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사와 신문 과정의 영상녹화와 증거사용에 관한 쟁점

        이경열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18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Vol.10 No.2

        The video recording system in the investigation and interrogation process was introduced at the amendment of the Criminal Procedure Code (Law No. 8496) on June 1, 2007, and has been in effect since January 1, 2008. According to the prescriptive attitude of the current Criminal Procedure Law, video recordings are considered as a hearsay evidence that recorded the statement of the original statementer. However, it can cannot be an independent proprietary evidence since it is considered same as the hearsay report. Even Article 244 of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does not allow the video recording without filling out the statement report to replace the examination document of the suspect. Criminal law in practice also denies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as illegal collection of evidence in Article 244 Clause 1 if only video recording of statement and its context is submitted to the court. However, there is a dual nature to use the video recording as evidence by an investigative agency. In other words, the use of the scientific investigation method accompanying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extremely useful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parency of the investigation procedure to prevent hypotensive investigation and harsh treatments. It is also usefu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tection suspects’ rights to control the illegality of the investigation process. On the other hand, there is still no clear way to suppress the conciliation or coercion of confession before recording the statement in video, and there is also aconcern that it may encroach the principle of court-oriented trials. Even though these two charaters that explicitly stipluate the use of evence of video recording is regulated by law, it is still controversial to use it as evidence of criminal proceedings. As long as the discussion related to pros and cons of the video recording system continues, a sense of refual will still exist on granting the video recording its own amissibility as an independent evidnce, even though its objectivity as the scientific proof is better than that of statement report, which can be edited based on the writer’s subjective thought. Under the current law, there are still concerns of guaranteeing (substantial) authenticity of evidence and controling the possible editing of recording. Therefore, there are no opinions about using video recording as direct evidence so far. 수사와 신문과정의 영상녹화 제도가 2007년 6월 1일 형사소송법 개정(법률제8496호)시에 도입되어 2008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어 오고 있다. 현행 형사소 송법의 규정태도에 의하면, 영상녹화물은 원진술자의 진술을 녹취한 전문증거에 해당하지만 전문진술이 기재된 조서(調書)와 동일한 증거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별도의 독자적 증거방법이 될 수 없다. 형사소송법 제244조 법문의 해석 상으로도 피의자의 진술을 조서에 기재하지 않고 이를 촬영한 영상녹화물은 피의자신문조서를 대체할 수 없다. 형사실무도 피의자신문을 조서로 작성하지 않고 진술모습과 내용을 영상녹화로만 법정에 제출한 경우에는 형사소송법 제244 조 제1항에 위반한 위법수집증거로서 증거능력을 부인하고 있다. 하지만 수사기관의 영상녹화물을 증거로 사용하는 데에는 이중적인 성격이있다. 즉,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과학적 수사방법의 사용은 강압수사와 가혹 행위를 방지하고 피의자의 인권을 보호하는 수사절차의 투명화, 수사과정의 위법성 통제라는 관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반면에 사건관계인의 진술을 영상으로촬영하기 이전에 자백 강요나 회유를 억제할 적절한 방법이 아직 뚜렷하게 없 으며, 구두주의와 직접주의로 대표되는 공판중심주의를 잠식할 부정적인 우려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이중적인 성격으로 말미암아 법률에서 영상녹화물의 증거사용에 대하여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형사 소송의 증거로 활용함에는 여전히 논의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영상녹화제도의 장・단점 관련 논의가 지속되는 한, 작성자의 주 관적인 생각에 따라 편집되는 조서보다 과학적인 증명의 객관성이 월등함에도 불구하고 영상녹화물에 대한 독자적인 증거능력의 부여에 대해서는 거부감이여전할 것이다. 현행법에서도 영상물 증거의 (실질적) 진정 성립에 관한 보증이 나 영상물의 조작・편집가능성에 대한 기술적인 통제방법 등 우려의 목소리가 아직도 있어 수사과정의 영상녹화물을 본증으로 직접 사용하는 방안을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의무기록정리율의 문제점과 개선책 : PROBLEMS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김세철,김민순 한국의료QA학회 1994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1 No.1

        As the first step to improve the medical recording for the hospitalized patients, we tried to identify problems of completion rate of the medical recording and made the completion rate of the medical recording within due date known to the public in the hospital and commended the best Department and resident offici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number of the medical recordings per a recorder by years of residency(average number to quorum) was 293.3(398.8) in 1st year, 82.5(68.1) in 2nd year, 21.2(8.3) in 3rd year, and 20.5(1.9) in 4th year-residents. There was only 2 residents who prepared the medical recordings more than the average of 125.6 recordings per a resident. 2. Among 13 Departments, the medical recording was wholly put in charge of the 1st year-resident in 6 Departments. The duty was shared with the 2nd year-resident in 5 Departments and the 3rd year-resident in 1 and the 4th year-resident in Only 1 Department. 3. The more the cases requiring the medical recording, the lower the completion rate(80% less than 100 recordings, 70% in 100-299, 60% in 300-399 and 33.3% in more than 400). 4.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ompletion rate of the medical recording before(1991) and after(1993) a public nitice(1992). However, 4 Departments showed improvement of 21-45% in the completion rate, and no case was found where billing for medical assurance was postponed due to delayed completion of the medical recording. 5. The completion rate was relatively low(72-78%) from January to March. The main reasons were shortage of men power due to preparation of board examination, attendance to military duty, and lack of training in the medical recording for the new 1st year-residents. 6. The official commendation of the best Department and resident by letters did not improve the completion rate of the medical recording. In conclusion, The main reason of the low completion rate of the medical recording was the fact that the 1st year-residents were almost exclusively responsible for the medical recording. Hence, it is mandatory that this practice gets staffs attention to improve the completion rate. Public notice of the completion rate of the medical recording shows prompt improvement of the completion rate. Prize money rather than commendation by a letter for the best Department would also be more effective to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recording.

      • 녹음 방식 발전을 통해 본 한국 기타세션 기법의 변천사

        노희준 ( Hee-jun Rho ),최진호 ( Jin-ho Cho ) 중앙대학교 예술문화연구원 2017 예술문화융합연구 Vol.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historical progress of guitar session techniques through the advancement of music recording methods in Korean popular music.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advancement of recording methods were classified into 'SP (Standard Play)' recording, 'Magnetic tape' recording, 'Multitrack' recording, 'Digital recording' and 'Hard disk' recording. Also, each period of recording method had a specific guitar session technique as following; 'One take' in the SP recording method , 'Punch in-out' in the magnetic tape recording, 'Over dubbing' in the multitrack recording, and 'Amp-simulation' in the hard disk recording.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guitar session musicians should be prepared for the future to face the different recording setting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ome recording system via DAW, VSTi and sample data would be a good solution for the preparation of future recording environment rapidly changing to guitar session musicians in the advancement of Korean pop music.

      • KCI등재

        수사와 신문 과정의 영상녹화와 증거사용에 관한 쟁점

        이경렬(Lee, Kyung-Lyul)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18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Vol.10 No.2

        수사와 신문과정의 영상녹화 제도가 2007년 6월 1일 형사소송법 개정(법률 제8496호)시에 도입되어 2008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어 오고 있다. 현행 형사소송법의 규정태도에 의하면, 영상녹화물은 원진술자의 진술을 녹취한 전문증거에 해당하지만 전문진술이 기재된 조서(調書)와 동일한 증거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별도의 독자적 증거방법이 될 수 없다. 형사소송법 제244조 법문의 해석상으로도 피의자의 진술을 조서에 기재하지 않고 이를 촬영한 영상녹화물은 피의자신문조서를 대체할 수 없다. 형사실무도 피의자신문을 조서로 작성하지 않고 진술모습과 내용을 영상녹화로만 법정에 제출한 경우에는 형사소송법 제244 조 제1항에 위반한 위법수집증거로서 증거능력을 부인하고 있다. 하지만 수사기관의 영상녹화물을 증거로 사용하는 데에는 이중적인 성격이 있다. 즉,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과학적 수사방법의 사용은 강압수사와 가혹행위를 방지하고 피의자의 인권을 보호하는 수사절차의 투명화, 수사과정의 위 법성 통제라는 관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반면에 사건관계인의 진술을 영상으로 촬영하기 이전에 자백 강요나 회유를 억제할 적절한 방법이 아직 뚜렷하게 없으며, 구두주의와 직접주의로 대표되는 공판중심주의를 잠식할 부정적인 우려 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이중적인 성격으로 말미암아 법률에서 영상녹화물의 증거사용에 대하여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형사소송의 증거로 활용함에는 여전히 논의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영상녹화제도의 장・단점 관련 논의가 지속되는 한, 작성자의 주관적인 생각에 따라 편집되는 조서보다 과학적인 증명의 객관성이 월등함에도 불구하고 영상녹화물에 대한 독자적인 증거능력의 부여에 대해서는 거부감이 여전할 것이다. 현행법에서도 영상물 증거의 (실질적) 진정 성립에 관한 보증이나 영상물의 조작・편집가능성에 대한 기술적인 통제방법 등 우려의 목소리가 아직도 있어 수사과정의 영상녹화물을 본증으로 직접 사용하는 방안을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The video recording system in the investigation and interrogation process was introduced at the amendment of the Criminal Procedure Code (Law No. 8496) on June 1, 2007, and has been in effect since January 1, 2008. According to the prescriptive attitude of the current Criminal Procedure Law, video recordings are considered as a hearsay evidence that recorded the statement of the original statementer. However, it can cannot be an independent proprietary evidence since it is considered same as the hearsay report. Even Article 244 of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does not allow the video recording without filling out the statement report to replace the examination document of the suspect. Criminal law in practice also denies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as illegal collection of evidence in Article 244 Clause 1 if only video recording of statement and its context is submitted to the court. However, there is a dual nature to use the video recording as evidence by an investigative agency. In other words, the use of the scientific investigation method accompanying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extremely useful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parency of the investigation procedure to prevent hypotensive investigation and harsh treatments. It is also usefu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tection suspects’ rights to control the illegality of the investigation process. On the other hand, there is still no clear way to suppress the conciliation or coercion of confession before recording the statement in video, and there is also a concern that it may encroach the principle of court-oriented trials. Even though these two charaters that explicitly stipluate the use of evence of video recording is regulated by law, it is still controversial to use it as evidence of criminal proceedings. As long as the discussion related to pros and cons of the video recording system continues, a sense of refual will still exist on granting the video recording its own amissibility as an independent evidnce, even though its objectivity as the scientific proof is better than that of statement report, which can be edited based on the writer’s subjective thought. Under the current law, there are still concerns of guaranteeing (substantial) authenticity of evidence and controling the possible editing of recording. Therefore, there are no opinions about using video recording as direct evidence so far.

      • 수사 절차상 訊問과정의 영상녹화 필요성과 영상녹화에 대한 경찰수사관들의 태도

        이윤(Yi Roon) 한림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한림법학 FORUM Vol.20 No.-

        수사절차상 신문과정에 대한 영상녹화의 필요성은 수사절차의 투명화를 통한 인권침해 예방, 조사시간 단축, 수사관의 진술청취 기법 향상, 진술 내용과 의미의 정확한 전달 등이다. 한국경찰은 2007년에 전국적으로 영상녹화를 시작하여 현재까지 거의 3년 정도 운영하고 있으나, 한국의 수사관들은 영국이나 미국의 수사관들과 달리 영상녹화 하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이 연구에서는 경찰 수사관들을 상대로 설문조사하여 영상녹화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수사관들은 영상녹화에 대해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그러나 행동분석을 학습한 수사관들은 그렇지 않는 수사관들보다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그리고 높은 선호도를 보인 수사관들은 실적에 의한 강요가 없어도 영상녹화를 하겠다고 응답하였고, 영상녹화를 할 경우 조서를 작성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면 더 많은 영상녹화를 하겠다고 응답했다. '영상녹화가 수사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가'라는 물음에 대해서는 강력팀과 여성청소년계가 경제팀과 지능팀보다 더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이런 태도들을 통해 영상녹화를 활성화하는 데 필요한 다음의 사항들을 도출할 수 있다. 먼저 영상녹화의 목적과 유용성에 대한 교육을 확대할 것이 요구된다. 둘째, 경찰의 실적평가 시스템을 개선하여 영상녹화가 형식적으로 수행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셋째, 영상녹화를 할 경우에는 조서를 작성하지 않아도 되도록 형사소송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녹화조사실을 증설할 경우에는 강력팀과 여성청소년계에 우선적으로 설치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 많은 수사관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일 필요가 있고, 종속변인에 대한 새로운 측정방법을 개발하여 수사관의 태도를 더욱 정확히 측정할 것이 요망된다. The necessity of the video recording of investigative interviewing is the prevention of human right's violation through the transparency of the investigative procedure, reduction of the investigation time, improvement in the techniques on the investigators' hearing of the statements, exact communication of the statement's contents and meaning, etc.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started video recording in 2007. But unlike the detectives in UK and US, Korean detectives have low preference for video recording though they have experienced for about 3 years. The attitudes of police detectives toward video recording was surveyed in this study. Detectives showed low preference for the video recording. But the detectives who have learned the behavior analysis showed higher preference than those who haven't. And the detectives who showed higher preference answered that they would conduct video recording regardless of evaluative pressure, and they would conduct video recording more if the written document of statements could be dropped in the case of video recording. The degree of perception that the video recording is useful to the investigation is higher from the felony crime team and women & juvenile team than the two kinds of white-collar crime teams. As a result of these attitudes, we can come up with following demands for the vitalization of the video recording. More education is needed regarding the purpose and usefulness of video recording of investigative interviewing. The evaluative system in the police needs to be changed so that video recordings are not superficially carried out. Revision of criminal procedure law is needed so that when video recording itself could be submitted without written statements. And if the video recording room will be established more, it should be built in the felony crime team and women & juvenile team first. In the future study data should be collected from more detectives, and the better measurement for the depending variables needs to be developed.

      • KCI등재

        녹음테이프와 녹취록, 녹취진술의 증거능력에 대한 실무적 고찰

        김정한 대한변호사협회 2021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98

        In this article, I reviewed the nature of the evidence law and the requirements for the admissibility, such as the recording tape, the written statement of the person who heard the recording, and the oral statement of the person who heard the recording. While explaining that the process of delivering statements, such as recordings and statements made by those who have heard the recording, can be viewed in the hera-say stage or in the copy stage, the criteria for judging which of them is appropriate were suggested. The criterion is whether general trust in the original identity can be expected, and to what extent the purpose of guaranteeing the right to cross-examine by granting an opportunity to cross-examine post-mortem. According to the above criteria, the nature of the evidence and admissibility requirements were analyzed, such as the recording tape, the statement of the person who heard the recording, and the statement of the person who heard the recording. In addition, it was also argued that even when viewed as a professional level, the best evidence requirement should be repeatedly requested if possible. Recorded tapes or written statements by those who have heard the recording will be submitted more and more frequently as evidence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re may be any number of evidences that overlapping statement delivery in a form that is not currently expected. Evidence theory must cope with and prepare for this situation. In order to do this, it is considered that an essential and systematic study on the evidence for transmission of statements is necessary, not a piecemeal study on the requirements for evidence ability, such as written statements of those who have heard the recording. I hope this article serves as a small beginning for such research. 이 글에서 필자는 녹음테이프와 녹취록, 녹취진술 등의 증거법적 본질과 증거능력 요건을 검토하면서 녹음, 녹취록 작성 등의 진술전달 단계를 전문단계로 볼 수도 있고 사본단계로 볼 수도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하면서, 그 중 어느 것으로 보는 것이 적절한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서 원본동일성에 대한 일반적 신뢰를 기대할 수 있는지, 사후적 반대신문 기회 부여로써 반대신문권 보장의 취지가 어느 정도 달성될 수 있는지를 제시하고, 위 기준에 따라 녹음테이프, 녹취록, 녹취진술 등의 증거법적 본질과 증거능력 요건을 분석하였다. 이에 더하여 설혹 전문단계로 보는 경우에도 가능만 하다면 최량성 요건을 충첩적으로 요구하여야 한다는 점도 함께 주장하였다. 녹음테이프나 녹취록 등은 향후 증거로서 더욱더 빈번하게 제출될 것이고, 더 나아가 지금은 예상하지 못한 형태의 진술전달이 중첩되는 증거가 얼마든지 나타날 수 있다. 증거법 이론은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여야 하고 그 준비를 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녹취록 등의 증거능력 요건에 대한 단편적인 연구가 아닌 진술전달증거에 대한 본질적이고도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 글이 그와 같은 연구의 작은 단초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법정녹음을 활용한 바람직한 재판의 운영 및 기록화 방안 - 녹음제도의 확대 및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

        이민형 ( Lee Minhyung ) 사법정책연구원 2022 연구보고서 Vol.2022 No.7

        대법원은 구술변론에 의한 집중심리를 바람직한 심리모델로 설정하고 그에 적합한 기록화 방안으로 법정녹음을 채택하여 2015년부터 전국 법원에서 녹음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 법정녹음은 증인신문절차와 같이 교차신문에서의 진술이 주요 증거가 되는 경우에 의무적 절차로 진행되고, 녹음물로 조서를 대체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의무적 녹음제도는 시행 초기 낯선 기록매체에 대한 거부감이나 재판부별로 상이한 절차 운영 등의 실무상 혼선을 겪기도 하였으나, 6년의 기간이 지나면서 재판제도에 녹아들어 안정성을 확보하였을 뿐만 아니라 진술의 정확하고 생생한 기록을 통해 구술변론의 활성화에 기여하였다는 법조계의 긍정적 평가를 이끌어냈다. 반면 다른 소송절차의 경우, 직권 또는 신청에 따라 법정 녹음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실무상 이용빈도는 낮은 편이고, 대부분 종전과 같이 요약된 형태의 조서를 작성함으로써 구술변론을 기록하고 있는데, 재판에 대한 불신을 내비치는 여론은 공정한 절차의 제도적 보장을 위해 녹음이나 녹화 등의 기술적 수단을 활용한 정확한 재판의 기록화를 요구하고 있고, 국회와 언론 역시 정당한 사법권 통제를 이유로 재판감시시스템의 상설화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재판을 둘러싼 외부환경과 대중의 시선이 우호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재판의 독립과 사법권 행사의 권위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사법부 스스로가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재판공개의 확대 및 시스템 구축의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고, 구술변론의 기록화에 적합성을 검증받은 법정녹음의 범위를 확대하는 데서 출발점을 찾을 수 있다. 법정녹음 범위의 확대는 단지 재판의 투명성을 높이는 효과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구술변론의 활성화를 유도해 심증형성을 용이하게 하고, 조서작성 업무 부담을 줄여 심리역량을 강화하는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의무적 녹음범위의 확대에 대비하여, 법원은 조서와 녹음물의 관계 설정, 녹음물의 적정한 관리방안, 녹음물을 활용한 바람직한 재판의 운영방안, 녹음물의 활용가치를 높이는 기술방안 등 변화된 재판환경에 적합한 방향으로 제도를 정비하고 개선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e Supreme Court has established the concentrated trial system through oral arguments as a desirable model for trial, and has adopted courtroom audio recording as its well-matched documentation. Since 2015, courts across country have been running recording systems. Currently, courtroom audio recording is required as a mandatory process in such a procedure as the witness examination in case when testimony or statements during cross examination constitute the primary evidence, and thus recordings are to supersede transcripts. In the initial implementation stage of the mandatory recording system, not only some reluctance incurred from an unfamiliar documentation medium but also a practical confusion arouse from different process management by respective court panel. However the mandatory recording system has been well integrated into the trial system in the lapse of six years, securing system’s stability as well as bringing about positive evaluations from legal circles in terms of contributing to activation of oral arguments through accurate and vivid documentation of statements. While courtroom audio recording is also available for other legal procedures ex officio or upon party’s request, its frequency of use in practice is relatively low, instead with heavy reliance on summarized transcript as the usual means of documenting oral arguments. Public opinion insinuating distrust in trials calls for the accurate recording through technical means of audio/video recording in order to institutionally guarantee a fair process, and also both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press put stress on the need to establish a permanent system for trial observation aiming at legitimate oversight of judicial power. In the face of unfriendly external ambience surrounding the trial and the public views, the judiciary needs to exert itself in expanding an arena and building a system for making trials open to the public in a more preemptive and affirmative posture. Such efforts can start from expanding the scope of courtroom audio recording proven to be suitable for documenting oral arguments. The impact from this expansion goes beyond enhancing the transparency of trials, consequently leading to facilitation of building court’s conviction through inducing substantiation of oral arguments as well as strengthening trial capacity derived from lessening practical burdens in the protocol redaction. On the court’s part, in order to accommodate the changed landscape of trials, system refurbishment and improvement measures are required in preparation for expanding the scope of mandatory audio recording, which includes establishing the relation between transcript and recordings, appropriate management of recordings, desirable management of trials when recordings are used, and technical solutions for enhancing the value of recordings.

      • KCI등재후보

        Court Recording Methods and Their Implication on Criminal Trial Procedure: Focusing on Digital Audio Recording Model`s Potential to Facilitate Concentrated-Hearing in Korea

        ( Tahney Lee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Journal of Korean Law Vol.15 No.2

        Three new models of court recording system (Computer-Assisted Transcription Model, Digital Audio Recording Model, and Video Recording Model) have emerged in the U.S. in response to the inherent shortcomings of the traditional transcript. Among those, the Korean Supreme Court in 2015 partially adopted the Digital Audio Recording Model with the hope to further galvanize the movement toward ‘courtroom-oriented judging’ envisioned in the 2007 revision of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Act. This article accounts for different ramifications of the new models on criminal trial procedure. And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hybrid structure and the current practice of the Korean criminal trial, the author argues that while the entrenched ‘discontinuous hearing’ is negating the positive effect of the adoption, still the audio recording can be utilized as an avenue for vitalizing ‘concentrated hearing’ set forth in the 2007 revision by alleviating judges’ burden on court-record-production and discouraging trial participants from relying on written records. The author also argues that the Video Recording Model is worth exploring not only for its conduciveness to appellate review, media communication and education within the judiciary, but also for its capability to encourage vigorous ‘in-courtroom advocacy’ which is the essential prerequisite for ‘courtroom-oriented judging.

      • KCI등재

        현행법상 참고인에 대한 영상녹화물에 관하여

        김태헌(Kim, Tae-Heon)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10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Vol.2 No.2

        개정 형사소송법상 수사실무는 형사소송법에서 영상녹화조사를 의무적으로 규정하고 있지는 아니하여 피의자 또는 참고인에 대한 영상녹화를 실시하되, 진술번복의 우려가 있는 사건 등 민감한 사건에서 선별적으로 영상녹화조사가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성폭력범죄의 일부 피해자에 관하여는 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영상녹화조사의 의무규정 및 영상녹화된 피해자 진술에 대한 증거능력 인정규정을 두고 있어, 성폭력범죄의 피해자에 대하여는 영상녹화조사가 수사단계에서 활발히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법정에서도 이에 대한 조사가 활성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러한 특별법상의 형사절차에 관한 규정 이외에, 개정 형사소송법에서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에 관하여 아무런 규정을 두고 있지 아니하여 개정 형사소송법 시행 이후로도 영상녹화물의 독자적 증거능력 인정여 부, 탄핵증거로의 사용가능성 등과 관련하여 견해가 대립한다. 이에 따라 실무의 관행은 구공판 하는 사건의 경우 ‘영상녹화물’만을 증거로 제출하기 보다는 영상녹화물을 ‘피의자 또는 참고인에 대한 조서’ 등으로 서면화 한 다음, 이를 ‘조서의 진정성립 인정을 위한 증거’로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본으로 하여, 본 논문에서는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에 관하여 살펴보고, 현행 형사소송절차에서 영상녹화물이 어떠한 증거로써의 가치를 가지고 활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The Act on Punishment of Sex Abuse Crimes and Protection of the Victim has regulations of video recording investigation as well as evidence on the statement of the victim according to video recording. So, video recording is likely to be used actively at investigation stage to investigate victim of sex abuse crimes and to promote investigation at the court. The revision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has no other regulation of video recording than criminal procedures of the special laws and regulations. So, even after the revision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was in force, independent evidence of video recording as well as use of evidence of the impeachment was still in dispute. In a trial, video recording only is not submitted as an evidence, but video recording is made in writing to produce 'investigation into either defendant or witness' that can be used to be 'an evidence to admit of written evidence'. The paper examined evidence of video recording and investigated values of the evidence of video recording according to the Criminal Procedure Act.

      • KCI등재

        영상녹화제도의 지위와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 및 사용에 관한 고찰

        이재학 ( Lee Jae Hak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서울대학교 法學 Vol.58 No.3

        법은 사회의 질서와 체계 및 당대의 법 환경 속에 사람들의 법 감정과 일치되도록 제정되고 시행되어야 체계적 합리성 및 이론적 당위성이 충족된다. 형사소송에 도입 및 시행되는 제도 역시 형사소송법의 지도이념 및 형사소송의 방향성과 합치 되어야 한다. 개정 형소법에 새롭게 도입된 영상녹화제도와 관련된 지속적인 논란은 형사소송법의 지도이념 및 방향성에 대한 영상녹화제도의 비합치성과 관련되어 있다고 본다. 영상녹화제도의 입법목적 및 취지는 수사과정에서의 투명성과 적법성 확보를 통한 인권침해의 방지 및 인권보호에 있으나 종래의 논의의 주된 대상은 근본 목적에 대한 고민이 아니라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에 관한 것이었다. 영상녹화제도의 결과물인 영상녹화물의 본증으로서의 사용에 대한 논의는 본말이 전도된 것과 같다. 영상녹화물의 사용이 제도의 목적과 취지를 이탈할 경우에 영상녹화물은 사용의 정당성을 잃게 될 것이다. 영상녹화제도 자체가 정당성을 잃게 되면 제도의 결과물인 영상녹화물 역시 정당성을 상실하게 될 것이고 결과론적으로 영상녹화물의 본증으로서의 사용에 대한 논의 자체의 근본적 정당성 역시 상실될 것이다. 정당성의 연쇄적 상실이 초래되지 않도록 장점이 많은 영상녹화제도의 입법목적 및 취지에 부합하도록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 및 사용범위에 관하여 고민하여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영상녹화제도의 적정한 운용 필요성에 부합하고 연쇄적 정당성의 상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 및 사용에 관한 법체계내적 한계의 준수 및 사회합치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형사소송의 방향성인 공판중심주의의 실현과 영상녹화제도의 정당성 상실의 연쇄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영상녹화물의 조서의 진정성립용으로의 사용은 금지되어야 하며, 법무부개정안에서와 같은 영상녹화물의 본증으로서의 증거능력 인정은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 둘째, 기억환기용 이외의 용도로의 영상녹화물의 탄핵증거로서의 사용가능성은 허용되어야 하며, 형소법 제318조의2 제2항은 삭제되어야 한다. 현행 규정을 유지하고자 한다면 재생된 영상녹화물의 시청은 피고인 또는 피고인 아닌 자뿐만 아니라 검사 및 법관에게도 허용되어야 한다. 셋째, 원칙적인 재량적 영상녹화에 영상녹화신청권의 인정보다는 영상녹화제도의 입법목적 및 취지, 형사소송법의 지도이념 및 영상녹화제도의 이중적 지위와 부합하도록 `영상녹화거부권이 인정된 의무적 영상녹화제도`로 개정 되어야 한다. To have both systemic rationality and theoretical justification, the law is to be established and enforced in accordance with the legal sense of the people in the order and system of society and the legal environment of the time. The controversy related to the newly introduced video recording system is related to the inconsistency of the video recording system on the guiding ideology and direction of the criminal procedure law. The purpose of the legislation of the video recording system lies in the prevention of human rights violation through protection of transparency and legality in the investigation process and protection of human rights. However, the main object of the conventional discussion is not about the fundamental purpose, but about the admissibility and use of the visual recording. If the use of video recordings deviates from the purpose and intent of the system, the video recordings will lose their legitimacy. If the image recording system itself loses its legitimacy, the image recordings, which are the result of the system, will also lose its legitimacy and as a result, the fundamental justification of the discussion on the use of the visual recording as their own identity will also be lost. In order to prevent the necessity of proper operation of the video recording system and the loss of the chain legitimacy, I tried to propose some improvement measures in compliance with the internal limits of the legal system on the admissibility and use of the visual recor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