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라톤의 『크리톤』에서 설득과 공감

        강철웅(Kang, Chol-Ung) 한국서양고전학회 2018 西洋古典學硏究 Vol.57 No.2

        이제까지 우리는 『크리톤』을 읽으면서 주로 『변명』과의 외견상 모순 해결 같은 고전적, 고답적인 문제에 부심해 왔다. 철학과 정치의 만남이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에서 문제화하는 거의 최초의 자리라 할 『크리톤』은 그러나 우리에게 훨씬 더 근본적인 차원의 문제를 제기한다. 다양한 가치의 공존과 경쟁 속에서 민주적이기를 요구받는 우리에게 소통의 문제를, 좁혀 말해 설득과 공감의 문제를, 이를테면 자기 확신과 열린 대화의 공존 가능성 여부를 화두로 던진다. 이에 이 글은 ‘설득’이라는 열쇳말을 중심으로 『크리톤』을 입체적으로 조명하고 음미한다. 우선 『크리톤』에는 층위가 다른 이야기들이 들어 있다는점을 확인하고(2절), ‘설득’이 그 여러 층위 이야기들을 관통하는 핵심 어휘임을 보이면서, ‘설득’ 관련 어휘들이 각 담론의 위상과 상호 관계 설정에 어떤영향을 주며 작품 전체의 통일적 메시지를 담아내는지를 ‘복종’과 ‘합의’ 개념을 중심으로 살핀다(3절과 4절). 이후 ‘설득’ 관련어의 용례가 결국 세 주요 담론의 배치를 일련의 ‘설득들의 경쟁’으로 규정한다는 것을 확인하면서, 개인-국가 간 설득이라는 새로운 논제가 작품 내에서 문제되고 부각되는 과정에 주목한다(5절). 끝으로, ‘의인(화된) 법률 연설’의 설득이 크리톤을 향한 설득이자 자기 설득으로 기능하는 이중성을 가진다는 데 주목하면서 소크라테스적 설득의 특징적 면모와 함축을 음미한다(6절). 이 글을 관통하는 주안점 가운데 하나는 내용-형식 간 긴장이다. 설득과 공감에 대한 철학적 성찰과 실천의 관건은 이야기의 내용 못지않게 이야기를 감싸는 형식과 맥락에도 비중 있는 관심을 할애하는 데 있다는 것이다. 이런 논의를 통해 결국 이 글은, 이론적으로는 의인법률 연설과 소크라테스 담론을 분리하려는 웨이스(R. Weiss) 계열 해석의 한계들을 드러내면서 『크리톤』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시도하고, 실천적으로는 설득과 공감이라는 소통의 과제를 안고 있는 오늘날 우리에게 자기 설득/확신과 열린 대화의 공존 가능성과 모델을 타진하고 모색한다. Up to now, in reading the Crito, we have mostly been preoccupied with some classical and abstruse problems, such as that of solving its apparent contradiction to the Apology of Socrates. But as a classical locus where the encounter between philosophy and politics in Plato’s Socrates took place and became problematic probably for the first time in Platonic corpus, the Crito poses us a problem in a much more fundamental level: it brings up for our reflection a point of communication, more specifically, one of persuasion and sympathy, e.g. a question of how self-conviction and open conversation can coexist with each other among us who, under the circumstances of multiple values coexisting and competing, are asked to be democratic. With this in mind, this article purports to illuminate and examine the dialogue Crito three-dimensionally, focussing on ‘persuasion’ as a keyword. First, I present and elucidate my observation that there are different levels among the several discourses which comprise the Crito (section 2). And, showing that ‘persuasion’ is the keyword which permeates all those discourses presented in different levels, I examine, focussing on the concepts of ‘obedience’ and ‘agreement,’ what influence persuasion-words exercise on the setting of the status of each discourse and interrelation thereof and how thereby they embody the unified message of the whole dialogue (section 3 and 4). And then, observing that the usages of persuasion-words end up with defining the setting of three main discourses as ‘a competition between persuasions,’ I make notice of the process how the new theme, i.e. the persuasion performed by and between an individual and his country, becomes problematic and eminent in this dialogue (section 5). Finally, noticing that the persuasion of the personified Laws is both that directed against Crito and that against Socrates himself, which means a sort of self-persuasion, I examine the characteristic features and implications of Socratic persuasion (section 6). One main focus which this article consistently adheres to is the tension between contents and forms of discourses: the essence and key of the philosophical examination and practice on persuasion and sympathy is paying a due attention not only to the contents of discourses but also to their forms and contexts. Theoretically, through such discussions this article ultimately purports to attempt the unified understanding of the Crito revealing the limitations of the interpretation after the manner of R. Weiss; practically, it searches for the compatibility between self-conviction/persuasion and open conversation and its model for us who have urgent tasks of improving our communication, i.e. persuasion and sympathy.

      • KCI등재

        고대 연설에 나타난 설득의 방법적 요소(pistis)에 관한 연구

        김윤희(Kim Yun-He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4

        고대 수사학이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연구된 시기가 1990년대를 거쳐 2000년대 이라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수사학을 수사학 자체로 다루는 연구, 특히 수사학의 핵심 영역인 설득을 본격적으로 다루는 연구는 부족하므로 현재 수사학의 본질인 ‘설득’의 핵심이 되는 ‘방법적 요소(pistis)’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논문은 설득의 핵심이 되는 방법적 요소인 ‘피스티스(pistis)’의 명확한 구성 및 요소들 간의 긴밀한 관계 파악을 목표로, 설득을 달성하게 하는 필수 요소인 에토스, 파토스, 로고스에 수반되는 특성과 관계를 수사학의 궁극적 목적인 설득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에는 설득을 최종 목표로 하는 에토스(?thos), 파토스(pathos), 로고스(logos)라는 세 가지의 방법적 요소가 존재한다. 여기서 에토스는 신뢰 및 성격을 통하여 설득을 달성하는 것이며, 파토스는 청자를 일정한 감정 상태에 이르게 함으로써 연설자의 주장을 받아플이도록 하는 것이고, 로고스는 말 자체의 논리를 통하여 입증하는 것이다. 이 세 가지 방법적 요소는 자신의 최종 목적이 되는 설득과 일정한 관계를 맺으며, 각자가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먼저, 설득을 위한 기초적인 단계로서의 에토스(?thos)는 청중에게 일정한 성격을 드러냄으로써 자신을 믿을 만한 사람, 즉 신뢰받을 만한 사람으로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연설자 자신이 덕스럽고, 호의가 있으며, 실천적인 지혜가 있는 사람으로 보이는 것이다. 다음으로, 대상 지향적 특성을 가지는 파토스(pathos)는 설득 대상인 청중의 유형에 따라 그들이 각 상황에 적절한 감정 상태를 가지도록 이끄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고대의 연설은 법정과 의회에서 그리고 국가예식의 장소에서 이루어졋으며, 이러한 장소는 그곳에 모이는 사람의 부류와 연관되어 있었다. 따라서 각 연설 장소에서 자신이 설득해야 할 대상을 파악해두고 적절한 감정을 이끌어내도록 하는 것은 연설자에게 필수적인 사안이었다. 마지막으로 로고스(logos)는 말 자체를 재료로 하여 논증하는 설득 방법이다. 이것은 논리적인 증명 방법의 형태를 유지하는 설득 수단이며, 개연성을 바탕으펄 하는 예증법(paradeigma)과 생략삼단논법이라고도 불리는 엔튀메마(enthym?ma)의 논증 방식으로 증명을 이루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에서 연설자는 이러한 에토스, 파토슨 로고스라는 방법적 요소들을 통하여 설득이라는 연설의 결과를 얻게 된다. 이 때 각각의 방법적 요소들은 자신의 고유한 효과를 발휘하는 과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설득이라는 결과에 도달하게 된다. 여기서 인지해야 할 것은 에토스, 파토스, 로고스의 세가지 요소는 단지 필요에 따라 취사선택되는 요소가 아니라는 점이다. 이것은 설득을 가져오는 필수 불가결한 요소라는 위치를 차지한다. 곧 설득의 세 가지 방법적 요소는 말의 효과인 설득을 위한 부수적인 부속물이 아니라 설득과 일정한 방식으로 관계를 맺고 있는 본질적인 요소라는 것이다. The classical Rhetoric in Korea has been investigated since the 1990s. There is, however, little research yet on the persuasion itself. It is time to study persuasion which is the core of Rhetoric, particularly means of persuasion called pistis which is the nature of persuasion in Aristotle’s Rhetoric. Accordingly, my aim of this study is to offer an analysis of pistis’s character and organization. The purpose of rhetoric in Aristotle is to investigate the power to know how to persuade people. Aristotle organized his Rhetoric to give the public speaker special knowledge and insight for persuasion. In Rhetoric an effective means of ?thos, pathos, and logos is the rhetorical proof which aims to persuasion. ?thos concerns belief and character, pathos arouses emotion, and logos is connected with the logical argument. These means are related to persuasion that is their ultimate aim in the specific ways. ?thos is the basic step of persuasion and it gives the audience belief. In ?thos the public speaker has to create the character and make the audience think that he has virtue, benevolence, and practical wisdom. pathos is the way to use emotion for persuasion. pathos derives an emotional changes from the audience and affects their judgement and choice. In the ancient Greece there was three kinds of speeches that are the court speech, the deliberative speech, and the ceremony speech. These speeche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audience. For appealing to emotion it wa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audience in public speaking. logos is the logical proof of persuasion and is the rhetorical means that concentrates on the contents of speaking itself. Speaker proves the argument by examples and enthymeme and results agreement from it. Therefore the result of speech, namely persuasion comes from the rhetorical means of ?thos, pathos, and logos. Then the rhetorical means can ultimately reach persuasion through belief and character, emotion, and agreement. However these means are not just an option for persuasion. They are the essential of the end of speech. In Aristotle’s Rhetoric ?thos, pathos, and logos are the essential of persuasion.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make clear that rhetorical means of ?thos, pathos, and logos are the essential of persuasion.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에 나타난 말의 능력(dynamis) 분석

        김윤희(Yun Hee Kim) 철학연구회 2012 哲學硏究 Vol.0 No.99

        Aristotle defined Rhetoric as ``the power(dynamis, ability)``, in each particular case, to see the available means of persuasion and organized it with ``the means of persuasion(pistis)`` in his Rhetoric. It was quite remarkable to undertaking his own Rhetoric which was the different levels of understanding from the Rhetoric of Sophists who were associated with specious argumentation strategies in ancient Greece. There is, however, little research yet on the power of speech itself since Aristotle`s Rhetoric in Korea has been investigated.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offer an analysis of the character of the power of speech and to define the essence of it in connection with the means of persuasion. Aristotle organized his Rhetoric through the three means of persuasion called pistis which consists of ethos, pathos, and logos. This pistis is related to persuasion and the power of speech in the specific ways. ethos is the basic step of persuasion and it gives the audience belief. In ethos the public speaker has to create the character and make the audience think that he has virtue, benevolence-good will, and practical wisdom. pathos is the way to use emotion for persuasion. pathos derives an emotional changes from the audience and affects their judgement and choice. logos is the logical proof of persuasion and is the rhetorical means that concentrate on the contents of speaking itself. Speaker proves the argument by examples and enthymeme and results agreement from it. In sum, ethos concerns belief and character, pathos arouses emotion, and logos is connected with agreement. These effects which are belief, emotion, and agreement come from the means of persuasion that are ethos, pathos and logos. So when audiences feel the power of speech, it is ``from the means of persuasion``. In other words, audiences judge that he has the power of speech when they are changed their mind ``by the speaker who used pistis``. Accordingly the power of speech doesn`t have power for it`s own sake but is judged by audiences based on how to use the means of persuasion. There is ``a probabl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e power of speech and the means of persuasion. The power of speech is the effect from the means of persuasion, and the means of persuasion is the cause of the power of speech. In addition, they are ``inseparable`` each other. There is an inseparability between the power of speech and the means of persuasion. So when the means of persuasion exist and operate, the power of speech also exists and operates. We can find the definition of the power of speech from these points: First, the source of the power of speech is using and activating the means of persuasion called pistis. Second, the power of speech doesn`t have the spontaneous ability. It depends on the means of persuasion. Consequently, the result of speech, namely persuasion ultimately comes from the rhetorical means of ethos, pathos, and logos. These means of persuasion are not just an option for persuasion. They are the crucial and essential factors in the power of speech. Conversely, the power of speech is not the spontaneous ability, and depends on using and activating the means of persuasion which are the source of it.

      • KCI등재

        스폰서십의 설득의도성에 대한 소비자 반응: 광저우 아시안 게임을 바탕으로

        임명서,김해룡,이문규 한국마케팅학회 2011 ASIA MARKETING JOURNAL Vol.13 No.2

        Over the last twenty years, sponsorship has been used very widely as an important marketing tool that enhances corporate image. Since it has proven to be effective in creating positive perceptions of the company, many marketers have sponsored a variety of consumer-related activities. However, sponsorship has also been criticized as it can be related to ambush marketing and excessive commercialism which trigger negative consumer responses. Unlike the existing study on the sponsorship marketing,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its negative effects.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persuasion knowledge model which was proposed by Fristed and Wright (1994) and investigated consumer responses to ulterior motive of sponsorship marketing. According to the persuasion knowledge model, consumers activate their persuasion knowledge to see the agent's commercial motive; there are several antecedents to the persuasion knowledge activation such as the source familiarity, the marketer's effort and the appropriateness of persuasion. Also, existing studies have pointed out the sponsor-event fit and the sponsor's integrity as crucial factors which influence consumer attitude. By taking a survey of people who watched the 2010 Guangzhou Asian Games, we tried to examine how the sponsor familiarity and the sponsor-event fit as pre-existing variables which have been formed based on the prior consumer knowledges/memories as well as the sponsor effort and the sponsor integrity as situational variables activated based on the specific persuasion episode influenced persuasion knowledge. We also tried to test the potential moderating role of sponsorship type (i.e., official sponsorship versus marketing focused) on the causal path from the persuasion knowledge and the consumer attitud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ppropriateness of persua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sponsor familiarity, the sponsor-event fit, and the marketer's effor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suasion knowledge activation, and the sponsorship type has moderating role in the sponsorship effectivene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스폰서십 활동은 기업의 선의의 활동이란 의미에서 기업이미지에 효과적인 설득수단으로 급성장하고 있다. 기존의 스폰서십의 연구들은 스폰서십 활동이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미치는 긍정적 후광효과(halo effect)를 주로 언급하고 있지만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는 스폰서십의 다양한 형태는 매복 마케팅과 같은 상행위적 윤리문제와 지나친 상업적 의도로 인해 소비자에게 부정적 인식을 심어주고 있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설득수단으로서의 스폰서십 활동에 숨겨진 상업적 의도에 대하여 소비자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Friestad와 Wright(1994)의 설득지식모델(the persuasion knowledge model)을 적용하였다. 설득지식모델에서는 에이전트의 상업적 의도 또는 판매 의도적 활동을 간파하기 위해 소비자가 설득지식을 활성화 시킨다고 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 참여했던 스폰서십 기업에 대한 서베이를 진행하여 설득지식모델을 토대로 설득지식 유발에 영향을 주는 사전적 요인으로서 스폰서의 친숙성, 스폰서-이벤트 일치성과 상황적 요인으로서 스폰서의 노력, 스폰서의 진실성이 설득지식에 미친 영향을 밝히고 설득시도의 적절성 차원에서 스폰서십 유형(공식후원형 vs. 마케팅 중심형)에 따라 소비자의 설득지식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스폰서의 친숙도와 스폰서-이벤트 일치성 그리고 스폰서의 노력은 설득지식에 매개되어 소비자태도에 영향을 주고 있음이 밝혀졌으며 또한 스폰서십의 유형의 차이는 설득지식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스폰서십 활동을 실시하려는 기업에 대한 실무적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설득적 글쓰기 교육을 위한 설득 수준의 상세화와 쓰기 전략 탐색

        양경희 ( Kyoung Hee Yang ) 한국작문학회 2016 작문연구 Vol.0 No.28

        의사소통 목적으로서의 설득은 독자의 심리적 반응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 그런 까닭에 필자는 독자의 내적 반응을 염두에 두고 설득하는 글을 써야 하는데, 이때 설득의 수준과 정도가 달라진다. 이 연구는 설득이 독자의 ``태도변화``를 의미하고 ``태도변화``가 정도의 문제임에 주목하여, 설득의 수준과 정도를 상세화함으로써 보다 실질적인 설득을 가능하게 하는 쓰기 교육 내용 연구의 기반을 다지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설득의 목적을 이해하고자 태도의 개념과 속성을 살펴 태도의 어떤 요소에 초점을 두는가에 따라 설득의 양상이 달라진다는 점과 독자의 태도는 방향성, 강도, 현저성에 따라 변화 정도가 달라진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설득의 수준을 상세화하였다. 그 다음에 설득의 수준에 따른 쓰기 전략 개발 가능성을 탐색하여 실제적인 설득적 글쓰기 교육 내용 마련을 위한 단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살리기 위해서는 추후 설득의 수준이 다루는 개념역을 보다 정교화하는 논의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설득의 수준에 따른 쓰기 전략도 탐색 수준에서 논의된 것이기 때문에 앞으로 논의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후속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Persuasion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response of audience. As such the writer must write in consideration of internal response of the audience, and here, the level of persuasion varies.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persuasion denotes ``attitude change`` of audience and that it is a matter of degree and targets to pave the way for education and training of practical and persuasive writing by specifying on the level and degree of persuasion.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urpose of persuasion, I inquired into the concept and property of attitude and confirmed that the form of persuasion varies depending on the focused element of attitude and the attitude of audience varies depending on the change in direction, strength and salience. Based on these facts, I specified the level of persuasion; then I delved into development potential of persuasive writing strategy to provide pointers for practical and persuasive writing education and training. To make most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may need a discussion that supports sophistication of concepts handled by level of persuasion. In addition, as the writing strategy of level of persuasion was discussed at the level of inquiry, we will need studies to increase the completeness of these discussions.

      • KCI등재

        상서류(上書類)에 드러난 설득 전략 양상과 교육적 적용 ― 『고문진보(古文眞寶)』 소재 산문을 중심으로

        조성윤,김윤정 국어문학회 2017 국어문학 Vol.66 No.-

        본고는 고문진보(古文眞寶) 소재 상서류(上書類)에 드러난 설득 전략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화법과 작문 교육에서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상서류에 드러난 설득 전략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자신의 주장을 강하게 어필하는 역설(力說)과 그것을 뒷받침하기 위해 근거로 드는 부언(附言)이 조화를 이루어, 상서에서 목표를 두고 있는 발언이 잘 전달될 수 있는 효과를 주는 전략이다. 둘째, 부언에 주목한 전략으로, 부언 속에는 정(情)에 호소하여 상대를 회유하는 관계 속에서의 감정, 상대가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이 들어 있는데, 이는 상대에 대한 칭송과 화자의 자찬(自讚) 전략으로 드러난다. 이러한 상서류의 설득 전략은 대체로 연설, 광고에만 국한 되어 사용되고 있는 설득과 관련된 국어 교육의 자료 예시의 범위를 넓힐 수 있고, 짧은 역설과 긴 부언의 설득 표현 방식은 설득의 표현 교육에서 완급 조절을 활용한 내용 구성의 전범으로 활용 가능하다. 또한 구체적 칭송과 겸손의 자찬은 감성적 설득 전략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화자의 공신력과 관련하여 상대의 마음을 얻고 공감을 이끌어내도록 이끄는 설득 교육 내용으로 활용 가치가 높다. 즉, 상서류는 화자와 청자 간의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설득의 화법・작문 교육에 지침을 주며, 이는 교육에서 궁극적으로 추구해야 하는 바이기도 하다. This paper analyzed the persuasive strategies that appeared in the papers of the ‘Sangseolue(상서류)’, and searched for ways to use them in speech and writing education. The persuasion strategies revealed in the papers can be divided into two major categories. First, a paradox that strongly appeals to his argument and a supplementary note to support it is the harmonized strategies that make effective use of sentences that are aimed at the superiors Second, it is a strategy that focuses on the admonition. In the admonition, there is the emotion in the relation of appealing to the affection and appealing to the opponent, and the content that the opponent can sympathize with, that can be revealed the strategy of the self-admiration. The persuasion strategies of these documents can broaden the scope of exampl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to the persuasion which is mainly used for speech and advertisement. In addition, the short paradox and long expressive persuasion expression method can be utilized as a constitutional component of the contents composition which uses the perfect control in the expression education of persuasion. In addition, specific praise and humility are highly valuable as persuasive education contents that lead to empathy and gain empathy with respect to the credibility of speaker by appropriately using emotional persuasion strategy. In other words, the papers provide guidelines for persuasive speech and writing educat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which should ultimately be pursued in education.

      • KCI등재

        설득 담화 속의 개념적 은유

        송병우(Song Byung-Woo) 국어국문학회 2008 국어국문학 Vol.- No.150

        Persuasion is generally prescribed by the speech act that stands on assertions. If so, we have to present the ground that based the assertion in order to assert self-opinion. That is why the personal assertion and opinion is biased so that it is not the fact that aroused sympathy from everyone. In this manner. the ground that gives the propriety to persuasion which stands on subjective views is the argument. The argument is the method that gives confidence to person's subjective assertions and opinions. Therefore, the argument is an effective thought and speech in the persuasion. Figuratively speaking, making a persuasive text is to seek for the argument, to arrange it and to put linguistic clothes on the argument arranged. Like this, the persuasion as the speech act starts from the argument and ends in it. Therefore, first of all, to observe how the persuasion is embodied in, it is effective to focus in what kind of the argument was used in the persuasion. The argument, however, is not clearly exposed in the persuasive act. Even though it comes out, most of them are indirect. For that reason, it is important to seek for the proper argument for the effective persuasion. If the place where the argument is in, however, is c1early seen, seeking it would be easier. In this point, the ancient rhetoricians called the place where the argument was hided topos. and c1assified the sorts. In spite of various efforts of the ancient rhetoricians, topos still has obscure aspects. That is why not only whatever can take out the argument can be topos, but also all of general premises can be topos. Such ambiguousness gives rise from the point that topos was leaded from common ideas or social customs. This study premises that a clue to form topos bases on the conceptual metaphor. This is that topos made from social customs and common ideas bases fundamentally on the conceptual metaphor, is raised by it, and grows up through it. And then it forms its own strong generality and propriety. To research it, in second chapter, we survey theories of the conceptual metaphor. It is a defini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ual metaphor. We try to reveal that the conceptual metaphor is not a figure in regard to linguistic expressions but a mechanism operating in the conceptual dimension. In third chapter, we observe a definition and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topos. We debate on the correlation between topos and the conceptual metaphor. In fourth chapter, we observe the conceptual metaphor and topos in Pyomun of Koryo History and prove how topos is formed by what kind of the conceptual metaphor is based on.

      • KCI등재후보

        수사학의 활용방식으로서 설교와 설득의 문제

        문영식(Moon, Young-Sik)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1 신학과 철학 Vol.- No.18

        본 논문은 수사학의 활용으로서의 설교에 나타난 설득의 문제를 고찰한다. 그러기 위해 먼저 수사학에 대한 이해의 역사를 간략히 살핀 후에 아리스토텔레스, 키케로 그리고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을 통해 수사학 일반에 있어서의 설득의 문제를 탐구하여 설득에 관계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 특히 에토스, 파토스, 로고스라는 설득의 요소에 주목한다. 그런 연후에 설교에 있어서의 설득의 문제를 더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설득의 세 가지 요소들의 개념이 세 사상가를 통해 역사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살펴본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그리스도교의 한 연설 양식인 설교의 위치로 말미암아 어떻게 아우구스티누스가 아리스토텔레스와 키케로의 고전 수사학에서 논의된 설득 요소들의 개념을 그리스도교적으로 변용하여 발전시켜 중세 수사학을 정초했는지 밝힌다. 즉 여러 연설 형식 안에서 설득의 문제에 천학한 고전 수사학은 그리스도교와의 조우를 통해 중세 초기에 새로운 전환을 맞이하는데 그것은 특히 수사학이 설교에서 활용되었기 때문이었다. 설교는 설교자가 연설을 통해 성경에 담긴 신의 메시지를 청중들에게 전달하는 행위인데 그때 교화와 즐거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교의 교의를 가르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따라서 그리스도교 수사학은 고전 수사학이 천착한 설득의 요소를 계승하여 그리스도교의 삶의 요구에 따라 변용하였고, 특히 설교라는 종교 활동 안에서 효과적으로 진리를 전달하고 설득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This paper considers the problem of persuasion in sermon as an application of rhetoric. For that purpose, first, it briefly looks into the history of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rhetoric. After that, through the works of Aristotle, Cicero and Augustinus, it investigates into the problem of persuasion in rhetoric in general to recognize factors involved in persuasion. It especially pays attention to three elements of persuasion: ethos, pathos, and logos. To gain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of persuasion in sermon, it explores how the three elements were conceptualized historically in three thinkers. In this way, the paper shows how Augustinus, through a consideration of sermon that is a mode of speech in Christianity, came to found the medieval rhetoric by transforming and developing the conception of three elements of persuasion in the classical rhetoric of Aristotle and Cicero. That is, the classical rhetoric, which engaged in the problem of persuasion in various forms of speech, is transformed through an encounter with Christianity, especially because it came to be applied in sermon. Sermon is a speech in which the preacher delivers the divine message in the Scripture to the audience, and which aims at not only providing edification and entertainment but also teaching Christian doctrines. Therefore, having adapted the elements of persuasion in the classical rhetoric to the demands of the Christian life, the Christian rhetoric especially in sermon played a role of effectively transmitting truth and persuading people.

      • KCI등재

        대학조직에서의 설득과 혁신저항 간의 관계: 지각된 위험의 매개효과 검증

        백정훈,신진교,여경환 한국산업경영학회 2020 경영연구 Vol.35 No.3

        In the 21st century, Korean universities face various challenges, including a drop in the number of students. To overcome this, universities are demanding innovation, and conflicts around this innovation are happening In almost every university. This study focused on the role of persuasion as a way to reduce innovation resistance from the point of view that it must be less resistant to innovation to be successful. In particular, the focus was not on the simple relationship between persuasion and innovation resistance, but on the type of persuasion that could reduce innovation resistance.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llected and analyzed for 216 university staff in the country. In order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normality test, and the common method bias were conduc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ersuasive type on innovation resistance. The results showed that rational persuasion had a negative effect on innovation resistance, while coercive persuasion had a positive effect. In the end, we found that the degree of resistance to innovation in an organization can vary depending on the form of persuasion. In addition, perceived risk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ational persuasion and innovation resistance, coercive persuasion and innovation resistance. 21세기 한국의 대학은 학생 수의 감소 등 다양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대학은 혁신을 요구받고 있고, 이 혁신을 둘러싼 갈등이 거의 모든 대학에서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혁신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혁신에 대한 저항이 적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혁신저항을 줄일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서의 설득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특히 설득과혁신저항의 단순한 관계가 아닌, 혁신저항을 줄일 수 있는 설득의 유형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 교직원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정규성 검정, 동일방법편의 검정 등을 실시하였다. 혁신저항에 대한 설득유형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합리적 설득이 혁신저항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압박형 설득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센티브 설득은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국 조직의 혁신에 대한 저항은 어떠한 형태로 설득하느냐에 따라 그 정도가 달라진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 설득 또한 구성원을 잘 납득시키는 방향으로 가야하고 강압적 방식을 취한다면 오히려 혁신저항을 부추길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지각된 위험은 합리적 설득과 혁신저항, 압박형 설득과 혁신저항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설득의 유형과 혁신저항의 관계는 그들이 혁신을 얼마나 위험하다고 지각하는가에 따라 그 관계가 강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국어학 : 광고 텍스트에 나타난 설득 화행의 표현 양상 연구

        전정미 ( Jung Mi Jeon ) 겨레어문학회 2007 겨레어문학 Vol.38 No.-

        대화행위 이론은 대화가 단지 말의 차원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행동이나 관계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임을 이해하게 하였다. 대화에 참여하여 말하는 사람이 무엇인가를 이야기하는 것은 결국 지향하는 ``결과행위(perlocutionary act)``에 도달하기를 바라는 의도를 드러내는 ``수행행위(illocutionary act)``라는 점에서 대화행위는 이 세상에서 일어나는 활동으로서 기존의 상태에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광고 텍스트에 나타난 설득의 표현을 대화행위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설득을 한다는 것은 화자가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메시지를 통하여 청자로부터 의도된 행동을 유발시키는 역동적인 과정이다. 곧 설득이라는 수행행위를 통하여 광고 텍스트의 청자가 되는 소비자의 구매가 결과행위로 나타나기를 기대하는 대화행위가 설득 화행이다. 광고 텍스트에 나타난 설득 화행의 표현 양상을 의사소통에 관여하는 요소인 화자, 청자, 메시지를 기준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설득 화행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청자에게 신뢰감과 친밀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특히 청자의 신뢰감을 높이는 데에 활용하는 방법으로는 화자의 능력을 이용하거나 메시지 자체의 타당성이나 논리성을 강조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화자의 명성을 드러내거나 능력을 과시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메시지의 타당성이나 논리성을 강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설득의 이유나 정확한 수치를 제시하여 메시지의 내용이 객관적임을 강조한다. 이와 같은 결과와 더불어 설득 화행에서는 청자의 욕구 수준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show how a speech act of persuasion as a pragmatic strategy, which is based on an advertising text of persuasion. Persuasion is done by interacting with each constituents, and the pragmatics strategy of persuasion are classified into the speaker-oriented strategy, the listener-oriented strategy, and the message-oriented strategy. The speaker-oriented strategy is to persuade the listener by using of power or status. This strategy is often expressed as a type of reward or punishment, showing off his power. The listener-oriented strategy is to involve the listener in the process of persuasion, as the speaker expressed the intimate relations between them. In order not to hurt listener`s honor, the speaker does a favor for the listener or makes to be close relationship. And the message-oriented strategy is to persuade the listener by proving that this message is valid. Persuasion is a type of speech communication which consists of logical, emotional facts and its interaction. Even though we have the best method of persuasion, we can not meet with good results in persuasion and continuous human relationship without thoughtful consideration of others feelings. However, I hope that comprehensive studies on largely spoken corpus and special features of pan-linguistic speech acts of persuasion will be done based o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