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빈곤가구의 빈곤지속기간에 대한 동태적 분석

        김환준(Kim, Hwan-Joo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사회복지학 Vol.65 No.3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1~11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가구특성별로 빈곤가구의 빈곤지속기간을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이산시간위험률모형을 통해 빈곤탈피율과 빈곤재진입률을 추정하고 이들 확률을 결합하여 빈곤진입 이후의 빈곤지속기간을 추산하였다. 연구결과 빈곤진입가구의 절반가량은 1~2년의 단기빈곤층, 1/4정도는 5년 이상의 장기빈곤층, 나머지 1/4은 3~4년의 중기 또는 반복 빈곤층으로 분류되었다. 가구특성에 따라 빈곤지속기간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는데, 여성가구주가구, 노인가구, 가구주 교육수준이 낮은 가구, 배우자 없는 가구, 가구주나 가구원이 미취업이거나 임시/일용직에 종사하는 가구에서 장기빈곤층의 비중이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빈곤층이 다양한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특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각각에 알맞은 빈곤정책을 수립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Using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wave 1~11) database, this study analyzed the poverty duration of the poor as a whole and by households'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I first estimated poverty exit rates and reentry rates applying discrete-time hazard model to the sample, and then calculated poverty duration combining these two probability rates. The results show that about a half of poor households are transitory (short-term) poor with 1~2 years of poverty duration. A quarter is chronic (long-term) poor lasting for 5 or more years of poverty duration. The remained quarter can be categorized as the recurrent or mid-term poor.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greatly affect poverty duration. Long-term poverty is prevalent among female-head households, elderly households, single households, or households headed by a person with a lower level of education. If households' heads do not work, or work as temporary or daily-employed workers, the poverty duration tends to be longer.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oor consist of various social class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Efficient anti-poverty policy should be based on thoroughly identifying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each class.

      • KCI등재

        근로빈곤노인의 빈곤지속기간과 빈곤탈출에 대한 연구: 노인일자리사업에 주는 함의

        지은정(Eun Jeong Ji) 한국사회정책학회 2020 한국사회정책 Vol.27 No.2

        본 논문은 정부가 일하는 복지이자 저소득층의 빈곤감소대책으로 활용하는 노인일자리사업의 적절성과 실효성을 검토하기 위해 노인의 근로빈곤동학을 연구하였다. 자료는 한국복지패널 4~13차(10년)이고 분석은 생명표분석과 이산시간위험분석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일하는 노인의 빈곤경험률이 76.1%로 매우 높고 지속빈곤율(10년 중 7년 이상)이 51.0%, 분석기간(10년) 중 평균소득이 빈곤선 이하에 놓여 있는 만성빈곤율도 58.4%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노인근로빈곤이 장기화・고착화된 실태를 보여준다. 노인은 일하기 때문에 빈곤을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일을 해도 빈곤을 벗어나지 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일하지 않는 가난한 노인보다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빈곤노인의 빈곤지속기간이 더 길고 고착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세금으로 운영되는 사업은 노인 고용률을 높일 수 있어도 노인의 경제상황을 개선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을 말해준다. 셋째, 근로빈곤의 상태의존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노인 근로빈곤층의 일자리는 시간이 지나도 빈곤을 벗어나기 어려운 질 낮은 일자리인 것을 의미한다. 넷째, 정부의 기대와는 달리 노인일자리사업은 빈곤탈출에 기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일자리사업이 탈빈곤정책도 아니지만, 빈곤탈출의 해법이 되지 못함을 말해준다. 정부는 노인일자리사업의 빈곤감소효과를 강조하기보다 노인일자리사업 본연의 목표인 노인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일자리를 창출하고, 열악한 노인의 근로실태를 개선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This study examines poverty duration and poverty exit of the working elderly poor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enior job program utilized by the government as a method of workfare and poverty reduction policy. The analysis uses ten waves (2009– 2018)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using by life-time table and discrete time hazard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76.1% of the elderly population experience poverty at least for one year during 10 years. It shows that employment is not a solution to lift old people out of poverty. In addition, the persistent poverty rate is 51.0% and among them, the chronically poor, whose average income per capita over time is below the poverty line, account for 59.4%. This index provides evidence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elderly to exit poverty in the short term. Old people are not able to escape poverty even if they are working. It does not mean that old people cannot exit poverty due to a lack of work. Second, poverty duration of old people who participate in the senior job program is longer than that of the other elderly poor expecially unemployed old people. It indicates that contrary to government expectation, the program is limited in terms of alleviating the poverty rate. Third, even after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there is a state dependency that the likelihood of exiting poverty decreases the longer a person has been poor. This poverty duration dependence may be rooted in the extremely low quality of jobs. Furthermore, unlike the government’s expectation, the senior job program cannot contribute to the exit the poverty due to low job quality, rather, it should endeavor to achieve the original goal of the program and ensure decent working conditions for older workers in the regular labor marke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A typology of the poor in Korea: Cluster Analysis using poverty duration and poverty recurrence

        김태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9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20 No.-

        As the first attempt to empirically analyze a typology of "the poor" in Korea, this study, statistically specified clusters of poor population on the basis of poverty duration and the number of poverty spells experienced. Using Korean Labor Income Panel Study (KLIPS) data,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ree types of the poor were identified, namely, chronic, episodic, and transitional poor. Although, on average, the "chronic poor" had a single poverty spell, the average poverty duration was as high as 7.1 years. In contrast, the "episodic poor" experienced the highest number of poverty spells (3.1 episodes) but the shortest average poverty duration per episode (1.4 years). In comparison to these groups, the "transitional poor" had an average of 1.4 poverty spells and average poverty duration of 1.6 years per episode. With the established clusters,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were compared. Finding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clusters which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for developing effective antipoverty policies.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this study addresses policy implication for more effective anti-poverty strategies.

      • KCI등재

        가구특성과 빈곤지속기간이 빈곤탈피율에 미치는 영향 -지속기간의존성과 표본이질성에 대한 검증을 포함하여-

        김환준 ( Hwan Joon Kim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3 사회복지연구 Vol.44 No.3

        By analyzing wave 1~11 (1998~2008) of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databas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poverty duration on poverty exit. A special concern is to decide whether the decrease of poverty exit rates comes from true duration dependency or from the sample heterogeneity as poverty duration progresses. I also analyzed how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are changed when unobserved heterogeneity is controlled. The results show that duration dependency disappears after controlling observed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unobserved individual heterogeneity. This finding confirms that the apparent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exit rate and poverty duration is in fact a spurious association due to the sample heterogeneity rather than true duration dependency. In addition, the effects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on poverty exit rate become more stronger when unobserved heterogeneity is controlled. Socioeconomic factors affecting poverty exit rates are such as householders` age, education, household composition, number of family members,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work status.

      • KCI등재

        빈곤이 아동의 우울ㆍ불안에 미친 영향

        김광혁(Kim Kwang-Hyuk)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한국청소년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패널 초4패널 자료(2838사례)를 활용하여 빈곤이 아동의 우울불안에 미친 영향과 빈곤의 영향이 기간과 시간,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빈곤은 아동의 우울불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빈곤 기간과 시점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이 장기간에 걸쳐 연속적인 빈곤을 경험할수록, 보다 초기에 빈곤을 경험할수록, 그리고 빈곤의 정도가 심할수록 우울불안에 대한 빈곤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빈곤 가족 아동의 우울불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며, 특히 이러한 지원은 장기적이고, 극심한 빈곤을 경험하고 있는 가족에 집중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assesses the effect on child's depression and anxiety of poverty taking account also of both duration and timing. The source of our data was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2004(Primary School 4). Our results indicate that duration and timing of poverty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depression and anxiety. More specifically, the longer the duration of poverty and the earlier in childhood that poverty occurs both negatively impact upon depression and anxiety. Moreover, it was found that extreme poverty negatively affects depression and anxiety.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social support for poor families contributes to helping resolve depression and anxiety. In particular, these support mechanisms should be focused on the duration of poverty, the early onset of childhood poverty, and the poverty experienced by extremely poor families.

      • KCI등재

        중년기 빈곤 진입 후 지속기간이 우울을 매개로 음주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패널을 이용한 종단연구

        조혜정(Hye Chung Cho),이은숙(Eun Sook Lee)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20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37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uration after entering poverty and alcohol consumption among middle-aged adults. Methods: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was performed with five waves(2014-2018) on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The study subjects were non-poverty and middle-aged adults between 40 to 64 years in 2014. Results: First, the duration after entering poverty was associated with the baseline of alcohol consumption and depression. Further,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epression and the alcohol consumption trajectories. Second, it was also proven that depression has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uration after entering poverty and alcohol consumption. The longer the duration after entering poverty, the lower the initial level of alcohol consumption, however, a higher the level of alcohol consumption was mediated by depression. Conclusion: Results from the present analyses emphasize that the need for simultaneous interventions in depression and alcohol consumption prevention for the poor.

      • KCI등재
      • KCI등재
      • 가구 생계부양형태에 따른 빈곤지속기간과 빈곤탈출확률 결정요인

        조막래,이순아 한국지역발전학회 2012 지역발전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여성들의 노동시장 참여가 개별 가구의 빈곤이행특성과 어떠한 관계를 갖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한국노동패널 종단 데이터(2차년도~10차년도)를 사용하여, 생명표분석(life table analysis)과 이산시간분석(discrete time analysis)을 통해 생계부양형태별 빈곤지속기간과 빈곤탈출확률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이인생계부양형태 가구가 일인생계부양형태에 비해 빈곤 지속기간이 더 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이인생계부양형태 가구의 빈곤탈출 이후 1년 이내 재진입율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산시간분석을 통하여 빈곤탈출확률을 분석한 결과 빈곤지속기간이 길어질 수록 빈곤탈출확률이 크게 감소하는 부적기간효과(negative duration effect)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증가로 이인생계부양가구로 전환과정에 놓여있는 한국사회에서 이인생계부양가구의 빈곤이행 특성이 더욱 열악한 실정임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서구 복지국가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이인생계부양가구의 확대가 후기산업사회의 제반 구조적인 사회문제-빈곤, 불평등, 저출산 및 고령화 등-해결의 대안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노동시장의 근본적인 구조개선과 여성들의 노동시장 참여지원을 위한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이들이 빈곤 상태에서 장기화되지 않도록 탈빈곤을 위한 단기적 접근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