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정증서의 신뢰성 확보방안에 관한 소고

        추신영 한국재산법학회 2020 재산법연구 Vol.36 No.4

        The duties of notaries public shall be to manage the following affairs as commissioned by the person concerned or any other interested person. With regard to the above duties, a notary public shall be deemed to have the status of a public official. Preparation of notarial deeds on juristic acts or facts concerning any other private right. Authentication on deeds signed by a private person or an electronic document, etc. Affairs to be managed by notaries public as prescribed by this Act and other statutes. No appointed notary public shall concurrently serve in public office or engage in commercial business, nor become the representative or an employee of a commercial company or an incorporated association which makes a profit: Provided, That this shall not apply where the notary public concerned obtains the approval of the Minister of Justice as affairs which neither require his/her regular service nor interfere with the performance of his duties. The notary is that the notary public prepares a certificate of fairness as a civil servant. Notaries have the nature of public officials, fairness, independence, professionalism, morality. Notarial Deeds written by notary public must be reliable. The reason why the right notary culture did not settle properly in our country, Because there were no regulations rather than the morality of a notar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e system that can guarantee the legal status of the notaries publicly and the system for granting actual examination rights to notaries. 공증인법에 따르면 “공증인은 그 직무에 관하여 공무원의 지위를 가지며, 당사자나 그 밖의 관계인의 촉탁에 따라 법률행위나 그 밖의 사권에 관한 사실에 대한 공정증서를 작성하고, 사서증서 또는 전자문서에 대한 인증을 한다. 임명공증인은 다른 공무를 겸하거나 상업을 경영할 수 없고, 상사회사나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사단법인의 대표자 또는 사용인이 될 수 없다”고 밝히고 있다. 공증인은 공무원의 지위로서 공정증서를 작성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따라서 공증인은 공무성, 공정성, 독립성, 전문성, 도덕성을 바탕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자이다. 그런데 이러한 공증인이 작성한 공정증서가 국민들로부터 신뢰를 얻지 못하면 공증제도는 뿌리 채 흔들리고 만다. 우리나라에서 올바른 공증문화가 제대로 정착하지 못한 이유는 공증인의 도덕성이나 능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기보다는 규정의 미비 등 제도적 허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공증인의 법적 지위를 확실하게 보장하고, 공증인에게 공정증서 작성시 실질적 심사권을 부여하여 가장채권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제도의 정비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공증인에 대한 전문적 업무교육 및 직업윤리교육을 강화하여 공증인의 직업적ㆍ윤리적 수준을 높임으로서 국민들로부터 존경과 신뢰를 받는 공증인으로 자리매김하고, 이를 통해 공정증서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주장을 하였다.

      • KCI등재후보

        公證人 養成·任命制度의 檢討

        田炳西(Chon, Byung-seo)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08 法學論文集 Vol.32 No.2

        We take a dualistic notary system: One is a single-profession notary ruled and appointed by the Notary Act, and the other is a notary exercising also the profession as the attorney based on the Practicing Attorney Law. This article compares and analyzes the Korean notary system to the major advanced countries like France, Germany and Japan to enhance merits of a dualistic notary system and making up for the weak points. A ‘Notaire’ is a French civil law notary, a public officer nominated by the Keeper of the Seals, head of the Ministry of Justice. In Germany, the ‘Notar’ must have a legal training equivalent to the training of a judge or an attorney. He is obliged to provide independent and impartial advice to all contractual parties. Approximately 8,500 lawyers work as civil law notaries in Germany today. In roughly two thirds of the country civil law notaries practise as single-profession civil law notaries. In the other areas, civil law notaries exercise the profession as an additional office alongside with their activity as attorneys. For historical reasons, there are also state-employed civil law notaries in some parts of the State of Baden-Württemberg. However, the same professional rules apply to all civil law notaries. Procedural provisions, ethics and fees of the civil law notaries are governed by federal law and are therefore the same all over Germany. A ‘notary’ in Japan is a public official appointed by the Minister of Justice and works in the jurisdiction of a Legal Affairs Bureau in which he was appointed. In principle, anyone who passes the examination set by the Minister of Justice and completes more than six months’ training can qualify as a notary. However, this examination has not yet been held. This is because a judge, public prosecutor, or attorney can be appointed as a notary without taking such an examination and training. A ‘Notary Public’ -unlike most other countries in the world, in the U.S. a notary is not a specially trained lawyer. A Notary Public is a public servant appointed by the State to act as an impartial witness in taking acknowledgments, administering oaths and affirmations, and performing other acts authorized by state law. In the U.S. qualifications for the position vary little from state to state, and, in general, a notary must be a citizen of legal age and a resident of the area in which he desires appointment. In 1999, Alabama's first civil law notarial statute became law. Alabama is believed to have the model code for other states which do not have civil law notarial statutes.

      • KCI등재

        집행증서의 대상범위 확대에 관한 재검토

        전병서,조윤원 한국민사집행법학회 2023 民事執行法硏究 : 韓國民事執行法學會誌 Vol.19 No.1

        Regarding the subject of the deed of execution, prior to the partial revision of the Notary Public Act in 2013, it was limited to claims for the purpose of paying a certain amount or a certain number of substitutes or securities(Civil Execution Act 56.4). In other words, a deed of execution was not recognized for a claim for the purpose of payment of a specific non-substitutable property, such as a request for delivery of land, buildings, or movables. Thus, discussions on expanding the scope of the deed of execution continued, but with the partial revision of the Notary Public Act on May 28, 2013, Article 56-3 was newly established in the Notary Public Act, allowing legal acts concerning the delivery of buildings, land, and specific movables. The scope of the deed of execution was partially expanded so that the deed of execution could be drawn up even in case of execution. In this way, although the scope of the deed of execution is partially expanded in 2013, several problems are pointed out in its legislative evaluation. And in practice, its use is not as active as expected. Therefore, this article examines the situation of additional discussions on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the deed of execution after 2013, and reviews future tasks. I think that the deed of execution should be drawn up without any special restrictions or regulations with respect to claims for the purpose of delivery or return of land, buildings, or movables, and for its vitalization, it is necessary to leave the responsibility and attitude to the notary public while deleting the detailed additional restrictions or regulations in the Notary Public Act and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Notary Public Act. In addition, in expanding the scope of subjects, the importance of the notary public's active role and the division of roles with the court were emphasized. 집행증서의 대상과 관련하여, 2013년 공증인법 일부 개정 전에는, 일정한 금액이나 대체물 또는 유가증권의 일정한 수량의 급여를 목적으로 하는 청구에 한정되었다(민사집행법 제56조 제4호). 즉, 토지·건물이나 동산의 인도청구 등과 같은 비대체성의 특정물의 급부를 목적으로 하는 청구에 대하여는 집행증서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리하여 집행증서의 대상범위를 확대하는 논의가 계속되어 오다가, 2013. 5. 28. 공증인법 일부 개정으로 공증인법에 제56조의3을 신설하여, 건물ㆍ토지ㆍ특정동산의 인도 등에 관한 법률행위를 하는 경우에도 집행증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집행증서의 대상범위를 일부 확대하였다. 이렇게 2013년 집행증서의 대상범위가 일부 확대되지만, 그 입법적 평가에 있어서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그리고 실무에서 그 이용도 생각보다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그리하여 본 글은 2013년 이후의 집행증서의 대상범위의 확대에 관한 추가적 논의 상황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과제에 대하여 검토한 것이다. 토지, 건물 또는 동산의 인도 또는 반환을 목적으로 하는 청구에 대하여 특별한 제한이나 규제 없이 집행증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고, 그 활성화를 위하여, 공증인법 및 공증인법 시행령에서의 세세한 추가 규제 내지 제한 규정은 삭제하면서, 공증인의 자세와 책임에 맡기는 쪽으로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대상범위의 확대에 있어서 공증인의 적극적 역할의 중요성, 법원과의 역할분담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하자 있는 공증에 대한 민사 책임의 귀속

        장재형 대한변호사협회 2011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22

        Notary public in Korea shall now be regarded as public official by provision 2 of Notary Public Act no matter whether he(or she) run attorney office at the same time or not. And so Notary public is also public official regulated by Nation's Liability Act. When public official performs his duties illegally by intention or gross negligence and causes damages in result, the Nation should pay indemnities for their compensation by Article 29 of the Constitution and provision 2 of Nation's Liability Act. But he isn't responsible personally not only to sufferer but also to nation if they are not done by his intention or gross negligence. The same practice and doctrine of law are available to notary public. Next turn goes to wondering what kind of negligence is gross in notarization. I am watching a new case carefully. 공증인은 임명공증인이나 인가공증인을 막론하고 공증인법 제2조에 의하여 공증직무에 관한한 공무원으로 간주되고, 또 국가배상법 제2조의 ‘공무를 위탁받은 사인’에 해당한다. 공증인이 직무를집행하면서 고의 또는 과실로 법령을 위반하여 당해 공증이 절차, 방식, 주체, 내용, 객체 등에 관한 하자로 인하여 무효가 되어 제3자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 헌법 제29조 제1항 본문과 단서 및 국가배상법제2조 제1항 본문에 의하여 국가가 국가배상책임을 부담하게 된다. 이 때 공증인에게 경과실이 있을뿐인 경우에는 공증인 개인은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하나, 공증인 개인도 고의 또는 중과실이 있는 경우에는 제3자에게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을 지게 되고, 국가가 그 손해배상을 한 때에는 국가배상법 제2조 제2항에 따라 국가는 그 공증인에게 이를 구상할 수 있다. 한편 공증의 하자와 관련하여 공증인의 직무 집행상의 중과실 여부에 관하여는 공증인의 임명자격이나 공증서의 공신력 특히 집행증서의 집행권원성에 비추어 앞으로 구체적인 사건에 있어서의 다양한사례가 기대된다.

      • KCI등재

        무권대리인의 공증촉탁과 집행증서의 효력

        최춘식 ( Choonsik Choi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무권대리인의 촉탁에 따른 집행증서의 효력을 살펴보고, 향후 체계적 논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통설과 판례에 대한 문제점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증인의 집행증서 작성행위는 당사자의 공증촉탁과 공증인의 행위가 결합되어 있고, 이는 제소전 화해와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둘째, 집행수락의 의사표시는 채무자의 공증인에 대한 단독적 의사표시가 아니라, 당사자의 공증 촉탁행위에 내포되어 있는 의사표시이며, 공증인은 단지 이를 확인하는 것에 불과하다. 셋째, 공증제도가 갖는 공익적 성격에 비추어, 집행증서의 성립은 엄격한 요건하에 인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집행증서의 효력 문제에 대한 논의가 보다 체계적이고 심도있게 논의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execution certificate according to the entrustment of an unauthorized agency, and to suggest a systematic discussion direction in the future. To do this,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blems related to the popular opinion and supreme court prece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otary’s act of writing an execution certificate is a combination of the party’s request for notarization and the act of a notary, which has similar properties to reconciliation before sue. The expression of acceptance of execution is not the sole expression of will of the debtor's intention to the notary, it is an expression of intention that is implied in the act of entrusting a party to notarize, notary public is just confirming this. Third, in view of the public interest nature of the notary system, the establishment of an execution certificate must be recognized under strict requiremen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n the future hope that discussions on the validity of the execution certificate will be discussed more systematically and in depth.

      • KCI등재

        공증인 징계 사례에서 나타난 공증실무의 문제점 및 개선책

        장재형(Jae-Hyung, Chang)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16 No.3

        최근 10년간의 공증인 징계 내용에 따른 통계를 사유나 유형별, 공증인별, 징계 결과별 등 여러 기준에서 다각도로 분석한 결과 작금 공증인의 업무 행태는 그 직무의 엄정성 및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공정증서 작성이나 사서증서 인증 등에 있어서 단순한 절차상이나 부수 업무에서의 과실이 아니라, 촉탁인 본인이나 대리인의 확인 등의 가장 본질적인 직무상의 의무를 저버리거나 정관?의사록 인증이나 증서 작성, 인증에서도 기본적인 업무상의 주의의무를 다하지 않는 사례가 결코 적지 않다. 이러한 잘못된 공증 업무의 개선을 위해서 공증인에 대한 지속적인 감독이나 유형별, 단계별 징계의 강화는 물론 공정증서 작성에 있어서 쌍방대리 금지 등의 법제상의 개선, 공증인에 대한 전문 연수와 윤리 교육의 실시, 감독체계의 정비와 강화, 공증인보조자에 대한 교육?감독이 필요하다 하겠다. Many problems are revealed at Notary through various cases of disciplinary action taken by the Ministry of Justice in recent 10 years. They range not only in simple mistakes but to the intentional ignorance of duties. Many Notary public violate the basic obligation of duties in authorization of Notary or attestation of a deed signed by a private person such as checking the identity of applicant or right of proxy. First of all more strict supervisory adminisrations and successive disciplinary actions should be taken by the Justice department against to the violation of duties mentioned above for remedy. And revision of Notary regulation is also required not for same person to proxy both applicants at once especially in authorization of Notary.

      • KCI등재
      • KCI등재

        공증인의 직무상 의무로서의 중립성 -변호사의 쌍방소송대리 금지에 대한 재고찰과 더불어-

        장재형 대한변호사협회 2010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10

        A notary public must be neutral in performing his or her duty. Because he serves not for one side but for both sides as a professional legal supporter. For this purpose on the one hand Notary Public Act regulates exclusion of notary public when he falls under special personal or substantial relations against the case. And it regulates also restriction on performing important notary public service - like preparation of a deed, notarial deed of bills and checks with an execution clause, authentication of association minutes, notarial deed of articles of corporation - about which case services as lawyer were done in advance. On the other hand Lawyer Act regulates restriction on accepting cases about which case he took a part in serving notary public in advance. Especially it regulates restriction on performing service as lawyer about which case any important notary public service mentioned above was done in advance. All the notary public services violating Notary Public Act mentioned above shall be null and void definitely. And performing service as lawyer violating the restriction regulated by Lawyer Act mentioned above shall also be invalid. But acts done by a lawyer about which case he took a part in serving notary public in advance except important services mentioned above can be effective retroactively from the time of the act to their being ratified by the opponent party for the continuity and stability of the process. 공증인은 변호사와는 달리 어느 일방 의뢰인의 대리인이 아니라 관련당사자 모두를 위하여 복잡하고 중요한 법적 사무를 독립적이고 공정한 위치에서 조력하는 전문가로서 그 중립성이 요청된다. 이를 위하여 공증인법은 공증인이 일정한 인적 특수관계나 물적 특수관계에 있을 경우 직무집행에서 배제하는 제척제도를 두고 있고, 변호사 겸업 공증인제도하에서 법무법인 등 또는 공증인가합동법률사무소가 대리한 소송사건과 관련하여 공정증서의 작성, 어음․수표 집행증서의 작성, 법인의사록의 인증, 회사정관의 인증과 같은 중요한 공증업무를 할 수 없는 것으로 직무를 제한하고 있다. 다른 한편 변호사법에서는 공증인으로서 직무상 취급하거나 취급하게 된 사건에 대하여 변호사의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것으로 수임을 제한하고 있고, 법무법인 등은 그 법인이 수행한 위 중요한 공증업무 사건에 관하여는 변호사 업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것으로 업무를 제한하고 있다. 위 각 규정을 위반한 경우 위반하여 이루어진 공증이나 소송행위의 효력에 있어서 변호사법 제31조 제①항 제3호 위반의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무효이나〔soll nicht〕 그 입법취지와 소송절차의 안정에비추어 상대방의 추인이 있으면 소급하여 유효한 것으로 해석함이 합리적이나, 그 밖에 공증인법 제21조(제척), 제15조의 99(수임사건의 공증제한), 변호사법 제51조(공증사건의 수임제한) 위반의 경우 이는 모두 강행규정 위반으로 무효로〔kann nicht〕 해석함이 타당하다.

      • KCI등재

        현행 공증인법 비평과 국립공증원법 제안

        이경선 한국입법학회 2016 입법학연구 Vol.13 No.2

        공증 서비스는 사적으로 제공되기 보다는 공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현재 공증 서비스는 공증인으로 지정된 변호사나 변호사 그룹인 법무법인 등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변호사가 법률 전문가인 것은 맞지만 일반인보다 더욱 높은 도덕성과 윤리의식을 가지고 있다고 단정할 근거는 어디에도 없다. 현행 공증인법에 따른다면 공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증인은 해마다 수억에서 수십억 이상의 수수료 소득을 취하고 있으며, 거의 종신적으로 경제적 수입을 보장받고 있다. 이는 이른바 ‘법벌(법조귀족)’을 양산하는 특혜성 입법이다. 법벌 그룹의 형성은 ‘사회적 특수계급 창설’을 금지하고 있는 헌법 규정에 위배되는 측면이 있다. 법치주의는 법에 의해 의율되어야 한다는 것이지 변호사 등 법조인에 의해 다스려진다는 의미가 아니다. 국립공증원을 설립하여 서비스를 전국적으로 균일하게 제공하고, 서비스 품질도 높이며, 수수료를 낮추고, 전자공증 등을 활성화 하는 등 다양한 공공성 증진 효과를 기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그동안 공증인이라는 법조 그룹이 취해오던 공증 수수료 수익 전부를 사회복지, 서민융자, 창업 활성화, 지방자치단체 재정 지원 등에 사용하는 등 공공성과 공익성을 더욱 높여나가는 방향으로 재원화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공증인법’의 폐지와 더불어‘국립공증원의 설립 및 운영과 발생수익의 공익적 활용에 관한 법률’제정안 입법화를 제안하고자 한다. The notary service needs to be officially provided rather than being offered privately. Currently, the notary service is offered by an attorney designated as a notary public or a law firm that is comprised of a group of attorneys. Without doubt, it is proper to classify an attorney is a legal specialist, but there is no basis for the assertion that they are equipped with higher morals and ethical values than ordinary people. According to the present Notarial Act, notary publics who provide the notary service earn billions of won or more in fees every year and are guaranteed a substantial income for their entire life. It is a preference-giving legislation that results in the creation of legal aristocrats. The creation of these legal aristocrats is considered to violate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that prohibit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 social class. The rule of law is based on governance in accordance with laws, and it does not mean governing by judicial officers including lawyers.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Notary Public would provide services nationwide and contribute to enhancing diversified public interest by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s, reducing fees and facilitating electronic notarization. In addition, all the fees that a legal group associated with notary publics have received through the notary service should actually be use in facilitating social welfare, extending loans to ordinary people and providing financial support to self-governing bodies so that public interest and public welfare can be further enhanced. In this regard, the study proposes the abolishment of the ‘Notarial Act’ and the legalization of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National Notary Public and the Public Use of Generated Income.’

      • KCI등재

        조선시대 사송(詞訟)에서 제기되는 문서의 진정성(眞正性) 문제들

        심희기 ( Hui Gi Sim ) 한국고문서학회 2015 古文書硏究 Vol.46 No.-

        필자는 ‘1578년 노비결송입안 傳准’ 문서 (이하 ‘1578년 문서’로 약칭함)를 읽으면서 이 문서는 ‘현대 증거법’의 ‘진정성(authentication)’ 개념을 도입하여 분석하면, 한편으로는 조선시대의 문서관련‘실무(practices)’를 이해하는데 유용하고, 다른 한편 1906년의 토지·가옥증명규칙의 역사적 의미를 공증의 역사의 차원에서 깊이 이해하는데도 유용할 것이라는 直感을 하게 되었다. Ⅱ에서는 ‘多勿沙里(班春)등 노비소유권분쟁’에서 제기된 진정성 문제의 개요를 정리하고, Ⅲ에서는 현대증거법의 ‘증거연쇄’ 개념으로 포섭할 수 있는 조선시대 사송실무의 여러 모습들을 포착하려고 한다. ‘증거연쇄’ 문제도 넓은 의미의 진정성 문제에 포섭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다음에 어느 나라 어느 장소에서든 증거의 진정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이나 제도적 장치가 있게 마련이다. 따라서 Ⅵ에서는 증거의 진정성을 확보하려는 법제적 장치의 일환으로 조선시대의 보통법으로 채택된 대명률과 일종의 특별법격인 국전의 처벌조항들을 추적하여 조선시대 입법자의 의도를 다소간 헤아려 본다. 다음에 神이 아닌 이상 어느 누구도 ‘증거·문서의 진정성을 용이하게 정확히 가늠’할 수는 없다. 인간으로서는‘증거·문서’의 생성·보존요건을 규제하여 그것들의 생성과 보존 단계에서 일정한 조건을 구비하면 진정한 것으로 추정(이를 ‘진정성 추정’이라 한다)하는 제도적 장치(regime)를 만들어 그 장치를 활용하는 것이 인류사의 보편적인 대응방식이다. ‘公證(notary)체제의 역사’라는 관점에서 한국근현대사를 바라보면 대체로 (1) 조선시대의 ‘立案·立旨의 공증체제’가 (2) ‘1906년의 토지·가옥증명규칙의 공증체제’의 과도기를 경유하여 (3) 현대한국의‘각종 臺帳-登記簿·家族關係簿) 공증체제’로 진화해 갔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Ⅴ에서는 ‘1906년의 토지·가옥증명규칙과 그 시행세칙’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그것이 (1) 조선시대의 ‘입안·입지의 공증체제’와 어떻게 다른가 하는 점을 대략적으로 분석한다. Ⅵ에서는 이상의 분석결과를 요약하고 차후의 연구과제를 제시한다. 이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詞訟에서 官僚와 民人들이 문서의 ‘진정성(립)’이나 그에 필적하는 다른 추상적인 개념을 만들어 사용한 것은 아니지만 현대증거법에서 ‘진정성’이라는 추상적 개념으로 포섭하는 문제를 현실에서 인지하고 있었고, 당시 사람들은 사실상 이 문제를 소송상 주장하고, 반박하고, 재반박하는 담론을 전개하고 있었다. ‘1578년 문서’는 이 점을 입증하여 주는 문서이다. 현대한국의 민사소송법은 문서의 ‘진정성’ 개념을 사용하고 있고 형사소송법도 증거의 ‘진정성’ 개념을 사용하고 있는데 ‘1578년문서’의 심층분석을 통하여 그 개념의 유용성은 19세기 말 일본인들에 의하여 이른바 ‘근대적인 사법제도’가 移植되기 이전에도 이미 조선시대의 관료나 쟁송 당사자들에게 소박하게나마 알려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공증체제의 역사’라는 관점에서 한국근현대사를 바라보면 대체로 (1) 조선시대의 ‘입안·입지의 느슨한 공증체제’가 (2) ‘1906년의 토지·가옥증명규칙의 공증체제’라는 과도기를 경유하여 (3) 현대한국의 ‘대장-등기부 공증체제’(가칭)로 진화되어 갔다고 말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1)의 체제가 봉착한 구체적 문제를 드러내 (2)의 단계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논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로마와 서양 중세에서 발전한 公證人(notary) 제도와의 비교’라는 시각을 전혀 부각시키지 못하였다. 향후에 이런 비교사적 시각에서 (1) 조선시대의 ‘입안·입지의 공증체제’, (2) ‘1906년의토지·가옥증명규칙의 공증체제’, (3) 현대한국의 ‘대장-등기부 공증체제’를 재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First, I raised an issue in this article whether there had been happened something like authenticity issues in the pre-modern Korean lawsuits(SectionⅠ). The short answer is that although there were no such abstract concepts like authenticity or authentication, pre-modern Korean parties raised, argued, and defended various issues which could be understood clearly authenticity related problems. Second, I chose a very long trial trans-script about slave ownership lawsuit of late 16th century Choson period as a sample evidence. The trial trans-script not only described all the arguments of both parties, but also all the procedures which were taken word by word. I depicted the gist of the lawsuit and analyzed it from the viewpoint of modern authenticity and chain of custody issues (Section Ⅱ&Ⅲ). Third, prohibition and punishment of the forgery of official or private documents are very useful and important to secure authenticity and chain of custody of documents, so I scrutinized the legal regime of Choson period meticulously (Section Ⅳ). Fourth, I compared so called Ib-an·Ib-ji system, which was a kind of public notary regime of Choson period, with that of the Act of public notary of ownership of land and house which was promulgated in the year of 1906 modern Korea. Finally, I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do a study which scrutinize the history of public notary in the West and the East from the viewpoint of comparison, what were the differences and uniqueness`s and what were the results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