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육태도가 불일치하는 부모를 둔 초기성인 자녀의 진로결정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오세옥,하정희 한국발달지원학회 2022 발달지원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early adulthood children having parents with inconsistent parenting attitudes, their impact on career decisions. For this reason, we distributed a parenting attitude test questionnaire, and collected data through one-on-one in depth interviews with eight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twenties who experienced a large difference in the parenting attitude of their mother and father and have experience in deciding their career paths.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method.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there are 4 categories, 11 subcategories, and 47 core concepts across 2 areas, such as the experience of a child who grew up from a parent whose care attitude was inconsistent due to research problems, and the experience of deciding the course of a child who experienced inconsistent c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hildren who had received inconsistent parenting had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experiences, which were not only negative but also positive, and concerning the parenting attitude, they had a contradictory perception for each parent. It was also found that, despite parents' inconsistent rearing attitudes, if the patents had the same opinion on the child's career problem, or if one of the parents supported the child, the child could choose and decide on the desired career. When such results wer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양육태도가 불일치하는 부모를 둔 초기성인 자녀의 경험과 그 경험이 진로결정에 미치는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본인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 검사 설문지를 배포하여 부와 모의 양육태도 점수차이가 크고 진로결정의 경험이 있는 20대 성인남녀 8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담을 통해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합의적 질적 연구(CQR)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연구문제에 따라 양육태도가 불일치하는 부모에게서 성장한 자녀의 경험, 불일치한 양육을 경험한 자녀의 진로결정경험과 같이 2개의 영역에 걸쳐 4개의 범주, 11개의 하위범주, 47개의 핵심개념으로 분류되었다. 연구 결과, 양육태도가 불일치하는 부모의 자녀들은 인지적·정서적·행동적 경험을 하였는데, 부정적인 경험뿐 아니라긍정적인 경험도 하였으며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해서는 부모 각각에 대해 상반된 지각을 하고 있었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불일치하더라도 자녀의 진로문제에 있어서 부모의 의견이 같거나 부모 중 한쪽이라도자녀를 지지한다면 자녀가 원하는 진로를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논의와 함께 시사점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와 모의 양육태도가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불안과 충동성의 매개효과

        박은민 ( Eun Min Park ),박기희 ( Ki Hee Park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4 한국가족복지학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and maternal 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the mediating of Anxiety and Impulsiveness, which were Mental Health factor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verification, Barron & Kenny(1986)`s mediating effect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It`s found that the paternal and maternal rearing attitude, their Anxiety and Impulsiveness were linked to smartphone addiction. Second, paternal and maternal rearing attitud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Concerning the mediating effect of Anxiety and Impul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and maternal rearing attitude and smart phone addiction, paternal and maternal rearing attitude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Anxiety and impulsivenes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 These findings are to smartphones addiction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interventions proposed practical ways to intervene, the importance of parents` upbringing attitude affecting students` anxiety and Impulsiveness has suggested.

      • 연구논문 : 완벽주의와 우울에 관한 성경적 상담

        염남희 ( Nam Hee Youn ) 한국성경적상담학회 2007 성경과 상담 Vol.7 No.-

        대학생의 시기는 자아개념과 자아 정체성 발달, 성역할의 발달, 영적 및 도덕적 발달이라는 발달 과업을 이루어야 하는 중요한 시기이며, 자신의 선택과 책임의 영역이 넓어진 대학생활에도 적응해야 한다. 더구나 사회 진출을 준비하는 시기로서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가 되어야 한다는 압박감과 취업에 대한 불안감 등은 대학생들에게 완벽주의를 강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완벽주의가 기능적으로 작용할 때는 보람감, 성취감 등을 느끼게 되지만, 역기능적으로 작용할 때는 수행에 대한 높은 기대, 불안, 분노, 대인관계의 어려움, 우울 등의 인지적 · 정서적 · 신체적으로 부적응이 나타나고 심각한 성격장애로 발전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의 역기능적인 면을 중심으로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우울에 대해 연구하였고, 완벽주의와 우울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독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한 후 결과를 분석했다. 설문 분석 결과 완벽주의는 부모양육태도와 상관성이 높고, 우울과도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신앙성숙도가 높을수록 우울은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위의 결과들에 대해 성경적 상담학적으로 어떻게 접근할 것인지 연구해보았다. 먼저 C.C.E.F의 성경적 상담의 개념, 원리와 방법을 살펴보고,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우울을 성경적 관점에서 조명해보았다. 또 인간은 하나님께 범죄하여 타락하였고, 인간의 문제(열매)는 마음의 문제(막7장)라는 성경적 입장에서 완벽주의와 우울에 대한 마음의 문제를 알아보고, 성경적 상담으로 어떻게 상담할 것인지 연구해 보았다. 그리고 완벽주의로 인해 우울을 겪고 있는 피상담자에 대해 성경적 상담의 방법을 적용하여 상담한 결과, 하나님의 역사하심과 성경적 대안을 통해 회복되는 과정을 보게 되었다. It is in the period of university students that self-conception, self-identification, sex roles, spirit and morals are developed. Especially, university students should adapt themselves to the new environment where they feel the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ir choice, preparing the entry in the society. The perfectionism is expected to escalate from the mental pressure in social demands for the qualified individual as well as the feeling of insecurity for employment. It could be sensed that the perfectionism reinforces feeling of rewards and a sense of achievement in a positive way. Reversely, the perfectionism may cause not only physical maladjustment such as high expectation for achievement, uneasiness, anger, trouble in the soci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but also serious personality disorders. The research deals with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with an emphasis on the reverse effect of perfectionism. In addition, the survey is carried out with the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vity of perfectionism to depression. The result of the survey indicates that perfectionism is closely related to parental behavior and it has something to do with depression as well. Furthermore, the high Shepherd Scale demonstrates low depression. Finally, how the research results apply is studied on the basis of the biblical counseling. The concept, principle and method of biblical counseling in C.C.E.F are also examined. Furthermore,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for the university students are reflected in the view of the Bible. Besides, the spiritual issue on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is considered from the viewpoint of the Bible that humans were depraved from committing a crime against God, and the issue on humans is subjected to the spiritual issue.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demonstrate how the counseling should be served on the basis of the Bible. The case shows how God`s work and the biblical alternatives restore the client who is experiencing depression from perfectionism.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could support the effectiveness and excellence of the biblical counseling, and could be the cornerstone of the biblical counseling to recover some people who suffer from perfectio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