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RT 이용이 확산되는 이유

        송상현,나준희 한국상품학회 2019 商品學硏究 Vol.37 No.6

        With the opening of SRT Suseo Station, people in Seoul and eastern Gyeonggi Province can use the bullet train very conveniently. It was very useful for the local people in terms of distance.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SRT would benefit users in accordance with the quality of service in SRT, and the quality of service was divided into economy, rapidness, accessibility, tangible and human service. The continued use of SRTs, meanwhile, should at least be able to recommend them to others. This study set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of the SR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mediator of this study set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y of use. The study found that the economy of SRT was significant for perceived usefulness, but not for perceived easy of use. The accessibility of SRT Suseo station was significant for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y of use. The rapidness of SRT was significant for perceived usefulness, but not for perceived easy of use. The tangible of SRT was significant for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y of use. The human service of SRT was significant for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y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y of use were significant for recommendation intention. SRT 수서역이 개통됨에 따라 서울과 경기 동부의 사람들은 고속열차를 매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해당 지역민에게는 거리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용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SRT의 어떤 서비스 품질이 이용객에게 어떤 편익을 제공하는 지를 파악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RT의 서비스 품질을 경제성, 신속성, 접근성, 유형성, 인적 서비스로 구분하였다. 한편, SRT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최소한 다른 사람들에게 추천하는 마음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RT 이용에 대한 추천의도를 종속변수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의 매개변수로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이용용이성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SRT 이용의 경제성은 지각된 유용성에는 유의하였으나 지각된 이용용이성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SRT 수서역에 대한 접근성은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이용용이성에 모두 유의하였다. SRT의 신속성은 지각된 유용성에는 유의하였으나 지각된 이용용이성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SRT의 유형성은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이용용이성에 모두 유의하였다. SRT 승무원의 인적 서비스는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이용용이성에 모두 유의하였다.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이용용이성은 추천의도에 모두 유의하였다.

      • KCI등재

        기술수용모형을 기반으로 직업탐색효능감과 직업방송의 유용성, 용이성이 시청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정애경,민경일,홍유나,이혜선,김지심 한국직업교육학회 2011 職業 敎育 硏究 Vol.30 No.2

        This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job search self-efficacy,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y of use on WorkTV viewers'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total of 1,033 WorkTV viewers participated in the web survey. A hypothetical model was proposed, which was composed of job search self-efficacy as exogenous variables,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y of use as intervening endogenous variable, and WorkTV viewers' satisfaction as endogenous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job search self-efficacy significantly affecte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y of use. On the other hand, job search self-efficacy didn't affect WorkTV viewers' satisfaction. Secon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y of use also significantly affected WorkTV viewers' satisfaction. Third, job search self-efficacy was verified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y of use, and satisfaction. Based upon these results, some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for improving its quality and services of WorkTV.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수용모형을 기반으로 직업탐색효능감과 직업방송의 유용성, 용이성이 직업방송 시청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H사의 직업방송을 시청하는 1,033명의 시청자를 대상으로 2010년 11월 24일부터 일주일간 홈페이지 및 뉴스레터를 통해 웹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청자 특성 중 시청자가 인식하는 직업탐색효능감을 외생변인으로, 매개변인은 직업방송에 대한 유용성과 이용용이성으로, 종속변인은 향후이용의도를 포함한 만족도를 포함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탐색효능감은 유용성과 이용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업탐색효능감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용성과 이용용이성 역시 만족도에 각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업탐색효능감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유용성과 이용용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직업탐색효능감은 유용성을 통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며, 이용용이성을 경유하여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직업방송의 질을 향상시키고 서비스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광고매체로써 공유자전거 디지털 사이니지의 수용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형해초,고한준 한국OOH광고학회 2018 OOH광고학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ceptability of digital signage, a shared bicycle advertising signage, which is emerging as a new means of transportation in the Chinese market. For this research objective, this study used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a number of factors on the acceptance process of the shared bicycle digital signage. These factors are perceived risk,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i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ssumption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iness of using of the shared bicycle digital signage would affect the usage attitude and int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is study. In other words, bot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iness have positive effects on usage attitude, and perceived useful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use. Second the usage attitude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intention to use, and the perceived easiness of use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Finally, this study showed that perceived risk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usage attitude and intention to us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iness of use, and perceived risk of new advertising medium are grasped in the future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하여 중국 시장에서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부상하고 있는 공유자전거의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에 대한 수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기술 수용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이 아직 실행되기 전인 공유자전거 디지털 사이니지의 수용과정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소비자의 공유자전거 이용여부가 디지털 사이니지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먼저 공유자전거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디지털 사이니지 이용태도 및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각된 위험은 지각된 유용성이나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마찬가지로 혁신수용에 대한 태도와 수용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새롭게 도입하고자 하는 공유자전거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에 있어서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위험의 효과를 파악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서울 지하철 발전방안: 외국인 이용자의 관점에서

        한웅택,나준희 한국유통경영학회 2018 유통경영학회지 Vol.21 No.6

        In terms of distribution as a concept related to flow, the concept of distribution is becoming broader. One of these is transportation. The use of facilities is also transportation, and the mobility of people is also transportation. In recent years, foreigners are visiting the country greatly. Accordingly, the use of Seoul subway by foreign visitors is increasing greatly. According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study the use of Seoul subway that foreigners think. This study classified subway use factors into timeliness, connectivity, safety, convenience, and aesthetic. We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using the subway and perceived usefulness, between factors using the subway and perceived easy of use. And we looked at perceived usefulness, usability, and recommend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imeliness, connectivity, safety, convenience and aesthetic were positive about perceived usefulness. Timeliness, connectivity, safety and convenience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asy of use.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 and perceived easy of use was not significan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y of use were positive for the recommendation. 유통이 흐름과 관련된 개념이라는 측면에서 유통의 개념이 광범위해지고 있다. 이 중의 하나가 교통이다. 시설물의 교류도 교통이지만 사람의 교류도 교통이다. 최근 들어 외국인들이 국내 방문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외국인 방문객의 서울 지하철 이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외국인들이 생각하는 서울 지하철의 이용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지하철 이용요인을 정시성, 연계성, 안전성, 편의성, 심미성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지하철 이용요인의 지각된 유용성, 지하철 이용요인과 지각된 이용용이성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지각된 유용성, 이용용이성과 추천의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서울 지하철의 정시성, 연계성, 안전성, 편의성, 심미성은 외국인들이 느끼는 서울 지하철의 지각된 유용성과 긍정적인 관계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서울 지하철의 정시성, 연계성, 안전성, 편의성 역시 외국인들이 느끼는 지각된 이용용이성에 긍정적인 관계임을 파악하였다. 그러나 심미성과 지각된 이용용이성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이용용이성의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모바일 간편 결제서비스가 지각된 가치를 매개로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구통계변수의 조절효과

        하재원,김건하 서비스마케팅학회 2024 서비스마케팅저널 Vol.17 No.2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온라인 소비 급증은 모바일 간편 결제서비스의 활용 확대를 촉진하였으며, 이후 오프라인 활동 재개에도 소비자들은 온라인 환경에서 익숙해진 결제 방식을 오프라인에서도 활용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오프라인 결제시장 진출을 모색하며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간편 결제서비스의 지속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유용성, 즐거움, 이동성, 인지된 스트레스, 학습비용, 개인정보 유출위험, 기존 결제수단의 만족도로 설정하였으며, 지각된 가치를 매개 변수로, 지속 사용의도를 종속변수로 구성하였다. 또한,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조절 효과와 그룹 간 지속사용 의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용성, 즐거움, 이동성은 지각된 가치를 통해 지속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된 스트레스, 학습비용, 개인정보 유출위험, 기존 결제수단의 만족도는 지각된 가치를 통해 지속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성별에 따른 조절 효과 분석 결과, 유용성과 즐거움이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남성이 여성보다 더 강하게 나타났다. 반면, 연령에 따른 조절 효과 분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 간 지속 사용의도의 평균 차이 분석 결과, 20~30대 남성 그룹이 40~50대 남성 그룹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지속 사용의도를 보였다. 그러나 다른 그룹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모바일 간편 결제서비스의 확산과 사용자 기반 강화를 위한 실무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rapid increase in online consumption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promoted the expansion of mobile easy-payment services, and even after the resumption of offline activities, consumers want to use the payment methods they have become accustomed to in the online environment offline. Accordingly, companies are strengthening their competitiveness by seeking to enter the offline payment market. This study set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mobile easy-payment services as usefulness, enjoyment, mobility, perceived stress, learning cost,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risk, and satisfaction with existing payment methods, and the perceived value as a parameter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was composed as a dependent variable.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gender and age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between groups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usefulness, enjoyment, and mobil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rough perceived value, and perceived stress, learning cost,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risk, and satisfaction with existing payment method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rough perceived valu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gender, the effect of usefulness and enjoyment on perceived value was stronger in men than in wome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ag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verage difference in intention to continue using between groups, the male group in their 20s and 30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an the male group in their 40s and 50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ther group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practical data for the spread of mobile easy-payment services and strengthening the user base.

      • KCI등재

        스마트폰의 제품 특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경험 및 브랜드가치의 매개적 역할

        최철재,왕칭 한국유통경영학회 2017 유통경영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스마트폰 소비자가 유용성, 용이성 및 유희성으로 구성된 스마트폰의 특성에 대한 지각이 브랜드와 관련된 경험 및 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브랜드경험 및 브랜드가치와 브랜드충성도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함으로써 브랜드경험 및 브랜드가치의 매개역할을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85명 중국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SPSS 21.0 및 AMOS 21.0를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자료의 신뢰도, 수렴타당도 및 판별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델분석(SEM)으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가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유용성은 브랜드경험과 브랜드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지각된 용이성은 브랜드경험과 브랜드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지각된 유희성도 브랜드경험과 브랜드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넷째, 브랜드경험은 브랜드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보인 반면 브랜드충성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다섯째, 브랜드가치는 브랜드충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유희성은 브랜드가치를 통해 브랜드충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브랜드경험을 통해 브랜드가치에 영향을 줌으로써 결국 브랜드충성도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 관련된 업체들은 중국 스마트폰 소비자가 유용성과 유희성을 높게 지각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자사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주관반응과 높은 가치지각을 강화하여 소비자와 충성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마케팅전략을 계획하고 실행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how users’ sensation of the smartphone characteristics, consisting of usefulness, easy of use, playfulness, can influence the brand experience and brand value. Moreover, an explanation was carried out regarding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experience and brand value,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rand loyalty and brand experience, brand value. 285 Chinese smartphone users were employed as respondents for the research questionnaire. Statistical analysis tools, such as SPSS 21.0 and AMOS 21.0, were utilized for ensuring the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is essay, whereas the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was used for testing the research hypothesis. The outcom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users’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playfulness brings positive effect to brand experience and brand value. Secondly, perceived easy of use does not affect brand experience, nor brand value. Thirdly, perceived playfulness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brand experience and brand value. Fourthly, brand experience influences brand value in a positive way, however, it has no impact on brand loyalty. Finally, statistics showed that brand loyalty is related to brand value positively. To sum up, uses’ perception of usefulness and playfulness may result in direct influences on brand loyalty through brand value, or it may have influences through an indirect path from brand experience to brand value, and ultimately to brand loyalty. Therefore, following with the above outcomes, Chinese smartphone markers can further strength customers’ loyalty to their brand by improving their brand evaluation among customers, through positively leading and promoting users’ perception of usefulness and playfulness. It is essential to consider such criteria when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ir marketing strategies.

      • KCI등재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한국 거주 몽골인 사용자를 중심으로

        서드빌릭,이예지,설원식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9 국제경영리뷰 Vol.23 No.3

        The Fintech industry is growing rapid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ubiquitous era in which people can receive information and services they want whenever and wherever by connecting to the internet. One of the most developing sector in the Fintech industry is Easy Payment service. Now, mobile easy payment service is leaping from simple payment solving service to comprehensive financial platfor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and social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of mobile easy payment services in Korea. For analysis, data was collected online by conducting survey with Mongolian residents in Korea and total of 97 samples were used.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conveni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social influence. However, the perception of safet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social influence. In addition, the economic value of mobile easy payment service has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bu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influence. The positive perception of useful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However, the social influence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of mobile easy payment service.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individual's perception of the mobile easy payment service's usefulness determines the satisfaction of the service, and suggests that the company focus on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economic value of the service in order to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지각된 유용성과 사회적 통용성이 국내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에 대한 몽골 소비자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에 거주하는 몽골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97개의 표본에 대해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의 편의성과 경제성이 개인의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사회적 통용성에는 편의성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다. 안전성에 대한 인식은 서비스의 유용성에 대한 개인의 지각과 사회적 통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의 유용성에 대한 개인의 긍정적인 인식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서비스의 사회적 통용성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분석 결과는 서비스의 유용성에 대한 개인의 인식이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의 만족도를 결정함을 의미하며, 향후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서비스의 편의성 및 경제성 향상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간편결제서비스 수용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수현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9

        전자결제는 온라인 상거래에 있어 매우 핵심적인 기능으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상거래가 모바일 기반으로 발전해 가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결제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는데, 특히, 간편결제서비스는 사용자들의 결제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온라인에서의 거래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편결제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수용저항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간편결제서비스의 주된 수용 요인과 주된 수용저항 요인 간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비교하여 간편결제서비스 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주된 수용 요인으로 사용용이성과 유용성을, 주된 수용저항 요인으로 지각된 위험을 고려하고, 이들이 간편결제서비스의 사용갈등을 매개하여 수용저항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연구가설을 실증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사용용이성이 사용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연구가설이 채택되었고, 간편결제서비스 사용자들은 서비스 사용에 있어 위험보다는 유용함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Electronic payment is a very crucial function in electronic commerce. As electronic commercial transactions develop on a mobile basis, a variety of electronic payment services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are appearing. In particular, mobile easy payment services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of payment and give a positive effect on activating online transactio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empiricall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ser resistance to mobile easy payment services. Especially, we compares the main acceptance factors of the mobile easy payment services with the main acceptance resistance factors of the services. By doing that, we derive the implications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s of the mobile easy payment service market. The research model includes “perceived risk” as a main acceptance resistance factor, and “easy of use” and “usefulness” as the main acceptance factors.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three factors, “use conflict”, and “user resistance” is expressed in the model. We analyze the model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proves that all the research hypotheses are adopted except for the impact of “ease of use” on “use conflict”, and that users of mobile easy payment services think of “usefulness” more important than “risk”.

      • KCI등재

        TAM을 적용한 쇠고기 이력추적제가 고객신뢰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무형,김성수 한국호텔관광학회 2014 호텔관광연구 Vol.1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developmental directions for constant beef traceability use and to provide restaurants with useful information so that beef safety security and customers' trust in beef can make customers keep purchasing beef with all the beef information restaurants use. 242 of 30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mong which 222 questionnaires that could be analyzed statisticall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were carried out with SPSS 18.0 and AMOS 18.0.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suggested study hypothesis. To sum up analysis results, first, information quality, a sub-dimension of beef traceability has a meaningful positive influence on usefulness and easiness. Second, in a relation between recognized easiness and usefulness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easiness does not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usefulness. Third, recognized usefulness and easiness have a meaningful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s' trust. Recognized usefulness has a meaningful positive influence on use intention as well. Fourth, customers' trust shows a meaningful influence on use intention. Use intention shows a meaningful influence on use efficiency. Therefore, useful information of beef traceability is provided to restaurants based on analysis results.

      • KCI등재

        DMB의 수용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위성 DMB와 지상파 DMB의 비교를 중심으로

        남종훈 ( Chong Hoon Nam ) 한국지역언론학회 2007 언론과학연구 Vol.7 No.2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S-DMB and T-DMB adop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s ``Technology Acceptance Model.`` Based on this theory and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set 3 research questions and question 1 and 2 include 6 hypotheses each. For this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by online research lab. from October 25 to 31. Data were collected from 700 subjects. Complete and useable questionnaires were received from 604 respondents. The result and conclusion are as follow: ``Instant accessibility,`` ``service quality,`` a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perceived usefulness``, but ``Cost`` is not a significant factor statistically for T-DMB. ``Compatibility`` is a significant factor statistically influencing for both DMB. ``Self efficacy`` is also a significant variable influencing ``perceived easy of use`` for T-DMB but not for S-DMB. ``Innovativeness`` is not a significant factor statistically for both DMB. ``Advertising`` is a significant factor statistically influencing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ablenes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y of use,`` and ``perceived enjoyableness`` are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adopt S-DMB and T-DMB as well.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most of the hypotheses were verified the same as preceding studies, but some results were different with the result of preceding studies. Therefore, it implies the characteristics of DMB is different with other IT systems and mass media that were research subject mostly before. In addition, S-DMB and T-DMB are different each other in that each of DMB`s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recognition for those 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