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민투표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상민 ( Sang Min Lee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법학논총 Vol.36 No.2

        Local referendum is stipulated for the right of resident`s vote in order to supplement the deficiency of representative democracy system which is a principle of the administration of local autonomy, and local autonomy system in Korean society is taking root gradually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local referendum system known as an element of direct democracy to supplement representative democracy. From the viewpoint that decisions are made through a direct vote by local residents to solve their local issues, referendum performs a role to enhance the status of residents and secure the legitimacy of problem-solving. It also has a positive value that it can counterbalance central government for its one-directional instruction or enforcement to local government. Since the result of referendum can be considered as a collective embodiment of residents` opinion, it can exert great influence and give a considerable pressure in future policy-making of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Hence, it is necessary to review carefully how the subject, requirement, motion, requirement of gathering signatures, vote campaign, relief and penalty of the Referendum Act that will be mentioned here below should be determined and whether legal binding force shall be given to the result of referendum. There are various problems in current referendum system caused by the problems of its own but also by a wrong application of this system. After all, such problems undermine the value of referendum by making damages on securing fundamental signification and fare procedure as well as the legitimacy of the result. Nevertheless, when considering its value as a countermeasure against various problems and the importance of its result, improvement of the referendum system in our society is very important and urgent issue. Hence, this article intends to investigate the institutional problems of the current referendum system through a case study and find its improvement.

      • KCI등재

        현행 주민소환제도의 운용에 대한 평가와 개선 과제

        이관행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20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20 No.2

        In general, any organization or organization that operates as a specific task or member will agree with the fact that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increase when the monitoring or supervisory procedures are conducted in multiple stages. Despite the many positive aspects of the current representative democracy, negative aspects have also been found in securing accountability of elected representatives. As a result, the method of direct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the operation of local administration has been continuously discussed, and various systems for participation of residents are prescribed. In order for the local autonomy system to provide a substantial foundation, it must be promoted in terms of the activation of residents' autonomy. To this end, local autonomy must be made an essential part of resident participation, and through such a process, the value can be realized when resident participation is institutionalized. In particular, residents' self-government as a constitutional principle is not only a representative resident participation, but also a direct democratic resident participation suitable for the democracy of local autonomy, so direct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the local autonomy system compensates for the defects of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the people. It is responsible for the practical realization of sovereignty. The direct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these local administrations provided an opportunity for active and practical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in local issues, and laid the foundation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and transparency of local administrations in various fields such as systems and policies. It is also undeniable that it has led residents to increase their sovereignty awareness and participation in increased administration up to the present, and h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local democracy. However, as the decentralization and local autonomy expanded systematically, the authority of elected officials, such as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and local councils, was strengthened. Questions have been continuously raised about the system for the containment and monitoring of actual residents. As part of this, the Resident Summoning System controls the illegal or unfair acts of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and local councils who are elected local officials and local officials, abuses of duties, or abuse of authority, and expands direct participation of residents, so that the policies and administrative treatment of residents' residents In order to increase the democracy and accountability of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on, promote the welfare of residents, an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so as not to contradict the intention, the Act on Resident Summons was enacted in 2006 and was enacted in July 2007. Has been implemented since. The resident recall system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in the democratic political process as a mechanism for controlling local administration by direct participation of residents along with the referendum system. Therefore, the Resident Summoning System is inseparable from the representative system, and is particularly meaningful in that it is a necessary system for supplementing the problems of the representative system and internalizing the local government system. 일반적으로 특정 업무나 구성원으로 운영되는 단체나 조직 등은 감시 또는 감독절차가 여러 단계별로 이루어지게 되면 투명성과 책임성이 높아진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누구나 공감할 것이다. 현재의 대의민주주의는 여러 긍적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선출된 대표자의 책임성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부정적인 측면도 제법 발견되고 있다. 그 결과 지방행정의 운영에 있어서 제도적으로 주민이 직접참여 하는 방안이 지속적으로 논의되었고, 주민참여를 위한 다양한 제도를 규정하고 있다. 지방자치제도가 실질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주민자치의 활성화라는 측면에서 추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방자치는 주민참여를 본질적 요소로 하여야 하며, 그러한 과정을 통하여 주민참여가 제도적으로 정착하는 경우에 그 가치가 실현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헌법원리로서의 주민자치는 대의제적 주민참여뿐만 아니라 지방자치의 민주성에 걸맞은 직접민주제적 주민참여를 불가결한 내용으로 하기에, 지방자치제도에서 주민직접참여는 대의민주제가 안고 있는 결함을 보완하고 국민주권을 실질적으로 실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지방행정에 대한 주민의 직접참여는 지역 문제에 주민들의 능동적이고 실질적인 참여를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고, 제도 및 정책 등 여러 분야에서 지방행정의 효율성과 투명성이 점점 강조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현재에 이르기까지 주민들의 주권의식 향상과 높아진 행정에의 참여를 유도했고, 지방의 민주주의 발전에 많은 기여를 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제도적으로 지방분권화와 지방자치가 확대되면서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등 선출직 공직자의 권한이 강화됨에 따라 그들의 자의적 권한행사와 비효율적・비합리적인 운영 등으로 선출직 공직자에 대한 책임성 문제가 대두되었고, 그들에 대한 실질적인 주민들의 견제와 감시를 위한 제도에 의문점 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일환으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지방공직자인 지방자치단체의 장 및 지방의원의 위법・부당행위, 직무유기 또는 직권남용 등을 통제하고 주민의 직접참여를 확대함으로써 주민대표의 정책이나 행정처리가 주민의사에 반하지 않도록 지방자치행정의 민주성과 책임성을 제고하고, 주민복지의 증진을 도모하며, 대의제 민주주의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주민소환에 관한 법률이 2006년 제정되어 2007년 7월부터 시행되고 있다. 주민소환제도는 주민투표제와 더불어 주민의 직접참여에 의한 지방행정의 통제장치로서 민주주의 정치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그렇기에 주민소환제도는 대의제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이며, 특히 대의제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지방자치제도의 내실화를 위한 필요한 제도라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주민투표에 대한 평가

        정일섭 한국지방자치학회 2006 한국지방자치학회보 Vol.18 No.4

        The Local Referendum Law was enacted in December 2003 in accordance with the legislative requirement of Local Autonomy Law, and it has been put in force at Jeju do as the referendum for transform the self-gover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local referendum system in korea.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heoretical review on referendum system as a form of direct democracy. The local referendum system should be introduced for the local democracy. Therefore I evaluate our local referendum system and compare with other countries. Finally, this paper proposes several amendment in our local referendum system.

      • KCI등재후보

        한국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혁의 조건과 과제: 뉴질랜드 및 영국 사례와 비교적 관점에서

        장선화 ( Seon Hwa Jang )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비교민주주의학회) 2013 비교민주주의연구 Vol.9 No.2

        이 글은 1987년 민주화 이후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혁과정을 단순다수 선거제도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점들로 인해 선거제도 개혁을 시도한 뉴질랜드 및 영국 사례와 비교 고찰한다. 한국과 뉴질랜드는 선거제도 개혁에 성공한 반면 영국에서는 제도 변화 시도에 실패했다. 이들 세 국가에서의 제도 개혁 과정과 결과를 비교한 결과 이 글에서 제시하는 선거제도 개혁의 조건과 경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절차적 민주주의가 확립된 국가에서 선거제도 개혁은 ‘아래로부터’ 선거개혁을 요구하는 사회 내 개혁세력과 ‘위로부터의’ 개혁연계 세력의 연합에 의해 시도된다. 둘째, 선거제도 개혁이 정치적 의제로 부상하게 되는 정치적 국면이 제도개혁 연합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이 된다. 선거제도가 형성되고 발전해온 역사적 맥락, 정당의 이익교환의 구조, 사회 내 개혁세력의 영향력, 그리고 해당 국가의 법 제도적 차이에 따라 선거제도 변화 경로는 상이하게 나타난다. 민주주의 제도 도입 직후 권위주의 정부시기를 거쳐 뒤늦게 절차적 민주주의가 확립된 국가들에서 위로부터 형성, 혹은 수립된 선거제도에 대한 2차 개혁 필요성은 아래로부터 제기되는 경향을 보인다(한국 사례). 민주주의의 역사가 오래된 국가에서 선거제 개혁은 현 제도로부터 불이익을 받는 정당들에 의해 제기된다(영국, 뉴질랜드 사례).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세 사례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제도변화의 조건은 소수정당과 사회 내 개혁세력의 제도 전환 요구, 제도개혁의 유인과 능력이 갖추어진 정당의 협력, 그리고 제도 유지의 균형을 무너뜨리는 정치적 국면이었다. 선거제도 개혁의 성공에 중요한 조건은 정치적 이해관계에서 비교적 중립적인 대안 검토가 가능한 법적·공적권위체의 수립이었다. 한국의 경우 의회에 중립적인 최고사법제도(헌법재판소)가, 뉴질랜드에서는 보다 객관적 위치에서 제도적 대안을 검토하고 개혁을 공론화하는 공적 권위체(왕립선거개혁위원회)가 제도 개혁 시도의 성공을 위한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nder what conditions and how an electoral system change happened. It compared electoral reform experiences in Korea with the electoral system change in New Zealand and an attempt to reform in the United Kingdom. Conditions for electoral system change and routes to the system reform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in the normal democratic state, an attempt for electoral reform begins from below, that is made by reform-oriented group in the civil society. As it connected with political group preferring for electoral system reform, the third parties or reform-friendly group in the opposition parties, an electoral system change is more likely to be realized. Second, it is more likely to be tried an electoral system reform under extraordinary political situation that electoral system reform to more democratic form emerged as critical political agenda. There are some different routes to an electoral system reform as following the countries` endemic historical context how the electoral system to be designed and developed, political parties` interests bargaining structure in the party system, leverage of the reform-oriented group in the civil society, and other democratic institutional arrangements. In Korea, according to retardedtiming of democratization after authoritarian regime, There are reform-oriented demands from below for redesigning the electoral system built by authoritarian political elites. In countries having long-standing democratic electoral system, such as New Zealand and the United Kingdom, some challenges for electoral reform are raised by the political parties having disadvantages under the existing electoral system. Nevertheless, In these three countries, common conditions for electoral system change exist: demands for system change by reform-oriented minor parties and societal group, existence of reform-friendly group in the major parties, and extraordinary political situation breaking the current institutional balance. The critical determinant for electoral system reform Korea and New Zealand achieved was the existence of comparatively neutral public institution that is to say ‘the Constitutional Court’ in Korea and ‘the Royal commission on the Electoral System’ in New Zealand.

      • KCI등재

        국회의원에 대한 국민소환제도의 도입과 합헌여부 ― 도입의 필요성과 합헌성 및 위험성을 중심으로 ―

        이승우 한국공법학회 2012 공법연구 Vol.41 No.1

        A legislative bill that would allow a recall referendum is currently under consideration by the national assembly. Many articles concerning the introduction of a system wher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may be subject to a recall election have hitherto been present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his paper comprehensively deals with the necessity, constitutionality, and risk pertaining to adopting such a system. In light of the aspect that enabling the public to recall assemblymen would be an indication of popular sovereignty in effect, the system may in fact be deemed necessary. Furthermore, recently developed perception on the significance and function of such system poses a need for it to be legitimized. For instance, the heightened sense of popular sovereignty followed by democratization of this country denotes a public demand to confront neglecting assemblymen. Also, it has been determined that a recall election is an adequate system for the people to directly voice issues of political responsibility. A system to hold assemblymen politically responsible would be linked to the realization of popular sovereignty. On the legislation of a recall referendum, some argue its constitutionality while others claim its unconstitutionality. This paper argues that the system would be constitutionally sound by disproving the premises of opposing claims. First, advocates of the conclusion that the system is unconstitutional claim that it contradicts principles of representative government as well as rules of free delegation. Conversely, it is demonstrated in this paper that the system of recall rather aims to foster political responsibility through the basis regarding principles of representative government and rules of free delegation. Second, opposing claims assert that a recall system lacks constitutional grounds and legal reserve. However,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system of recall, analogical to any other system concerning accountability, can be established as long as it does not conflict with the fundamental ideas and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Third, claims that render the recall system unconstitutional insist that it violates the immunity held by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This paper instead sees that the two are compatible; the system of recall does not apply to assemblymen’s legal responsibilities outside the legislative sphere, and only involves public actions demanding their political responsibilities. Although the introduction of a recall referendum system is seen as both necessary and constitutional, this paper does not deny that it accompanies risks. On the other hand, it is the belief of this author that modern political environment in this country has reached the level of sophistication where such risk factors may well be managed 국회의원에 대한 국민소환제도의 도입을 위한 법률안이 국회에 제출되어 있다. 그리고 국민소환제도의 도입에 대하여 여러 논문이 이미 발표되어 있다. 이 논문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제도도입의 필요성, 합헌성, 위험성을 종합적으로 다룬다. 국민소환제도의 도입 필요성은 국민주권이념의 실효성의 측면에서 인정된다. 그리고 국민소환제도의 의의와 기능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토대로 도입 필요성이 제기된다. 즉 우리나라의 민주화와 더불어 국민의 주권의식이 높아져 국민의 의사를 무시한 국회의원을 그대로 둘 수 없다는 것이고, 국민소환제도는 국민이 직접 정치적 책임을 묻는 제도라는 것이 새롭게 규명되고 있으며, 따라서 책임정치를 실현하는 것이 곧 국민주권을 실현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국민소환제도의 도입에 대해서는 위헌론과 합헌론이 제기되고 있으나, 여기서는 위헌론의 논리를 반박하며 합헌론을 주장하고 있다. 첫째, 전자(위헌론)는 대의제원리와 자유위임원칙에 반한다고 주장하지만, 국민소환제도는 대의제원리와 자유위임원칙을 토대로 책임정치를 실현하려는 것이어서 충돌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둘째, 전자는 헌법적 근거나 법률유보가 없어 위헌이라고 주장하나, 국민소환제도는 다른 책임제도와 마찬가지로 헌법의 근본이념이나 기본원리에 반하지 않는 한 도입가능하다고 보았다. 셋째, 전자는 국회의원의 면책특권을 위반한다고 주장하지만, 국민소환제도는 국회 외에서의 법적 책임에 관한 것이 아니라 국민에 의한 정치적 책임을 묻는 것이라는 점에서 양립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도입의 필요성과 합헌성이 인정되지만 위험성이 있음에 대해서는 부인하지 않는다. 다만 과거와 정치환경이 달라진 현대의 경우 그 위험성은 충분히 감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주민투표제도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성병훈 ( Byung Hoon Sung ),성도경 ( Do Kyung Sung ) 영남대학교 한국균형발전연구소(구 영남대학교 영남지역발전연구소) 2012 한국균형발전연구 Vol.3 No.3

        본 연구는 2004년 제정된 주민투표법을 중심으로 그 제도적 가치와 문제점, 그리고 주민투표제도의 도입 전후에 몇 차례 실시 된 주민투표사례를 통하여 주민투표제토의 운영상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주민투표제도가 바람직하게 운영될 수 있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민투표제도는 지방자치제도가 제대로 운영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주민참여제도 중의 하나로서 중요한 의의를 가지지만 잘못 운영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지방자치의 장애물로 전락될 수도 있음을 사례로 통하여 관찰할 수 있었다. 지방자치제도가 정착화되면 주민투표제도의 중요성이 더욱 증가할 것임은 틀림없지만 본 연구는 주민투표제도가 정착하기엔 아직 많은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정보부족으로 인한 주민의 비합리적 선택은 혼란을 증폭시키거나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지방정부와 지방정부간, 지역주민과 주민간의 갈등을 더욱 심화 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불합리한 법적, 제도적 문제점들은 계속적으로 수정·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proper improvement plans to operate referendum system through the analysis of referendum cases after the passage of referendum law of 2004. Referendu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itizen participation system for the proper operation of local autonomy system. However, this study found it hinders rather than help local autonomy if system is operated inappropriately. The importance of referendum system will increase as local autonomy becomes more stabilized, but this study found there still remain many problems the local autonomy to be stabilized. In the respect that irrational selection of the citizens from the lack of proper information can either lead or deepen confusion or conflict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mong the local governments, and among the local residents, there needs a constant amendment and supplement of irrational legal and institutional problems.

      • KCI등재

        지방자치법상 주민직접참여제도의 발전과정과 개선방안

        노현수 ( Roh Hyun-su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硏究 Vol.28 No.4

        지방자치에 대한 민주적 정당성은 주민의 선거를 통해 선출된 지방의회 및 지방자치단체장에 의한 간접적인 방법으로도 확보될 수 있지만, 주민들이 지역의 현안을 직접 결정하는 직접적인 방법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특히, 지방자치의 실질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주민직접참여를 본질적 요소로 한 제도적 기반은 필수적 일 것이다. 우리나라의 주민직접참여제도의 법제화는 1994년 주민투표제도, 1999년 조례제정개폐 청구제도와 주민감사청구제도, 2005년 주민소송제도, 2006년 주민소환제도가 지방자치법에 도입되었고, 주민직접참여제도를 구체화한 법률은 2004년 주민투표법, 2006년 주민소환법이 제정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의 개정을 통해 주민의 참여확대를 위한 법적 근거와 제도적 기틀을 마련해 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발전과정에도 불구하고 주민직접참여제도는 형식적ㆍ소극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지방자치법과 관련 개별법의 개정연혁에서 본 바와 같이 주민직접참여제도와 관련된 대부분의 개정은 타법개정에 따른 수동적 개정에 그치고 있고, 주민직접참여제도의 문제점으로 비판받고 있는 사항들에 대해서는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지방자치에 있어서 주민직접참여의 확대를 통한 주민통제와 주민자치의 실현은 최대의 과제이며, 지방자치제도의 성패와 관련된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주민직접참여제도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각 제도별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법상 주민자치회를 신설하거나, 주민의 알권리 보장을 위한 정보공개 확대, 주민투표 및 주민소환 등의 제도에 온라인 청구방식 도입 등 새로운 주민참여제도의 도입가능성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이를 통해 지방행정에 대한 주민의 직접 참여를 확대하고, 지역사회에 대한 참여와 관심을 독려함으로써 지방자치가 한층 더 성숙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Democratic legitimacy of local autonomy is carried out through indirect methods by local councils and heads of local government elected by residents and direct methods by which residents directly determine local concerns. In particular,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with direct participation of residents as an essential element is indispensable for local governments to prepare a substantial infrastructure. The legislation of the Korean resident participation system introduced the residents referendum system in 1994, the residents claims for regulations system and the resident inspection claims system in 1999, the residents lawsuit system in 2005, and the residents recall system in 2006. The residents referendum law in 2004 and the residents recall law in 2006 were enacted as the laws that embody the direct participation system of residents. Since then, the Local Autonomy Law and related individual laws have been revised many times to establish legal grounds and institutional frameworks for expanding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However, in reality, the direct participation system of residents is formally and passively managed despite such development process. This is because most of the revisions related to the direct participation system for residents, as seen in the history of revisions to the Local Autonomy Law and related individual laws, have been passively revised due to the revision of the percussion law. The facts that are criticized as problems of the public participation system are not properly reflected. Realization of resident control and resident autonomy through the expansion of direct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local autonomy is the biggest issue and an important issue related to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Therefore, in order for the direct participation system of residents to be effective,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problems of each syste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residents' association under the Local Autonomy Law. In addition, new resident participation systems such as the expansion of information disclosure to guarantee the rights of residents and the introduction of an online billing system for systems such as referendum and recall of residents should be actively considered. In this way, efforts must be made to further mature the local government by expanding the direct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in the local administration and encouraging the participation and interest in the local community.

      • KCI등재

        주민참여제도의 활성화 방안 연구

        윤상규(SANG-GYU YOON) 한국국회학회 2023 한국과 세계 Vol.5 No.4

        본 연구는 주민참여제도의 활성화 위해 직접민주주의 요소를 중심으로 연구 하였다. 이를 위해 주민참여3법이라 불리는 주민소환제, 주민투표제, 주민조례발안제 등을 중심으로 현황과 문제점 파악, 활성화 방안을 제안한다. 연구 결과 주민소환제와 주민투표제는 낮은 투표율로 인해 활용 빈도가 낮았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규제 완화와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전문가 육성이 필요하다. 주민조례발안제도 역시 이익단체가 아닌 주민자치회 중심으로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그리고 임기 내 조례가 처리 되지 않을 경우 차기의회에서 처리하는 입법절차 규정은 책임정치 구현을 위해 임기 내 처리로 개선되어야 한다. 효율적인 제도운영을 위해서는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와 지역공동체 회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공공기관은 주민 참여를 유도한 후 주민이 주체가 되도록 지원하는 역할이 요청된다. 나아가 정책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주민에 대한 정책 수요와 제도 시행 이후 결과에 대한 실증적 조사가 시행되어야 하며, 이 결과를 향후 지역 정책에 반영하여야 한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elements of direct democracy to vitalize the resident participation system. To this end, the resident recall system, resident referendum system, and resident ordinance proposition system, which are called the 3 Resident Participation Acts,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and propose revitalization pla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sident recall system and the referendum system were not used frequently due to the low voter turnout, and deregulation to activate them and training of experts to increase the use rate are needed. The resident ordinance proposition system should also increase accessibility centered on the resident association rather than interest groups. For efficient system operation, a committee composed of experts and the recovery of the local community are needed. To this end, public institutions are requested to play the role of supporting residents to become the main body after inducing residents' participation. Furthermore, in order to increase the acceptability of the policy, an empirical investigation on the policy demand of the residents and the result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should be conducted, and the result should be reflected in the future local policy.

      • KCI등재

        분권형 헌법을 위한 모델 연구

        명재진(Myung, Jae-Jin)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東亞法學 Vol.- No.65

        우리 현행헌법이 이제 30년이 되고 있는 시점에서 지방자치에 관한 헌법개정은 매우 시급한 과제이다. 중앙집권적 국가운영으로 인해 지방자치는 우리 헌정사에서 실패한 사례가 되고 있다. 비교법적으로 볼 때 많은 국가에서 분권형 지방자치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모범적인 연방제의 전통을 가지고 있는 스위스는 지속적인 헌법 개정으로 국가권력을 지방에 이양하고 있으며, 1992년 프랑스는 헌법 개정을 통해 분권국가를 선언했고, 2011년 영국의 경우에는 지역 주권법(localism act)을 통해 지방자치의 실질적 구현과 주민들의 참여권보장을 위해 노력 중이다. 우리 지방자치를 변화시키고 균형 있는 국가발전을 위해서 연방제와 직접민주주의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요구된다. 연방제는 주에게 독립적 지위를 부여하는 것으로 지방자치를 전제로 하는 분권형 모델이며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제도이다. 연방제는 주들의 독립을 인정하는 체제이어서 양원제를 통한 주들의 화합과 이익 보장적 장치가 필요하다. 특히 상원을 주들의 대표로 구성하는 독일식 상원제도의 장점을 주장하는 학계의 목소리가 높으며, 이를 통해 주의 이익이 담긴 법안에 대한 주들의 의견 개진할 수 있는 기회가 부여된다. 직접민주주의도 중앙의 대의기관을 통한 국가의사형성에 대해 국민에게도 참여권을 보장한다는 분권적 의미가 있다. 특히 스위스에서 실시되는 필수적?임의적 국민투표제도는 국민발안과 더불어 대의민주주의를 보충하고 국민의 참여를 통한 정체된 대의제를 보다 활성화시킨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분권화된 국가모델을 구현하기 위한 연방제와 직접민주제를 헌법적으로 규정하기 위해서는 이를 성공적으로 실현하는데 필요한 전제조건들을 마련하여야 한다. 연방과 주의 권한배분을 헌법에 명확하게 확정해주고, 직접민주제의 내용과 실현방식도 법률이 아닌 헌법에 구체화되어야 한다. 또한 연방과 주들의 협력 장치를 명문화하고 헌법적 분쟁이나, 연방법률과 주법률에 대한 의견 차이를 해결할 수 있는 독일식 연방쟁의와 추상적 규범통제를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헌법의 최고 가치인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수호하기 위해 연방의 주에 대한 개입의 규정을 헌법에 두어야 실효적 헌법보호가 가능하다. The 30 years old Korean Constitution has urgent task to reform local autonomy system. The centralized authoritarian rule in korean political history made local autonomy system aborted. Compared with other constitutions, many countries have introduced decentralized local autonomy system. Switzerland has transferred central authority to local government through the constitution revisions. In 1992, France has declared itself as decentralized state. In 2011, the United Kingdom has made localism act, to fulfill local autonomy system and endeavor to ensure the participating rights of people in local autonomy. To reform our local autonomy system and bring the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regions, we need to introduce federal system and direct democracy in Korean Constitution. The federal system grants the local government independence and therefore it brings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e federal system requires also bicameral system as protection system for the local government. Especially the german senate, which represents local governments, can be a best constitutional model to give local governments having voices over region related bills. Direct democracy protects participations of local people in forming of national policy and therefore it contributes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regions. Switzerland has prescribed referendum and popular initiative in constitution, which compensate and dynamize representative democracy through civic participation. For the realization of decentralized State with federal system and direct democracy, it requires some prerequisites. First, authority division between federal government and state government must be clearly prescribed in constitution not in law. Secondly, the abstract normative control and federal dispute mediation system of germany must be introduced to our constitution to solve the differences of opinion over the federal and state laws. To protect free democratic basic order of constitution, federal government intervention in state problems must be also introduced.

      • KCI등재후보

        주민투표제도에 관한 사례연구

        정일섭(Il Seob Jeong) 한국정책개발학회 2015 정책개발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평은면에서 실시된 주민투표를 의사결정 수단의 유용성 측면에서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주민투표법은 지방자치법에 따라 2004년 1월 제정된 후. 2014년 9월 10일까지 전국에서 8차례의 주민투표가 실시되었다. 평은면의 주민투표는 면사무소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그 결과 평은리가 평은면의 소재지로 결정되었다. 그러나 반대편의 주민들은 주민투표의 결과를 기꺼이 받아들이지 않아 갈등이 남아있다. 따라서 주민투표는 주민들이 주민투표 결과를 기꺼이 받아들일 수 있는 조건이 확보된 경우에만 유용성이 있는 것이다. 투표결과에 대해 승복할 수 있는 여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주민의 이해관계에 보다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는 "주민투표권자 총수의 3분이 1이상의 투표"라는 요건을 "주민투표권자 총수의 2분의 1이상의 투표"로 강화 할 필요가 있다. The Local Referendum Law was enacted in December 2003 in accordance with the Local Autonomy Law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a local referendum case in Pyungun myun examining the utility of local referendum as a tool of decision making and suggest a proposal for Improvement. The local referendum was taken in 2011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Pyungun myun" office. As a result, "Pyungun lee"was determined as the place of the office. But the opposition residents hardly accepted the result of local referendum, thus conflicts remained. The case illustrates the local referendum is useful only in the case of majority residents who are willingly accept the result of local referendum. To increase the acceptance of vote result, the terms of voting quorum should be fortified from 'one-third of the electorate' to 'a half of the electorat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major issues affecting the residents' intere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