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문화산업론과 문화산업 연구의 계보학

        김성은(Kim, Sung-e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Adorno와 Horkheimer의 문화산업 개념 제시 이래 문화산업론의 변화와 전환, 한국에서 문화산업 연구의 전개 등을 계보학적으로 성찰하였다. 문화산업 개념은 유네스코의 연구를 계기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철학적 개념인 ‘단수로서의 문화산업’ 대신 ‘복수로서의 문화산업’, 즉 현실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산업체를 가리키게 되었으며, 문화산업론은 문화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발전 전략을 세우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1970년대 이후 문화산업 연구의 중심지는 철학, 사회학에서 경영학, 경제학 쪽으로 옮겨가게 되었으며, 특히 문화경제학이라는 새로운 분과 학문의 영향력이 커졌다. 또한 문화산업의 부가가치가 크게 증대함에 따라 각국의 정부에서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문화산업의 발전 전략 연구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문화산업의 시장가치에만 집중하는 획일적인 연구 경향을 비판하고 다원적, 학제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주장 역시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문화산업 연구에서 경제적 분석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정하더라도 문화산업의 사회적 영향력과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문화산업 연구의 일반적 경향에 대한 다양한 비판들을 검토한 후 향후 문화산업 연구의 확장과 발전을 위해서 첫째, 실증적인 연구를 다양한 문화 이론과 결합시킬 것, 둘째, 문화산업 종사자들에 대한 연구를 강화할 것, 셋째, 연구 대상을 미디어산업에 국한하지 않고 일상의 상업화된 문화적 환경들까지 연구 범위를 확대할 것 등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reflected genealogically historical changes or conversions of the theories about culture industry since Adorno and Horkheimer’s idea of ‘Culture Industry’ presented and the representative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in South Korea. It was occasioned by UNESCO’s significant studies that concept of ‘cultural industries’ pointing to various industries that exist in reality replaced ‘culture industry’, Frankfurt School’s philosophical concept. In addition the mainstream of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was changed direction to observe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industries and establish a development strategy for them. As a result, the studies of cultural industries have been led by business administration or economics instead of philosophy and sociology since 1970s. Also the new discipline called ‘cultural economics’ has grown bigger and led the studies of cultural industries. Depending on the added value of cultural industries is higher, governments began to be involved,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studies about strategy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ies. But they are still occurred the criticisms that the recent studies have only to concentrate on the market value of cultural industries and the arguments that we need more pluralistic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thembecause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eir social value and influence, even though acknowledging the fact that economic analysis is the most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has a few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after examining the various criticisms about the general trend of recent studies. First, empirical researches must be combined with the various cultural theory. Second, it is need to strengthen the study about workers of cultural industries. Finally, it is desirable to widen studies to the overall cultural surroundings commercialized instead of being limited to the media industries. 본 연구는 Adorno와 Horkheimer의 문화산업 개념 제시 이래 문화산업론의 변화와 전환, 한국에서 문화산업 연구의 전개 등을 계보학적으로 성찰하였다. 문화산업 개념은 유네스코의 연구를 계기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철학적 개념인 ‘단수로서의 문화산업’ 대신 ‘복수로서의 문화산업’, 즉 현실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산업체를 가리키게 되었으며, 문화산업론은 문화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발전 전략을 세우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1970년대 이후 문화산업 연구의 중심지는 철학, 사회학에서 경영학, 경제학 쪽으로 옮겨가게 되었으며, 특히 문화경제학이라는 새로운 분과 학문의 영향력이 커졌다. 또한 문화산업의 부가가치가 크게 증대함에 따라 각국의 정부에서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문화산업의 발전 전략 연구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문화산업의 시장가치에만 집중하는 획일적인 연구 경향을 비판하고 다원적, 학제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주장 역시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문화산업 연구에서 경제적 분석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정하더라도 문화산업의 사회적 영향력과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문화산업 연구의 일반적 경향에 대한 다양한 비판들을 검토한 후 향후 문화산업 연구의 확장과 발전을 위해서 첫째, 실증적인 연구를 다양한 문화 이론과 결합시킬 것, 둘째, 문화산업 종사자들에 대한 연구를 강화할 것, 셋째, 연구 대상을 미디어산업에 국한하지 않고 일상의 상업화된 문화적 환경들까지 연구 범위를 확대할 것 등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reflected genealogically historical changes or conversions of the theories about culture industry since Adorno and Horkheimer’s idea of ‘Culture Industry’ presented and the representative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in South Korea. It was occasioned by UNESCO’s significant studies that concept of ‘cultural industries’ pointing to various industries that exist in reality replaced ‘culture industry’, Frankfurt School’s philosophical concept. In addition the mainstream of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was changed direction to observe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industries and establish a development strategy for them. As a result, the studies of cultural industries have been led by business administration or economics instead of philosophy and sociology since 1970s. Also the new discipline called ‘cultural economics’ has grown bigger and led the studies of cultural industries. Depending on the added value of cultural industries is higher, governments began to be involved,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studies about strategy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ies. But they are still occurred the criticisms that the recent studies have only to concentrate on the market value of cultural industries and the arguments that we need more pluralistic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thembecause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eir social value and influence, even though acknowledging the fact that economic analysis is the most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has a few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after examining the various criticisms about the general trend of recent studies. First, empirical researches must be combined with the various cultural theory. Second, it is need to strengthen the study about workers of cultural industries. Finally, it is desirable to widen studies to the overall cultural surroundings commercialized instead of being limited to the media indus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