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선변호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정영훈 대한변호사협회 2019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79

        Although the public defender system, which guarantees the right to receive assistance of a public defender provided in the Constitution, has developed and improved a lot, the empty space is still large and there are many things to be reformed. The rate of attorneys' involvement in the investigation of the suspect in the investigation process is only 0.1-0.2%. The rate of criminal trial alone without even public defender in the defendant case reaches as much as 41%. Although Korea has joined the OECD in 1996 and has been in advanced countries for more than 20 years, it is neglecting to improve the treatment of a public defender on the grounds of 'budget shortage'. Recently, there has been a critical public opinion that the court's main role in selecting and supervising public defenders is not valid because it violates the independence of the public defender’s argument. Therefore, it is urgent and important to expand completely the public defender system for suspects. It is a significant contradiction of the rule of law and a disgrace of the civilized state that most of the suspects receive ‘alone investigation’ without the assistance of the public lawyer at the investigation stage where the counsel's assistance is most needed, human rights abuse are frequent and most serious. The public lawyer system, which is led and operated by the court, has been exposed to the serious problem that the public lawyer is subordinate to the court in charge and the independence of the argument is violated.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transferring the right to select and supervise the counsel, not to courts, but to an independent corporations such as a lawyer group or a judicial support center in Japan. Remuneration for public defenders has been stagnant for 10 years and is less than half of that of Japanese lawyers. At least it is necessary to raise to the level of Japan’s public defense remuneration. Other improvement measures include flexible interpretation of reasons for the selection of the public defense, such as the reasons for poverty, the relaxation of the criteria for legal punishment for more than three years, the stipulation of the payment timing of the public defense remuneration, the stable provision of the public defense budget, and enforcement of educational training and external evaluation to improve expertise of the national attorneys for criminal cases, electronic filing of criminal cases, and the training of lawyers who are dedicated to jury trial. 헌법 제12조 제4항 단서에 규정된 국선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국선변호제도는 그동안 많은 발전과 개선이 이루어졌지만 여전히 그 빈공간은 크고 개혁되어야 할 사항이 적지 않다. 수사절차에서 피의자조사에 변호인이 참여하는 비율은 고작 0.1-0.2%에 불과하다. 피고본안사건에서는 국선변호인조차 없이 ‘나 홀로 형사재판’을 받는 비율이 41%나 된다. 한국이 1996년 OECD에 가입하고 선진국으로 진입한지 20년이 넘었음에도 ‘예산 부족’을 이유로 국선변호인의 처우개선에는 소홀하다. 최근에는 법원이 국선변호인의 선정 및 관리감독의 주체가 되는 것은 국선변호인의 변론의 독립성을 침해하여 타당하지 않다는 비판적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무엇보다 피의자 국선변호제도의 전면적 확대가 시급하고 중요하다. 변호인의 조력이 가장 절실하고 인권침해가 자주 그리고 가장 심각하게 발생하는 수사단계에서 대부분의 피의자가 국선변호인의 조력도 없이 ‘나 홀로 수사’를 받는다는 것은 법치국가의 중대한 모순이고 문명국가의 수치다. 법원이 주도하여 운영하는 국선변호제도는 국선변호인이 담당 재판부에 종속되어 변론의 독립성이 침해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향후 국선변호인의 선정 및 관리감독권을 법원이 아닌 변호사단체나 일본의 사법지원센터와 같은 독립된 법인에 이양하는 방안도 전향적으로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국선변호인에 대한 보수는 10년 동안 정체되고 있고 일본의 국선변호인 보수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최소한 일본의 국선변호 보수 수준으로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 기타 개선방안으로 국선변호선정사유인 ‘빈곤 등의 사유’에 대한 유연한 해석과 단기 3년 이상의 법정형의 기준 완화, 국선변호보수의 지급시기 명문화, 국선변호예산의 안정적 확보, 국선변호인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연수나 외부 평가의 실시, 형사사건의 전자소송화, 참여재판 전담 국선변호인 양성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국선변호인 제도 확대와 국선변호인의 효과적인 조력을 받을 권리

        정한중 대한변호사협회 2016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60

        Our constitution states that, when a suspect is apprehended or confined, the right to assistance by counsel arises immediately, and also the right to counsel by a public defender also applies in a circumstance where there is no attorney by a suspect. Therefore, in order to expand the scope of the right to counsel by a public defender, the subject of rights should include suspects. Since an interrogation of a suspect preceeded without an attorney can be regarded as an infringement of suspect’s the right to counsel by a public defender, this type of interrogation must lose its admissibility according to the exclusionary rule. Furthermore, if an indictment is made accordingly with the excluded evidence and evidences derived from the excluded evidence,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gross violation of the right to counsel. Thus, the indictment can be dismissed. In order to guarantee the right to counsel by a public defender for either defendants or suspects, it is also required that the process be efficient. The burden of proof regarding the public defender’s malpractice should be shifted to the defendant, and the defendant needs to prove that the insufficient defense by the public defender consequentially made an adverse effect.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verse the ruling or dismiss the indictment due to the inefficient counsel by the public defender for suspects as the investigation procedure does no apply the adversary system. For us to have an efficient counsel by public defender, such as the counsel by public defender in the us, it is imperative to secure considerable amount of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the wage for the public defenders of innocence defense cases and the civic participation in criminal trials needs to be increased. A legal suuport center, in which provides legal aid including the suspects’ public defense, should be established. And, with the entrust of this center, the regional bar association should integrate and manage legal aids programs including counsel by public defender. 우리 헌법은 피의자가 체포되거나 구속되면 ‘즉시’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가 생기고, 사선변호인이 없는 경우, ‘즉시’ 국선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가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국선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의 양적 확대를 위해 국선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의 주체는 피의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체포된 피의자의 국선변호인을 포함한 변호인의 도움을 받을 권리가 침해되어 변호인이 없는 상태에서 작성된 피의자신문은 위법하게 수집한 증거이므로 그 조서나 진술은 증거능력이 없다고 하여야 한다. 나아가 그 조서나 그 조서로 인한 2차 증거 외 다른 증거가 없음에도 공소가 제기되었다면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가 중대하게 침해된 상태이므로 공소기각 판결을 선고할 수 있다. 국선변호인의 피의자나 피고인에 대한 조력도 효과적인 조력이 되어야 한다. 국선변호인의 과오에 대한 입증책임을 피고인에게 부담시키고, 불충분한 변호가 결과적으로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를 침해하여 재판의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피고인이 입증해야 한다. 그러나 수사절차는 당사자주의가 적용되는 절차는 아니므로 피의자 단계에서의 국선변호인의 비효과적인 변호활동을 이유로 유죄판결을 파기하거나 공소기각 판결을 하기는 어렵다. 우리도 미국 등과 같이 국선변호인의 효과적인 조력을 받기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국선변호인에 대한 국가의 재정적 지원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고, 무죄 변론 사건, 국민참여 형사재판 사건 등에 대하여 국선변호사 보수 증액이 필요하다. 피의자 국선변호인을 포함한 법률구조 지원 업무를 총괄하는 사법지원센터를 설립하고, 이 사법지원센터의 위임을 받아 각 지방변호사회가 국선변호 등 법률지원 업무를 통합 운영하여야 한다.

      • KCI등재

        필요적 국선변호인 선정 사유인 ‘피고인이 구속된 때’의 의미: 대법원 2024. 5. 23. 선고 2021도6357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조성훈 한국형사정책학회 2024 刑事政策 Vol.36 No.2

        대법원은 2024. 5. 23. 선고한 2021도6357 전원합의체 판결에서 법 제33조 제1항 제1호가 정한 필요적 국선변호인 선정 사유인 ‘피고인이 구속된 때’라 함은 피고인이 해당 형사사건에서 구속되어 재판을 받고 있는 경우에 한정된다고 볼 수 없고, 피고인이 별건으로 구속영장이 발부되어 집행되거나 다른 형사사건에서 유죄판결이 확정되어 그 판결의 집행으로 구금 상태에 있는 경우도 포괄하는 것이라고 판시하였다. 필요적 국선변호인 선정 사유인 ‘구속’의 의미를 종전에 비해 넓게 해석함으로써 국가의 공권력에 의한 구금으로 방어권이 취약한 상태에 놓인 피고인에 대하여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 등의 헌법상 권리를 더욱 충실하게 보장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본 판결의 의미가 있다. 향후 신체구속 상태에서 피고인의 방어권과 관련된 제도의 입법과 해석에 있어 본 판결의 취지를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먼저 ‘다른 형사사건에서 유죄판결이 확정되어 그 판결의 집행으로 구금 상태에 있는 경우’도 포괄할 수 있도록 형사소송법의 규정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피고인의 신체적 제약 상태로 인해 방어권이 실질적으로 위협받는 상황을 파악하고, 각각의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입법적 대응이 필요하다. 나아가 형사소송법의 조항 중 ‘구속’이 절차를 보장받을 주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맥락으로 사용되는 경우의 해석도 피고인의 방어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방향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The Supreme Court, in its en banc decision 2021Do6357 on May 23, 2024, ruled that the term “when the defendant is detained,” as specified in Article 33, Paragraph 1, Subparagraph 1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which constitutes grounds for the mandatory appointment of a public defender, cannot be limited solely to cases where the defendant is detained in connection with the specific criminal case being tried. The Court held that it also encompasses situations where the defendant is detained under an arrest warrant issued in a separate case or is in a state of detention due to the execution of a sentence after a guilty verdict has been finalized in another criminal case. By interpreting the meaning of “detention,” which forms the basis for the mandatory appointment of a public defender, more broadly than before, the ruling significantly enhances the protection of constitutional rights, such as the right to assistance of counsel and the right to a fair trial, for defendants who are in a weakened state of defense due to being detained by the state’s public authority. Going forward, it is necessary to fully consider the intent of this ruling in the legislation and interpretation of systems related to the defense rights of defendants in a state of physical detention. First, the provisions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should be clarified to include cases where “the defendant is in a state of detention due to the execution of a sentence after a guilty verdict has been finalized in another criminal case.” Additionally, it is crucial to identify situations where the defendant’s right to defense is substantially threatened due to physical constraints and to implement specific legislative responses for each situation. Moreo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term “detention” in the Criminal Procedure Act, when used in the context of describing the “state” of the individual entitled to procedural guarantees, should be reexamined in a way that effectively protects the defendant’s right to defense.

      • KCI우수등재

        피고인의 진술거부권

        백강진 ( Kang Jin Baik ) 법조협회 2011 法曹 Vol.60 No.2

        In recent criminal cases, there is controversy over whether interrogation of prosecutor is permitted when a defendant exercises the right to remain silent and refuses to answer all questions in advance during trial, and whether in that case, the defendant can answer only to the question of his/her lawyer. Policy foundation for the right to remain silence can be divided into individual ones based on the role of prohibiting compelled self-incrimination to protect the right of criminal defendant and systemic ones resting on the values of accusatorial system and fair trial ideology. In the adversary criminal systems of England and USA, when the right to remain silent is exercised, defendants cannot be used as evidence and prosecutors should not examine the defendants. On the contrary, in the continental criminal systems of Germany and Japan, where ex officio examination is pervasive, it is predominant view that prosecutors can interrogate the defendant even when the defendant exercises the right to remain silent. The exact reason for recent revision of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regarding defendant interrogation is still controversial. The revision cannot be a persuasive reason for assuring prosecutor`s right to interrogate defendants when the defendant refuses to answer all questions in advance. Considering the spirit of accusatorial system, the recent revision of criminal procedure law which adds the right to refuse to answer all questions and power of the presiding judge that restrict the prosecutor`s right through balancing interests of both parties, the presiding judge may restrict the prosecutor`s right of interrogation when the defendant exercise the right to remain silent, and in that case, even if the defendant choose to answer the question of his/her lawyer, we could not find proper ground for the removal of the privilege and cross-examination of the prosecutor would not be admissible.

      • 국선전담변호사제도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양시훈 사법정책연구원 2014 사법정책연구원 연구총서 Vol.2014 No.-

        국선전담변호사제도가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시행된 지 올해(2014년)로 10년이 되었다.과거의 국선변호방식에 대하여 오래 전부터 개선 요구가 높았는데, 그 개선 방안의하나로 국선변호업무만을 수행하는 국선전담변호사제도의 도입이 결정되었고, 이에 따라2004년부터 국선전담변호사제도가 시행되었다. 국선전담변호사제도는 지난 10여 년 동안 양적 확대와 질적 발전을 거듭하였는바, 특히 형식적 변론이나 국선변호인의 책임감부족 또는 피고인과의 소통 부족 등의 문제가 개선되었다는 점이 가장 큰 성과로 평가받는다.법조계 안팎의 국선전담변호사에 대한 관심도 과거와 달라졌다. 특히 올해 시행된 국선전담변호사 위촉과 관련하여 비판적 의견이 제시되었고 국선전담변호사의 위촉 및 관 리 주체에 관한 변경 논의까지 대두되었으며, 그와 별개로 보수의 적정성 등에 관한 논 의도 전개되었다.이 보고서는 이러한 배경에서 우리 국선전담변호사제도의 정착과정과 현황을 확인하고 외국의 주요 사례를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는 부분이 무엇인지 살피고, 개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분야에 대한 대안을 검토하였다.서론에서는 국선전담변호사제도를 포함한 국선변호제도 전반을 살피고, 그와 관계된여러 이슈들에 대한 검토 및 개선 방안을 언급하고자 한다는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제2장 국선변호제도 일반론에서는 국선변호제도의 의의, 국선변호인의 자격 및 선정 등을 살폈고, 법원이 종래 국선변호제도 개선을 위하여 국선변호인 선정방식을 변경하는 등의 새로운 제도를 시행하는 한편, 이 보고서의 주된 연구대상이 된 국선전담변호사제도를 도입하였다는 점 및 그 이후에도 국선변호제도를 보다 나은 형태로 운영하고자 하는 개선 작업을 계속 이어왔음을 설명하였다.제3장에서는 국선전담변호사제도의 운영현황을 살피고, 양적 확대 및 질적 발전을이루었다고 평가되는 내용을 검토하였다. 국선전담변호사제도의 변천 과정을 시기별로 검토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한 국선전담변호사제도의 시행 성과를 정리하였다.제4장에서는 외국의 공적변호제도 운용 사례 및 시사점을 살폈다. 공적변호제도는이미 여러 나라에서 시행되고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본격적 의미에서의 공적변호제도를 시행한 역사가 오래 된 미국, 계약변호인 제도가 발달한 영국, 법률구조시스템을 일원화한 일본으로 검토 대상국가를 한정하고 그 특징을 정리하였다.제5장부터는 국선전담변호사제도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국선전담변호사의위촉 및 관리의 주체에 대하여 현재 제기되는 비판들을 검토한 후, 대안으로 제시되는각각의 안에 대하여 묵과하기 어려운 단점들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 특히 퍼블릭디펜더제도와 유사한 제도를 만들어 국선전담변호사 관련 업무를 관장하는 제3의 기관을 설립하여야 한다는 견해의 문제점을 언급하면서, 현행 법원 관리 국선전담변호사제도를 유지 하되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보완하는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고 보았다.제6장 위촉 절차에 대한 개선 방안에서는 무자료면접(blind interview)을 실시하는방안, 면접관을 보다 공개적으로 구성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제7장에서는 보수, 업무량 및 재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보수와 관련하여 일반 국선변호인의 보수에 대하여는 기준보수액의 상향보다는 기존 보수증액기준에 따른 증액의활성화가 현실적 개선안이 될 것으로 보았고, 현행(2014년 시행) 국선전담변호사의 보수도 적정 범위 내에 있다고 보았다. 국선전담변호사의 업무량은 보수와 연계되는 문제로서 현 시점에서 이를 더 감축할 필요성은 인정하기 어려우나, 업무량의 적정 여부를지속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재정에 관하여는 국선변호업무의재원이 일반회계예산과 공탁출연금(또는 공탁지원금)으로 이원화되어 있는 현실에 기인 하는 여러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언급하였다.제8장에서는 관리에 대한 개선 방안을 검토하였다. 업무평가와 관련한 보완책으로서 일부 법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피고인에 의한 평가의 확대 여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재판장에 의한 평가의 객관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재교육 강화 방안과 국선전담변호사간 협업을 위한 개선 방안도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국선전담변호사의 위촉 및 관리 주체의 변경 여부에 대하여 장기적 안목으로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으므로, 현행 제도의 큰 틀은 그대로 유지하되 필요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도개선을 통한 보완을 이어나간다면 제도 본래의 취지도 살리면서그 운영에 대한 신뢰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는 입장을 밝혔다. The focus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development and current state of the indigent defense system in Korea and the operations of public defense systems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US, UK and Japan and, based thereon, explore the areas where indigent defense systems can be improved and propose viable policy alternatives.Various criticisms and alternatives have been raised on the matter of who assigns and manages indigent defenders. But this research argues that it is most desirable to maintain the current system and supplement the areas requiring improvement.Regarding improvement of the procedure for assignment, this research proposes blind interviewand greater transparency in the composition of the interviewer pool. With regard to compensation for general indigent defenders, this research finds thatpomoting increase of compensations pursuant to existing criteria of compensation increase,’ rather than increase of base compensation, is the more reasonable method of improvement, and the current (2014) amount of compensation for indigent defenders is within a proper range.Regarding workloads of indigent defenders, this research argues that it is undesirable to make changes at present. With regard to funding, the research points out problems resulting from the current dualistic syst m and makes proposals as to how it could be improved. Regarding the methods of improving management, this research suggests supplementary measures of performance review, strengthening of retraining programs, and cooperation among indigent defenders. In conclusion, if the aforesaid methods are used to take necessary supplementary measures while maintaining basic framework of the current indigent defense system,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original goals of the system and to also maintain trust in its operation

      • KCI등재

        범죄피해자 국선변호인 제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최근 일본, 스웨덴, 핀란드 논의상황을 중심으로 -

        정영훈,류병관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法學硏究 Vol.34 No.2

        Criminal justice procedures have historically been centered on punishment for crimes, and proof and defense of crimes have been key. The ideology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which is the principle of discovery of substantive truth, proper procedure, and prompt trial, was also established in this dimension. However, as the interest in criminal law expanded to the area of recovering criminal damage, many academic theories and legislation for this came to fruition. The need for social support for crime victims is also gaining a lot of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UN adopted the SDGs and suggested equal access to justice as on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efforts, and recently, "The Kyoto Congress" emphasized the need for compensation and compensation beyond the victim's participation in criminal justice procedures. Legal assistance and assistance from lawyers are essential to enable crime victims to recover to their daily lives. Currently, Korea guarantees this right to victims of crime under a special law. However, the reality is that support for crime victims is insufficient because the types of crimes that can be assisted by lawyers are limited.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scope of crime victims to use the public defender system. Currently, the system stipulated only in the special law should be stipulated in the Criminal Procedure Act, a general corporation, and there should also be legislation for the elderly who are socially vulnerable. In addition, from the beginning of the criminal damage, the effectiveness of the recovery of the damage should be secured with the assistance of a lawyer.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learly define the role of public defenders who have suffered criminal damage and prepare a plan that enables legal support from the investigation stage to the process of receiving damages. In order to guarantee the defendant's right to defend,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Act recognizes various rights and operates a system. If so, it is appropriate to provide the same level of support to victims who have been victimized by the accused. Anyone can unintentionally become a victim of a crime, and the cause of the crime is also in the social environment. If so, the state is obligated to establish a social system so that the daily life, which has been painful due to criminal damage, can be restored to the time before the damage situation. In addition, the prerequisite of such a system is to be able to receive assistance from public defenders.

      • 국선전담변호사제도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양시훈(Yang, Sihoon) 사법정책연구원 2014 사법정책연구원 연구총서 Vol.2014 No.-

        국선전담변호사제도가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시행된 지 올해(2014년)로 10년이 되었다. 과거의 국선변호방식에 대하여 오래 전부터 개선 요구가 높았는데, 그 개선 방안의 하나로 국선변호업무만을 수행하는 국선전담변호사제도의 도입이 결정되었고, 이에 따라 2004년부터 국선전담변호사제도가 시행되었다. 국선전담변호사제도는 지난 10여 년 동안 양적 확대와 질적 발전을 거듭하였는바, 특히 형식적 변론이나 국선변호인의 책임감 부족 또는 피고인과의 소통 부족 등의 문제가 개선되었다는 점이 가장 큰 성과로 평가 받는다. 법조계 안팎의 국선전담변호사에 대한 관심도 과거와 달라졌다. 특히 올해 시행된 국선전담변호사 위촉과 관련하여 비판적 의견이 제시되었고 국선전담변호사의 위촉 및 관리 주체에 관한 변경 논의까지 대두되었으며, 그와 별개로 보수의 적정성 등에 관한 논의도 전개되었다. 이 보고서는 이러한 배경에서 우리 국선전담변호사제도의 정착과정과 현황을 확인하고 외국의 주요 사례를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는 부분이 무엇인지 살피고, 개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분야에 대한 대안을 검토하였다. 서론에서는 국선전담변호사제도를 포함한 국선변호제도 전반을 살피고, 그와 관계된 여러 이슈들에 대한 검토 및 개선 방안을 언급하고자 한다는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2장 국선변호제도 일반론에서는 국선변호제도의 의의, 국선변호인의 자격 및 선정 등을 살폈고, 법원이 종래 국선변호제도 개선을 위하여 국선변호인 선정방식을 변경하는 등의 새로운 제도를 시행하는 한편, 이 보고서의 주된 연구대상이 된 국선전담 변호사제도를 도입하였다는 점 및 그 이후에도 국선변호제도를 보다 나은 형태로 운영하고자 하는 개선 작업을 계속 이어왔음을 설명하였다. 제3장에서는 국선전담변호사제도의 운영현황을 살피고, 양적 확대 및 질적 발전을 이루었다고 평가되는 내용을 검토하였다. 국선전담변호사제도의 변천 과정을 시기별로 검토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한 국선전담변호사제도의 시행 성과를 정리하였다. 제4장에서는 외국의 공적변호제도 운용 사례 및 시사점을 살폈다. 공적변호제도는 이미 여러 나라에서 시행되고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본격적 의미에서의 공적변호제도를 시행한 역사가 오래 된 미국, 계약변호인 제도가 발달한 영국, 법률구조시스템을 일원화한 일본으로 검토 대상국가를 한정하고 그 특징을 정리하였다. 제5장부터는 국선전담변호사제도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국선전담변호사의 위촉 및 관리의 주체에 대하여 현재 제기되는 비판들을 검토한 후, 대안으로 제시되는 각각의 안에 대하여 묵과하기 어려운 단점들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 특히 퍼블릭디펜더 제도와 유사한 제도를 만들어 국선전담변호사 관련 업무를 관장하는 제3의 기관을 설립하여야 한다는 견해의 문제점을 언급하면서, 현행 법원 관리 국선전담변호사제도를 유지하되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보완하는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제6장 위촉 절차에 대한 개선 방안에서는 무자료면접(blind interview)을 실시하는 방안, 면접관을 보다 공개적으로 구성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7장에서는 보수, 업무량 및 재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보수와 관련하여 일반 국선 변호인의 보수에 대하여는 기준보수액의 상향보다는 기존 보수증액기준에 따른 증액의 활성화가 현실적 개선안이 될 것으로 보았고, 현행(2014년 시행) 국선전담변호사의 보수도 적정 범위 내에 있다고 보았다. 국선전담변호사의 업무량은 보수와 연계되는 문제로서 현 시점에서 이를 더 감축할 필요성은 인정하기 어려우나, 업무량의 적정 여부를 지속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재정에 관하여는 국선변호업무의 재원이 일반회계예산과 공탁출연금(또는 공탁지원금)으로 이원화되어 있는 현실에 기인하는 여러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언급하였다. 제8장에서는 관리에 대한 개선 방안을 검토하였다. 업무평가와 관련한 보완책으로서 일부 법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피고인에 의한 평가의 확대 여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재판장에 의한 평가의 객관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재교육 강화 방안과 국선전담변호사간 협업을 위한 개선 방안도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국선전담변호사의 위촉 및 관리 주체의 변경 여부에 대하여 장기적 안목으로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으므로, 현행 제도의 큰 틀은 그대로 유지하되 필요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도개선을 통한 보완을 이어나간다면 제도 본래의 취지도 살리면서 그 운영에 대한 신뢰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는 입장을 밝혔다. The focus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development and current state of the indigent defense system in Korea and the operations of public defense systems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US, UK and Japan and, based thereon, explore the areas where indigent defense systems can be improved and propose viable policy alternatives. Various criticisms and alternatives have been raised on the matter of who assigns and manages indigent defenders. But this research argues that it is most desirable to maintain the current system and supplement the areas requiring improvement. Regarding improvement of the procedure for assignment, this research proposes blind interview and greater transparency in the composition of the interviewer pool. With regard to compensation for general indigent defenders, this research finds that ‘Promoting increase of compensations pursuant to existing criteria of compensation increase,’ rather than increase of base compensation, is the more reasonable method of improvement, and the current (2014) amount of compensation for indigent defenders is within a proper range. Regarding workloads of indigent defenders, this research argues that it is undesirable to make changes at present. With regard to funding, the research points out problems resulting from the current dualistic system and makes proposals as to how it could be improved. Regarding the methods of improving management, this research suggests supplementary measures of performance review, strengthening of retraining programs, and cooperation among indigent defenders. In conclusion, if the aforesaid methods are used to take necessary supplementary measures while maintaining basic framework of the current indigent defense system,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original goals of the system and to also maintain trust in its operation.

      • KCI등재

        피해자변호사의 형사절차 참여에 관한 고찰

        김태계(Kim, Tae-kye) 한양법학회 2014 漢陽法學 Vol.25 No.4

        Previous Criminal Procedure Act does not allow for personal punishment. Exclusion procedures, and the parties of the case was completed national penal system to the state monopoly The excessive abuse of power to maintain social order and state system state. So important was this improved system for human rights protection for the accused. The Criminal Procedure Act was so important to the legislative process for the prevention of human rights violations for the defendant. The trial procedure at the center at strengthening the rights of the defense counsel for the accused’s rights were excluded from the criminal trial is the victim of a criminal case. Was a witness to testify without a system that reflects their thoughts victims. The regulations say that the rights of crime victims in the trial process to amend the Criminal Procedure Act 2007 our country. Defenders for the victims system was introduced through the amendment of the Punishment of the Act on Sexual Crime 2013. Mutatis mutandis by the Youth Protection Act and the Child abuse Act on the Punishment of Sexual Crime and expanded its validity. Reflects the philosophy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to reflect the modem criminal trial lawyer of the victims thought the victim system in Korea. The defense in the trial process affected victims of crime and investigation procedures victim defender. And has a comprehensive proxy for all the action on the criminal behavior and crime victims legal aid defender. And it is possible for the client to state his victim defender. The status of victim defender is basically who sate. So unless prescribed by law, does not recognize the right of a defender on the assumption that the parties Procedure. To date, the beginning stages victim lawyer in Korea. To date, victim defender system is the beginning stages in Korea that is to say the idea that the present investigation procedures and the rights of the victims of the trial process defender. To be widely accepted that the rights of victims of attorney it is possible to develop a system to do so victims attorney, who said to the client is the victim.

      • KCI등재

        우리나라 법학전문대학원 리걸클리닉에서의 국선변호활동에 관한 소고

        김자영(Kim, Ja-Young),백경희(Baek, Kyung-Hee) 한양법학회 2016 漢陽法學 Vol.27 No.4

        In September 2016, individual Law Schools received an official document named ‘Enforcement Plan for Public Defending Legal Clinic,’ sent from the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via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Schools. The main contents of this docum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Law School Professors who hold a bar certification can apply to be selected as public defenders. The relevant courts will then register the members to the Public Defender List, and assign cases with high educational value to him/her no later than January 2017. Consequently, Law School Professors may use their Bar certification for Pro Bono activities, while assisting Law School students will gain indirect experience in criminal suits and relevant procedures. This means on-campus legal clinic activities can be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as compared to previous clinic activities which heavily relied on externships. However, there are practical and procedural obstacles. The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resolved that Public Defending Legal Clinics should only be feasible in sixteen private Law Schools, with the exception of nine national or public Law Schools. In these sixteen schools, it is questionable whether Law School Professors should be allowed to actasapublic defender under the present legislation, as they are employees of private universities. If allowed, re-opening and maintaining their offices will require significant financial costs and time; therefore, practical supports should be offered from the authorities. In addition, an alternative plan should be prepared for students in the nine national or public Law Schools so that their "Right to education" is protected. This article will explore the significance of Public Defending Legal Clinics on the Korean law school legal clinic system while reviewing how Legal Clinics are operated in Law Schools overseas. It also aims to suggest a future direction for successful establishment of the system.

      • KCI등재

        사생활보호의 관점에서 본 형사재판중계에 대한 법정책적 고찰

        강동욱(Kang, Dong-Wook) 대검찰청 2017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54

        최근 사회적 관심이 큰 사건들이 발생하면서 국민의 알 권리 보장의 요청에 따라 이들 형사사건의 재판중계의 필요성이 강하게 주장되고 있다. 최근 법원에서도 사법의 투명성 확보와 사법에 대한 신뢰 확보 차원에서 재판중계에 대하여 적극적인 태도로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대법원의 변론과정에 대해서는 이미 수차례에 걸쳐 생중계를 시행해 오고 있다. 하지만 형사재판에 있어서 재판중계는 피고인의 사생활침해의 우려가 있고, 실체적 진실발견에 장애가 될 위험이 많다. 이러한 현상은 사실심인 하급심의 경우에는 더욱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알 권리와 사생활보호가 충돌할 경우 양 기본권은 우열을 다툴 수 없는 것이라고 하지만 형사재판의 경우에는 피고인을 중심으로 재판이 진행된다는 특수성을 고려해 볼 때 사생활보호가 우선되어야 한다. 따라서 형사재판의 중계는 원칙적으로 피고인의 동의가 있는 경우에 한정되어야 한다. 다만, 예외적으로 공공의 이익 또는 공적 관심사가 큰 경우로서 재판중계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는 피고인의 동의 여부에 관계없이 엄격한 기준을 마련하여 허용하는 것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재판중계를 허용하는 경우에도 피고인의 사생활침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중계대상, 중계주체, 중계방법 및 그 절차 등에 대하여 독립한 법률을 통해 상세하게 규정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the necessity of relay broadcasting of trial in the criminal cases is strongly being claimed by asking of public’s right to know, a constitutional basic human right, as social awareness of the events occur in our country. The court take up a positive attitude to secure transparency and citizen’s credibility in judical procedure on relay broadcasting of trial. The Supreme Court relayed the own argument procedure 11 times over since 2013 by KTV and court’s internet. But relay broadcasting of criminal trial is a great risk to violate defendant’s privacy protection, and interfere with a fair trial, and undermine the authority of the court. In the lower court it becomes more severe. If right to know and privacy protection conflict, privacy protection must be preferentially protected than right to know. Because the criminal trial always centre around a defendant. Therefore relay broadcasting of criminal trial must be accepted only if they consent of the defendant. However, even if there is no consensus of the defendant, relay broadcasting of criminal trial may be accepted according to strict requirements if by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met ; the public interests or the public concern and necessity of relay. And even if allow trial relay, the details of trial relay must be provide in the separate independent law(exp. “Trial Relay Broadcasting Act”) in order to minimize the privacy invasion of the defend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