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개 앞띠겉질에서 parvalbumin과 calbindin D-28k 양성반응세포의 출생후 발달에 관한 연구

        윤상필(Sang-Pil Yoon),안계훈(Gye-Hoon Ahn),문정석(Jeong-Seok Moon),김종중(Jong-Joong Kim),유호진(Ho-Jin You),김진호(Jin-Ho Kim),장인엽(In-Youb Chang) 대한해부학회 2002 Anatomy & Cell Biology Vol.35 No.2

        출생시부터 출생후 180일까지 개의 앞띠겉질에서 칼슘결합단백인 parvalbumin과 calbindin D-28k 양성반응세포의 출현 시기, 분포양상, 발생양상을 확립하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실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Parvalbumin 면역반응은 출생후 7일에 VI층 뭇극세포에서 처음 관찰되었다. GABA계 사이신경세포에서 parvalbumin 면역 반응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퍼져나가는 현상을 보였고, 출생후 180일에 성숙형과 유사한 분포상을 보였다. 면역반응은 주로 발생중인 비피라밋세포에서 나타났으나 parvalbumin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V층의 피라밋세포가 출생후 14일부터 90 일까지 일시적으로 관찰되었다. Calbindin D-28k 면역반응은 parvalbumin 면역반응과는 차이가 있었다. Calbindin D-28k 면역반응은 출생시 V층 피라밋세포에서 처음 나타났고, 이 양상은 출생후 90일까지 지속되었다. Calbindin D-28k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사이신경세포는 출생시 속과립층 아래 영역과 백색질에 분포하였고, 출생후 14일가 되어서는 속과립층의 위∙아래 영역 모두에서 증가하였으며, 성숙형과 유사한 분포상은 출생후 180일에 확립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미성숙한 상태의 사이신경세포 뿐만 아니라 미성숙 피라밋세포에서 칼슘결합단백이 일시적으로 발현되는 것은 칼슘의 증가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칼슘결합단백의 기능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We have examined the ontogeny of parvalbumin and calbindin D-28k immunoreactivities in the canine anterior cingulate cortex from the day of birth (P0) through P180. At P7, parvalbumin immunoreactivity appears firstly in layer VI multipolar cells. The parvalbumin immunoreactivity in GABAergic interneurons appears to follow an ‘inside-out’gradient of radial mergence and reaches an adult-like pattern by the end of the 6th postnatal month. Immunoreactivity is limited mainly to developing nonpyramidal cells, whereas pyramid-like parvalbumin immunoreactive cells are transiently observed in layer V from the P14 to the P90. The developmental pattern of calbindin D-28k immunoreactivity differs from that of parvalbumin immunoreactivity. Calbindin D-28k immunoreactivity develops firstly in layer V pyramidal cells from P0, which continues through the third postnatal month. Calbindin D-28k immunoreactive interneurons are located in the infragranular layers and white matter at P0 and increase in both the supragranular and infragranular layers by P14. This is followed by an adult-like pattern at the P180. These data suggested that parvalbumin and calbindin D-28k may play a role in protecting immature neurons from intracelluar calcium influx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 SCOPUSKCI등재

        몽고리안 저빌에서 뇌허혈시 GR89696이 parvalbumin 발현 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

        권영배,양일석,이장헌,Kwon, Young-bae,Yang, Il-suk,Lee, Jang-hern 대한수의학회 1999 大韓獸醫學會誌 Vol.39 No.1

        Ischemic damage in the selectively vulnerable populations of neurons is thought to be caused by an abnormal accumula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neurons, expressing specific calcium binding proteins, might effectively control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s because of a high capacity to buffer intracellular calcium in the brain ischemic condition. It is uncertain that parvalbumin, one of the calcium binding proteins, can protect the neurons from the cerebral ischemic damage. Recently, treatment of kappa opioid agonists increased survival rate, improved neurological function, and decreased tissue damage under the cerebral ischemic condition. Many evidences indicate that these therapeutic effects might result from regulation of calcium concentra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changes of number in parvalbumin-positive neurons after cerebral ischemic damage according to timepoints after cerebral ischemic induction. In addition, we evaluated the effect of GR89696 (kappa opioid agonist) or naltrexone(non selective opioid antagonist) on the changes of number in parvalbumin expressing neurons under ischemic condition. Cerebral ischemia was induced by occluding the common carotid artery of experimental animals. The hippocampal areas were morphometrically analyzed at different time point after ischemic induction(1, 3, 5 days) by using immuno-histochemical technique and imaging analysis system. The number of parvalbumin-positive neurons in hippocampus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1 day after ischemia(p<0.05). Furthermore, the number of parvalbumin-immunoreactive neurons was dramatically reduced at 3 and 5 days after cerebral ischemic induction(p<0.05) as compared to 1 day group after ischemia, as well as sham control group. Significant reduction of parvalbumin positive neurons in CA1 region of hippocampus was observed at 1 day after cerebral ischemic induction. However, significant loss of MAP2 immunoreactivity was observed at 3 day after cerebral ischemia. The loss of parvalbumin-positive neurons and MAP2 immunoreactivity in CA1 region was prevented by pre-administration of GR89696 compared to that of saline-treated ischemic group. Furthermore, protective effect of GR89696 partially reversed by pre-treatment of naltrexone. These data indicate that parvalbumin-positive neurons more sensitively responded to cerebral ischemic damage than MAP2 protein. Moreover, this loss of parvalbumin-positive neurons was effectively prevented by the pretreatment of kappa opioid agonist. It was also suggested that the changes of number in parvalbumin-positive neurons could be used as the specific marker to analyze the degree of ischemic neuronal damag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Immunoreactive Neurons In the Hamster Visual Cortex: Lack of Co-localization with Parvalbumin

        진미주,이지은,예은아,전창진,Jin Mi-Joo,Lee Jee-Eun,Ye Eun-Ah,Jeon Chang-Jin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2005 생명과학회지 Vol.15 No.3

        산화질소(NO)와 칼슘 결합 단백질은 중추신경계의 다양한 세포들에서 나타나며, 이들은 각각 중요 신호전달 분자와 칼슘 완충 분자이다. 본 연구는 햄스터의 시각피질에서 뇌산화질소 합성효소 (nNOS)와 parvalbumin을 포함하는 뉴런들의 분포와 이들의 co-localization 양상을 면역세포화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햄스터 시각피질에서 parvalbumin에 대한 면역 반응성을 나타내는 뉴런들의 전체 수는 nNOS에 대한 면역 반응성을 보이는 뉴런들의 수보다 17배나 많았다. 가장 큰 차이는 시각피질 제5충에서 발견되었으며, 이곳에서 parvalbumin-면역 반응성 뉴런이 nNOS-면역 반응성 뉴런들의 수보다 54.7배나 높았다. nNOS-또는 parvalbumin-면역 반응성 뉴런들은 크기와 형태, 분포 방식이 시각피질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색 면역형광 기법은 햄스터 시각피질에서 nNOS와 parvalbumin을 모두 발현하는 뉴런은 없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nNOS와 칼슘 결합 단백질 사이의 co-localization양상이 종간에 차이가 존재함을 나타내며 또한 시각피질에 있는 nNOS-면역 반응성 뉴런들의 다양성과 이질성뿐만 아니라 동물 다양성 이해의 중요성을 함께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Nitric oxide (NO) and calcium-binding proteins occur in various types of cell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ey are important signaling and calcium buffering molecules, respectively. In the present study, using immunocytochemistry we examined the distribution and the co-localization pattern of neurons containing 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 (nNOS) and parvalbumin in the visual cortex of hamster. The overall number of parvalbumin-immunoreactive (IR) neurons was 17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nNOS-IR neurons in the hamster visual cortex. The highest differences were found in layer V, where parvalbumin-IR neurons were 54.7 times more abundant than nNOS-IR neurons. Many nNOS- and parvalbumin-IR neurons were similar in size, shape, and manner of distribution in the visual cortex. However, two-color immunofluorescence revealed that no neurons in the hamster visual cortex expressed both nNOS and parvalbumin.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subtle species differences in the co-localization pattern between nNOS and calcium-binding proteins. The present results also suggest not only the heterogeneity and functional diversity of nNOS-IRneurons in the visual cortex, but also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animal diversity

      • KCI등재후보

        개 후각망울에서 칼슘결합단백질인 Parvalbumin과 Calbindin D-28k 면역화학반응 양성신경세포에 관한 연구

        김종중(Jong-Joong Kim),정윤영(Yoon-Young Chung),반영수(Young-Soo Phan) 대한해부학회 2002 Anatomy & Cell Biology Vol.35 No.5

        개의 후각망울에서 parvalbumin과 calbindin D-28k에 대한 고도의 특이성을 지닌 단세포군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세포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parvalbumin 양성신경세포와 calbindin D-28k 양성신경세포의 분포상과 세포의 크기 및 형태에 대하여 관찰한 결과 parvalbumin 양성신경세포와 calbindin D-28k 양성신경세포는 후각망울망상층에서 가장 많이 관찰할 수 있었으며 과립세포층, 승모세포층, 후각신경토리층의 순서로 많이 출현하였다. 후각망울 각 층에서 관찰된 parvalbumin 양성신경세포와 calbindin D-28k 양성신경세포는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는데, 제1형은 세포가 비교적 크며 (35~40μm) 매우 강한 염색성을 보였고, 제2형은 세포가 중간정도 크며 (25~35 μm) 중등도의 염색성을 보였으며, 제3형은 세포가작고 (20~25 μm) 약한 염색성을 보였다. 후각망울의 회백질안에서 후각토리를 형성하는데 관여하는 승모세포와 과립세포, 그리고 토리세포를 관찰할 수 있었다. 후각망울 각 층에서 parvalbumin 양성신경세포가 calbindin D-28k 양성신경세포에 비해 더 많이 출현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중염색을 한 결과 동일표본에서 parvalbumin 양성신경세포와 calbindin D-28k 양성신경세포를 확실히 구별 관찰할 수 있었으나 한 세포안에 두 양성신경세포가 공존하는 것은 확인할 수 없었다. 후각망울 각 층에서 관찰된 parvalbumin 양성신경세포와 calbindin D-28k 양성신경세포는 홑극신경원, 양극신경원, 뭇극신경원이었으며, 세포체는 원형, 타원형, 삼각형, 방추형 등이었다. We have studied the distribution of calcium-binding proteins parvalbumin (PV-IR) and calbindin D-28k (CB-IR) immunoacitivity in the mongrel dog olfactory bulb using monoclonal antibodies and the avidin-biotin immunoperoxidase method. The possible coexistence of both markers was determined by segmental histochemical and immunohistochemical double labelling of the same section. In the olfactory bulb of mongrel dog, PV-IR and CB-IR were mainly located in the external plexiform layer, and a few scattered in the glomerular layer, mitral cell layer, and glanule cell layer in the order of thier existence. In addition, three neuronal types were observed in the glomerular layer and external plexiform layer border. Horizontal cells and vertical cells of Cajal were also observed after both PV-IR and CB-IR labeling. Distict groups of PV-IR and CB-IR, differing in size, shape, dendritic branching pattern, and staining intensity, were distinguished in the all layers of the olfactory bulb. Specific neuronal populations were positive for both PV-IR and CB-IR markes. No cell colocalized both stains in the mongrel dog olfactory bulb. The number of PV-IR were more than abundant in olfactory bulb compared to the CB-IR cells. The PV-IR and CB-IR postitive cell somata were round, oval, spindle and polygonal in shape, and they were unipolar, bipolar and multipolar in type. The diameters of the somata of the PV-IR and CB-IR neurons were 20~40 μm, respectively. Also dendrites of the these neurons were densely arrayed in arborization.

      • KCI등재후보

        인슐린의존성 당뇨병이 유도된 흰쥐의 신경망막에서 AII 무축삭세포의 연접이전 신경세포의 변화

        박효숙(Hyo-Suk Park),박성진(Sung-Jin Park),신지만(Ji-Man Shin),천명훈(Myung-Hoon Chun),오수자(Su-Ja Oh) 대한해부학회 2007 Anatomy & Cell Biology Vol.40 No.3

        칼슘결합단백질인 parvalbumin은 신경망막에서 속핵층의 AII 및 넓은-수용영역 무축삭세포와 신경절세포층의 전위무축삭세포에서 발현되며, 당뇨병 상태에서 parvalbumin 발현은 AII 무축삭세포에서 저하되나, AII 무축삭세포와 전기연접을 형성하고 있는 원뿔이극세포에서 증가됨이 이미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당뇨병 망막에서 AII 무축삭세포에서 parvalbumin 발현이 저하되는 원인을 규명하고자 AII 무축삭세포의 연접이전 신경세포들의 변화를 면역화학적 방법으로 추적하고자 하였다. 생후 8주 된 Sprague-Dawely계 흰쥐를 실험동물로 하여 streptozotocin의 정맥 내 주사로 당뇨병을 유발시켰으며, 300 mg/dL 이상의 혈당치를 나타낸 동물들을 각각 1, 4, 12 및 24주 경과시켜 사용하였다. 각 시기의 동물로부터 분리된 망막에 parvalbumin, protein kinase C (PKC)-α 및 tyrosine hydroxylase (TH) 항체를 사용한 면역조직화학법과 Western blot법을 시행하였다. 막대이극세포는 PKC-α에 면역 표지된 축삭종말을 주로 속얼기층의 5층으로 뻗고 있었다. 당뇨병 12주 및 24주 때 막대이극세포의 축삭은 짧아져 있었고 축삭종말은 다소 확장된 양상을 나타내었다. 당뇨병 때 PKC-α의 농도 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TH 면역반응 신경세포는 속핵층의 무축삭세포로서 형태학적으로 두 종류로 구분되었다. 즉, 큰세포체와 길게 뻗은 일차 가지돌기를 지닌 세포 유형 (1형)과 작은 세포체와 가지돌기나무 (dendritic arborization)를 지닌 세포 유형(2형)이다. 속얼기층과 속핵층의 경계부위에 TH 면역반응 돌기들의 고리구조가 조밀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당뇨병 망막에서 1형 TH 무축삭세포의 면역반응성이 저하되어 나타났으나, 2형 무축삭세포의 반응성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면역반응성의 저하와 더불어 TH 단백질의 농도 또한 당뇨병 시기 동안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망막의 TH 면역반응성 무축삭세포가 막대이극세포보다 당뇨병 상해에 대하여 더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따라서 당뇨병 때 AII 무축삭세포에서의 parvalbumin 발현 저하가 주로 연접이전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기능이상에 의한 것임을 유추할 수 있었다. It has been previously reported that parvalbumin expression was downregulated in AII amacrine cells, while upregulated in a subset of cone bipolar cells electrically synapse with AII amacrine cell in the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 retina.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trace biochemical changes of pre-synaptic neurons to AII amacrine cells in rat retina following diabetic injury. Diabetic condition was induced by streptozotocin injection into Sprague-Dawley rats aged of 8 weeks. The experimental term of induced diabetes was set at 1, 4, 12 and 24 weeks. Changes of pre-synaptic neurons were evaluated by immunohistochemistry and Western blot analysis with anti-protein kinase C (PKC)-α and anti-tyrosine hydroxylase (TH) antibodies. Rod bipolar cells immunolocalized with PKC-α antibody extended their enlarged axon terminals into stratum 5 of the inner plexiform layer. In later diabetes, the axon was shorten and its terminals of rod bipolar cell are slightly enlarged. The protein levels of PKC-α were slightly increased along with the duration of diabetes. TH immunoreactive neurons are morphologically classified into two subtypes of amacrine cells in the inner nuclear layer: one (type 1) has large soma with long and primary dendrites, classified with dopaminergic, and the other (type 2) has small soma with dendritic arborization. In the outermost inner plexiform layer, ring-like structures being composed of type 1 cell processes were densely distributed. In diabetic retina, the intensity of TH immunoreactivity in type 1 neurons was reduced. In accordance with morphological changes, the protein levels of TH were reduced during diabete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 immunoreactive dopaminergic amacrine cells are more susceptible to diabetic injury than the rod bipolar cells in the rat retina and may suggest that downregulation of parvalbumin expression in AII amacrine cells of diabetic retina is mainly due to dysfunction of pre-synaptic dopaminergic amacrine cells.

      • SCOPUSKCI등재

        가공식품 중 고등어의 검출을 위한 ELISA의 개발

        손동화(Dong-Hwa Shon),김미혜(Mi-Hye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4 No.1

        기존에 생선 검출을 위한 ELISA 개발은 여러 편 보고된 바 있으나, 고등어만을 특이적으로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보고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어 parvalbumin에 대한 토끼 항체를 이용하여 가공식품 중 고등어의 검출을 위한 ELISA를 개발하였다. 암모늄침전법과 Sephadex G-50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열에 안정한 12 kDa의 고등어 parvalbumin을 분리, 정제하였다. 여기에서 얻어진 parvalbumin을 토끼에게 면역하여 생산한 항 parvalbumin 항체 및 특이항체-HRP 복합물을 이용하여 샌드위치 ELISA(sELISA)의 조건을 확립하였다. 이때 parvalbumin의 검출한계는 3 ng/mL이고, 고등어(생살)의 검출범위는 5-5,000 μg/mL이었다. 이어서. 광어, 우럭, 오징어, 꽃게, 꽁치, 대구, 새우, 연어, 바다가재, 고등어에 대한 교차반응을 조사한 결과 고등어에 대한 반응성은 월등히 높았으나 다른 수산식품에서는 반응성이 거의 없거나 매우 낮게 나타나 고등어에 대한 특이성이 매우 높은 항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분석시 시료의 열 안정성은 100℃까지 양호하였으며 크림스프, 이유식, 소시지, 소스에 대한 spike test(0.01-0.3%)에서 분석회수율은 각각 104, 101, 54, 0%로 나타났다. sELISA에 의하여 16점의 시판시료 중 고등어의 함유 유무를 조사한 결과, 정성적으로 표시와 일치하는 것은 75%이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sELISA는 일부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가공식품 중 고등어를 정성적으로 검출하는데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 have been few studies related to ELISA for mackerel.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andwich ELISA for mackerel in processed foods using rabbit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ckerel parvalbumin, the major allergen of mackerel and heat-stable protein. The parvalbumin was purified by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and Sephadex G-50 column chromatography. From the standard ELISA curves, the detection limit of parvalbumin was 3 ng/mL and the detection range of mackerel was 5-5,000 μg/mL. We further investigated the cross-reactivity of the antibodies toward mackerel, mackerel pike, salmon, flatfish, armorclad rockfish, cod fish, squid, shrimp, blue crab, and lobster. The antibodies were specific for mackerel only. The mean assay recoveries in cooked cream soup, baby food, sausage, and sauce spiked with 0.01 to 0.3% mackerel were 104, 101, 54, and 0%, respectively. In sample tests of 16 commercial items, the qualitative coincidence ratio of assay result and indication was 75%.

      • KCI등재

        Distribution of Parvalbumin-Immunoreactive Retinal Ganglion Cells in the Greater Horseshoe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전영기,김태진,이은실,주영락,전창진,Jeon, Young-Ki,Kim, Tae-Jin,Lee, Eun-Shil,Joo, Young-Rak,Jeon, Chang-Jin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8

        파브알부민(pa π albumin)은 망막의 다양한 세포타입에서 분포하고 있다. 본 연구팀은 이전연구에서 박쥐 망막의 내핵층에서의 파브알부민의 분포를 보고하였다. 현재 연구에서 본 연구팀은 한국관박쥐 (Rhinolophus ferrumequinum) 망막의 신경절세포층에 존재하는 파브알부민을 함유하는 신경세포를 규명하였고, 이들 세포의 분포양상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파브알부민의 면역반응성은 신경절세포층의 다수 세포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들 세포는 주로 중간형 이상 크기의 세포체를 가지고 있었다. 조사된 세포체의 직경은 12.35 - 19.12 ${\mu}m$ 의 범위를 가지며 (n=166), 신경섬유층의 섬유 역시 염색되는 것으로 보아, 파브알부민을 함유하는 신경절세포는 대부분이 중간형이상 크기의 신경절세포임을 뒷받침하고 있다. NND (nearest neighbor distance) 분석을 통해서 본, 평균 NND는 59.57 에서 62.45 ${\mu}m$ 로 나타났으며, 평균 RI (regularity index) 는 2.95 ${\pm}$ 0.3 (mean${\pm}$s.d., n=4) 으로 계산되었다. 이를 종합해보면, 파브알부민은 한국관박쥐 망막의 신경절세포층에서 중간형이상 크기의 신경절세포에서 주로 발현하고 있으며, 이들은 규칙적인 배열을 가진 채 잘 조직화된 분포양상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규명되어 있지 못한 박쥐의 시각에 대한 이해에 중요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Parvalbumin occurs in various types of cells in the retina. We previously reported parvalbumin distribution in the inner nuclear layer of bat retina. In the present study, we identified the parvalbumin-immunoreactive neurons in the ganglion cell layer of the retina of a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and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labeled neurons. Parvalbumin immunoreactivity was found in numerous cell bodies in the ganglion cell layer.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that these cells had medium to large-sized somas. The soma diameter of the parvalbumin-immunoreactive cells in the ganglion cell layer ranged from 12.35 to 19.12 ${\mu}m$ (n=166). As the fibers in the nerve fiber layer were also stained, the majority of parvalbumin-immunoreactive cells in the ganglion cell layer should be medium to large-sized retinal ganglion cells. The mean nearest neighbor distance of the parvalbumin-immunoreactive cells in the ganglion cell layer of the bat retina ranged from 59.57 to 62.45 ${\mu}m$ and the average regularity index was 2.95 ${\pm}$ 0.3 (n=4). The present results demonstrate that parvalbu-min is expressed in medium to large-sized retinal ganglion cells in bat retina, and they have a well-or-ganized distributional pattern with regular mosaics. These results should be important as they are applicabl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unsolved issue of a bat vision. This data will help to provide fundamental knowledge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unique behavioral aspects of bat flight maneuverability.

      • Distribution of Parvalbumin-Immunoreactive Neurons in the Rat Hippocampus

        Lee, Eun Young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4 忠北醫大學術誌 Vol.4 No.2

        흰쥐 해마부위(고유해마와 치아이랑)에서 calcium binding protein의 한 종류인 parvalbumin 함유신경세포의 분포를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관찰하였다. Parvalbumin 함유신경세포는 고유해마의 모든 부분 즉, CA1에서 CA3의 오리엔스층과 피라밋층에, 치아이랑의 과립층에 주로 분포하였다. 그러나, CA3 영역의 방사층에는 다른 영역과는 달리, 크기가 크고 다각형의 세포체를 지니는 면역염색세포가 존재하였다. 한편, 축삭종말로 추정되는 면역염색섬유가 해마의 피라밋세포체 및 치아이랑의 과립세포체들을 각기 둘러싸며 바구니(basket)와 같은 신경얼기를 형성하였다. Pavalbumin에 면역염색성을 보이는 가지돌기(dendrites)는 해마부위의 전 층에서 관찰되었다. 그러나, 방사층에 존재하는 가지돌기들은 영역별로 다른 형태적 특징을 보였다. 즉, CA1에서 돌기들은 매우 길며, 염주알 모양을 하였고, 표면과 수직방향으로 주행하였다. CA2에서는 매우 짧고, 가늘었으며, 염주알 모양을 하지 않았고, 여러 방향으로 불규칙적인 주행을 보였다. CA3에서는 일부는 길며, 수직으로 주행하였고, 일부는 짧으며, 여러 방향으로 주행하는 특징을 나타내었고, 염주알 모양의 섬유는 관찰되지 않았다. Parvalbumin을 함유하는 가지돌기들의 이러한 해마영역별 차이는, 이들이 받아들이는 신경 정보 역시 영역별로 차이가 있으리라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The distribution of ??-binding protein, parvalbumin-immunoreactive neurons were studied in the rat hippocampus proper and the area dentata using immunohistochemical stain. The parvalbumin-immunoreactive(parv-ir) neurons were mainly located in the stratum oriens and pyramidale in the hippocampus proper(CA1 to CA3) and in the granule cell layer and hilus in the area dentata. However, large, polygonal shaped parv-ir neurons were observed exclusively in the stratum radiatum of the CA3. The parv-ir basket-like plexuses(presumably axon terminals) were demonstrated in the hippocampal pyramidal layer and in the dentate granule cell layer. The parv-ir dendrites were distributed in all layers of the hipporcampus. Interestingly,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dendrites in the statum radiatum showed the prominent regional differences within the hippocampus ; in the CA1, long varicose vertically oriented dendritic profiles ; in the CA2, short fine, non-varicose fibers oriented into the several directions. Mixed features were observed in the CA3, which some exhibited the long, smooth vertically oriented fibers and others showed the short, smooth fibers oriented into several directions. It is suggested that the parv-ir dendritic regional differences which were shown in this study may reflect the regional differences in synaptic inputs to parv-ir dendri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