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 국제사법상 미디어에 의한 인격권 침해의 준거법 결정

        김현아 언론중재위원회 2015 미디어와 인격권 Vol.1 No.1

        In China, an act that infringes upon a personal right constitutes a tort; before enacting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China applied the same governing law to both general cases of torts and special cases where the personal rights of a foreigner in China had been infringed. However, personality rights are characterized by intangibility. In particular, personal rights violated by media require a different type of tort. In regard to this,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apply different governing laws from general torts. Article 46 of China’s Private International Law stipulates as follows: when a person’s personal rights have been violated by the media, the governing law should be that of the victim’s residence. Personal rights vary in sort, praxis, and extent, especially in different countries. Moreover, every country offers different levels of respect to personal rights and the freedom of press and publication. Thus, the outcome of litigation varies depending upon the governing law. When the personal rights of a Korean entertainer working in China are violated by the media, resulting in a legal battle, the governing law is applied in accordance with China’s private international law. Moreover, Korea’s private international law does not have regulations regarding cases where personal rights have been violated by media. Therefore, China’s private international law may be a good reference for the revision of Korea’s private international law. In this sense, this study is highly significant in terms of theory and practicality in that it focuses on how China’s private international law applies to cases of personal right infringement by the media.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is study. Article 46 of China’s Private International Law stipulates that, in cases in which personal rights such as name rights, portrait rights, and privacy rights are violated through the internet or other form of media, the case should be governed by the law of the victim’s residence. In a dispute caused by the infringement of personal rights accompanied with emotional damages, the residence has a lot to do with the consequence of the damage. Ordinarily, the victim’s residence is the center of his or her economic and social activities. Therefore, the victim’s residence is the place of damage and is the most closely related to the case. It is comparatively easy to define the victim’s residence; in the event that the law of the residence becomes the governing law, it is advantageous to the victim because the compensation can be based on the social norms with which the victim is familiar. Contrarily, in China, the establishment of personal rights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in point of law. Therefore, a Chinese person who lives is China might have a lower level of protection than a foreigner whose residence is a foreign country. Media interactions often involve foreign relations; thus, personality rights violated by the media are likely to be subject to distant torts. Most medium and large press bodies have publishing factories in locations different from their headquarters; in such cases, the place of wrongful behavior is different from the place of the damage. Torts by media can be global issues, in which it is often difficult to define the place of damage. When the involved media body is the Internet, it is much more difficult to define the origin of the wrongful behavior.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existing jurisdiction, China regarded the location of internet facilities as the place of the tort; however, China’s private international law applies the law of the victim’s residence as the governing law on personal right infringement by an Internet body. 인격권은 무형성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미디어를 통하여 인격권이 침해된 경우는 일반적인 불법행위와는 다른 양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일반불법행위와는 다른 준거법결정 원칙을 적용하여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중국 「섭외민사관계법률적용법」은 제46조에서 미디어에 의한 인격권 침해의 준거법을 피해자의 상거소지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중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우리나라 연예인들이 미디어에 의한 인격권 침해의 피해자로서 법적 분쟁에 휘말리게 된 경우 중국 「섭외민사관계법률적용법」에 따라 준거법이 결정된다. 또한 우리 국제사법 제9조가 반정(renvoi)을 인정하고 있으므로 한국 법원에서 문제된 국제불법행위 사안에 대하여 우리 국제사법의 적용을 통해 중국법이 준거법으로 지정된 경우에는 「섭외민사관계법률적용법」에 의해 한국법이 준거법으로 결정되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우리 국제사법은 미디어에 의한 인격권 침해의 준거법에 관하여 별도의 규정을 두고 있지 않으므로 중국의 입법에 대한 연구는 장차 우리 국제사법의 개정에도 좋은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국제적 상표권 간접침해의 준거법과 간접침해 성립여부

        문선영(Moon, Sun Young) 한국정보법학회 2015 정보법학 Vol.19 No.3

        상표권은 전통적으로 상표권이 부여된 나라의 범위 안에서만 효력이 있는 것이 원칙인데 이를 속지주의라 한다. 따라서 상표권의 효력이 미치는 지역적 범위는 속지주의를 근거로 국내에 한정되는 것이라고 보아 왔으며, 상표권은 다른 나라에서의 행위에 의하여 침해되지 않는 것이고, 국내에서의 행위에 의해 다른 나라의 상표권 침해는 성립되지 않는다고 해석되어 왔다. 그런데 최근 글로벌화의 영향으로 상품의 국제적 유통이 증가함에 따라 상표권의 직접침해지 가 아닌 다른 국가에서 상표권의 직접침해에 관여하는 일이 발생되고 있는데, 이러한 행위를 속지주의와의 관계에 있어서 어떻게 법적으로 규율해야 하는지 어려움이 생기고 있다. 국가간 다수의 행위가 상표권 침해에 관여하는 유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특히 일방의 행위가 상표권 직접침해의 예비행위이거나 교사 또는 방조행위에 해당하는 경우는 상표권 간접침해가 성립되는지 문제될 수 있는데, 이러한 행위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상표권 침해의 결과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법적인 책임을 부과하는 것이 속지주의 원칙에 반하는 것인지에 대하여는 재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이 경우 상표권의 침해여부를 검토함에 있어서는 상표권 간접침해는 직접침해를 전제로 하는가의 문제도 중요한 논점이 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상표권 간접침해 행위가 국경을 넘어서 직접침해와 다른 국가에서 이루어진 경우, 실질법적 판단에 앞서 그 법률관계를 어느 나라의 법에 의하여 규율하여야 하는지에 관한 국제사법적 쟁점도 함께 문제가 된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각각의 쟁점은 전통적인 속지주의의 원칙과의 관계에서 어떻게 해결하여야 할 것인지에 대하여 쉽지 않은 문제라 할 것이므로, 본고에서는 먼저 속지주의를 기초로 이러한 다수의 국가에 관련된 상표권의 간접침해 행위에 적용할 준거법은 어떻 게 결정하여야 할 것인지에 관한 국제사법적 쟁점에 대하여 살펴 본 후, 실질법적으로 상표권 간접침해가 직접침해를 전제로 하는지를 검토하고 나아가 이러한 행위에 대하여 상표권 간접침해가 성립될 여지는 없는지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Traditionally, trademark rights have been valid inside the country where the trademark rights had been registered by the territorial principle. Under the territorial principle, it was commonly interpreted that domestic trademark rights couldn’t be infringed by foreign activities and international trademark rights can’t be infringed by domestic activities. In these cases, when determining the infringement of trademark, the issue is raised whether the indirect trademark infringement depends on the assumption that direct trademark infringement had already established. Also, choice of law to regulate the trademark infringement problem between nations could bring argument based on private international law. However, due to the globalization that is increasing the business transaction and international distribution, direct trademark infringements by these international transactions are occurring these days. This issue raises difficulties how to regulate the direct infringement problem legitimately regarding the territorial principle. Mostly, the types of multiple infringing activities related to direct trademark infringement are intimate incitement or conspiracy. However the issue of determining the indirect trademark infringement occurred by one’s preparation of direct infringement or by aid and abet is more frequently rising these days. If the country where indirect trademark infringement occurred is different from the country of direct trademark infringement brings need to reexamine the following issues; the choice of law, possibility of imposing legal responsibility violation of territorial principle on international indirect trademark infringements. Also the question whether the indirect trademark infringements requires direct trademark infringement had been set before the indirect trademark infringements was made could be important issue when determining the trademark infringement. These kind of issues might be difficult to solve by maintaining the balance between territorial principle. Therefore, this essay will explore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to find a standard to choose the law to regulate the international trademark indirect infringement between multiple countries and examine the connection between indirect trademark infringement and direct trademark infringement. Finally this essay will seek the possibility whether the indirect infringement could be established on overall issues.

      • KCI우수등재

        2022년 개정 국제사법 제39조와 제44조에 대한 검토

        이주연 법조협회 2022 法曹 Vol.71 No.4

        The Korean Act on Private International Law, which came into force on July 5, 2022, accepts both the European Union (EU)’s Brussels regime and the purposeful direction test of the United States (US) courts regarding jurisdiction in torts claims. Specifically, the Act accepts the place of the damaging/infringing act, the place of the damage/the effect of the act, and the directed place as the basis for jurisdiction in cases of torts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fringement. However, unlike the two legal systems mentioned above, the Act provides a standalone rule on specific jurisdiction ove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fringement cases (Article 39) that is separate from the rule on specific jurisdiction over torts cases (Article 44). Various opinions have been offered regarding the appropriateness and interpretation of Articles 39 and 44. In practice,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ese two provisions consistently. First, in Korean private international law, which can be considered as a hybrid model of the two different approaches, both the interpretation of the place of damage in the EU system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directed place in the US system should be avoided. Each of the three bases of jurisdiction―the place of the damaging/infringing act, the place of the damage/the effect of the act, and the directed place―must be interpreted in a consistent manner by considering the burden of proof born by the plaintiff. Second, the appropriateness of having a standalone jurisdictional rule for intellectual property infringement separate from the jurisdiction rule for torts can be found in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intellectual property infringement that distinguish it from general torts. While Article 39 stipulates that the grounds for jurisdiction on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e the same as those of torts, it stipulates that the scope of the jurisdiction should be limited, in principle, to the Korean territory. Article 39, moreover, has no provision for denying jurisdiction on the grounds of foreseeability unlike Article 44. Therefore, the Act should be understood as legislation that considers the difference between tort and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2022년 7월 5일 시행된 개정 국제사법의 지식재산권침해 관할규칙인 제39조와 불법행위 관할규칙인 제44조의 체계의 적절성과 해석을 두고 다양한 의견이 제기된 바 있다. 그 원인을 분석하면 우리 개정 국제사법이 유럽연합의 브뤼셀체제의 법리와 미국의 의도적 지향 법리를 함께 받아들여 관할근거로 행동지, 결과발생지, 지향지를 규정하고, 또 한편으로는 이들 법제와 달리 불법행위 관할규칙과 별도로 지식재산권침해 관할규칙을 둔 것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어쨌거나 실무상으로는 국제사법 제39조와 제44조를 각 조항 내에서 그리고 양 조항 사이에서 정합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다. 관할근거 중 특히 결과발생지, 지향지를 어떻게 해석할지가 문제되는데, 우리 법제는 유럽과 미국 양 법제의 중간형의 모습을 취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결과발생지의 의미에 대한 유럽식의 접근법과 지향지에 대한 미국식의 접근법을 그대로 따르는 것을 지양하고, 각 관할근거에 대하여 원고가 지는 증명책임의 관점에서 파악하여 정합적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다. 지식재산권침해는 보호대상인 지식재산권은 특정 국가에 속지적으로 복속하고 침해자의 고의나 과실 없이도 성립한다는 점에서 일반불법행위와는 다른 특수성이 있다. 개정 국제사법이 지식재산권침해 관할근거를 불법행위의 경우와 동일하게 규정하면서도 그 관할권 범위를 원칙적으로 속지적으로 제한할 것을 규정하고 결과발생의 예견가능성을 이유로 한 관할권 부인 규정을 두지 않은 것은 이와 같은 불법행위와 지식재산권침해의 차이를 고려한 입법으로 이해된다.

      • 독일 개정 저작권법상 사적 복제의 허용범위와 침해경고 남용방지

        김병일(Kim, Byungil) 세창출판사 2015 창작과 권리 Vol.- No.79

        Improper legal practices are increasingly the subject of complaints by citizens. Recent problem is some law firms which have specialised in combing the internet for copyright infringements. Once they find a consumer who has downloaded a film or music illegally, often for the first time, the consumer receives a warning letter demanding unjustifiable amounts of money. Thus, 2013, the german federal government has amended a related law which address improper legal practices and the copyright misuse and protect particularly individuals from overreaching claims being asserted in standardized warning letters. As to private copying, the german Copyright Act also prohibits private copies made from an original to which access had been obviously provided in an unlawful manner (sec. 53 para. 1 Copyright Act). The courts will have to determine what exactly is considered “obvious” in this context. This paper is intended to review the German Copyright Act on Private Copying and Protection against Improper Legal Practice.

      • KCI등재

        일본에서 교통사고로 사망한 북한인의 손해배상청구권 상속에 관한 준거법 결정

        정구태(Chung, Ku-Tae) 한국가족법학회 2018 가족법연구 Vol.32 No.2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discussion in this article. First, it is not reasonable that the judgment of the Nagoya district court ruled only the governing law of inheritance, and that no ruling on the governing law of illegal act is lacking in international judicial thinking. Second, in order for the right to constitute the property of the decedent to become an inheritance, inheritance must be recognized by the governing law of the right (individual property). Third, in this case, although the objection to the Japanese law(renvoi) should be recognized by the clue of Article 45 (1) of the External Civil Relations Act of the DPRK, the ruling does not mention the contradiction at all. This is an obvious error. Fourth, North Korean law, unlike Japanese law and Korean law, takes a supported structure without taking an inherited structure about damages caused by life infringement. Therefore, the right to claim for damages caused by life infringement does not constitute inherited property. Fifth, the Gwangju District Court treated the case of North Korean people who had died in a traffic accident as a pure domestic matter, and made no judgment on the decision of the governing law. But this is a quasi-international judicial matter, so that it is reasonable to determine the governing law by analogy to private international law.

      • KCI등재후보

        선진외국 민간조사제도의 시사점 - 국내 도입 및 선진국 운용사례를 중심으로 -

        이영래 한국치안행정학회 2009 한국치안행정논집 Vol.6 No.1

        민간조사제도는 범죄 등 사회문제에 대하여 민간조사원이 금전 등 보상을 대가로 의뢰인의 문제를 해결해 주는 제도이며, 국가기관의 공권력인 수사권이 국민들의 난제를 모두 처리하지 못한다는 현실과 형사재판이 증거재판주의로 가는 추세를 고려하여, 국가에서 원하는 일정자격을 갖춘 자를 관계기관에 등록한 후 타인의 의뢰를 받아 사실조사 및 정보수집 등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법제화하려는 제도이다. 우리나라는 1999년 하순봉(안)부터 2008년 이인기(안)까지 민간조사(탐정)법안의 입법화를 추진해 왔지만 개인의 기본권인 사생활 침해 등의 부작용과 폐해가 예상 되어 현재까지도 법안이 국회에 계류 중이다. 향후 민간조사법안의 조속한 입법화를 위한 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회가 발달하고 범죄가 증가하면서 국가기관의 수사능력은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조사업무 및 증거확보 등 민간조사 활동에 대한 사회적인 수요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심부름센터와 같이 신뢰할 수 없는 민간기관에 사건을 의뢰할 경우 오히려 사생활 이나 개인정보를 유출할 가능성이 있어 국가가 공인하는 민간조사제도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외국 민간조사업체들은 컨설팅 업체를 표방하면서 국내 시장을 잠식하고 있어 국내 업체의 역차별 구조를 극복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차원에서도 국내 민간조사제도의 입법화와 시행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겠다. 미국, 영국, 프랑스, 호주 등의 선진외국에서는 민간조사제도를 입법화하여 운용 하고 있는데 이들 국가들은 민간조사원의 업무범위, 자격요건, 교육과정, 권한과 의무, 관리감독 기관을 법률에 명시하여 민간조사업체에 대한 국가 관리를 강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은 주마다 제도의 차이는 있으나 많은 주에서 공인면허를 취득하고 책임보험에 가입하도록 하고 있으며, 영국은 민간조사업에 대한 면허의 교부권과 인가권을 경비업국에서 관리감독하고 있다. 프랑스는 민간조사업을 9.11테러이후 신고제에서 허가제로 바꾸고 파리 대학에 민간조사원 양성과정을 개설하였으며, 호주는 일정기간의 교육을 받은 사람에 한해 민간조사원 면허증을 부여한다. 선진외국의 사례에서 살펴보듯이 민간조사제도는 국가 공권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그동안 음성화되어 일부 불법적인 행태를 보여 왔던 심부름센터와 흥신소 등의 폐해를 근절시키고 각 분야마다 전문성 있는 민간조사원이 발굴되어 활약하게 만들 것이다. 또한 국내의 많은 해외 다국적 민간조사업체의 공격적 마케팅도 막아내는 등 글로벌 경쟁력도 더욱 확보될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민간조사제도에 대한 입법 논의는 국회를 정점으로 산학 간에도 부단히 논의가 되고 있는 바 이에 대한 보다 지속적인 연구와 홍보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The private investigation service is a system through which private investigators can solve their clients' problems for profit taking purposes. This system reflects the reality that today's national investigation authorities can't solve their people's every problems and a trend that criminal trials is becoming evidence-based trials. Thus this system is being legalized to enable some qualified personnel who register with authorities to investigate facts and collect information. The Private Investigation Service Act was proposed continuously since 1999 'Ha Soon Bong Act' until 2008 'Lee In Gee Act', and is still on the table in the congress out of the concern that this law can infringe the basic personal privacy and cause other adverse side-effects. The following is the necessary reasons for the fast enactment of this system. As the society is getting developed and crime increases, national investigation authorities are showing some limits on their capabilities, and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private investigation activities in the fields, such as surveying and obtaining evidence, etc. There is a growing necessity for nationally certified private investigators out of concern that illegal private investigators can leak their client's personal information when they take on the cases. Especially, as the foreign investigation companies posing as consulting firms are encroaching the internal markets, the enactment of private investigation service system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discriminative structure and improve global competitive power. Foreig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SA, England, France and Australia, has been implementing the private investigation service system, and these countries are strengthening their national managements on private investigation firms by stating in the law the scope of job, required qualifications, educational courses, authorized limit of power & duty and inspection institutions. USA has different kinds of systems according to the states, many of which make it a law to obtain the public license and have liability insurance. England has authorizing security institutions that inspect and manage the issuing and granting of the public license. France has changed a reporting system to a licensing system and opened the educational course for professional private investigators. Australia grants the license to the qualified personnel who accomplished a period of education course. As we look over the foreign developed countries' cases, the private investigation service system will end the vicious practices committed by illegal private investigators and explore the professional private investigators in the various fields. And the global competitive power is also necessary to have an edge on the multi-national private investigation firms. Since the enactment of private investigation service system has been continually discussed in the congress and between the industry and education field, it is quite necessary to carry on the study and make a public relation campaign for the system.

      • 원격 디지털녹화시스템 서비스의 저작권 침해 여부

        우성엽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1 Law & technology Vol.7 No.1

        인터넷이나 통신기술을 이용한 원격 디지털녹화시스템의 등장은 (i) 녹화, 전송과 같은 행위의 주체가 누구인지, (ii) 만일 이용자가 행위의 주체라고 한다면 이와 같은 행위는 저작권법상 사적복제에 해당하여 저작권법상 책임을 부담하지 않게 되는지, (iii) 이와 같이 새로운 침해유형 및 사적복제의 범위에 관한 새로운 입법이 필요한 것인지 등에 관한 검토를 요구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개별 이용자들에게 필요한 도구, 장소, 기회 또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사업자에게 저작권 침해의 책임을 물을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해 미국에서는 기여침해(contributory infringement) 및 대위침해(vicarious infringement) 법리를 기반으로 하는 간접침해(indirect infringement) 법리를 적용하여 해결해 왔고, 일본에서는 소위‘가라오케 법리’에 따라 규범적인 침해자 개념을 상정하여 직접적인 침해주체로 의제하는 법리를 개발하여 적용하여 왔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공동불법행위 법리에 기초하여 규율해 온 것으로 보인다. 원격 디지털녹화시스템을 이용한 방송프로그램의 녹화행위에 관해 각국의 판례가 다양한 입장을 보여주고 있으나, 이와 같은 행위에 관해서는 녹화, 전송 등을 구체적으로 의도하고 지시하는 이용자를 기본적인 행위주체로 보고, 서비스 제공자는 그 서비스의 목적, 구조, 관여 정도 등에 따라 공동불법행위의 법리에 의해 침해책임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향후 기술의 발전 및 새로운 영업방식의 출현에 대비하여 저작권법에서 간접침해 및 사적복제에 관한 규정을 입법적으로 새롭게 규정하거나 보완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The introduction of remote storage digital video recording system using the Internet or othercommunication technology demands examination on (i) who is direct infringer in the aboverecording system, (ii) if individual user is viewed as the direct infringer of recording andtransmitting TV program, “copy for private purpose”exception under the Copyright Act may applyto such individual’s recording activity, and (iii) whether new legislative measures on these types ofinfringing activities and relevant scope of “copy for private purpose”exception are necessary. As to whether business operator who provides customers with tools, place, opportunities orsystem necessary for infringing activity is liable for copyright infringement, it seems that U.S. courtapplies indirect infringement liability theory consisting of contributory infringement liability andvicarious infringement liability etc., Japan court develops and applies so-called “Karaoke Theory”which regards business operator as direct infringer based on normative infringer concept, andKorean court resolves this issue by applying joint tort liability theory.As to remote storage digital video recording service, court decisions of many countries varies.This article suggests that individual user who specifically intends and instructs recording andtransmitting of TV program should be viewed as direct infringer, and service provider (or businessoperator) may be liable for the user’s copyright infringement activity depending on objective ofservice, structure of system and degree of involvement with the user’s activity based on joint tortliability theory under Korean Civil Act. In addition, it would be advisable that legislation dealing withnew type of infringing activities and revision on relevant scope of “copy for private purpose”exception under the Copyright Act be made in preparation of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andappearance of new business method.

      • KCI등재

        공익사업을 위한 재산권 제한과 손실보상 - 헌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

        천명주,김상진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4 법률실무연구 Vol.12 No.1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our law is divided into three areas: criminal law, civil law, and administrative law. Among these, administrative law is based on the idea that individual rights can be limited to some extent for the public good. An example of this is land expropriation, which is the removal of private land for public works. However, in this case, the land cannot be received for free and the value of the land must be compensated. This is generally referred to as compensation for losses under public law. There are two methods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compensation for losses: the full compensation theory and the equivalent compensation theory. The full compensation theory is the idea that in the case of land expropriation, the original value of the land should be fully compensated. On the other hand, the theory of equivalent compensation states that only the amount judged to be reasonable depending on the situation should be compensated, and special situations such as the land reform that distributed the land of large landowners after liberation to farmers at low prices are also explained by this idea. As can be seen from this conflict of theories, the idea of ​​compensation provides a hint when thinking about what true equality and fairness are in the real world. In the field of compensation for damages, there are separate laws such as the Land Expropriation Act. However, there is no general law with the same name as the National Compensation Act that applies in all cases. Instead, Article 23 of the Constitution, which guarantees the people's property rights, is used as the basis for claiming statutory damages. Article 23, Paragraph 3 of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at “expropriation, use or restriction of property rights for public necessity and compensation therefor shall be made by law, and fair compensation shall be paid.” The Supreme Court believes that if a citizen's property rights are violated and there are no legal provisions for appropriate compensation for the loss, he or she can request compensation for the loss from the court. As can be seen from thi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not only the interpretation of individual administrative laws, but also how property right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are violated and the amount of compensation. Article 23, Paragraph 1 of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at “the property rights of all citizens are guaranteed. Their content and limits shall be determined by law.” The Constitution guarantees the private property system and individual property rights, but in some cases, these may be restricted for the sake of public welfare. In this case, compensation must be given to those who have made special sacrifices in relation to property rights in order to ensure that property rights are guaranteed and to prevent disadvantages only to specific people. Here, whether an infringement is a special victim or not depends on whether the infringement targets the general public broadly or is limited to specific individuals or groups, or whether the infringement falls within the range of acceptable constraints on property right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decision will be made by considering two factors, including whether it is strong enough to infringe on the essential content of property rights. Since the basis of our judicial system consists of the principles of private property and private autonomy, infringement of private property rights is not permitted even if compensation is made. However, since the private property system is originally based on liberalism and individualism, and its ideology was adopted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fair and equitable social order, the principle of good faith and the prohibition of abuse of rights exist as constraints inherent in the system. The exercise must be restricted for the public interest. However, since these restrictions are exceptions to the principle of absolute ownership, strict req... 헌법에 따라 우리 법은 형법, 민법, 행정법의 세 영역으로 나뉜다. 이 중 행정법은 개인의 권리가 공익을 위해 어느 정도 제한될 수 있다는 생각에 기초하고 있다. 이에 대한 예는 공익사업을 위해 사유지를 제거하는 토지수용이다. 다만, 이 경우 토지를 공짜로 받을 수 없으며, 토지의 가치를 보상해야 한다. 이를 일반적으로 공법상 손실에 대한 보상이라고 한다. 손실보상의 정도에 대해서는 완전보상이론과 등가보상이론의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완전보상이론은 토지수용의 경우 원래 토지의 가치가 완전히 보상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한편, 등가보상론은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판단되는 금액만 보상하면 된다고 하고 있어, 광복 후 대지주의 토지를 농민에게 싸게 분배한 농지개혁 등 특수한 상황도 이 발상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이론의 충돌에서 알 수 있듯이 손해배상에 대한 생각은 현실 세계에서 진정한 평등과 공정이 무엇인지 생각할 때 힌트를 준다. 손실보상 분야에서는 토지수용법 등 별도의 법률이 있다. 다만, 모든 경우에 적용되는 국가보상법과 같은 명칭을 가진 일반법은 없다. 대신 국민의 재산권을 보장하는 헌법 제23조를 법정 손해배상청구의 근거로 삼고 있다. 헌법 제23조 제3항은 “공공필요에 의한 재산권의 수용ㆍ사용 또는 제한 및 그에 대한 보상은 법률로써 하되, 정당한 보상을 지급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대법원은 시민이 재산권을 침해당했는데 손실에 대한 적절한 보상에 대한 법적 규정이 없는 경우 법원에 손실에 대한 보상을 청구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개별 행정법의 해석뿐만 아니라 헌법이 보장하는 재산권이 어떻게 침해되고 보상액이 얼마가 되는지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헌법 제23조 제1항은 “모든 국민의 재산권은 보장된다. 그 내용과 한계는 법률로 정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헌법은 사유재산제도와 개인의 재산권을 보장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공공의 복지를 위해 제한될 수 있다. 이 경우 재산권의 보장을 이행하고 특정인에게만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재산권에 관하여 특별한 희생을 감수한 자에게 보상하여야 한다. 여기서 침해가 특별한 희생인지 아닌지는 침해가 일반 대중을 광범위하게 대상으로 하는지 아니면 특정 개인이나 집단에 국한되는지 또는 침해가 재산권에 내재된 제약으로 수용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 그 외에도 재산권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할 만큼 강한지 여부 등 두 가지를 고려해 판단할 것으로 본다. 우리 사법제도의 근간은 사유재산의 원칙과 사적 자치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상이 이루어져도 사유 재산권을 침해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사유재산제도는 본래 자유주의와 개인주의에 기초하고 있고, 그 이념은 공정하고 공평한 사회질서 구축을 목적으로 채택되어 있기 때문에, 제도에 내재된 제약으로서 신의성실의 원칙과 권리남용금지가 존재하며, 권리의 행사는 공익을 위하여 제한될 수밖에 없다. 다만, 이러한 제한은 절대적 소유권의 원칙에 대한 예외이기 때문에 소유권의 제한에는 엄격한 요건이 필요하며, 법령의 해석도 해석의 대상이 된다. 토지수용법은 공익을 위한 정부의 토지수용에 관한 절차를 규정하고, 공익사업에 필요한 토지의 수용 또는 이용의 요건, 절차 및 효과, 그리고 이에 따른 손실보상의 등 ...

      • KCI등재

        사적 행위가 개재된 기본권 침해를 다루는 비전형적 헌법소원

        윤영미(Yeongmi Yun) 한국법학원 2020 저스티스 Vol.- No.177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1항 헌법소원은 기본권 구제를 대표적 기능으로 하며 헌법소송제도에서 기본권을 보장하는 핵심적 장치이다. 누구든지 공권력의 행사나 불행사로 인한 기본권 침해가 있을 때 이 헌법소원을 제기할 수 있다. 기본권주체인 사인도 생명, 자유, 재산과 같은 기본권적 이익을 침해할 수 있지만, 사적 주체의 행위에 대해서는 같은 조항이 적용되지 않는다. 국가는 규제나 지원 등을 통해 사인들 사이의 관계에 개입함으로써 여러 가지 자유를 제약하는데, 사인의 행위가 기본권 제한에 대한 직접적 원인이고 공권력의 개입은 단지 간접적 원인이라 하더라도 공권력에 책임을 귀속시킬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글의 목적은 기본권적 법익을 제약하는 행위를 한 사인에 대해 민 형사상 책임을 물을 수 있는지 여부와 별개로 행정행위나 법령 등 기본권 침해에 대해 간접적 원인을 제공한 공권력행사를 대상으로 헌법소원을 할 수 있는 경우가 어떤 경우인지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기준을 찾는 것이다. 공권력이 기본권 보호의무를 위반하는 경우에 공권력의 불행사나 불충분한 행사가 헌법소원의 대상이 될 수 있지만 이 글은 방어권을 중심으로, ‘어떠한 형태의 공권력적 개입이 헌법소원의 대상이 될 수 있는지’에 중점을 두고 검토하였다. 공권력행사를 대상으로 적법하게 헌법소원을 할 수 있으려면 공권력행사와 기본권적 법익의 제약 사이에 인과관계가 인정될 수 있어야 하는데, 공권력주체가 사인의 행위를 통해 다른 사인의 법익이 제약되는 결과가 일어나는 과정에 대한 통제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면 그와 같은 인과관계를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공권력의 개입 목적, 태도, 방법은 이 때 고려해야할 주요 요소들이고, 이에 더하여 관련 영역 또는 과제의 공적 성격 또한 고려하여야 한다. 공적 과제가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다면 공권력행사가 기본권적 법익을 제약하는 사인의 행위를 단지 허용한 것이라 하더라도 헌법소원 대상이 될 수 있다. 다만 국가 등 공권력주체의 다양한 개입행위가 모두 헌법소원의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고 언제 기본권 제약에 대한 책임을 공권력에게 귀속시킬 수 있는지가 항상 분명하지는 않다. 헌법재판소로서는 충실한 기본권 보장과 구현을 위해 비전형적 헌법소원사건들의 분류를 위한 기준과 방법론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Constitutional Complaint under Constitutional Court Act Article 68-1(‘Article 68-1 Complaint’), the primary role of which is the relief for the violations of constitutional rights, is the core of the Constitutional litigation system to protect constitutional rights. Anyone whose constitutional rights has been infringed by an exercise or non-exercise of the governmental power can file an Article 68-1 Complaint. The Article does not apply to private action, although private persons, as holders of constitutional rights, can also be potential invaders of basic interests protected by constitutional rights, that is to say life, liberty, or property. The government restricts various freedoms by regulation or support by involving in relationships between private parties. In some cases, the responsibility for the infringement of constitutional rights can be imputed to the government even if private conduct is the direct cause of the infringement and the government is only indirectly involve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a standard for establishing the scope of cases where an Article 68-1 Complaint can be filed against the governmental exercise - such as administrative actions or laws - for the cause of infringement of constitutional rights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a private party bears civil or criminal liability for violation of basic interests. If the government fails to fulfill its obligations to protect constitutional rights, non-exercise or insufficient exercise of governmental power may be subject to the Article 68-1 Complaint. However, this article focuses on - with emphasis on defensive rights - what forms of governmental intervention can be subject to Article 68-1 Complaint. There must be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exercise of public power and the violation of basic interests and such causality can be recognized if the government can control the consequences of limiting B’s basic interests through governmental intervention and private person A’s action. The purpose, attitudes and methods of intervention of the government are the main factors to be considered and the nature of the relevant area or task should also be taken into account. Even if public authority merely permitted A’s conduct, the permission can become lawful subject matter of review, if public tasks are closely related. However, not all kinds of governmental interventions are subject to Article 68-1 Complaint and it is not always clear that in what cases can the responsibility for the infringement of constitutional rights be imputed to the government. The Constitutional Court is required to develop standards and methodology for the classification of untypical cases in order to assure constitutional rights.

      • KCI등재

        사적 저작권 집행 시스템의 법적 쟁점- 유튜브의 콘텐츠 ID를 중심으로 -

        이나라 한국저작권위원회 2019 계간 저작권 Vol.32 No.1

        From the beginning, Internet platforms have received considerable concerns about copyright infringement and the use of illegal content. For that reason, they have a copyright policy to protect the original copyright holders as a solution to copyright infringement issues within their platforms. Particularly, YouTube allows copyright owners to exercise their rights under copyright law through a “copyright strike”. In addition, YouTube has a copyright policy to protect copyright by automatically determining whether a copyright infringement occurs through ‘Content ID’ system. However, this is a private copyright enforcement system of YouTube and can not be judged to be ‘fair use’ or ‘licensed’. Furthermore, this system controls content even though it is not a copyright holder due to automation recognition. Of course, the intent of this system is to filter out illegal works. So, YouTube was introduced to fulfill its responsibility to prevent copyright violations in the platform. However, measures that are taken immediately and judged too broadly as infringing, without regard to the use of legitimate works such as fair use or license contracts, are excessive copyright management. The OSP may be able to avoid liability for copyright infringement, but this may result in unwarranted damage to the legitimate copyright holder or impeding fair use. In this paper, we review the copyright policy of YouTube and examine the legal issues of copyright law in YouTube. Finally, I would like to present the problem of copyright of Content ID and the appropriate improvement plan for it. 인터넷 플랫폼들은 초창기부터 저작권 침해 및 불법 콘텐츠 사용과 관련하여 상당한 우려를 받아왔다. 때문에 그들은 자신의 플랫폼 내에서 발생하는 저작권 침해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원저작권자를 보호하기 위한 저작권 관련 정책을 두고 있다. 유튜브는 ‘저작권 위반 경고’를 통하여 콘텐츠 소유자가 저작권법하에 정당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콘텐츠 ID’ 시스템을 통하여 저작권 침해가 발생하는지를 자동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저작권 정책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이는 유튜브의 사적 저작권 집행 시스템으로 공정이용이나 라이선스계약에 의한 사용임을 판단하지 못할 뿐 아니라, 저작권자가 아님에도 자동화 인식으로 콘텐츠를 통제한다. 물론, 이 시스템의 취지는 불법적인 저작물을 거르기 위한 것으로서 유튜브가 온라인서비스제공자로서 플랫폼 내에서 저작권 위반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책임을 다함과 동시에, 새로운 수익모델로 사용하기 위하여 도입한 것이다. 그러나 공정이용이나 라이선스 계약 등 적법한 저작물 이용은 고려하지 않은 채, 광범위하게 침해행위로 판단하여 즉각적으로 취해지는 조치들은 되려 온라인서비스제공자로서 책임의무를 다한 것이 아니라 책임을 지지 않기 위하여 과도하게 저작권 관리를 행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는 온라인서비스제공자가 저작권 침해에 대한 책임은 피할 수 있게는 하겠지만, 과한 적용으로 인하여 정당한 저작권자에게 불측의 손해를 입히거나, 공정이용을 저해하는 문제 유발로, 결국 문화산업발전의 저해를 초래하는 행위가 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유튜브의 저작권 정책에 대하여 검토한 후, 이러한 유튜브의 저작권 정책이 저작권법상 어떠한 법적 쟁점을 야기하는지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후, 콘텐츠 ID의 저작권법상 문제점과 이에 대한 적절한 개선 방안에 대하여 제시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