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윤택 연출의 〈오구〉 공연 변화 양상

        윤일수(Yoon Il-soo) 한국어문학회 2007 語文學 Vol.0 No.98

        Lee Yun-taek’s Ogu-forms of death has been performed steadily since it is performed first in 1989, going through several versions for about 20 years. As is shown in the title of Ogu, the work borrowed its motif from the Ogu exorcising performance. Therefore, the work inherits not only some parts of the Ogu exorcising performance but also its spirit. The Ogu shows a ritual and entertainment character. There is an pray for rebirth in paradise for the dead, and for the good fortune for the living in this life. The protagonist, Seok-chul, soothes the sorrow who holds the ritual ceremony, and then leads him to a catharsis. The funeral service is not longfaced, but festive. The Ogu makes the funeral service an playful rite, so that the chief mourner, the condolatory visitors, and the audience may not be buried in grief. Such festive surroundings helps the dead to lead to the heaven, and then to get a rebirth in this life. And also, the entertainment character is evident. The alienated and the oppressed play the main characters, and they do not fear death. The chorus is respected as a main character. The house in mourning is ‘a place where all the funny stories are’, and where strife, jealousy, love are, and also there exists a punishment against wrong behavior. There are a lot of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version in 1989 and the revised version in 1997 of Ogu. In the aspects of its performances, there are also a lot of difference among those of 1989, 1994, 1997, 2000, 2004. The details on the difference are as follows. Firstly, with an increase in shamans, a full equipment with shaman’s outfit, a skill in the role of shaman, the form of the exorcising performance is being shaped orderly, secondly, the playing stage which looked funny changes to the atmosphere of festival more and more by adding a lot of dances and songs, thirdly, the messenger who takes a dead soul to the underworld who looked awkward changes into a solemn god-warrior, and his untidy act changes into an imposing presence. In short, the whole varying aspects of this work signifies the inheritance of the Ogu exorcising performance.

      • KCI등재

        무형문화유산의 전승, 그 원형과 전형 사이 : 부산시무형문화재 기장 오구굿을 대상으로

        김형근(Kim, Hyung-Kun) 동남어문학회 2021 동남어문논집 Vol.1 No.51

        이 연구는 2014년 부산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기장오구굿’의 원형과 전형을 해명한 글이다. 1962년 제정된 문화재보호법에서는 문화재의 보존ㆍ관리 및 활용은 원형유지를 기본원칙으로 하였다. 그러나 무형문화는 유형과 다르기에 비로소 2016년 이른바 무형문화재법이 신설되어 과거 ‘원형유지’를 ‘전형유지’로 수정하기에 이른다. 이런 법조항의 개정이 되더라도 무형문화재를 전승하고 있는 현장 내지 전승자들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른다. 그것은 지금까지 문화재의 지정과 전승이 이른바 관리주체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며, 그간 ‘원형’에 대한 고착화된 사고가 주요 요인이었다. 따라서 원형과 전형에 대한 경계 논의, 그를 통해 향후 각 종목들이 어떻게 전승되어가야 하는지는 전승자의 역량으로만 남겨두어서는 변화가 일어날 수 없다. 전문식견을 갖춘 전문가와 현장 전승자, 정책이 함께 숙의하여 최선과 현실의 여건 속에서 변화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시무형문화재인 기장오구굿을 대상으로 원형과 전형의 경계면을 도출시키고, 향후 전승 방향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부산기장오구굿’은 다소 부정확한 명칭으로 ‘부산오구굿’이 더 적확한 표현이다. 이른바 동해안 세습무들이 전승하는 오구굿은 기장 뿐 아니라 부산시 전역, 더 넓게는 강원도 고성에서 부산에 이르는 동해안 일대에 보편적으로 행해진다. 다만 지역적으로 그 세부 유형이 나눠지게 되는 울산과 부산은 동해안 남부형이라 말한다. 무집단은 이를 소위 ‘남대(南帶)’, ‘아랫대’라고 부른다. 이 아랫대의 굿 원형은 우리가 알 수 없다. 남겨진 문헌 및 멀티미디어 자료가 없다. 더 중요하게는 원래의 이 지역 무당들이 소거되었다. 현재의 전승자는 1960-70년대에 아랫대가 아닌 경북 출신 김석출의 자손들이다. 사정이 이러하므로 부산기장오구굿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동해안 남대(아랫대)와 안대(또는 웃대)의 차이를 인지해야 한다. 바로 이 논문은 이점을 해명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 This study is an explanation of the original form and typical form of “Gijang Ogu-gut”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Busan in 2014. In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enacted in 1962, the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se of cultural properties is the basic principle of maintaining the original form. However, since intangible culture is different from the tangible, the so-called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Law was newly established in 2016, leading to amendment of the past “original maintenance” to “typical maintenance”. Even if these laws and regulations are revised, the field or the transferees who are handing down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do not know what to do. This is because the designation and transmission of cultural properties has been passively carried out by the so-called management entity, and the fixed thinking about the original has been the main factor. Therefore, the discuss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typical, and how each item should be transmitted in the future through it, cannot be changed by leaving only the competence of the conqueror. Cultural property experts, Transmitter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policymakers must deliberate together and change in the best and reality conditions. Therefore, this study derives the boundary between original and typical for Gijang Ogu-gut,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Busan, and discusses the direction of future transmission. Busan Gijang Ogu-gut is a somewhat inaccurate name, and Busan Ogu-gut is a more accurate expression. The so-called Ogu-gut, handed down by Seseupmu(hereditary shaman) on the east coast, is commonly practiced not only in Gijang, but also throughout Busan, and more broadly in the eastern coastal area from Goseong, Gangwon-do to Busan. However, it is said that Ulsan and Busan, where the detailed types are divided regionally, are the southern types of the east coast. so-called “Namdae(南帶, southern area). We do not know the archetypes of this lower stage. There are no literature and multimedia materials left. More importantly, the original local shamans were disappered. The current ancestors are the descendants of Kim Seokchul from North Gyeongsang Province in the 1960s and 70s. For this reason,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Busan Gijang Ogu-gut, one must recognize the difference between Namdae(南帶, southern area) and Andae (內帶, Northern area) on the east coas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is point.

      • KCI등재후보

        동해안 오구굿과 별신굿의 상보관계

        조정현(Cho Jung-hy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6 한국학연구 Vol.25 No.-

        동해안에서 전승되고 있는 오구굿과 별신굿은 그 역동성만큼이나 다양한 스펙트럼을 연출하면서 연행되고 있다. 동해안 지역에서는 오구굿과 별신굿이 일정한 차이점을 노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행상황과 분위기 자체는 거의 동일하며, 삶과 죽음을 대표하는 두 굿 모두 웃고 우는 감정흐름의 반복을 통해 전통적인 굿의 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중심적 연행을 담당하는 무업집단 또한 별신굿에서의 연행원리를 상당부분 차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동안 마을공동체의 축제적 제의로서 별신굿과, 개인의 망자에 대한 극락천도굿으로서 오구굿은 명확히 대별되는 삶과 죽음의 의례로 구분되어 왔다. 하지만 필자는 오구굿과 별신굿이 동일한 무업집단에 의해 연행되고 있고, 오구굿 역시 마을공동체를 기반으로 연행되어 온 양상을 주목해서 이들이 결코 따로 분리되어 있는 의례가 아님을 밝히고자 하였는데, 결국 오구굿과 별신굿은 서로의 의례를 상호 보완하면서 발전해온 상보적 관계에 놓여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East coast Ogu-gut is a rite for dead men. The shamanic group of the East coast Ogu-gut also performs Byulsih-gut which is a ceremony that prays for good luck of the village community. This study compared this to the East coast Ogu-gut. ByulSin-gut is the special ritual of villages in local society. These rituals transmitted by three ways. That is, in a rural society, or in a seaside society, and in a market placed in downtown. In rural society almost of inhabitants participate in that ritual oneself, but in seaside society the performance of ritual mainly realized by shamans group. And in market placed in downtown the performance of ritual also nearly realized by shamans group and professional artists. Ogu-gut and ByulSin-gut maybe would be considered to a festival of money paying. But its economic, social, cultural value reach to feedback of symbolic value forward to village community. A network of local communities involve several social aspect, economic aspect, historical aspect, cultural aspect, and art and so on. Ogu-gut and ByulSin-gut as festival to be performed by variety purposes. Therefore this two rituals show a relationship of complementary cooperation.

      • KCI등재

        남해안 오귀새남굿의 비교 연구

        김형근(Kim Hyungkun) 한국무속학회 2010 한국무속학 Vol.0 No.20

        이 논문은 거제와 통영을 중심으로 히는 남해안굿을 그 인접 지역인 동해안, 전라남도와 비교한 것이다. 굿의 종류가 많지만 본고에서는 오구굿을 중심으로 하였고, 오구굿 중 구조와 연행요소인 무기와 무구를 중심으로 비교를 하였다. 남해안 오귀새남굿을 제목으로 내걸었지만 결국 동해안, 전라남도, 남해안 오구굿의 보편성과 독자성 양상을 밝히는 것이 주목적이라 할 수 있다. 망자의 영혼을 불러놓고 무속 의례를 통해 이상적인 공간으로 보내는 기능을 보편적으로 갖기에 세 지역 오구굿에서 많은 공통점들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엇을 강조하는지에 따라 특수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단순히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의 일방향 영향이라고 말할 수 없을 정도로 공통성과 차별성을 가지고 있음이 명확해졌다. 결과적으로 각 지역 오구굿이 독자적으로 가지고 있는 특징만으로 표현해 본다면 동해안의 오구굿은 망자와의 대화를 간절히 원해 적극적으로 시도하는 눈물의 굿이다. 남해안의 오귀새남굿은 다소 유식하다고 느껴지는 염불의 적극적 차용으로 여러 축원의 무기들이 강조되며, 특히 손굿을 중심으로 큰굿이 중심이 되는 굿이다. 전라남도 씻김굿은 유려한 소리맛과 고풀이를 통해 망자와 가족들의 맺힌 것들을 풀어내는 시각적 표현을 하고 있다. This study compared the gut (exorcism) of south coast areas designated centering on Geoje and Tongyeong to that of their neighboring area of east coast and Jeollanam-do. There are many kinds of gut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Ogu-gut and compared the structure to the performance elements such as shamanistic songs and shamanistic tools. The universality of Ogu-gut found in the three areas showed the common elements in the time-oriented procedures or meaning-based content according to the purposes held as a function of inviting the dead and seeing them off into an ideal place through shamanism; howev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were distinc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what they emphasized, Namely, it has been clear that they had both common and distinct elements so that the influences were not conveyed simply from an area to other areas. As a result, if only looking a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Ogu-gut in each area, Ogu-gut in east coast was that of tears, which desperately longed for the conversation with the dead and attempted to do it actively. Oguisaenam-gut of south coast was actively borrowed from Buddhist praying that was thought to be somehow knowledgeable; thus, various shamanistic songs for praying were emphasized and large-scale guts based especially on Son-gut were the center of this ritual. Sitkim-gut of Jeollanam-do relieved the deep grudge of the dead and their family members through elegant taste of songs and Gopuri (a process of relieving the grudge of the dead and sending them to their last journey).

      • KCI등재후보

        동해안과 함경도의 망자 천도굿

        김은희(Kim Eun-hee)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한국학연구 Vol.26 No.-

        망자 천도굿은 전국적으로 각각 다른 양상으로 존재한다. 본 연구는 그 중에서도 특별히 동해안 지역의 오구굿과 함경도 지역의 망묵굿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함경도의 망묵굿이 연행되는 지역은 북청이남과 원산 이북의 지역 무속에만 해당한다 한다. 실제 조사된 사례에 의거해서 두 지역 망자 천도굿에 대한 구조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오구굿과 망묵굿은 망자의 천도굿이라는 의미에서 일치하는 다양한 굿거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부정풀이, 문열이, 놋동우굿, 발원굿(바리데기), 시무염불, 넋일굼, 길가름, 정정밟기 등으로 이 굿거리들은 각각 굿 일반에서 보편적인 굿거리이거나 천도굿에서 필요한 굿거리라고 할 수 있다. 이 굿거리들은 두 지역 굿의 특징적인 굿거리를 통해서 더욱 극명하게 드러났는데, 특히 마을수호신과 가신에 대한 관념, 망자에 대한 태도의 차이, 조상에 대한 인식, 무구에 대한 의미부여 등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동해안 오구굿이 망자와 조상에 대해서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저승에 대해 해명하려고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달리 망묵굿은 서사시적 전통이 두드러지는데, 망자와 조상의 존재가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는 점이 있다. 특히 망묵굿의 이러한 특정들을 이집트나 티벳의 『사자의 서』 읽기 전통과 관련시켜 볼 수 있는데, 그러한 예가 〈도랑선배 청정각시〉, 〈짐가재굿〉, 〈오기풀이〉 등으로 이러한 서사무가의 구현이 망묵굿의 특정인 앉은굿이나 혼합장단의 사용과 갚은 관련이 있다고 하겠다. 오구굿과 망묵굿은 망자 천도굿으로서의 의미는 연행의 큰 구조에서 발견되었는데, 유사한 내용을 가진 굿거리의 분리를 통해서 8개의 유사한 단락으로 분리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더욱이 이 단락들은 다시 세계관의 대치를 보여주는 것으로 각각의 구현 방식에 따라서 굿의 구조를 네 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즉 첫 번째 단계는 세계관의 분별이 없는 상태에서, 굿을 준비하는 과정다. 두 번째 단계는 제신(諸神)들과 함께 망자를 모시는 과정으로 밖의 존재들이 안으로 들어온다. 다음 세 번째 단계는 안쪽의 세계에서 망자를 만나고, 망자가 떠날 준비를 한다. 이제 네번째 단계에 이르면 안에 있는 존재들은 밖깥세계로 나가기 위한 여러 절차를 거친다. 이러한 의미 단위들을 통해서 망자 오구굿과 망묵굿이 죽은 망자를 천도하는 굿으로 존재함을 확인시켜 준다. 이러한 구조는 여타 지역의 천도굿과의 비교를 할 수 있는 중요한 준거가 되고, 이를 통해서 굿의 보편성을 찾을 수 있게 할 것이다. Mangjachoendo-Gut has diverse aspects throughout the country. The study was intended to especially compare Ogu-Gut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with Mangmuk-Gut in Hamgyeong-do. Mangmuk-Gut only belongs to the region from southern Bukcheong to northern Wonsan. The structure of Mangjachoendo-Gut from the two region was examined based on the studied cases. Ogu-Gut and Mangmuk-Gut are different types of Cheondo-Gut, but it is found that they have a considerable analogy, which is the content of performance. Many similarities were found in the performances like bujeong-puri, opening a door, preventing misfortune by enlisting God's help, the messenger's leading a dead person to one's last journey, the last journey of Bari Princess, a dead's saying goodbye, separating the road of this world from that of the next world, presenting the image of a dead who leaves for the next world, which form the basic presenting performance of Cheondo-Gut as Gat-Good. Meanwhile, there are some differences found as well. Ogu-Gut co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stern coast of Korea has a tradition worshiping the guardian deity of the town, special roles of ancestor spirits, leading a dead to the next world through invocation, and using various utensils. On the other hand, Mangmuk-Gut featuring a narrative tradition do not display ancestor spirits and a dead. These characteristics of Mangmuk-Gut can be connected to the tradition of reading "The letter of the dead" in Egypt and Tibet, and 〈Dorang SeonbaeㆍCheongjeong Gaksi〉, 〈Jimgajae-Gut〉, 〈Ogi-puri〉 seem to be proper examples for it.

      • KCI등재

        상실과 애도의 무대 - 오태석의 「웨딩드레스」와 「운상각」을 중심으로

        이상란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43 No.-

        In dem frühen Drama von Oh Taesok 「Brautkleid」 treten hauptsächlich die Nebenfiguren auf. Die Frau, Mann und Gast genannten Nebenfiguren erscheinen auf der Bühne, um über den Mann mit Brautkleid zu erwähnen. Aber der Mann, der das Brautkleid in der Hand trägt, erscheint niemals auf der Bühne. Er existiert nur im Dialog der Nebenfiguren. Er ist nämlich eine Schattenfigur, die nur im Kopf der Zuschauer gestaltet werden kann. Im Mittelpunkt steht ein verlorenes Hochzeitbild, worüber zunächst von ihm erwähnt und danach weiter von den Nebenfiguren dem Zuschauer mitgeteilt wird. Es handelt sich um ein Hochzeitbild seiner Mutter in 「Brautkleid」, das aber irgendwie verlorengegangen ist. In 「Brautkleid」 geht es um die Abwesenheit der Mutter und den Verlust des Hochzeitbildes, in dem seine Mutter idealisiert erscheint. Die Abwesenheit des Vaters fällt auch gleichfalls auf, obwohl sie im Drama nicht direkt erwähnt, sondern nur durch die Beschreibung des Mannes über das Hochzeitbild, in dem die Stelle des Vaters neben seiner Mutter erlöscht ist, mitgeteilt wird. Diese mittelbare Darstellung der Abwesenheit des Vaters hängt mit dem Trauma des Autors zusammen, dessen Vater während des Koreakrieges nach Nordkorea abgeführt wurde. Oh Taesok konnte den wesentlichen Verlust -d.h. die Abwesenheit des Vaters- in einer Bühnensprache nicht darstellen. In 「Pavillon über den Wolken」, das 20 Jahre nach dem Brautkleid geschrieben ist, wird die Situation anders dargestellt. Der Mann mit dem Hochzeitbild, der nun in mittlerem Alter ist, erscheint auf der Bühne und kritisiert ältere Generation. Die Mutter im Bild, die schon sehr alt geworden ist, tritt auch auf und äußert ihre Trauer offensichtlich. Wenn das 「Brautkleid」 ein Negativ, das die nicht zu verratende Wunde verbirgt, ist, ist 「Pavillon über den Wolken」 ein Positiv, das die Wunde offenlegt und sie dadurch zu überwinden versucht. In 「Pavillon über den Wolken」 wird der Vater, der in Brautkleid nur in einem Leere existierte, ständig aufgerufen und erscheint endlich durch das Anrufen seines Geistes auf der Bühne. Sein Auftritt wird nicht durch die epische Darstellung, sondern durch die beschwörende Sprache vollgezogen. Dadurch findet das veletzte Ich, das mit demjenigen des Autors zusammenhängt, seine Identität, weil sein Trauma nicht nur ein individuller, sondern ein kollektiver ist, der durch den Brüderkrieg und die Teilung Koreas verursacht wurde. Dieser Prozeß des kullturellen Gedächtnises ermöglicht ihm die Versöhnung mit seinem verlorenen Vater und der Tragödie der neuesten Geschichte Koreas. Oh Taesok wendet dafür das traditionelle schamanistische Ritual wie Ogu-Kut an.

      • KCI등재

        동해안지역 오구굿에서 모신 신령의 성격과 의미

        김도현 동아시아고대학회 2022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5

        동해안지역 오구굿에서는 동해안 별신굿에서 모신 신령 중 골매기서낭․천왕․세존․성주․조상․바리데기를 모신다. 이에 더하여 좀 더 적극적으로 망자를 인도하여 정화시키고, 극락세계로 인도하는 역할을 아미타불․관세음보살․비로자나불․노사나불․지장보살․보현보살․인로왕보살․시왕[십대왕]․53불 등 불보살에 의탁하여 설행하는 사례가 많다. 구체적인 역할은 모셔짐, 굿당을 열어 줌, 망자 인도, 축원을 관장하는 역할 등으로 구분하여 정리할 수 있다. 오구굿에서 모신 신령 중 세존과 성주는 가신(家神)을 대표하여 모셔진 신령이고, 조상 또한 후손 죽음 공지와 저승으로 갈 때 함께 가는 등 일정한 역할을 수행한다. 골매기서낭과 바리데기, 군웅은 각각의 거리에서 해당 신령이 지닌 역할을 수행한다. 그런데, 해당 거리에 모셔진 불보살과 함께 이끌어가기에 독립된 역할을 수행하는 동해안 별신굿에서와는 달리 이승과 저승의 가족관계 맥락을 이어주는 등 굿거리에서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여 모셔지거나, 제한된 역할을 수행하는 신령으로 등장한다. 오구굿에서 모신 불보살이 지닌 기능과 의미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법화사상과 화엄사상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망자에 대한 구원과 인도를 위해 노력하는 아미타불을 비롯하여 지장보살․보현보살․인로왕보살 등을 통해 법화사상이 중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오구거리멕이굿, 반야심경 봉독을 비롯한 등노래굿에 사용되는 탑등을 통해 화엄사상도 중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동해안지역 오구굿에서 각 거리마다 불보살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배경은 불교문화가 뿌리 깊게 자리 잡은 곳이기에 불교의례의 영향이 컸다. 이에 더하여 무속에서 모신 신령들이 지닌 내세관과 구원의 원리보다 좀 더 체계성을 갖춘 불교에서 모신 불보살에 의탁하는 것이 망자를 천도하기에는 좀 더 명료하다고 여겼을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아미타불ㆍ관세음보살ㆍ지장보살ㆍ시왕ㆍ인로왕보살 등 불보살, 그리고 불교적 내세관을 지닌 무신(巫神)인 바리데기를 도입하여 좀 더 적극적으로 망자에 대한 정화ㆍ법식 베풂, 그리고, 극락왕생 발원을 위한 의례가 강화되었다. 그러므로 동해안지역 오구굿의 의례 절차와 지향점은 동해안 지역에서 모신 신령들의 역할과 불보살들의 기능이 각 거리마다 절묘하게 결합되어 오구굿을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불교의례가 지닌 다양한 요소들을 수용한 형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해안지역 오구굿에서 무속에서 모시는 신령들이 지닌 본래의 역할과 함께 불교의례의 영향으로 염불․불보살 명호 언급․정근 등을 통해 법식을 받고, 망자에게 축원을 해주는 형태로 설행된다. 둘째, 천수경․반야심경․지옥풀이․사십팔원․장엄 염불 등을 각 거리별로 무가에 삽입하여 무녀나 양중이 적절하게 구송하는 형태로 진행한다. 셋째, 시왕은 각 단계별로 망자를 심판하는 존재이기에 이를 잘 초들어서 위해주고, 인로왕보살과 지장보살을 극락세계로 인도하는 존재로 여기고 있다. 넷째, 광명의 세계인 극락을 관장하는 주불(主佛)인 아미타불을 비롯한 불보살을 오는 뱃노래굿을 통해 모셔와서 오구굿을 진행하고, 뱃노래와 소지[소지진언]를 통해 망자와 함께 서방정토로 보내드린다. 이 거리는 수륙재․영산재 등 불교의례에서 설행하는 시련의식과 봉송의식을 차용하여 설행한 형 ...

      • KCI등재

        생전예수재의 종교문화적 의미와 위상

        구미래 한국정토학회 2015 정토학연구 Vol.23 No.-

        예수재는 사후를 위한 의례를 내가 주인공이 되어 치른다는 데 핵심이 있다. 살아있을 때 죽음을 준비하는 전통문화로는 생전에 수의와 관을 만들고 묏자리를 준비하는 풍습, 망자를 위한 의례를 산 자에게 적용하여 치르는 예수재와 산 오구굿, 생전장례 등을 들 수 있다. 죽음을 미리 준비하는 것은 자신의 복된 내세를 위한 일이자 피할 수 없는 운명에 대처하는 일이요, 생사문제를 존재론적으로 성찰하는 자세이기도 하다. 예수재는 이처럼 내세에 대한 기대와 죽음을 극복하려는 마음을 적극 수용하면서, 죽음을 통해 삶을 성찰하도록 이끄는 가장 체계적이고 수승한 의례라 할 수 있다. 예수재에 담긴 신행관의 핵심은 수행(修行)과 보시(布施)이다. 이를 드러내기 위해 누구나 살아있는 동안에 경전을 보지 못한 빚과 금전적인 빚을 지니고 있다고 본다. 이때 경전 빚은 수행을 이끌고, 금전 빚은 보시를 이끄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렇게 수행과 보시의 공덕을 빚을 갚는 것으로 표현한 것은 참회를 이끌기 위함이다. 불교에서는 자신의 업을 돌아보고 참회하는 마음에서 참된 기도와 수행이 시작된다고 본다. 참회로 악업을 녹이고 공덕을 지어 선업을 쌓는 것이기에, 실천하는 보살행이야말로 가장 적극적인 참회이다. 따라서 올바른 신행은 참회에서 출발하여 행으로 이어지며 이때의 행은 곧 나를 향한 수행이요, 나 이외의 존재를 향한 보시로 귀결된다. 또한 예수재에서는 윤회를 전제하는 불교의 세계관에 따라 전생과 현세와 내세의 삼세(三世)가 펼쳐진다. 예수재에 모시는 9단의 신위체계는 만다라적 특성을 드러내며, 삼신불에서부터 지천(地天)을 오가는 말에 이르기까지 초월적 세계의 다양한 존재들이 중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례공간에 강림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만다라적 신위체계’와 ‘삼세육도의 윤회관’은 살아서 자신의 죽음을 내다보는 이들에게 중요한 가르침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예수9단의 초월적 존재들은 보편적 종교심성에서 볼 때 우주만물에 깃든 엄정하고 피할 수 없는 섭리를 나타낸다는 점이다. 둘째, 인과응보와 윤회는 생을 달리하는 문제만이 아니라 매 순간의 삶에 적용되는 것임을 일깨운다는 점이다. 이처럼 삶과 죽음, 이승과 저승이 공존하는 윤회의 굴레 속에서 지은대로 받는 인과를 새기며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던져주고 있는 것이다. 죽음을 생각하는 자리에서 삶을 성찰하게 만드는 것이 예수재의 가장 큰 목적이라 하겠다. Ye-su-jae has its core purpose to deliver my own afterlife ceremony. There are a number of death preparations in traditional culture such as preparing a shroud and a coffin, Ye-su-jae which is a funereal delivered before a death for the deceased, a San Ogu-gut, a funeral for the alive and etc. Preparing for a death is not only to cope with own destiny and to have peaceful afterlife, but also is to reflect the question of life and death ontologically. Ye-su-jae is the most constructed ceremony which leads to reflect one's life through the death while allowing one to accommodate a heart to overcome a death and an expectation for the afterlife The key points within the view of Buddhists in Ye-su-jae are an asceticism and an offering. Every people has financial debts and debts of not reading Buddhist scriptures. Debts of not reading Buddhist scriptures leads to an act of asceticism and financial debts lead to an act of offering. Expressing deeds of asceticism and an offering as an act of repayment is to allow one to confess his or her sins. In Buddhism, a real prayer and asceticism start from a heart of penitence by looking back one's sins. Sins can be mitigated with a penitence and good works can be cumulated with good deeds. Therefore, the most active penitence is practicing good deeds. A rightful belief and practice start from a penitence and lead to an act and thereby concluded as an asceticism for me, and an offering for the others. Ye-su-jae describes a life comprised of three lives with a previous life, current life, and after life as Buddhistic view of life. 9-level ancestral table in Ye-su-jae is borrowed from the Mandala style and is for Trikaya and various being on everywhere to descend down to solve problems in middle life. This Mandala style ancestral table and the view of samsara of three lives and six beings unfolds an important teaching. First, transcendental beings on the 9-level ancestral tables represents a strict providence within a universe in the light of general religious viewpoint. Second, punitive justice and samsara is not only applied to life and death problem but also to everyday life. It throws a question of how to live with comeuppance resulted from one's own action under a universe where samsara, life and death and current and after life are coexisting. Allowing one to reflect his or her own life at the scene of death is the biggest purpose of Ye-su-jae.

      • KCI등재

        오포(Ofo): 나이지리아 남동부 이그보 사회의 유형과 무형 유산

        은남디 C. 아자에빌리 국립민속박물관 2020 International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Vol.15 No.2

        The ofo is made from a tree known as detarium elastica. Among the Igbo of South-eastern Nigeria, it is the material and mystical symbol of truth, purity, justice and authority. The fundamental principle inherent in the institution of ofo is that right is might; right here is defined as justice. Through the institution or cult of ofo, the traditional Igbo defend and apply this principle in their personal and social relations, ofo is thus the defender of the innocent. The weak can also be protected by this principle, but only if they are innocent, that is, if they have ogu on their side. This gave rise, in Igbo cosmology, to the twin principle of ofo-na-ogu (justice and innocence) which is the foundation of all the basic moral principles in Igbo traditional ethics, such as truth, justice, innocence, uprightness and moral purity.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survey the mundane and spiritual dimensions of the age-old ofo institution which has been a bedrock in the sustenance of traditional Igbo society but which, unfortunately, is fast losing its relevance among some so-called ‘modern’ Igbo. 오포(ofo)는 데타륨 엘라스티카(detarium elastica)로 알려진 나무로제작된다. 나이지리아 남동부의 이그보족(Igbo)은 이를 진리와 순결, 정의, 권위, 그리고 물질적이고 신비로움의 상징으로 여긴다. 오포(ofo) 제도에 내재된 기본 원칙은 올바름이며, 여기서 올바름은힘으로 정의된다. 오포(ofo)의 제도나 의례를 통해 전통적인 이그보족(Igbo)은 그들의 개인적, 사회적 관계에 이 원칙을 옹호하고 적용하는데, 따라서 오포(ofo)는 무고한 사람들의 변호인이 된다. 약자도이 원리에 의해 보호받을 수 있지만, 결백할 때만, 즉 오구(ogu)가자기 편일 경우에만 보호받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이그보족(Igbo)의우주론에서는 진실, 정의, 결백, 청렴, 도덕적 순결 등 이그보족(Igbo) 전통 윤리의 모든 기본적 도덕적 원칙의 토대가 되는 오포-나-오구(ofo-na-ogu)라는 불가분의 원칙이 생겨났다. 본 문헌의 목적은 전통이그보족(Igbo)사회의 유지에 기초가 되었지만 불행하게도 소위‘현대’ 이그보족(Igbo)사이에선 빠르게 그 지위를 상실하고 있는오랜된 오포(ofo) 조직의 세속 및 영적인 면모를 조사하는 것이다.

      • KCI등재

        오포(Ofo): 나이지리아 남동부 이그보 사회의 유형과 무형 유산

        은남디 C. 아자에빌리 국립민속박물관 2020 International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Vol.15 No.1

        The ofo is made from a tree known as detarium elastica. Among the Igbo of South-eastern Nigeria, it is the material and mystical symbol of truth, purity, justice and authority. The fundamental principle inherent in the institution of ofo is that right is might; right here is defined as justice. Through the institution or cult of ofo, the traditional Igbo defend and apply this principle in their personal and social relations, ofo is thus the defender of the innocent. The weak can also be protected by this principle, but only if they are innocent, that is, if they have ogu on their side. This gave rise, in Igbo cosmology, to the twin principle of ofo-na-ogu (justice and innocence) which is the foundation of all the basic moral principles in Igbo traditional ethics, such as truth, justice, innocence, uprightness and moral purity.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survey the mundane and spiritual dimensions of the age-old ofo institution which has been a bedrock in the sustenance of traditional Igbo society but which, unfortunately, is fast losing its relevance among some so-called ‘modern’ Igbo. 오포(ofo)는 데타륨 엘라스티카(detarium elastica)로 알려진 나무로제작된다. 나이지리아 남동부의 이그보족(Igbo)은 이를 진리와 순결, 정의, 권위, 그리고 물질적이고 신비로움의 상징으로 여긴다. 오포(ofo) 제도에 내재된 기본 원칙은 올바름이며, 여기서 올바름은힘으로 정의된다. 오포(ofo)의 제도나 의례를 통해 전통적인 이그보족(Igbo)은 그들의 개인적, 사회적 관계에 이 원칙을 옹호하고 적용하는데, 따라서 오포(ofo)는 무고한 사람들의 변호인이 된다. 약자도이 원리에 의해 보호받을 수 있지만, 결백할 때만, 즉 오구(ogu)가자기 편일 경우에만 보호받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이그보족(Igbo)의우주론에서는 진실, 정의, 결백, 청렴, 도덕적 순결 등 이그보족(Igbo) 전통 윤리의 모든 기본적 도덕적 원칙의 토대가 되는 오포-나-오구(ofo-na-ogu)라는 불가분의 원칙이 생겨났다. 본 문헌의 목적은 전통이그보족(Igbo)사회의 유지에 기초가 되었지만 불행하게도 소위‘현대’ 이그보족(Igbo)사이에선 빠르게 그 지위를 상실하고 있는오랜된 오포(ofo) 조직의 세속 및 영적인 면모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