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단절 및 거절도식과 결혼만족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배우자지지의 매개효과: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 검증

        양서연(Yang Seo Yeon),최한나(Choi Han Na) 숭실대학교 부부가족상담연구소 2020 가족과 상담 Vol.10 No.1

        본 연구는 단절 및 거절도식과 결혼만족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배우자지지의 매개역할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결혼기간이 1년 이상인 부부 458명(229쌍)을 대상으로 단절 및 거절도식 척도, 지각된 배우자지지 척도, 개정판 부부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t: APIM; Kenny, 1996)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절 및 거절도식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모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절 및 거절도식이 지각된 배우자지지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배우자지지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우선 남편과 아내의 자기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아내의 상대방효과는 유의하게 나온 반면, 남편의 상대방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단절 및 거절도식과 결혼만족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배우자지지의 매개효과 중 자기효과는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지각된 배우자지지의 상대방효과는 남편과 아내 간 성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지각된 배우자지지는 아내의 단절 및 거절도식과 아내와 남편의 결혼만족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지각된 배우자지지는 남편의 단절 및 거절도식과 아내의 결혼만족을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부상담 및 결혼상담에 대한 시사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marit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229 couples married for more than a year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APIM(Actor-Partner Interdependent Model; Kenny, 1996). The results indicated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has no relation to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in marriage satisfaction. Second,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was related to both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in perceived marital support.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 regards to both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when perceived marital support influences on marriage satisfaction. Both genders’ actor effect was related to marriage satisfaction through perceived marital support. However, while wives’ partner effect had an impact on marriage satisfaction through perceived marital support, husbands’ did not. The results indicated actor effect existed in the mediator effect of perceived marit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marriage satisfaction. However, wives and husbands partner effect on perceived marital suppor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results indicated perceived marital suppor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wives’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both wives’ and husbands’ marriag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perceived marital support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s’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wives’ marriage satisfaction.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신혼기 부부의 자기침묵과 결혼만족도 관계에서 지각된 배우자 지지의 매개효과: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검증

        강예나,장재홍 한국상담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6 No.3

        본 연구는 신혼기 부부 관계에서 남편과 아내의 자기침묵이 지각된 배우자 지지를 매개로 결혼만족도에 이르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157쌍의 신혼기 부부를 대상으로 APIMeM 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침묵이 지각된 배우자 지지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남편과 아내 모두 부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지각된 배우자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는 남편과 아내에서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하였고 상대방효과는 아내만 정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남편의 자기침묵이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에서 남편과 아내의 지각된 배우자 지지가 매개하였지만, 아내의 자기효과 경로에서는 아내의 지각된 배우자 지지만 매개하였다. 넷째, 남편의 자기침묵이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상대방효과에서 아내의 지각된 배우자 지지만 매개하였고, 아내의 상대방효과에서는 남편과 아내의 지각된 배우자 지지가 모두 매개하였다. 이는 결혼 만족을 위해 남편과 아내 모두 자기침묵을 하지 않도록 개입하는 것이 중요하며, 남편은 본인과 아내 모두 배우자로부터 지지를 잘 받고 있다고 지각하는 것이 중요한 반면, 아내는 본인이 남편으로부터 지지를 잘 받고 있다고 지각하는 정도가 중요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athways from self-silencing to marital satisfaction in newlywed couple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marital support. Path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 on 157 newlywed Korean coup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self-silencing on perceived marital support were negatively significant for both husbands and wives. Second, the actor effects of perceived marital support on marital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significant for both spouses, while the partner effects were positively significant only for wives. Third, both the husband’s and the wife’s perceived marital support mediated the husband’s actor effect and the wife’s perceived marital support mediated only the wife’s actor effect. Fourth, the wife’s perceived marital support mediated the husband’s partner effect and both the husband’s and the wife’s perceived marital support mediated the wife’s partner effect.

      • KCI등재

        부적응 도식과 일상적 스트레스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부부 지지의 매개효과

        김시연,서영석 한국상담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0 No.4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test theoretically based models in which maladaptive schema and daily hassle were 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and those relationships were mediated through perceived marital support. The authors also examined whether these relationships differed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participants (i.e., husbands and wives). Our results based on a sample of 187 married couples indicated that maladaptive schema and daily hassle effects on marital satisfaction were partially mediated through marital support. In additi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tudy variables differed for husbands and wives. For husbands, marital support mediated the link between daily hassle and marital satisfaction, whereas this mediating effect was not found in the link between maladaptive schema and marital satisfaction. For wives, however, marital support mediated the link between maladaptive schema and marital satisfaction, whereas this mediating effect was not found in the link between daily hassle and marital satisfaction.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들과 이론들을 기초로 결혼관련 변인들(부적응 도식, 일상적 스트레스, 부부지지, 결혼만족) 간 관계에 대한 통합적 모형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부적응 도식과 일상적 스트레스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지각된 부부 지지가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또한, 이러한 구조적 관계가 남편집단과 아내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187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초기 부적응 도식 척도,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배우자 지지 척도, 결혼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부적응 도식과 일상적 스트레스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지각된 부부 지지가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구변인들간의 관계는 남편집단과 아내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우선, 남편집단에서는 부부 지지가 일상적 스트레스와 결혼만족 간 관계를 매개하였으나 부적응 도식과 결혼만족 간 관계는 매개하지 않았다. 반면, 아내집단에서는 부부 지지가 부적응 도식과 결혼만족 간 관계는 매개하였으나 일상적 스트레스와 결혼만족 간 관계는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결혼 상담에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단절 및 거절도식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배우자지지의 매개효과: 자기-상대방효과

        강지영,이인수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자신이 지각하는 배우자지지가 단절 및 거절도식이라는 기제의 영향을 받아 부부 쌍방의 부부친밀감 형성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고찰해보고자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 pendence Model: APIM)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 경기, 전남에 거주하는 20대∼70대의 부부 247쌍(N=494명)으로 유의표집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단절 및 거절도식이 배우자지지, 부부친밀감과는 부적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남편의 단절 및 거절도식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은 자신이나 상대방인 부인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부인의 경우는 자신의 부부친밀감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부 상호간 변인들 간의 효과에서는 남편은 모든 변인들이 자신과 부인에게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나, 부인의 경우 단절 및 거절도식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자신에게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있으나 상대적으로 남편에게 미치는 영향은 지각된 배우자지지에서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정서적 표현이 자유롭지 못한 남편들의 경우 지각된 배우자지지를 통한 부부친밀감을 매우 영향력 있게 지각하는 반면, 부인의 경우 스스로 느끼는 돌봄이나 안정감이 친밀감 형성에 기여함으로써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남편의 도식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how the perceived marital support is influenced by the mechanism of early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marital intimacy of both married couples. Therefore, this was analyzed through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7 couples (N=494) among the 20s∼70s, living in the districts of Seoul, Gyeonggi, Jeonn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was found to be high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rital support and marital intimacy. Second, the husband's initial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ffected the intimacy of himself or his wife's, but the wife's did only the intimacy of herself.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between the variables of husband and wife, in the case of husband all the variables had direct or indirect influence on the husband and the wife. In the case of the wife, the effect of the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on the marital intimacy had a direct effect on the actor, but the partner influence on the husband was found only in the perceived marital suppor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the case of husbands who are not free of emotional expressions, they can feel the intimacy of married couples through the support of their spouses very strongly. Also, since the sense of care or secure that wives themselves feel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intimacy, husbands' schema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ir marital intimacy.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SNS 상향비교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양육불안과 지각된 배우자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채원(Chae Won Park),강지현(Ji Hyeon Kang) 인지발달중재학회 2024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5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SNS 상향비교가 양육불안을 통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배우자 지지가 미치는 영향을 살피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유아기 자녀가 있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SNS 상향비교, 양육불안과 지각된 배우자 지지를 온라인설문 방식으로 육아 커뮤니티 지역 맘카페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연구 목적에 맞게 선별 단계를 거친 후 총 364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IBM SPSS 25.0과 SPSS PROCESS (ver 4.1)를 통해 기술통계 분석, 상관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적용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SNS 상향비교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결과 SNS 상향비교와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양육불안이 부분매개하였다. 셋째, 양육불안과 양육효능감의 관계를 지각된 배우자 지지가 조절하였으며, 이는 지각된 배우자 지지가 평균 이상인 경우에만 유의했다. 넷째, 지각된 배우자 지지가 평균 이상인 집단에서만 SNS 상향비교와 양육효능감의 관계를 양육불안이 매개할 때, 양육불안과 양육효능감의 관계를 지각된 배우자 지지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SNS를 통해 상향비교를 함으로써 양육효능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SNS 사용 전략, 배우자 지지, 그리고 양육 불안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아울러 배우자 지지가 작용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심리적 요인에 대한 추가적 탐색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infant mothers’ SNS upward comparison on parenting efficacy through the mediation of parenting anxie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marital support. Methods: A total of 364 mothers of young children (aged three, four, and five years) completed measures to assess their self-evaluation of parenting efficacy, SNS upward comparison, parenting anxiety, and perceived marital support. Results: First, the main effect of the upward comparison of SNS scores on parenting efficacy revealed significant results. Second, parenting anxie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upward comparisons and parenting efficacy. Third, perceived marital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nxiety and parenting efficacy, and this moderating effect was significant only when perceived marital support was above average. Fourth, the process of upward SNS comparison affecting parenting efficacy mediated by parenting anxiety was moderated by perceived marital support,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significant when perceived spousal support was above averag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o prevent a decline in parenting efficacy owing to upward SNS comparison among mothers of young children, implementing appropriate SNS usage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in marital support and parenting anxiety is necessary.

      • KCI등재

        목회자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지각된 배우자 지지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박지연(Ji-Youn Park),주수산나(Susanna Joo) 한국가족치료학회 2021 가족과 가족치료 Vol.29 No.3

        본 연구는 목회자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및 목회 관련 특성과 결혼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고, 지각된 배우자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목회자 부부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N=172쌍).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와 더불어 부부자료 분석에 적합한 APIM(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목회자 부부의 결혼만족도는 남편이 아내보다 높았고, 결혼기간이 5-10년인 목회자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도가 다른 집단보다 모두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리고 목회자 남편의 결혼만족도는 아내의 학력이 전문대 이하의 경우가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지각된 배우자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목회자 부부인 남편과 아내에게서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에서의 성차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남편과 아내 모두 상대방효과보다 자기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상담 및 교육 현장에서 배우자를 지지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과 이를 인식할 수 있는 전략들을 다루는 것이 목회자 부부의 결혼만족도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ssociations between sociodemographic and pastoral characteristics and marital satisfaction, as well as to examine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perceived spousal support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Protestant pastoral couples. Methods: Data derived from a sample of 172 pastoral couples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OVA, and APIM employing SPSS 25 and AMOS 25. Results: Findings showed that the husband s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the wife s. The marital satisfaction of both husband and wife, who had been married for 5-10 years, wa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other groups. Marital satisfaction of the husban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se of the wife s educational background being below the junior college level than being at the college level or higher. Second, the actor effect and the partner effect of perceived spousal support on marital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in both husband and wife. Third,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actor effect and the partner effec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both husband and wife showed that the actor effect was larger than the partner effect. Conclusions: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ealing with specific ways to support spouses and applying practical strategies to recognize spousal support can help to improve the marital satisfaction of pastoral couples in counseling and education settings.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가 양육 불안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배우자 지지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이애선,정여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7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Marital Support and Self-Compassion on the effects of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on Parenting Anxiety.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Attachment Anxiety Scale, Attachment Avoidance Scale, Parenting Anxiety Scale, Perceived spouse support scale, and self-compassion scale from 349 mothers with children in childhoo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method was used using SPSS 22.0 and Amos 22.0, and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Result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pouse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parenting anxiety was confirmed.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parenting anxiety. Third, in the effect of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on parenting anxiety, the perceived double mediating effect of spouse support and self-compassion was confirmed. Conclusions By confirming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Marital Support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Parenting Anxiety, theoretical and empirical evidence was prepar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related to Parenting Anxiety, and counseling to treat Parenting Anxiety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information for effective therapeutic hypotheses and interventions in practice.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가 양육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배우자 지지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 349명을 대상으로 애착 불안 척도, 애착 회피 척도, 양육 불안 척도, 지각된 배우자지지 척도, 자기자비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데이터의 통계분석은 SPSS 22.0 및 Amos 22.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와 양육 불안의 관계에서 지각된 배우자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애착 불안과 양육불안과의 관계에서 자기 자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가 양육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배우자지지와 자기 자비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론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와 양육 불안의 관계에서 지각된 배우자 지지와 자기자비가 매개역할 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양육 불안과 관련된 각 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이고 경험적인 증거를 마련하였으며, 양육 불안을 치료하는 상담 실제에서의 효과적인치료적 가설과 개입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마인드풀니스, 정서조절, 지각된 배우자지지, 결혼만족간의 구조적 관계

        정문경,김병석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개인의 내적특성이 배우자지지에 대한 긍정적인 지각이라는 대인간변인을 통해 결혼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긍정적인 개인내적 변인인 마인드풀니스와 정서조절이 대인간 변인인 지각된 배우자지지를 매개로 결혼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통합하는 맥락모델을 구성하였고, 이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총 284쌍의 부부들에게 마인드풀니스 척도, 정서조절 척도, 지각된 배우자지지 척도, 결혼 만족도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마인드풀니스와 정서조절이 결혼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모형에 비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모형이 보다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부체계가 개인과 관계의 상호의존적인 관계로 구성이 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부부관계에 대한 연구는 개인의 심리적 특징과 부부간 상호작용 과정 등을 통합하여 연구해야 한다는 맥락모델의 타당함을 입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추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osely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having influence upon marital satisfaction with the contextual model of integrating intra-personal model and interpersonal model. Based on this, the contextual model was formed, which integr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indfulness, emotional regulation, perceived spous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For this, it carried out questionnaire, which was composed of mindfulness scale, emotional regulation scale, perceived spousal support scale, and marital satisfaction scale, targeting totally 284 coupl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was confirmed through analy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consequence of verifying research model 1, which is partial mediation model, and research model 2, which is complete mediation model, as for whether the mindfulness and the emotional regulation have indirect influence by having the perceived spousal support as medium, the more concise complete mediation model was confirmed to be more proper. This result proved the validity of contextual model as saying that a research on conjugal relations needs to be performed by integrating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marital interaction process. In conclusion, the import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스트레스, 배우자지지, 결혼만족 간 관계: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 검증

        김시연,서영석 한국여성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5 No.2

        본 연구는 스트레스-대처이론과 결혼만족 관련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지각된 배우자지지가 스트레스와 결혼만족 간 관계를 매개하는 인과적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배우자간 상호작용을 규명하기 위해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Kenny, 1996)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187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배우자지지 척도, 결혼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우선 스트레스 → 결혼만족, 스트레스 → 배우자지지, 배우자지지 → 결혼만족의 모든 경로에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우자지지가 스트레스와 결혼만족 간 관계를 매개하는 부분매개모형이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드러났다. 배우자지지의 매개효과와 스트레스 및 배우자지지의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를 Sobel 검증을 통해 확인한 결과, 먼저 남편과 아내의 스트레스는 배우자지지를 매개로 상대 배우자의 결혼만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남편과 아내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남편들에게서는 자기효과가 더 큰 반면 아내들에게서는 상대방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 남편과 아내 간 성차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결혼 상담에 대한 시사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