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연 김창흡의 금강산 유람시 연구

        장진엽 ( Jang Jin-youp ) 한국한문학회 2024 韓國漢文學硏究 Vol.91 No.0

        본고는 三淵 金昌翕의 금강산 시의 시기별 창작 양상 및 유람 체험의 형상화 방식을 살펴봄으로써 ‘遊覽詩’ 또는 ‘山水詩’로서 이 작품들이 지닌 핵심적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삼연의 금강산 시에 대한 분석은 삼연 산수시의 전반적인 특징, 나아가 조선 후기 산수시 창작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산수시’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기본적인 규정이 선행해야 한다. 즉, 산수시란 謝靈運을 원류로 하는 산수 묘사의 시로서 유람이나 行旅의 상황에서 창작된 작품들을 가리키며, 삼연의 시들 가운데서도 이러한 성격의 작품들만을 산수시 논의의 대상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상의 전제에 입각하여 본문에서는 삼연 금강산 시의 시기별 창작 양상을 살펴보고, 이어서 유람 체험의 형상화에 있어 산수시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인 記遊, 敍景, 抒情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삼연의 금강산 시는 1685년의 제3차 유람의 시와, 1710년 제4차 및 1711년 제5차 유람의 시의 두 부분으로 대별된다. 제3차 유람의 시 16題 24首는 모두 古詩로 창작되었으며, 대부분 20구 이상의 장편이다. 장편고시 양식을 통해 경물 묘사의 폭을 확대하고 세찬 기세를 바탕으로 유람의 興趣를 충실히 그려내고자 한 것이다. 한편 제4차와 제5차 유람의 시는 모두 律詩 형식으로 창작되어 보다 정제된 미감을 띠고 있다. 청년기와 노년기 전체에 걸쳐 삼연 금강산 시의 주된 창작 의도는 대상의 逼眞한 모습을 재현함과 동시에 이에 수반되는 화자의 興感을 여실히 표현하려는 것이었다. 다만 제4차와 제5차 유람의 시 가운데는 노년의 비애를 읊은 작품과 같이 화자의 주관적 심회 표출이 중심이 된 시들이 간혹 있다. 다음으로 금강산 유람 체험의 형상화 방식을 두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 번째 특징은 記遊의 적극적 활용을 통해 역동성과 흥취를 강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 전체 시기에 걸쳐 ‘나[我/吾]’의 체험과 흥취를 강조하는 모습도 나타난다. 이 점은 삼연의 시를 ‘그림 같은 시’가 아니라 ‘그림 속으로 들어가서 즐기는’ 시로, 즉 독자들이 금강산 탐승의 즐거움을 ‘체험’하게 하는 시로 만들어 주고 있다. 두 번째 특징은 대상의 핍진한 재현과 관련하여 敍景과 抒情의 표현 양상에 관한 것이다. 삼연의 금강산 시는 대상과 정서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그것이 주는 흥취, 또는 대상의 情趣를 묘사하는 데 주력한다. 화자는 대상을 ‘관찰’하고 있다기보다 ‘玩賞’하고 있으며, 따라서 서경구에 자연스럽게 흥취와 정서가 담기게 된다. 경물 묘사의 방법에 있어서도 대상의 세밀한 재현보다는 그 분위기와 정취에 집중한 묘사를 선호한다. 또한 경물 묘사의 과정에서, 또는 그 결과로서 표현된 화자의 정감은 대상의 정취에 대한 정서적 반응으로서 묘사 대상의 특징을 생생히 부각해 주는 역할을 한다. 요컨대 삼연 금강산 시는 산수 경물의 묘사와 함께 유람의 흥취를 실감 나게 전달하는 데 주력한 작품들이다. 삼연의 시에서 대상의 핍진한 재현은 대상의 형태뿐 아니라 그 대상이 촉발하는 흥취와 정감의 표현까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삼연의 금강산 시는 삼연 산수시의 주요한 부분으로서 이에 대한 연구는 삼연 산수시의 기본적인 성격을 파악하게 해줄 수 있다. 삼연의 작품 가운데 ‘산수시’의 조건에 부합하는 작품들과의 비교 검토를 통해 삼연 산수시 전반에 관해서 더욱 타당한 시각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조선후기 산수시와 산수문학의 향방을 논하는 것으로 나아갈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re nature of Mt. Kŭmgang poems by Sam-yŏn Kim Ch'anghŭp as ‘travel poetry’ or ‘landscape poetry’ by examining their writing aspect over time and the ways in which they represent travel experience. Analyzing Sam-yŏn's Mt. Kŭmgang poems is an important step toward understanding the overall character of Sam-yŏn's landscape poetry and, by extension, the flow of landscape poetry creation in the late Chosŏn Dynasty. To achieve these goals, certain basic concepts and categories of ‘landscape poetry’ must be defined. In other words, landscape poetry is a poem that describes landscapes since the origin of Xie Lingyun. It refers to works created in the context of traveling, and only works of this nature should be the subject of the discussion of landscape poetry among the poems of Sam-yŏn. Based on the above premise, this study examines Sam-yŏn's Mt. Kŭmgang poems over time. Subsequently, it examines how the basic components of landscape poetry - ‘record of travel,’ ‘description of the landscape,’ and ‘expression of emotion’ -are utilized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travel experience. Sam-yŏn's Mt. Kŭmgang poems are divided into two parts: poems from his third trip in 1685 and poems from his fourth and fifth trips in 1710 and 1711. The 24 poems of the 16 titles of the third travel were all composed in the form of old poetry, and most were longer than 20 lines. Through this long-form old poetry, the author aims to expand the scope of describing landscape and sufficiently depict the pleasures of traveling with a strong spirit. Meanwhile, the poems of the fourth and fifth travels were all written in Lushi format and had a more refined aesthetic. Throughout his work in his early thirties and late fifties, Sam-yŏn's primary creative intention in his Mt. Kŭmgang poetry was to represent the authenticity of the object and the poetic self's accompanying pleasure in it. However, some poems from the fourth and fifth travels are centered on the poetic self's expression of deep regret, such as works that recount the woes of old age. Next, I examined how the Mt. Kŭmgang travel experience is shaped in Sam-yŏn's poems in two aspects. The first is the active utilization of records of travel to enhance dynamics and pleasure. There is also an emphasis on the experience and pleasure of the “I”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This makes Sam-yŏn's poems not ‘picturesque’ but poems that ‘enter into the picture,’ poems that allow readers to ‘experience’ the pleasure of traveling Mt. Kŭmgang. The second characteristic concerns describing landscape and expressing emotions in relation to vivid representations of objects. Sam-yŏn's Mt. Kŭmgang poetry focuses on describing the mood of an object while being emotionally attached to it. The poetic self is “enjoying” the object rather than “observing” it, which naturally imbues the description of scenery with pleasure and emotion. Regarding depicting scenic objects, Sam-yŏn prefers to focus on the atmosphere and mood of the scenery rather than on the details of the object. In addition, the poetic self's emotions, expressed in the course of or as a result of describing the landscape, are emotional responses to the scenery that serve to br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being described more vividly. In short, Sam-yŏn's Mt. Kŭmgang poems focus on conveying the pleasures of travel through the depiction of mountain scenery. In Sam-yŏn's poetry, the realistic representation of the object includes the form of the object and the expression of pleasure and emotion that the object evokes. Sam-yŏn's Mt. Kŭmgang poem is a main part of Sam-yŏn's landscape poetry, and a study of it can highlight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Sam-yŏn's landscape poetry.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more valid view of Sam-yŏn's landscape poetry as a whole through a comparative review of Sam-yŏn's works that meet the conditions of ‘landscape poetry.’ This will ultimately lead to a discussion of the direction of late Chosŏn landscape poetry and landscape literature.

      • KCI등재후보

        해외여행 체험이 여행자의 즐거움 및 구매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승식 ( Park Seung Sik ),석창권 ( Seok Chang Kwon ) 한국호텔리조트학회(구 한국호텔리조트카지노산학학회) 2016 호텔리조트연구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overseas travel experience on traveller’s pleasure and further traveller’s pleasure to post-purchase behavior, and the survey was questioned to the tourist who visited Western Europe. The survey was carried out to 220 travellers who have experienced high quality Western Europe tour, and 212 valid samples among them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showed four factors regarding overseas travel experience, which were entertainment experience, esthetic experience, education experience and escape experience. And one factor for pleasure and two factors of satisfaction and loyalty for post-purchase behavior. According to hypothesis test result, the esthetic experience had the strongest influence on traveller’s pleasure. The escape and entertainment experiences were the next most influence on pleasure. But education experience did not influence on pleasure. The study showed that the pleasure of experience had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and loyalty. In conclusion, the various experience of travel abroad increased traveller’s pleasure and proved as a facto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and loyalty.

      • KCI등재

        한강 정구(寒岡 鄭逑)의 「유가야산록(遊伽倻山錄)」과 그 심미경계(審美境界)

        박영민 ( Young Min Park ) 우리어문학회 2007 우리어문연구 Vol.29 No.-

        Hangang and his friends made a plan to travel Mt. Gaya on Sept. 10, 1579, and left for Mt. Gaya on the next day and returned home on Sept. 24 after 14 day itinerary. Hangang executed toilsome 14 day trip, visiting Hain Monastery and climbing Bongch`un Peak, Paekun Peak, Jeil Peak, and Ib Peak, and wrote his travel account with 6,420 words, the most lengthy remained travel account on Mt. Gaya. This article discusses the unique meaning of Yu Gayasan-rok, through concrete investigation on the correlation among his trip, aesthetics, and spiritual realm. Especially,investigation has been done with the three separate parts, due to the fact that Yu Gayasan-rok is written with gradual ascending methodology. It is also considered that each of the three parts itself has ascending structure in which the experience and spiritual depth of the mountain trip are deepening. Hangang seemed to write how he gradually experienced his sympathy with nature and the principle of the nature and obtained the self obtaining pleasure through the 14 day journey. The first part is the record of the journey from Sept. 11th through 14th. It records step by step in the process of time how Hangang experienced complete unification with Mother Nature and understood the principle of the universe through his sympathy with the Mother Nature. The next part is the records from Sept. 15th through 18th. He made self reflection on the fact that he indulged in playing with things and lost spirit, and that his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 of the universe and entire study stood on a very weak foundation. The weakness of the study appeared on his friends too. He aspired to enjoy the pleasure of being together with his friends. The last part is the records from Sept. 19th through23rd. At the beginning part he records that he sensed the principle of the universe embodied in the Mother Nature. He solidified this understanding and showed the aesthetic realm of self obtained pleasure. The gradual ascending structure of Yu Gayasan-rok clearly shows why Hangang traveled Mt. Gaya, a rugged mount, and wrote travel account. Hangang shows that he had overcome his perilous mind and approached to the ultimate spiritual realm, as he got on to the highest peak of the mount. Yu Gayasan-rok is the record of his spiritual realm as well as a travel account. Hangang watched the change of his mind which realized the substance of the Tao through the Mother Nature, and recorded the pleasure of approaching to the realm on Yu Gayasan-rok.

      • KCI등재

        여행 브랜드를 위한 콘텐츠 마케팅 연구 -여행 영상 형태의 유튜브 Vlog를 중심으로-

        조장환,박보람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12

        lock in effe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viewing pattern of travel vlog on video-sharing platform YouTube.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with in-depth interviews on the usability and sensibility aspects of creating pleasurable interfaces model. As a result, first, viewers obtains general information on travel using travel vlog. Second, there were difficulties from the informational quantity. Third, the contents marketing using travel vlog could have limitation when it comes to the consistency of product’s exposure which common mass media advertisement format have. Improvements driven from this study may provide insight in contents marketing strategy to travel-related companies and provide practical help to creators in contents production. 본 연구는 검색엔진으로 진화하고 있는 유튜브의 여행 Vlog에 대한 시청패턴과 콘텐츠 니즈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일차적으로 설문 지법을 사용하여 45명을 대상으로 사전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차적으로 이를 통해 얻은 결괏값을 바탕으로 Creating Pleasurable Interfaces 모형을 활용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로 시청자는 여행 Vlog를 활용하여 단편적인 정보보다는 여행에 관련된 전반적인 정보를 얻고 있었다. 두 번째로 유튜브에 업로드된 여행 Vlog의 절대량이 부족하여 시청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는데 물리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세 번째로 여행 Vlog를 활용한 마케팅이 대중 매체의 광고 형식에서 벗어나지 못해 콘텐츠 전반에 서비스나 제품 노출에 일관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과는 여행 관련 기업의 콘텐츠 마케팅 전략에 있어서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크리에이터들에게 콘텐츠 제작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KCI등재

        1950년대 여성 기행가사 속 소풍과 풍정(風情) 재현의 의미-<유람기>를 중심으로-

        유정선 한국고전연구학회 2019 한국고전연구 Vol.0 No.46

        Since the 1960s, entertainment and the contents of entertainment have been expanding in women' travel gasa. By the way, the women 's travel gasa in the 1950s provides an inflection point for this change. In this paper, focusing on <Yuramgi> which traveled to Haein temple in Gaya mountain in 1959, I analyzed how the beginning of the time that “enjoying” became important in the trip. The writer of the work <Yuramgi> expressed this trip as a picnic and reflected the character of the trip was settled into the leisure of everyday life that was able to leave with a light heart. While recreating the scenery and historic sites of the tourist resort of Kaya Mountain Haeinsa, the recreation of entertainment and events is prominent. Especially, it expresses emotions of conflict by dealing specifically with the emotional transition of 'I' through the description of casual events and entertainment. In 1950 's women' s travel gasa, new 'pungjeong' is highlighted along with 'pungryu' which was the traditional culture style. The pungjeong has significance as an active self-expression act of fascination and play. Now, the pursuit of pleasure reveals that it is fun to play well, which is in harmony with the consciousness to get rid of the weight of norms and to enjoy the emancipation. Along with this, my vision is becoming foreground. From the manifestations of conflicts and complaints that have been silent to subjective evaluations, I try to reveal my inner self in relation to myself. This reflects the awareness that my own enjoyment is important in travel. 1960년대 이후 여성 기행가사에는 오락과 유흥의 내용이 확장되고 있는데, 이러한 변화를 가져온 변곡점은 1950년대 기행가사 작품들이다. 본 논문에서는 안동에 사는 여성이 1959년에 가야산 해인사를 여행하고 지은 <유람기>를 중심으로, 여행에서 ‘즐기는 것’이 중요해졌던 시각의 시작이 어떠했는지 보고자 하였다. 작품 <유람기>의 작가는 이번 여행을 소풍으로 표현하고 있어, 여행이 가벼운 마음으로 떠날 수 있었던 일상의 여가로 자리잡았음을 보여준다. 작가는 가야산 해인사의 경관과 고적을 보고하면서도 여흥과 사건을 중점적으로 재현한다. 이때 우연한 사건과 여흥을 묘사하면서 ‘나’의 감정적 추이를 구체적으로 다루는 가운데 갈등의 감정들을 표현하고 있다. 1950년대 여성 기행가사에서는 기왕의 문화 양식이었던 ‘풍류’와 함께 새롭게 ‘풍정’을 강조한다. 아 풍정은 흥취를 즐기며 놀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를 지시하며 자기표현으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이는 재미있게 잘 노는 것이 중요하다는 쾌락의 추구를 보여주며 이는 규범의 무게에서 벗어나 분방하게 즐기고자 하는 의식을 반영한다. 이와 함께 이 시기 여행 체험에는 나의 시각이 전경화 되고 있다. 그동안 침묵해왔던 갈등과 불만의 표출로부터 일행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에 이르기까지 나와의 관계성 속에서 내면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여행에서 나 자신의 즐거움이 중요하다는 자각을 반영한다.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유람 및 기행에 나타난 풍류와 그 의미 - 기문(記文)과 기행시(紀行詩)를 중심으로 -

        김종구 ( Kim Jong-gu ) 한민족어문학회 2017 韓民族語文學 Vol.0 No.76

        본 연구는 茶山 丁若鏞(1762-1836)의 유람 및 기행에 나타난 풍류와 그 의미를 記文과 紀行詩를 통해 고찰하였다. 茶山은 실학을 집대성한 실학자이며 조선 후기 문단을 대표하는 詩人이다. 茶山은 정치·경제·지리·문학·철학·의학·교육학·군사학·자연과학 등 깊고 넓은 학문세계를 이룩하여 茶山學을 형성하였다. 茶山學을 형성한 것은 풍류 중 緊酬酢에 가깝다. 茶山의 閒酬酢은 과연 어떠한가를 의문을 가질 수 있다. 茶山의 풍류, 閒酬酢은 樓亭·臺·서원·사찰·船遊·逍遙·詩會·遊山·宴會 등의 다양한 형태의 유람 및 기행 문화를 형성하였다. 茶山의 記文과 紀行詩에 나타난 풍류는 첫째, 舞雩와 沂水의 풍류를 통해 道를 즐기고 있었다. 둘째, 유람과 기행을 통해 隱逸을 지향하고자 하였다. 셋째, 긴장된 緊酬酢과 이완된 閒酬酢의 습합이 이뤄지고 있었다. 넷째, 서정의 시적형상화와 현실인식 및 비판이 이뤄지고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poetic appreciation called Pungryu and its meaning, seen in the sightseeing and traveling of Dasan Jeong, Yak-yong(茶山 丁若鏞, 1762~1836) through writing and travel Poetry. Dasan is a poet and scholar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who represents the literary scholar of late Chosun Dynasty. Dasan formed the literary school of Dasan by achieving a deep and broad academic world that includes politics, economy, geography, literature, philosophy, medicine, education, military science, and natural science. The formation of the literary school of Dasan is close to the philosophical arts in Pungryu. In this regard, the question about poetry and prose arts can be raised. The poetry and prose arts of Dasan`s Pungryu include various types of excursion and travel culture such as tower, lecture hall, temple, boat ride, strolling, poetry association, mountain excursion, and feast. Pungryu, shown in the writing and travel poetry of Dasan has some features as follows: First, Pungryu is to enjoy the cultivation of spirituality such as prayer for rain. Second, it aims at seclusion through sightseeing and traveling. Third, tense philosophical arts and relaxed poetry and prose arts are mixed. Fourth, it contains both the poetic embodiment of lyrics and criticism for the reality.

      • KCI등재후보

        鷄龍山 遊記에 대한 硏究

        姜賢敬 한국한문학회 2003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31

        예로부터 풍류적인 지식층이나 시인·문인들은 흔히 명산대찰·명승고적, 혹은 어떤 특별한 지역을 참관·유람하면서 그들의 체험·견문·감흥을 시문으로 남겨서 소위 記行時文이라는 작품군을 성립시켰다. 특별히 등산을 한 체험과 감회를 산문체로 기술하여 남겨놓은 遊山記 혹은 遊山錄은 山行記錄에 속하는데, 조선시대에 출현한 작품수량은 약 560편 정도나 된다고 한다. 최근 遊山記 문학 연구가 활발하여 금강산을 비롯한 지리산·청량산·소백산·묘향산·삼각산·천마산·속리산 등을 등정한 체험을 기술한 遊山記의 작품들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업적이 있게 되었다. 그 중에는 계룡산 遊記 작품도 빼놓을 수 없을 것인데, 그것에 대한 관심과 연군ㄴ 자못 미비한 형편이다. 필자는 몇 년 전부터 계룡산 관련 문헌을 탐색하여 그 일부 자료를 이미 학계에 소개한 바 있는데, 조선시대에 이루어진 계룡산 遊記로서 현재까지 수집된 자료로는 吳再挺(1641~1709)의 「遊鷄龍山錄」·宋相琦(1657~1723)의 「遊鷄龍山錄」·南夏正(1678~1751)의 「鷄龍記行」·李仁稙(1856~1912)의 「遊鷄龍山記」·林沔浩(純祖·高宗年間)의 「遊鷄龍山錄」등의 한문작품과 光山 金氏(1862~1917)가 지은 국문필사본 「겨룡산유산녹」을 꼽을 수 있겠다. 본고에서는 이상의 6편 자료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계룡산 遊記에 나타난 옛 사람의 유산감흥과 관심형태를 고찰해 보고, 아울러 조선시대 遊山記 문학으로서의 위상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6편의 유산기 내용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계룡산이 지리산이나 금강산처럼 대단히 험준하고 웅장한 산세를 갖추고 있지는 않았어도, 작자들은 계룡산 도처를 仁者樂山의 기분으로 돌아다니면서 산세의 위용과 곳곳에 산재한 암자·시시각각으로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풍광·역사 유적 등을 통하여 그들의 유흥과 감회를 유감 없이 나타내면서 산행에서 얻어진 일련의 체험을 유산기 문장으로 남기게 된 것으로 보여진다. 그들은 僧俗에 대한 비판적 관점과 新防·招魂閣등의 유적지에 대한 역사적 悔恨을 나타내고 있지만, 신분상 治者의 관점에서 산행하거나 현실에 대한 예리한 비판의 언어를 구사하지 않았던 바, 이런 점은 계룡산 유기 나름대로의 특징적인 면모라고 보아진다. 여하튼 작자들은 계룡산 산행중에서 체득될 수 있는 유람의 정취를 소박하게 표현하여 조선시대 유산기 산문장르의 명맥을 지속적으로 지켜온 성과를 드러내었을 뿐만 아니라, 충청지역의 유산기 문학의 양상을 충분히 발휘하여 향토문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서 일익을 담당할 수 있게 하였으며, 아울러 후대 사람들에게 山中之樂을 공감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고 말할 수 있겠다. The elite, poets, and writers, who enjoyed poetry, have described their impressions and experiences after they visited famous temples, historical relics, and regions from the past. Those works they wrote are called travels. In chosun Dynasty there were 560 works about Yusangi or Yusannok which describes the experience and the feeling received from climbing a mountain. Many scholars have researched Yusangi(travels in Mountains) in recent, so that many studies of Yusangi about Mt. Geumgang, Mt. Giri, Mr. Cheongnyang, Mt. Sobaek, Mt. Mohyang, Mt. Samgak, and Mt. Songni have been achieved. However there was a little study of Yusangi about Mt. Kyeryong in spite of fine works describing Mt. Kyeryong. The author has found and introduced some materials about Mt. Kyeryong to an academia from some years ago. The works about Mt. Kyeryong in Chosun Dynasty, the author found, are 吳再挺 Jaejung O' s Yukyeryongsannok, 宋相琦 Sanggi Song's Yukyeryongsangi, 南夏正 Hajeong Nam's Kyeryonggihaeng, 李仁稙 Lee's Yukyeryongsangi, 林沔浩 Myunho Lim's Yukyeryongsangi written in Chinese and 光山 金氏 Kwangsan Kim's Kyeryonsanyusannok written in Korean. In this paper the author considers an ancestor's interest and impression expressed in Kyeryongsanyugi(Trave1 in Mt. Kyeryong), investigating synthetically the above 6 works, and then stands the phase as a literature in Travels in Chosun Dynasty. When the author reviews generally the above 6 works, the author knows that the writers expressed their experiences and impression through the aspect of a mountain, temples, a beautiful sceneary, historical relics in Mt. Kyeryong, though Mt. Kyeryong did not have a magnificient and steep aspect of a mountain like Mt. Giri and Mt. Geumgang.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in Mt. Kyeryong is that the writes criticized the monk's life and Sindo, and Chohongack(a pavilion for the spirit of the dead), and that they did not speech the critical word about the real life or write the travels in governor's view, but express naively the feeling of climbing mountains. The writes have maintained the genre of prose style about travels in mountains in Chosun Dynasty and also helped the study of folk literature and made descendants sympathize with a great enjoyment in mountains.

      • KCI등재

        투고논문 : 우담(愚潭) 정시한(丁時翰) 『산중일기(山中日記)』 일고찰(一考察)

        오주학 ( Joo Hak Oh ) 근역한문학회 200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26 No.-

        본고는 愚潭 丁時翰의 「산중일기」에 대한 연구로 우담 산수유기의 특징적 면모를 살펴본 것이다. 우담은 평생 처사로 살면서 61세부터 약 2년에 걸쳐 600여일 동안 네 번에 걸쳐 유람을 하며 그 기행을 기록한 것이 산중일기이다. 우담에게 산수는 당시 정국에 대한 환멸과 가족을 잃은 슬픔의 고통을 덜고 학문연구 등의 자신의 욕구를 표출할 수 있는 공간이다. 우담의 「산중일기」는 크게 영남권 기행과 금강산 유람이다. 영남권 기행은 자신의 학문적 연원을 찾아 서원에 배향된 선유들을 찾아보는 답사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금강산 유람은 풍류의 즐거움을 구가하기 위한 것이며 담담하게 여정을 서술하고 승경에 대한 의론은 거의 표출하지 않는다. 특히 유람 중에 마주치는 사찰과, 승려유적에 관심을 가지고 자세하게 서술하고 있어 지리지적인 성격도 다분히 보이고 있다. Udam Jeong, Si-han is a Sung Confucianist who lived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y. In spite of his great family background, he distanced himself from government, resigning social position as a governor, for he couldn`t be in accord with the social and political life of the country. Instead, he persisted in living his life as Seon-bee(a scholar). At the age of 61, when he lost his parents, leaving his worldly affairs behind him, he decided to immerse himself in research, learning and a landscape travel. In other words, he wanted to satisfy his mind and body through a journey around mountains, ravines and lakes. So, he went four times on a journey to Ji-ri mountain, Kum-gang mountain and Yong-Nam province for 578 days from 1686 to 1688. During his journey, he wrote a book on a national landscape called SanJoong-ilgi. His diary is divided into two sections. The first part is about the description of impressive incidents, Seo-won(A lecture hall) and scholars that he came across during his journey around Yong-Nam province which is his academic origin. And the second part is to briefly record his feelings, emotion and deep impression on the landscape and the beauty of nature which was rediscovered while escaping from reality and enjoying his sentimental journey. Udam`s SanJoong-ilgi has distinct characteristics of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landscape and scenery and a hostile attitude toward temples and monks that he visited and came across during his journey. When comparing other Yu-gi at that time(17th), SanJoong-ilgi holds its own distinguished style and features maintaining and reflecting on the San-su literary trends and the view of nature at that time. Given that the feature of characteristic of the style of SanJoong-ilgi was barely mentioned yet under the macroscopic trend and the genuine and diverse nature, in addition to its literary significance, this study has a great importance and SanJoong-ilgi is a valuable document for those who wish to seek insight into Yu-gi, a landscape travel description.

      • KCI등재

        碧梧 李文樑의 삶과 시세계

        권진호(Kwon, Jinho) 대동한문학회 2021 大東漢文學 Vol.69 No.-

        본 논문은 碧梧 李文樑(1498~1581)의 삶과 시세계를 조명하였다. 고려 말 軍器寺 少尹을 지낸 李軒이 예안 汾川에 정착한 이후, 영천이씨 집안은 대대로 벼슬과 문한이 끊이지 않고 문인학자들을 배출하였다. 聾巖 李賢輔 (1467~1555) 형제와 그의 아들대에 이르게 되면 안동 지역의 명망있는 가문으로 성장하게 된다. 특히 선대로부터 내려온 부모에 대한 효성과 형제간의 우애는 家風의 특징이 되어 후손들에게 전해졌다. 이문량은 이같은 家學的 배경 하에 出仕보다는 退處의 삶을 택하여 대부분 향촌에 기거하면서 부친과 아우들을 대신하여 집안의 대소사를 도맡아 경영하였다. 그러나 60세 때 잠시 관동지역의 平陵道 察訪직을 수행하면서 33수의 시를 지어 ‘平陵紀行’이라고 하였다. ‘평릉기행’의 시적 내용은 직책을 수행하면서 느끼는 즐거움보다는 낯설은 지역에서 느끼는 외로움과 客愁를 달래는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더 이상 관직생활은 그에게 무의미한 것이며, 궁극적으로 그가 원하는 삶은 고향으로 돌아가 아름다운 산수간을 노닐며 그 속에서 ‘참다운 즐거움[眞樂]’을 찾는 것이며, 부친인 농암의 九老會의 전통을 이어받아 孝養을 실천하는 것이었다. 특히 효양의 실천은 예안 영천 이씨의 가풍적 특징이며, 나아가 16세기 이 지역의 지성사와 풍속사의 한 특출한 면모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life and poetry world of Munryang Lee(1498~1581) known by his pen name Byeogo. His family of Lee which originated from Yeongcheon turned out literary scholars with successive government positions and literary arts after Heon Lee settled at Buncheon, Yean. Hyeon Lee worked as Soyun, an official position to Gungisi in charge of defense acquisition. His family of Lee came to be prestigious in the Andong region with the appearance of Munryang’s father Hyeonbo Lee(1467~1555) known by his pen name Nongam, his uncle and himself. His family was characterized by filial devotion and affection between siblings which were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Under such influence of his familial learning, Munryang Lee preferred secluded life to a public position. He mostly resided in his hometown and took care of all sorts of family matters for his father and younger brothers. However, at the age of sixty, he worked as Chalbang, a traffic official in Pyeongreungdo of the Gwandong area. At that time, he wrote thirty three poems, naming them ‘Traveling in Pyeongreung’. This anthology mostly expressed his loneliness and weary heart felt in a strange place rather than his delight at the performance of his public duties. He found it meaningless to lead a life of a public official. What he really wanted was to find ‘true pleasure’ in returning home and roaming amid beautiful mountains and streams, and to inherit the tradition of Gurohoe(a group of nine elderly men) and discharge filial duties. Above all, his family of Lee which originated from Yeongcheon was characterized by such filial devotion, which was remarkable in the intellectual and folkloristic history of the Andong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