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개혁개방기 80년대생(80後) 여성의 ‘욕망’ 재현― 장소성과 젠더관점을 중심으로

        김미란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20 中國學論叢 Vol.0 No.68

        Women in Beijing(北京女子图鉴), aired in 2018, is a meaningful drama that shows women’s awareness of “marriage” and “social success” with high viewer ratings. The drama, which depicts the desire and dilemma of Chinese women in their 30s born in the 1980s when marketization reform began, reveals the common difficulties that young women in Korea and Japan also encounter. Nevertheless, there are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the Japanese original Tokyo Girl(东京女子图鉴, 2016) and its Chinese version Women in Beijing in terms of the main character’s final choice and the representation method. This paper compares these two work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society, examining how the younger generation that formed an elite group after the economic reform see life and marriage. The analysis subjects of the paper are the main character’s attitude towards “urban and rural areas”, that is her perception of “place”, and the pressure of “age-gender system” on women represented by “marriageable age”. The analysis shows that the main character’s absolute belief in “developmentalism”, a typical example of the non-urban ‘floating population(漂族)’, blocked her from taking a critical view of the gender-discriminatory reality of “marriageable age”. The blind faith in developmentalism, the All-China Women’s Federation(中华全国妇女联合会), the media and capital have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recognition of marriage as a tool for success. The fundamental cause of this phenomenon in Chinese society is that the “value of life” debate(对人生价值讨论, 潘晓讨论) in the early 1980s was not fully evolved until the developmentalism rapidly replaced it.

      • KCI등재

        文獻을 통해 본 韓國人의 一生儀禮

        오종록 한국역사민속학회 2011 역사민속학 Vol.0 No.37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what kinds of process did the ceremony of Koreans pass through until present time. The article is based on the literature sources. In the Korean historic academia, the study of rituals are getting brisk recently, but, if anything, the study of ceremony was restricted to royal family and hierarchy in national or social level. Because ruling class were usually the main agent of writing, nevertheless, we should admit that conscious efforts to find and interpret the precious information were lack. The process of pre-modern society had developed was the process that diversity of the ceremonies of one's lifetime has decreased, and this was maintained after entering the modern times. Since ancient times, the Confucianism and Taoism of China and the Buddhism that passed through China had already effected the hierarchy of royal family and Capital. This was spread to the ruling class of other region and this aspect had persisted until Goryeo(高麗). However, in case of the public, the natural form of ceremony of lifetime had still maintained quite firmly. The diversity of ceremony started to decline in the late Goryeo at an alarming rate, as the dynasty of Chosun(朝鮮) regulated the Neo-Confucianism as the controlling ideology. However it took so many times to follow in accordance with the doctrines of Chu-tzu(朱子). Specially, the relation between family and relative & the wedding and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which is) deeply-related to inheritance of fortune and status had changed considerably fast since the 17th century. Furthermore, the ceremonies of one's lifetime of the public that transformed slowly had strong movement to be equipped the doctrines of Chu-tzu appearance. This process went with the fluctuations in hierarchy. When we study the ceremony of one's lifetime of pre-modern society, it required the diversification of perspectives to interpret the literature sources. Thus, we should consider the other historical records except the literature. Also, the Korean historic academia has a tendency to use those other sources, and we could find such cases in the study of lifetime ceremony. From now on, we should make use of the historical records more enthusiastic. 이 글은 전근대 사회 동안 한국인의 일생의례가 어떤 과정을 거쳐서 현재에 이르렀는가를 문헌 자료를 통해 어느 정도까지 확인할 수 있을지를 파악하려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한국사학계에서는 근래에 의례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으나, 아직은 거의 국가나 사회 차원에서의 의례와 왕실 및 지배층의 일생의례에 대한 연구만이 이루어져 있다. 그 까닭은 주로 지배층이 작성 주체라는 점에서 비롯되는 문헌자료의 속성 때문이나, 민중의 일생의례에 대한 가치 있는 정보를 찾아내고 해석하려는 의식적 노력이 부족했다는 점도 인정해야 한다. 우리의 전근대사가 전개되어 온 과정은 일생의례의 다양성이 줄어드는 과정이었으며, 이 과정은 근대사회에 들어와서도 지속되었다. 이미 고대사회 때부터 중국의 유교와 도교 문화 그리고 중국을 거쳐 수용된 불교 문화의 영향이 왕실과 중앙의 지배층으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그것이 지방의 지배층에게로 확산되었으며, 이러한 양상이 대체로 고려 때에도 지속되었다. 그러나 민중의 경우는 그 일생의례 본연의 모습을 꽤 강고하게 유지하고 있었다. 일생의례의 다양성은 고려 말엽에 성리학이 수용된 뒤 조선왕조가 성리학을 유일한 지배이념으로 규정함에 따라 전보다 빠른 속도로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지배층 전반에서 일생의례를 주자학적 규정에 따라 준행하기까지는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특히 가족-친족관계, 재산 및 지위의 상속과 관계가 깊은 혼례와 제례는 17세기부터 비로소 비교적 빠른 속도로 변모해 갔다. 매우 더딘 속도로 변해온 민중의 일생의례도 17세기 이후 신분구조의 변동 양상과 짝하여 양반으로의 신분 상승을 꾀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주자학적 겉모습을 갖추려는 움직임이 강하게 일어났다. 한국 전근대사회의 일생의례를 연구할 때 우선 문헌 사료를 해석하는 관점의 다양화가 요구된다. 그리고 문헌 사료 외의 다른 사료의 이용 필요성이 매우 크다. 한국사학계에서도 문헌 사료 이외의 사료를 이용하는 경향이 생겨나 있고, 일생의례 연구에서도 그 사례를 찾아볼 수 있으나, 앞으로는 문헌 사료 이외의 사료를 더 적극적으로 이용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