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재 보호와 재산권 보장- 문화재 보호에 관한 독일 법원의 판결을 고찰하며 -

        이부하 대한변호사협회 2022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505

        Property owners who own cultural properties want to make a profit and use them. In this situation, on the one hand, there is a public interest in the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and on the other hand, a conflict arises between the private interest of the property owner guaranteeing property rights. The property right is a key fundamental right in the Constitution. The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guarantees the free exercise of property by the subject of basic rights, and enables the creation of property under self-responsibility.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on the suitability of the exercise of property rights for the public welfare, the provision of laws that place the private interest over the public interest violates the provision of the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under the Constitution. If the restriction of private interests restricted by the implementation of projects that require acceptance for the purpose of public welfare is not proportional, such acceptance measures do not contribute to public welfare. If the restriction of property rights is recognized as possible acceptance of property rights, this is called social binding of property rights, and in this case, there is no obligation to compensate. Exceptionally, if it violates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or equality among the content and limitations of property rights and constitutes an infringement of property rights, it becomes a provision for the content of property rights obligated to compensate. The German Federation has legislative powers and can enact its own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laws. According to the German Constitution, the German Federation has exclusive legislative powers for the protection of German cultural property from export. Because the Federation and the states have competing legislative powers, the states hav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laws. If the cost of preserving and managing cultural properties of the property right owners exceeds the value of profit or use from the cultural property, the property right owners will not be able to accept it. In Germany’s stat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law, it is judged by the economic acceptability to the person obligated to protect cultural properties. As a legal requirement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ies, the economic acceptability should be judged from an objective point of view. In calculating the profitability of cultural properties, the income value generated from cultural properties is calculated. Tax benefits may be granted to cultural properties based on the individual property and financial situation of the property owner. In addition, the impossibility of trading cultural properties is also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acceptance. In the constitutional system of Korea, exceptionally, if it violates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or equality among the content and limitations of property rights and constitutes an infringement of property rights, it is a provision for the content of property rights obligated to compensate. In this case, the economic acceptability can be used as a criterion for judgment. 문화재를 소유하고 있는 재산권자는 문화재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문화재를 이용하기를 원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편으로는 문화재 보호와 보존이라는 공익이 존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재산권자의 재산권 사용·수익·처분이라는 사익 간에 충돌이 발생한다. 재산권 보장은 기본권 주체의 재산의 자유로운 행사를 보장하며, 자기책임 하에 주도적으로 재산 형성을 가능하게 해 준다. 헌법에서 재산권 행사의 공공복리 적합성 조항에 의거하여, 사익을 공익보다 우위에 두는 법률조항은 헌법상 재산권 보장 조항에 위반된다. 공공복리의 목적을 위해 수용이 필요한 사업 시행으로 인해 제약을 받는 사익에 비례적이지 않는 경우, 그러한 수용조치는 공공복리에 기여하지 못하게 된다. 재산권의 제한이 재산권자의 수인가능성 범위 내로 인정되는 경우, 이를 재산권의 사회적 기속이라 하며 이 경우에 보상의무는 발생하지 않는다. 예외적인 경우에 보상의무 있는 재산권의 내용 규정에 해당하게 된다. 독일 연방은 입법권을 가지고 문화재보호법을 제정할 수 있다. 독일 연방은 독일 문화재의 국외 반출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전속적 입법권을 가지고 있다. 연방과 주는 경합적 입법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는 문화재보호법을 제정하고 있다. 재산권자의 문화재 보존과 관리 비용이 문화재로부터의 수익이나 사용가치를 넘어서는 경우, 재산권자는 이를 수인할 수 없게 된다. 독일 주 문화재보호법에서는 문화재 보호의무자의 경제적인 수인가능성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문화재 보호에 관한 일반 법률 규정은 주(州)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재산권을 제한하는 법규정의 해석·적용에 있어서 수인가능성 여부가 심사기준이 된다. 문화재 보호에 대한 법적 요건으로서 경제적 수인가능성은 객관적인 관점에서 판단되어야 한다. 문화재의 수익성 계산에 있어서 문화재로부터 발생하는 소득가치를 계산하게 된다. 해당 재산권자의 개별 재산 및 재정 상황을 기반으로 하여, 문화재에 대한 세금 혜택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문화재의 매매 불가능성 여부 기준으로 수인가능성이 활용된다. 문화재를 소유한 재산권자가 수인가능하다면 사회적 기속에 해당하고, 수인할 수 없다면 보상의무 있는 재산권의 내용 규정에 해당하게 된다. 우리 법체계에서도 재산권자의 수인가능성을 기준으로 사회적 기속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 KCI등재

        헌법상 재산권 보장과 그 제한의 현대적 의미

        신형구(Shin, Hyung-Goo),김상겸(Kim, Sang-Kyum) 한국토지공법학회 2020 土地公法硏究 Vol.90 No.-

        근대 시민사회 이후 인간에게 중요한 기본권은 재산권이다. 개인의 자유에 기초한 시민사회가 형성되면서 누구나 사유재산을 가질 수 있게 되었고, 재산에 대한 권리는 인간의 기본적 권리가 되었다. 재산권은 인간이 필수적으로 해결해야 할 의식주를 위하여 필요하고, 인간다운 생활을 하기 위해서도 인간의 삶에 필수적인 권리가 되었다. 재산권은 1789년 프랑스 인권선언과 1791년 미국 연방헌법 수정 제1조에서 명문화되면서 헌법의 영역에서 보장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도 1948년 헌법부터 재산권을 보장하고 있다. 현행 헌법은 제23조 제1항에서 사유재산제도와 재산권의 보장에 관하여 규정하면서 그 내용과 한계에 대한 법률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또한, 헌법 제23조 제2항은 재산권 행사에 있어서 사회적 구속성을 규정하고 있으며, 제3항에서는 공공필요성에 의한 재산권의 공용수용제도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이외에도 헌법 제22조 제2항에서는 지식재산권에 관하여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재산권의 제한에 대해서는 공공필요성이란 기준을 충족하면 공용수용을 할 수 있도록 하면서 보상을 주도록 하고 있다. 재산권의 제한은 이미 1789년 프랑스 인권선언에서부터 시작된 것으로 1919년 독일 바이마르 헌법은 사회적 기본권을 도입하면서 재산권에 관한 사회적 제약을 명문으로 규정하였다. 우리나라 헌법도 독일 헌법을 계수하는 과정에서 이를 거의 받아들였다. 특히 재산권은 국민의 삶에 직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어서, 다른 자유권과 달리 헌법상 재산권 규정에서뿐만 아니라 헌법 제37조 제2항의 법률유보조항으로부터도 제한을 받는다. 토지지가의 급속한 상승으로 인하여 시작된 토지공개념은 여러 차례 논의가 있었고, 3개의 관련 법률이 제정되었다. 그런데 개발이익환수법을 제외하고 나머지 법률은 헌법재판소의 위헌 내지 헌법불합치 결정을 받았다. 그렇지만 반복되는 부동산투기와 급격한 지가상승에 대한 대책으로 등장한 토지공개념은 도입의견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는 재산권의 사회적 구속성의 강화 경향과도 연결된다. 이 외에도 재산권의 미래는 지식재산권의 영역 확대와 함께 공유경제의 활성화로 인한 소유에서 이용으로 개념이 변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e fundamental right that is important to humans after modern civil society is property rights. With the formation of a civil society based on personal freedom, anyone can have private property, and the right to property has become the basic human right. Property rights are necessary for consciousness that must be solved by human beings, and have become essential rights for human life in order to live a human life. Property rights began to be guaranteed in the realm of the Constitution, as specified in the French Declaration of Human Rights in 1789 and Article 1 of the United States Federal Constitution in 1791. Korea has also guaranteed property rights since the 1948 Constitution. The current constitution stipulates the protection of private property systems and property rights in Article 23, paragraph 1, and adopts legalism for its content and limitations. In addition, Article 23 (2) of the Constitution stipulates social redemption in the exercise of property rights, and Article 3 provides for the public acceptance system of property rights due to public necessity. In addition, Article 22 (2) of the Constitution provides grounds fo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Restrictions on property rights are made to allow public acceptance when the standard of public necessity is met, and to compensate. The restriction of property rights had already begun in the French Declaration of Human Rights in 1789. In 1919, the German Constitution of Weimar introduced social basic rights and established social restrictions on property rights as a prestige. The Korean Constitution also accepted this in the process of counting the German Constitution. In particular, property rights directly affect people s lives, and unlike other liberties, they are limited not only in the provision of property rights in the Constitution, but also in the provisions of the provisions of Article 37, Paragraph 2 of the Constitution. The concept of public ownership of land, which began due to the rapid rise in land prices, was discussed several times, and three related laws were enacted. However, with the exception of the Development Profit Recovery Act, the rest of the laws were decid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as unconstitutional or inconsistent. However, the concept of land publicity, which emerged as a countermeasure against repeated real estate speculation and rapid rise in land prices, is gradually spreading. This is also linked to the tendency to strengthen the social redemption of property rights. In addition, the future of property rights shows that the concept is shifting from ownership to use du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shared economy, along with the expansion of the domai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 KCI등재

        세계 각국의 헌법상 토지재산권 관련 규정과 우리나라 헌법개정에 있어서의 시사점 검토

        정극원(Jeong Kuk Wo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7 土地公法硏究 Vol.79 No.-

        I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ere is no term for “right to land property”, but it is assured through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as a basic rights on Article 23. From normative perspective, it consists of levels such as the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of preamble in Article 1, contents and restriction of latter sentence of Article 1 is settled as law, imposition of duty of public welfare suitability of exerting property rights of Article 2 and approving public violation for public needs. When seeing the normative format of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there are more restriction than guarantee, which is to actualize the public benefit through restricting the right to land property. This study has organized and analyzed the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of global constitutions and examined the current level of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to land property in Korea. The right to land property is a part of basic right which should be guaranteed in high standard as long as it is guaranteed as property rights. The guarantee format of right to land property in global constitution are first, the case which it is guaranteed as property rights, second, the case which the social restriction of the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an right to land property are both fixed, third, the case which the use or plan of land is fixed. As seen in the property rights provisions in world constitutions, Article 23 of Korean Constitution strictly regulates the characteristic of property right restriction like the German fundamental law. In future constitutions revision, there is a need to reorganize the format of regulation. In the future constitutional restriction, the problem related to right to land property is first, the problem about regulating the land along with property right, second, the problem about abolishing the duty of public welfare suitability regarding exercising property right, and third, the problem about specifying the territory as land in using and planning the territory. Article 23, Item 1 of Constitution says “ All the people’s property rights is guaranteed.” which does not require revision, but there is a need to consider revision of Article 23 Item 2 which says “exercise of property rights must suit public welfare”. The latter part of Article 23 Item 1 restricts saying “the details and restrictions are fixed by law”. Again in item 2, such social restriction is fixed and exercises two restriction excluding expropriation in the restricted format of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clarify the definition and details of norms by deleting the latter part of Item 1 or revising the restriction of Item 2. Also, as for the expropriation item of Article 23 Item 3, there is a need to specify the acceptance of property right to land acceptance by separating the land, or revise the compensation as full compensation rather than the proper compensation. 우리 헌법에는 토지재산권이라는 용어가 없고 제23조에 기본권으로서 재산권보장을 통하여 보장되고 있다. 규범의 형식에서 보면 제1항 전문(前文)의 재산권보장, 제1항 후문(後文)의 그 내용과 한계를 법률로 정하도록하고 있으며, 제2항의 재산권의 행사의 공공복리 적합성의 의무의 부과 및 제3항의 공공필요에 의한 공용침해를 허용하는 단계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재산권보장의 규범형식만 본다면 보장보다는 제한이 더 많은 형식을 취하고 있는 것은 토지재산권에 대한 제한을 통하여 공공의 이익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세계 각국의 헌법상의 토지재산권의 보장의 방식을 정리・분석하여 우리나라의 토지재산권 보장의 정도가 어느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토지재산권은 기본권으로서의 재산권으로 보장되고 있는 한 높은 수준의 보장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세계 각국의 헌법상에 토지재산권의 보장형식은 첫째, 재산권으로 보장하고 있는 경우, 둘째, 재산권보장과 토지재산권의 사회구속성이 동시에 규정되어 있는 경우 셋째, 토지 이용 및 계획이 규정되어 있는 경우로 분류된다. 세계 각국의 헌법에서의 재산권규정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리 헌법 제23조는 독일 기본법과 마찬가지로 재산권제한의 성격이 더 강한 규범으로 규정되어 있다. 향후의 헌법개정에 있어서 규정의 형식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앞으로 헌법개정에 있어서 토지재산권과 관련한 쟁점은 첫째, 재산권과 동시에 토지를 규정할 것인가의 문제, 둘째, 재산권 행사의 공공복리 적합성의 의무를 폐지할 것인가의 문제, 셋째, 국토의 이용 및 계획에 있어서 국토를 토지로 구체화할 것인가의 문제 등이다. 헌법 제23조 제1항은 “모든 국민의 재산권은 보장된다.”를 개정할 필요는 없겠지만, “재산권의 행사는 공공복리에 적합하도록 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한 제23조 제2항은 개정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헌법 제23조는 제1항 후문(後文)에 “그 내용과 한계는 법률로 정한다.”라고 하여 제한을 가하고 있는데, 다시 제2항에 의하여 이와 같이 사회구속성을 규정하여 재산권보장의 규정형식을 보면 공용수용을 제외하고서라도 2개의 제한을 가하고 있다. 따라서 제1항의 후문을 삭제하든지 또는 제2항의 규정을 개정하든지 하여 규범의 의미와 내용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헌법 제23조 제3항의 공용수용 조항의 재산권의 수용에 토지를 분리하여 토지수용으로 구체화하거나 또는 그 보상에 있어서 정당한 보상이 아니라 완전보상으로 개정할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무체재산권⋅지적소유권⋅지적재산권⋅지식재산권 - 한국 지재법 총칭(總稱) 변화의 연혁적⋅실증적 비판 -

        박준석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서울대학교 法學 Vol.53 No.4

        한국에서 지적재산권법 전체를 가리키는 용어, 즉 총칭은 일제 강점기부터 지금까지 무체재산권, 지적소유권, 지적재산권, 지식재산권 순서로 계속 바뀌어 왔다. 처음 쓰인 ‘무체재산권’이란 용어는 독일에서 유래한 것으로 일제 강점기에 우리에게 강제로 이식된 것인데, 채권까지 포함하는 것 같은 혼동을 초래하여 적절치 않다. 그 다음 ‘지적소유권’이란 용어는 1986년 미국의 통상압력으로 부득이 한국 지적재산권법 전체가 가장 극적으로 변화하던 시점에 미국의 강한 영향으로 등장하였다. 1990년경 이후 특허청의 주도로 ‘지적재산권’이란 새로운 총칭이 정착되었고 이것은 지금까지 가장 널리 받아들여진 총칭이다. 그런데 2011년에 발효된 이른바 지식재산기본법은 이번에는 ‘지식재산권’이란 용어를 사용하도록 정하고 있다. ‘지적소유권’은 지적재산권의 물권적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낸 반면 미국과 달리 한국에 존재하는 전용실시권․전용사용권의 존재 등을 누락한 흠이 있다. ‘지적재산권’의 경우 그 보호대상들을 거의 빠짐없이 포섭한 반면 무형(無形)의 지적세계에서는 민법의 현실세계와 달리 물권과 대등한 채권이 존재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 이 점은 새로운 ‘지식재산권’ 용어도 마찬가지이다. 한국에서 지나치게 자주 총칭이 변경됨으로써 특히 지적재산권법 외부인들에게심각한 혼란이 발생하여 왔다는 점을 이 글은 아주 상세하게 구체적인 입법․사법에서의 오류 등을 찾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무엇보다 현행 법률에 위 4가지 용어가 여기저기 흩어져 모두 존재하고 있는 것은 시정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총칭의 잦은 변경은 후학이나 다른 전공자들이 효율적으로 선행문헌을 찾는 것조차 저해하고 있다. 총칭이란 우리 지적재산권법 종사자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외부인이 전체 법체계에서 지적재산권법을 식별하는 지침이다. 사회적 합의가 확고하다면 위 지적소유권․지적재산권․지식재산권 중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며 앞서 본 각 용어의 비교적 사소한 흠 때문에 새로운 용어로의 변경을 허용하게 되면 불필요한 혼란으로 인한 비용이 그 이익을 쉽게 초과할 것이다. 그런 견지에서 부정경쟁방지법이 물권적 권리를 부여하지 않음을 들어 ‘지적재산권법’이 아니라 ‘지적재산법’으로 총칭변경을 하자는 일본이나 국내의 견해는 부당하다고 사료된다. 왜냐하면 권리개념에 관한 민법 일반의 원칙에 어긋나거나, 그렇지 않다면 지적재산권의 권리가 물권적 권리에 국한한다는 확고한 관행이 없었기 때문이다. 덧붙여 미국 지적재산권법에서는 ‘Intellectual Property’라고만 칭하여 굳이 권리(right)란 문구를 부가하지 않지만 한국의 민사법에서의 논리체계나 관행은 상이하므로 ‘지적재산법’이 아니라 ‘지적재산권법’이라고 칭함이 적절하다. 결론적으로 어떤 이유로든 지적재산권법의 총칭을 차후에 다시 변경하는 것은 극도로 지양하여야 한다. The generic term in Korea which is to be used for the entire intellectual property law has continuously changed in the order of Intangible Property, Intellectual Property, Intellectual Valuable Rights, Knowledge Valuable Rights since the colonial period under Japanese rule. The first term “Intangible Property” which had been originated from Germany was forcefully implanted on Korea during the Japanese rule and is not adequate because it makes a confusion easily as if it included the contractual and tortious right. The second term “Intellectual Property” emerged as the strong influence of the US when all the Korea intellectual property laws dramatically changed with no other option under the pressure linked to free trade benefit by US in 1986. Since around 1990, Korean Patent and Trademark Office led to move on to the next generic term “Intellectual Valuable Rights” which has been most widely accepted in Korea. Then the so-called Framework Act about intellectual property, which came into effective in 2011, makes mandatory using the new “Knowledge Valuable Rights” term at this time. The above term “Intellectual Property” misses the existence of a kind of limited real right system for exclusive use and etc. which exists in Korea law unlike that of US. while the term grasps exactly the characteristic of intellectual property as property. The “Intellectual Valuable Rights” overlooks the fact, unlike in the real world, the contractual and tortious rights indigenous to the intangible world which was parallel to the property right are actually hard to exist, though it embraces almost all protected subject without missing. The new term “Knowledge Valuable Rights” has the same flaw in this point. This article review that there has been a serious confusion especially to the outsiders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law because the generic term has been changed frequently, by presenting empirical evidences in a very detailed manner for specific legislative and judicial errors. Most of all, the inconsistency in the current statute where all the above four generic terms are still remaining valid in each own clause should be corrected. Also, too frequent changes in generic term even makes younger scholars in IP or seniors in other majors suffered from inefficiency in finding the preceding articles. The right generic term for IP is not only the concern of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insiders but also the sign with which the outsiders discern the Korean IP law from other parts of the entire Korean legal system. If there is a firm social consensus, any term among Intellectual Property, Intellectual Valuable Rights and Knowledge Valuable Rights will be good and the cost will easily exceed the profit due to unnecessary chaos if we would allow the another change just because of a relatively minor blemish on the term. In that regards, the opinion in Japan or Korea which proposes the another term change from “Intellectual Valuable Rights law” to “Intellectual Valuable law” on the ground that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does not grant any right seems unreasonable. It’s because the opinion is contradictory to the general principles about the concept of rights in civil law or there has been no solid tradition which limits the concept of right only to a kind of real right. In addition, it is more appropriate to call “Intellectual Valuable Rights law”, not “Intellectual Valuable law” because the legal logic in the Korean civil law system is different even though the intellectual property law in United States is named as just “Intellectual Property”, not “Intellectual Property Right”. In conclusion, for any reason, another change of generic term for the Korean entire intellectual property law in future should be avoided by all means.

      • KCI등재

        위헌심사에 있어서 헌법 제22조 제2항의 규범적 의미

        서경미 헌법재판연구원 2019 헌법재판연구 Vol.6 No.2

        The Article 22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does not have much research on its constitutional meaning,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does not actively apply it as a practical standard for judicial review, even though the same provisions existed from the Founding Constitution. However, The Article 22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has its own constitutional meaning to guarantee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Article 22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also adopts a creator protection principle which basically requires that the right to creation be attributed to the creator. Depending on the specific formation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creator’s rights may be constituted exclusively or non-exclusively, but in order to provide creators with sufficient incentives, it is inevitable that the rights of exclusive property are set within a certain range. In addition, the creator’s right to creative work can be formed by variety of rights, such as property rights or personality rights, depending on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on. The creativity required for the creation at the constitutional level is the minimum of creativity, which means originality that demands to be the result of one’s own creative activity, and the level of creativity is a matter of legislative policy that the legislator decides according to the kind and nature of the creation. Above all, the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is recognized for the development of academics, arts, culture and science.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ensuring that excessiv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does not lead to the detriment of academic, artistic, scientific and cultural development. Since the current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basically recognizes the property rights, even if the Article 22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do not exist, it can be fully guaranteed under the Article 23 property rights of the Constitution. This is the reason why the normative meaning of the Article 22 Section 2 is often ignored in judicial review. However, it contains the contents of independent norms such as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protection, and creationism. Therefore, in the judicial review related to the formation or scop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nstitutional meaning of the Article 22 Section 2. 헌법 제22조 제2항은 동일한 내용의 규정이 제헌헌법부터 존재하였음에도, 헌법적 의미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았으며, 헌법재판실무에서도 지적재산 관련 법안의 헌법적 근거로만 언급되고 있을 뿐, 실질적인 위헌심사기준으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헌법 제22조 제2항은 제헌헌법 제정 당시부터 학문과 예술, 과학과 문화의 발전을 위하여 창작자의 창작물에 대한 권리를 보장하는 규정으로 도입되었고, 9차례의 헌법개정에서도 계속 유지되었는바, 단순히 지적재산보호를 위한 국가의 목표규정이라 볼 수 없고, 지적재산제도 및 지적재산권을 보장하는 독자적인 헌법적 의미가 있는 조항으로 보아야 한다. 헌법 제22조 제2항은 지적재산제도 및 지적재산권을 보장하는 규정으로, 원칙적으로 창작자에게 창작물에 대한 권리를 귀속시킬 것을 요구하는 창작자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입법자의 구체적인 형성에 따라 창작자의 창작물에 대한 권리는 배타적으로 또는 비배타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창작자들에게 충분한 창작유인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배타적인 성질의 권리 설정이 불가피해 보인다. 또한, 창작자의 창작물에 대한 권리는 창작물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재산권적 성질이나 인격권적 성질 등 다양한 성질의 권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헌법적 차원에서 창작물에 대해 요구되는 창작성은 최소한의 창작성, 다른 사람의 창작활동의 결과가 아닌 자신의 창작활동의 결과일 것을 요구하는 독창성으로 보여지고, 구체적으로 요구되는 창작성의 수준은 입법자가 창작물의 종류와 성격에 따라 결정할 입법정책의 문제이다. 무엇보다도 지적재산제도는 학문과 예술, 문화와 과학의 발전을 위하여 인정된 것이므로, 그 형성에 있어 공중의 자유로운 이용 및 학문과 예술, 문화와 과학의 발전이라는 상호 보완적이면서도 상충적인 이익의 조화를 고려하여야 하고, 지적재산권에 대한 과잉한 보호로 학문과 예술, 과학과 문화의 발전이 저해되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현행법상의 지적재산제도는 기본적으로 지적재산권의 재산권적 성질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헌법 제22조 제2항이 없더라도 헌법 제23조 재산권 규정에 의하여 충분히 보장을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헌법 제22조 제2항의 독자적인 의미가 간과되기 쉬우나, 헌법 제22조 제2항은 지적재산제도 및 지적재산권 보장, 창작자주의와 같은 독자적인 규범내용을 담고 있으므로, 지적재산권의 형성이나 범위 설정과 관련된 문제에 있어서는 헌법 제22조 제2항의 독자적인 의미를 인정하여 위헌심사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공익사업을 위한 재산권 제한과 손실보상 - 헌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

        천명주,김상진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4 법률실무연구 Vol.12 No.1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our law is divided into three areas: criminal law, civil law, and administrative law. Among these, administrative law is based on the idea that individual rights can be limited to some extent for the public good. An example of this is land expropriation, which is the removal of private land for public works. However, in this case, the land cannot be received for free and the value of the land must be compensated. This is generally referred to as compensation for losses under public law. There are two methods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compensation for losses: the full compensation theory and the equivalent compensation theory. The full compensation theory is the idea that in the case of land expropriation, the original value of the land should be fully compensated. On the other hand, the theory of equivalent compensation states that only the amount judged to be reasonable depending on the situation should be compensated, and special situations such as the land reform that distributed the land of large landowners after liberation to farmers at low prices are also explained by this idea. As can be seen from this conflict of theories, the idea of ​​compensation provides a hint when thinking about what true equality and fairness are in the real world. In the field of compensation for damages, there are separate laws such as the Land Expropriation Act. However, there is no general law with the same name as the National Compensation Act that applies in all cases. Instead, Article 23 of the Constitution, which guarantees the people's property rights, is used as the basis for claiming statutory damages. Article 23, Paragraph 3 of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at “expropriation, use or restriction of property rights for public necessity and compensation therefor shall be made by law, and fair compensation shall be paid.” The Supreme Court believes that if a citizen's property rights are violated and there are no legal provisions for appropriate compensation for the loss, he or she can request compensation for the loss from the court. As can be seen from thi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not only the interpretation of individual administrative laws, but also how property right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are violated and the amount of compensation. Article 23, Paragraph 1 of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at “the property rights of all citizens are guaranteed. Their content and limits shall be determined by law.” The Constitution guarantees the private property system and individual property rights, but in some cases, these may be restricted for the sake of public welfare. In this case, compensation must be given to those who have made special sacrifices in relation to property rights in order to ensure that property rights are guaranteed and to prevent disadvantages only to specific people. Here, whether an infringement is a special victim or not depends on whether the infringement targets the general public broadly or is limited to specific individuals or groups, or whether the infringement falls within the range of acceptable constraints on property right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decision will be made by considering two factors, including whether it is strong enough to infringe on the essential content of property rights. Since the basis of our judicial system consists of the principles of private property and private autonomy, infringement of private property rights is not permitted even if compensation is made. However, since the private property system is originally based on liberalism and individualism, and its ideology was adopted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fair and equitable social order, the principle of good faith and the prohibition of abuse of rights exist as constraints inherent in the system. The exercise must be restricted for the public interest. However, since these restrictions are exceptions to the principle of absolute ownership, strict req... 헌법에 따라 우리 법은 형법, 민법, 행정법의 세 영역으로 나뉜다. 이 중 행정법은 개인의 권리가 공익을 위해 어느 정도 제한될 수 있다는 생각에 기초하고 있다. 이에 대한 예는 공익사업을 위해 사유지를 제거하는 토지수용이다. 다만, 이 경우 토지를 공짜로 받을 수 없으며, 토지의 가치를 보상해야 한다. 이를 일반적으로 공법상 손실에 대한 보상이라고 한다. 손실보상의 정도에 대해서는 완전보상이론과 등가보상이론의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완전보상이론은 토지수용의 경우 원래 토지의 가치가 완전히 보상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한편, 등가보상론은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판단되는 금액만 보상하면 된다고 하고 있어, 광복 후 대지주의 토지를 농민에게 싸게 분배한 농지개혁 등 특수한 상황도 이 발상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이론의 충돌에서 알 수 있듯이 손해배상에 대한 생각은 현실 세계에서 진정한 평등과 공정이 무엇인지 생각할 때 힌트를 준다. 손실보상 분야에서는 토지수용법 등 별도의 법률이 있다. 다만, 모든 경우에 적용되는 국가보상법과 같은 명칭을 가진 일반법은 없다. 대신 국민의 재산권을 보장하는 헌법 제23조를 법정 손해배상청구의 근거로 삼고 있다. 헌법 제23조 제3항은 “공공필요에 의한 재산권의 수용ㆍ사용 또는 제한 및 그에 대한 보상은 법률로써 하되, 정당한 보상을 지급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대법원은 시민이 재산권을 침해당했는데 손실에 대한 적절한 보상에 대한 법적 규정이 없는 경우 법원에 손실에 대한 보상을 청구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개별 행정법의 해석뿐만 아니라 헌법이 보장하는 재산권이 어떻게 침해되고 보상액이 얼마가 되는지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헌법 제23조 제1항은 “모든 국민의 재산권은 보장된다. 그 내용과 한계는 법률로 정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헌법은 사유재산제도와 개인의 재산권을 보장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공공의 복지를 위해 제한될 수 있다. 이 경우 재산권의 보장을 이행하고 특정인에게만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재산권에 관하여 특별한 희생을 감수한 자에게 보상하여야 한다. 여기서 침해가 특별한 희생인지 아닌지는 침해가 일반 대중을 광범위하게 대상으로 하는지 아니면 특정 개인이나 집단에 국한되는지 또는 침해가 재산권에 내재된 제약으로 수용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 그 외에도 재산권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할 만큼 강한지 여부 등 두 가지를 고려해 판단할 것으로 본다. 우리 사법제도의 근간은 사유재산의 원칙과 사적 자치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상이 이루어져도 사유 재산권을 침해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사유재산제도는 본래 자유주의와 개인주의에 기초하고 있고, 그 이념은 공정하고 공평한 사회질서 구축을 목적으로 채택되어 있기 때문에, 제도에 내재된 제약으로서 신의성실의 원칙과 권리남용금지가 존재하며, 권리의 행사는 공익을 위하여 제한될 수밖에 없다. 다만, 이러한 제한은 절대적 소유권의 원칙에 대한 예외이기 때문에 소유권의 제한에는 엄격한 요건이 필요하며, 법령의 해석도 해석의 대상이 된다. 토지수용법은 공익을 위한 정부의 토지수용에 관한 절차를 규정하고, 공익사업에 필요한 토지의 수용 또는 이용의 요건, 절차 및 효과, 그리고 이에 따른 손실보상의 등 ...

      • KCI등재

        재산권의 강제적 귀속과 관련한 민사법적 고찰: 반민족행위자를 중심으로

        김성욱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경희법학 Vol.48 No.1

        The title of this thesis is “A Study of Private Law in connection with Compulsory Reversion of Property Rights.” It would be meaningful to logically verify how to reorganize the property rights system and what aspects to consider for the reorganization in the legislation process of property rights system in the future. Of course, it would be difficult at the present moment to predict exactly what problems may arise in the future. However, there should be efforts to find solutions for problems related to regulation of public order so that the risk of causing unreasonable consequences can be minimized. Since property rights system is not something that is being newly developed but is a system which has evolved along with the history of mankind, a thorough examination of past problems can lead to a future legal system that is more rational and accords with substantial justice. Therefore, to rationally reorganize the property rights system for Korea, it is necessary to evaluate how this system has changed through the years. Particularly,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property rights system would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reorganization of the system for Korea. To reorganize the property rights system for Korea,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the past system. The Special Law about the Property Reversion of Anti National Citizen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lately was passed in the National Assembly on December 29, 2005. The apparatus of the nation were composed by the law. The government body is going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anti-national citizen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if it is proven that ownership was acquired unfairly, it will be take them back to the State. Of course, somebody who has a complaint, may file an administrative lawsuit. Thus, there is no reason to apply property rules of Korea, which is regulated by the Constitution, directly in the changing situations of the Compulsory Reversion of Property Rights of Pro-Japanese Anti-National Citizens. The auther discussed the main contents of the Compulsory Reversion of Property Rights of Pro-Japanese Anti-National Citizens in Korea and dealt with the important contents of the Compulsory Reversion of Property Rights, and suggested especially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Reversion Process of Property Rights, Assessment of Land and Safety of Transactions in connection with the Compulsory Reversion of Property Rights of Pro-Japanese Anti- National Citizens in Korea. 이 논문의 제목은 재산권의 강제적 귀속과 관련한 민사법적 고찰이라고 정하였다. 재산권 제도의 입법과정에서 당해 제도를 어떠한 모습으로 재편할 것인지, 그러한 재편과정에서 어떠한 점들이 고려되어야 하는지를 논리적으로 검증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물론 장래에 어떠한 문제가 발생할 것인지를 현재의 시점에서 정확하게 예측할 수는 없다. 그러나 그것이 사회질서를 규율하는 재산권 제도라고 한다면 불합리한 결과가 발생되지 않도록 그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특히 재산권 제도는 새롭게 창출되는 제도가 아니고, 인류의 역사와 함께 발전되어 온 제도라는 점에서 종래에 발생한 문제점들을 면밀하게 파악한다면, 장래에 정립될 제도는 보다 합리적이고 실질적 정의에 합치될 수 있다. 그런데 재산권 제도를 합리적으로 정립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재산권이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현재의 모습으로 형성되었는지를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 일제강점기 반민족행위자의 재산귀속에 관한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하였고, 이 법률에 근거하여 국가기관이 구성되었다. 당해 국가기관은 일제강점기의 반민족행위자의 재산을 조사하고, 만약 부당하게 소유권을 취득한 것으로 판명되면 국가로 귀속시키고 있다. 물론 재산권의 강제적 귀속에 대하여 이의가 있는 이해관계인은 행정심판이나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그런데 현행 헌법상의 재산권 규정을 반민족행위자의 재산권 귀속이라는 상황에 그대로 대입하여 논의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 논문에서 저자는 반민족행위자의 재산권의 강제적 귀속과 관련한 주요한 내용을 검토하면서, 특히 재산권의 강제적 귀속과 관련하여 재산권의 귀속과정, 토지사정, 거래안전과 관련한 문제점과 그 개선방향을 검토하였다.

      • KCI등재

        지적재산권의 담보활용방안

        최경환(Choi Kyung Hwan),이기용(Lee Ki Yong)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성균관법학 Vol.19 No.2

          In 21C, it would be said that monetary circul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eatures in our society. In addition, so ar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this context, circulation of money with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s also considered significant. Nevertheless, in reality, it"s real property that has mainly been thought of as security, that"s why applic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s security for a loan is looked upon as atypical.<BR>  However, our society is now driven and urged by necessity of application of them as security. And as for establishment of a pledge right on copyright, patent and othe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re are particular articles in Copyright Act, Patent Act and etc. But we have some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taking advantag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or security, for example troubles in evalu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interpretation or construction of the laws.<BR>  Anyway, apart from evalu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hich has been dealt with in some previous studies, I would like to focus on the aspect of difficulties in interpreting systematically some articles in the Civil Act, Copyright Act, Patent Act and so on. Especially, as for establishment of a pledge right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 think that there are some considerable points at issue, for instance, legal basis and nature, and range of validity-especially for proceeds- and subrogation of pledge of rights.<BR>  In fact, so far these have rarely been discussed in previous reports, where it"s merely said that the nature of pledge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s similar to that of mortgage. Rather than that, I think, however, more important and effective ways to look upon and solve these problems are needed. So I would like to express that we need to lay a scheme and then take several steps for Applic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s Security. That is to say, not by disposal but by application to security of the rights, we can expect intellectual property to continue to develop and improve and we should find the way. To put it concretely, I propose that we can consider the followings. Royalty or fee should be covered by extending the valid range of pledge or diversion of nature of subrogation.<BR>  On the other side, as for transfer for security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 suggest that the traditional rules of liquidation money or liquidation period cannot be adhered. In this context, way to exercise of security right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hould be modified and developed. Despite my passion and intention. I can"t find the best way to modify and establish these rules. But I find one thing clear, that is. it"s time to employ all available means for transaction on security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 KCI등재

        재산권 보장의 상대화와 입법자의 역할 -헌법 제23조 제1항의 해석에 관한 시론-

        차진아 ( Jin A Cha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고려법학 Vol.0 No.76

        현대인의 삶에서 경제활동이 차지하는 의미와 비중이 큰 만큼 현대 헌법질서에서 재산권을 비롯한 경제적 기본권의 의의와 비중 또한 크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현대사회의 변화 속에서 재산권의 성격 및 내용과 실현구조가 지속적으로 변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한편으로는 글로벌 시대의 국제적 교류의 활성화가, 다른 한편으로는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는 과학기술의 부산물들이 경제질서를 변화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기초가 되는 재산권의 성격과 내용에 대한 이해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변화의 대부분은 헌법적 차원이 아닌 법률적 차원에서의 대응이 필요할 뿐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로 인하여 새로운 유형의 재산권이 계속 형성되고 있다는 점과 관련하여 헌법 제23조 제1항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의 문제는 헌법적 조명이 필요해지고 있다. 그런데 헌법 제23조 제1항의 해석에 대해서는 깊이 있는 연구가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며, 기존의 재산권에 대한 헌법적 연구는 주로 헌법 제23조 제2항과 제3항의 관계나 제23조 제3항의 해석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헌법 제23조 제1항 제1문은 여타의 자유권적 기본권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제2문에서 “재산권의 내용과 한계는 법률로 정한다.”고 규정한 것은 일반적인 자유권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규정형식이며, 오히려 사회적 기본권과 유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재산권이 자유권에 속한다는 점을 부인할 수 없다고 볼 때, 이러한 특수한 방식의 규정이 갖는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 이 논문의 출발점이다. 기본권 형성적 법률유보가 규정되어 있다고 하여 재산권이 자유권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사회적 기본권처럼 재산권의 모든 내용이 입법자에 의해서 비로소 형성되는 것처럼 이해되어도 안 될 것이며, 그렇다고 다른 자유권과 똑같이 입법형성의 범위를 매우 좁게 해석하는 것도 재산권의 특성에는 맞지 않는다는 점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 기존의 학설과 판례는 독일 헌법이론과 실무의 영향 하에서 헌법 제23조 제1항과 제2항을 묶어서 하나로 해석하는 것이 주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볼 경우 헌법 제23조 제1항이 다른 자유권과는 달리 재산권에 대해서만 기본권 형성적 법률유보가 규정되어 있는 특별한 의미를 간과하기 쉽다. 뿐만 아니라 기본권의 보호영역을 설정하는 기본권 형성적 법률유보와 이를 전제로 보호영역을 축소하는 기본권 제한적 법률유보에 있어서 입법자의 입법형성권의 범위가 다르다는 점에서도 재산권의 개념범위의 문제를 재산권의 제한문제와 섞어 놓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해석이라 할 수 있다. 설령 그것이 정신적 자유권에 비해 비교적 폭 넓은 제한이 허용되는 경제적 기본권이라 하더라도 그러하다. 더욱이 이러한 해석은 재산권에 대한 보상 없는 제한을 획일적으로 재산권의 내용형성인 것으로 간주하거나, 재산권의 제한으로 인정되면 반드시 보상을 요하는 것처럼 보이게 만들 수 있다. 이럴 경우 예컨대 이른바 개발제한구역의 설정처럼 원칙적으로 사회적 구속성에 따라 재산권에 가해지는 제한도 내용형성규정으로 잘못 이해하게 될 우려가 크다. 또한 헌법 제23조 제1항과 제2항의 관계에 대한 이러한 혼란은 헌법 제23조 제2항과 제3항의 구별과 관련하여서도, 특히 이른바 ‘보상의무 있는 재산권의 내용 및 한계규정(ausgleichspflichtigen Inhalts- und Schrankenbestimmung)’에 대한 논란이나, 경계이론·분리이론의 이해와 관련하여 적지 않은 혼란을 야기한다. 특히, 이와 관련하여 기본권 제약에 관한 독일 기본법의 규정 및 헌법이론의 체계가 우리와는 다르다는 점이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독일 기본법에서는 기본권 제한과 관련하여 우리 헌법 제37조 제2항과 같은 일반적 법률유보조항이 없기 때문에 개별적 법률유보가 없는 절대적 기본권의 제한과 관련하여 이른바 기본권의 규범적 한계가 인정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본권의 규범적 한계는 실제로는 기본권의 제한에 해당됨에도 불구하고-기본권의 한계는 기본권의 보호영역을 설정하는 문제이며, 기본권의 제한은 일단 설정된 기본권의 한계 내지 보호영역을 축소하는 문제로서 양자가 구별됨에도 불구하고 - 독일 기본법의 규정체계 때문에 부득이 기본권의 내재적 한계로 다룰 수밖에 없는 것이며, 독일 기본법 제14조 제1항의 내용규정과 제2항의 사회적 구속성을 묶어서 이해하는 것도 재산권의 사회적 구속성을 일종의 재산권의 규범적 한계로 이해하는 것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다른 관점에서 헌법 제23조 제1항 제1문과 제2문의 관계에 주목하였다. 제1문에서는 모든 재산권을 헌법적으로 보장함을 규정하고 있지만, 제2문에서는 재산권의 유형에 따라 그 규율의 범위가 달라진다는 점에서 기존의 시각과는 다른 각도에서 검토해 볼 필요성을 느꼈다. 이러한 관점에서 동산, 부동산 등의 유체물과 관련한 물권, 채권 등의 전통적 재산권과 각종의 지식재산권의 형태로 새롭게 인정되고 있는 새로운 유형의 재산권을 규율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생각하면서 각각의 경우에 구체적인 입법자의 형성권이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헌법 제23조 제1항의 해석이 재산권의 유형에 따라 세분화될 필요성이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 것이다. 물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재산권의 성격과 내용은 계속 변화되고 있으며 유형 또한 다양화되고 있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 제시한 주장이 모든 재산권에 해당될 수 있는 것인지, 아니면 또 다른 세분화가 필요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앞으로 계속 연구하고자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논문은 헌법 제23조 제1항의 새로운 해석을 위한 시론이라 할 수 있다. As economic activity plays a critical role in modern society, the meaning and impact of fundamental economic rights, including property rights, are significant in modern Constitutional Law as well. However, the consistent changes of features, contents, and realization of property rights within the fast moving modern society are appeared as even more important. In the mean time, the active international interchange in this era of globalization and the by-products of rapidly developing technology not only transform the economic order but also exert an influence on the understanding of features and contents of property rights, which lays the foundation of the economic order. Mostly, these changes only require countermeasures at the Act dimension, not at the Constitutional dimension. As new types of property rights are constantly generated, Constitutional approach of Article 23(1) interpretation is taken into consideration. Existing interpretations of Article 23 are mainly discussed by Article 23(2) and Article 23(3); yet, the demand for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sentence and the second sentence of Article 23(1) increases within this modern society. The first sentence of Article 23(1) has a same syntactic structure as the other Articles, clarifying fundamental rights to freedom. However, even though the distinctive second sentence of Article 23(1), “the contents and limitations thereof shall be determined by Act”, which hardly stipulated in other fundamental rights to freedom, is more similar to civil rights statutes, the rights to property is definitely affiliated to the rights to freedom. Therefore, examining this distinctive regulation and clarifying its meaning become the starting point of this treatise. Existing theories and judicial precedents have mainly been interpreting the Article 23(1) and Article 23(2) within a same context due to German`s Constitutional theories and practical influences; however, it is more likely to overlook the distinctive significance of Article 23(1) which defines legal reservation of fundamental rights formation than the other rights to freedom. Moreover, the ranges of legislation are varied depending on legal reservation of fundamental rights formation which guarantees range of fundamental rights and legal reservation of fundamental rights restriction which restricts the range of fundamental rights; hence, it is improper to combine the guarantee and restriction of property rights together. This treatise focuses on the necessity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sentence and the second sentence of Article 23(1)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Similarity in two property rights that clarified in the first sentence and the second sentence of Article 23(1) is examined from a different viewpoint. Consequently, interpreting Article 23(1) should be subdivided according to the types of property rights - on one hand the traditional property rights including a real right and a claim on a chattel or a real property and the other hand emerging property rights such as intellecual property - as the range of legislator`s rights to enact a law depends on the types of property rights. However, it is hasty to conclude that the proposed theses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property due to the consistent changes in the features and the contents of property rights; other types of subdivision may be required by further examination. Therefore, the treatise is a starting point for the new interpretation of Constitution Article 23(1).

      • KCI등재

        토지에 관한 소유자중심주의와 이용자중심주의 간의 조화방안

        정극원(Jeong KukWo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6 土地公法硏究 Vol.73 No.2

        헌법 제23조 제1항에는 “재산권은 보장된다.”라고 규정하여 첫째, 재산권, 둘째, 보장이라는 두 가지의 규범내용을 정하고 있다. 헌법상에 규정된 개별 기본권은 원칙적으로 보장만을 규정하는 형식을 취하는데 반하여, 재산권보장은 그 형식에 있어서 보장만을 규정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같은 조항에 덧붙여서 재산권의 ‘제한’을 동시에 규정하고 있다. 즉 헌법 제23조 제1항 전문(前文)의 “재산권보장”, 제1항 후문(後文)의 “그 내용과 한계”, 제2항의 “재산권의 사회구속성” 및 제3항의 “공공필요에 의한 수용·사용 또는 제한”을 규정하여 한 개의 보장조항에 3개의 제한조항을 덧붙이고 있는 4단계의 구조를 취하고 있다. 재 산권은 그 분류에 있어서 일반재산권, 지적 재산권 및 토지재산권으로 나누는데, 특히 토지재산권은 개별 재산권자의 사적 이익과 사회공동체를 위한 공적 이익간의 대립관계가 야기되는 경우가 많으며, 헌법상 재산권보장규정은 이러한 대립의 문제를 해결하는 규범적 근거가 된다. 토지는 수요가 늘어난다고 해서 공급을 늘일 수 없기 때문에 시장경제의 원리를 그대로 적용할 수 없고, 고정성·인접성·본원적 생산성·환경성·상린성·사회성·공공성·영토성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소유자에게는 큰 이익을 가져다주지만 이용자는 고비용의 대가를 지불하게 된다. 그러므로 재산권보장에 해당하는 소유자중심주의만을 우선할 수 없고 공동체의 이익을 위한 이용자중심주의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오늘날 고도로 발달한 산업국가에 있어서의 토지에 관하여서는 강한 공익적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것으로서 토지재산권은 다른 어떤 재산권보다도 강한 공익적 규제가 요청되고 있다. 헌법상에 보장된 재산권으로서의 토지에 대한 공공성의 요청은 사적 재산권인 만큼 소유자의 사익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소유자중심주의와 사적 소유권을 인정하되, 그 이용을 공공복리에 적합하게 규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이용자중심주의 간의 상충적 요구에 의한 사회적 대립과 갈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소유자중심주의의 견해는 토지도 다른 재화와 마찬가지로 사적 자 치의 원칙에 의하여 지배되어야 하며, 토지소유권제한에는 처분권의 제한이 포함되는 것으로서 이는 인격권의 침해로서 사유재산제의 위기를 초래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이용자중심주의의 견해는 토지의 사적 소유권을 과신하고 이를 통해 토지가 시장의 일부 투기꾼들에 의해 왜곡된 가격으로 거래되고 독점된다면 사회적으로 필요한 용도의 토지를 확보할 수 없게 되어 공동체 전반의 복지가 위협받게 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헌법적 근거와 내용에 따라 이러한 소유자중심주의와 이용자중심주의 간의 조화방안에 대하여 논의를 전개한다. 먼저 소유자중심주의와 이용자중심주의의 헌법적 근거와 내용을 고찰하고, 조화방안으로서 이익균형, 과잉금지의 원칙, 본질적 내용침해금지 및 실질적 보상의 마련 등의 방안을 제시하게 된다. Article 23, Section 1 of the Korean Constitution specifies “Property rights are guaranteed.” It stipulates 2 kinds of normative contents, first, property rights and second, guarantee. Each fundamental right in the Constitution takes the form to provide ‘guarantee’ in principle. However, guarantee for property rights is stipulated not only for guarantee in terms of the form, but also for ‘limitation’ of property rights in addition to the same Article. That is to say, it takes a structure of 4 phases by adding 3 Sections of limitation to 1 Section of guarantee as the front part of Article 23, Section 1 of the Constitution is stipulated for “guarantee for property rights”, the latter part of Section 1 for “its content and limitation”, Section 2 for “social restriction of property rights”, and Section 3 for “expropriation, use or limitation due to public necessity.” As for the classification of property rights, they are divided as general property right, intellectual property right, and land property right. In particular, land property right is involved in many cases of confrontation between private interests of individual property right holder and public interests of social community. Stipulation of constitutional guarantee for property rights is the normative ground to solve this conflicting problems. As supply of land can not be expand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demand, the principle of market economy principle can not be applied as it is. As land has characteristics of fixedness · adjacency · primary productivity · environment · contiguity · sociality · publicness · territoriality, the intrinsic content of guarantee for property rights, owner-centrism, can not be given the only priority to and user-centrism for the interests of community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In terms of land in today’s highly developed industrial countries, the increase of strong public demand requires the stronger public restriction on land property right than any other property rights. Though the demand of publicness for land as property rights guaranteed in the Constitution recognizes private ownership and owner-centrism that priority should be given to private interests of owners as much as private ownership, it appears as social confrontation and conflicts by contradictive demand from user-centrism that the use of land should be restricted in accordance to welfare of the public. Owner-centrism perspective points that land should be also ruled by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like other goods and that the restriction of land property right includes the limitation of disposition right, which means the violation of personal rights to cause the crisis of private property system. In contrast, user-centrism perspective points that if private property right of land is overestimated and land is traded and monopolized in distorted prices by some groups of speculators in real estate market, it is impossible to secure the land required for social uses and general welfare for community is threatened. This study developed a discussion about a plan to balance between owner-centrism and user-centrism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al ground and contents. First, the constitutional ground and contents of owner-centrism and user-centrism was examined. Second, as for plans to balance, this study suggested plans, such as the balance of interests,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the restriction of violation of fundamental contents, and the preparation of substantial indemn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