for alternative regions

      • 전통도시 읍치(邑治)를 통해 본 지역역사지리의 구성

        권선정(Seon jeong Kwo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7 기전문화연구 Vol.38 No.1

        In the space where the concrete trajectory of human life is merged, the various events and meanings, the material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that have been developed and constructed in history are thickly piled up. This is why the time factor can not be ruled out in the geographical approach as the main research element. In this regard, this paper presents the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of Yesan County in Chungnam Province from the current perspective through the historical geographical approach to the geographical representations and texts on the cross-section of time. Here, the construction of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is based on the historical geographical approach to the linguistic and material spatial texts related to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administrative districts, place names, maps (old map and modern map), regional geographies, landscapes and places. This is a way of integrating time and space factors to explore the process of historical change in the region and the composition of regional identity. This study focuses not on the way of developing the argument based on a specific research theme but on the preparation of a case study of regional geography that reflects various time strata compressed in the region. In this paper, I tried to explore the traditional appearance of the pre-modern region and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region in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the national territory after the modern period, centering on the Korean traditional city Eupchi . This is because the city is the main place that form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in terms of population and functions, and it is the central indicator space that measures regional change.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in recent years, various local governments throughout the country have been paying attention to basic research and restoration of traditional city Eupchi in relation to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region, the composition of place identity, and the secure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terms of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 examined concretely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conditions and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Yesan, Deoksan and Daeheung Eupchi in the Joseon Dynasty, the changes of traditional transportation system, and Jinsan , Jusan of Eupchi related to the traditional geographical perceptions for constructing the regional identity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of the region. In this study, I identified tha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various literatures related to the regional geography, place names, and the old map and to observe various cultural historical landscapes and places, which are very limited. 인간의 구체적 삶의 궤적이 녹아 있는 공간에는 역사상 전개되어 온 다양한 사건 및 의미 그리고 물질적인 역사문화경관들이 촘촘히 충전되어 있다. 공간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는 지리학적 접근에서 시간 요소를 배제할 수 없는 이유이다. 이와 관련해 본고에서는 충청남도 예산군을 사례로 지역의 전통적 모습이나 주요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여러 시간단면 상의 지리적 재현물에 대한 역사지리적 접근을 통해 현재적 입장에서 예산 지역의 지역역사지리(regional historical geography)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지역역사지리의 구성은 지역의 자연환경 및 행정구역, 지명, 지도(고지도, 근·현대지도), 지리지, 경관, 장소 등 제반 지역관련 언표적, 물질적 공간텍스트에 대한 역사지리적 접근을 통해 현재적 입장에서 지역의 역사적 변화과정 및 지역정체성 구성에 관심 갖는 공간과 시간이 통합된 지역연구의 한 방편이라 할 수 있다. 본고는 특정한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논지를 전개하는 방식이 아닌, 지역에 압축되어 있는 다양한 시간 층위를 반영한 지역지리 구성의 한 연구 사례를 마련하는 것에 관심을 두었다. 이에 근대 이전 지방 행정의 중심지이자 교통의 결절지로서 현재의 도시 기능을 담당했던 ‘전통도시’ 읍치를 중심으로 근대 이전 지역의 전통적 모습 그리고 근대 이후 국토공간의 재편 과정에서 경험한 지역의 역사적 변화과정 등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예나 지금이나 도시는 인구 및 여러 기능 측면에서 지역의 특성을 형성하는 주요한 장소이자 지역 변화를 가늠케 하는 중심적인 지표공간이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전국의 여러 지자체에서 지역의 역사적 변화과정 및 장소정체성 구성 그리고 역사문화적 자원 확보 등과 관련해 전통도시 읍치에 대한 기초조사와 복원 등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연구목적과 관련해 구체적으로 예산 일대의 지리적 환경조건 및 행정구역의 역사적 변화, 현 예산 관내에서 유지돼 온 조선시대 예산·덕산·대흥 읍치의 공간구성상 특징과 이들 읍치를 중심으로 한 전통적 교통체계 및 변화, 그리고 지역정체성 구성과 관련해 주목되는 역사문화적 자원으로서 읍치의 진산·주산에 대해 살펴보았다. 작업 수행과 관련해 근대 이전 제작된 지리지와 고지도, 지명지 등의 문헌조사 그리고 극히 제한되기는 하지만 다양한 문화역사 경관 및 장소에 대한 현장답사가 지역역사지리 구성을 위해 병행되어야 하는 필수 작업임을 경험할 수 있었다.

      • KCI등재

        20세기 이후 중국 지역지리 과정(課程)의 변화 고찰

        ( Yuzhi Dong ),( Shizhu Ji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9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7 No.2

        지역지리는 지리학의 중요한 구성부분으로서 지역지리 과정의 발전 변화를 통하여 중국 지리교육의 발전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문은 지역지리 과정의 시대적 배경, 학과 발전, 내용 설치 등의 측면에서 지역지리 과정의 발전을 지방지, 맹아, 모방, 정체, 발전, 개혁 등의 6개시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의 과정내용의 특징과 변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지방지시기에서 맹아시기에 이르기까지 “지역지리”는 초보적인 체계를 갖추었으며 “지역지리”는 지방지를 대체하였다. 모방시기에서 정체시기까지는 뚜렷한 정치적 색깔이 있어 지역지리 전반에 걸쳐 소련을 모방하였으며 크게 위축되었다. 그 후, 4차의 지리대강 조정을 거쳐 지역지리는 중학교를 중심으로 하고 고등학교를 보충으로 하는 진흥시기에 들어섰다. 21세기에 들어서서 중국의 교육은 전반적인 제8차 과정개혁을 걸쳐 의무교육 단계의 지리교육과 고등학교 지리교육은 개혁시기에 들어섬으로써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지리는 모두 필수과목으로 지정되었다. Regional geography plays an irreplaceable role in the development of Geography Curriculum in China.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regional geography is also the vane of geography education in China. This paper divides the development of regional geography curriculum into local chronicle period, embryonic period, imitation period, stagnation period, revitalization period and reform perio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subject development and content setting of geography curriculum. From the local chronicles period to the embryonic period, “regional geography” was the initial system, and “regional geography” completely replaced the local chronicles. The period from imitation to cessation is the most distinctive political color. Regional geography has been declining from full imitation of the Soviet Union to full scale. After four adjustments of the geographical outline, regional geography formed a revitalization period with junior middle school as the main pattern and senior high school as the supplement pattern. In the 21st century, China’s education has entered the eighth curriculum reform in an all-round way. Compulsory geography education and high school geography education have changed from syllabus to curriculum standard, and then into a comprehensive reform period. It has formed a compulsory pattern for both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