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살상 무기와 작전수행 개념 연구

        장보선 ( Jang Bo-seon ) 한국군사학회 2018 군사논단 Vol.94 No.-

        Military powers require new tools(weapons) to minimize application of direct military forces but to control warfield effectively, as weapons of mass destructions in the era of Cold War have been recognized as not efficient for new state of affairs of wars due to changes in war environments such as remarkable development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international blame against civilian mass destruction, and increase in war cost required for recovery from mass destructions and damages. Like this, recognition on war has been changing, the most interested sector for the recent some years could be Non-Lethal Weapons. In future war, non-lethal weapons would be applied usefully in the entire process of war. Non-lethal weapons suppress deaths or injuries of human lives or mass destructions and enable to minimize political burden against human killing. It also destroys enemies by minimizing destruction against core facilities and functions, and so it could be useful tool to secure time for diplomatic resolution in the internationally sensitive circumstances. Despite of non-lethal weapons' effects, it could be converted to lethal one in the perspective of goal, and there are problems including anxiety on environmental destruction. However, in future, the application of concept of non-lethal warfare should be more extended. Its operation in strategic level is to paralyze an enemy's intention and will of war and to incapacitate the enemy's system of war map and core foundational facilities. By neutralizing war system before the actual battles, it should be operated to minimize damages in the battles of forces. It should be also operated to maximize its effects by integrating it with existing systems of weapons. During battles, by incapacitating an enemy's battle force system and neutralizing functions of missiles, long-range guns, and mechanized infantries, it should be operated to contribute to lead to definite victory. During an operation of stabilization, it should be operated by focusing on minimizing civilian damages and losses, making friendly environments, and recovering national functions and social orders earlier. In future wars, by integrating the concept of non-lethal warfare, after neutralizing enemies and increasing multiple effects by appropriate physical attacks, the complete victory should be made in the war.

      • KCI등재

        폭발형 고섬광 발생장치의 설계 변수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경식(Kyung Sik Kim),안재운(Jae-Woon Ahn),양희원(Hui-Won Yang),권미라(Mi-Ra Kwon) 대한기계학회 2016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40 No.5

        목표 대상을 치명적이거나 파괴하지 않고 제압할 수 있는 무기를 비살상무기라 하며, 그중 고섬광발생장치는 강한 섬광으로 적의 광학센서를 무력화시키거나 시력을 일시적으로 마비시키는 무기체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폭화약에 의한 충격파로 인해 발생한 플라즈마를 이용한 폭발형 고섬광발생장치의 형상에 대한 설계 방안을 도출하여 시료를 제작하고 광학센서를 사용한 기초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시험결과를 분석하여 설계 변수에 따른 고섬광 효과를 최대화시키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충전가스 종류로 아르곤보다 제논의 경우 2배 가량 광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비활성가스가 광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비교로써 공기보다 제논의 경우 4배 가량 광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화약량이 증가할수록 원주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파가 도달할 수 있는 단면적이 증가할수록 광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단일기폭보다 이중기폭의 경우 광원이 2배가 되어 광도도 2배됨을 입증하였다. A non-lethal weapon is a device that can subdue targets without causing death or mortal wounds. A high-intensity flash generator can negate electro-optical sensors and cause temporal flash blindness with a high intensity of light. In this study, we derive the design parameters of an explosive-driven high-intensity flash generator that uses the interaction of plasma caused by the detonation of explosives with surrounding inert gas. To determine the design parameters of the flash generator, we analyze test results measured using optical sensor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light intensity of xenon gas is about four times higher than that of air. In addition, the intensity increases with the weight of the explosive, and the inert gas cross-sectional area encountered a shock wave in the airframe. The light intensity caused by a double-initiation generator is about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single-initiation generator.

      • KCI등재

        비 살상 무기 개발을 위한 생분해성 발포 폴리우레탄에 대한 연구

        이향무,김영현,김경원,정인우,Lee, Hyang Moo,Kim, Young Hyun,Kim, Kyung Won,Cheong, In Woo 한국접착및계면학회 2016 접착 및 계면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불법 조업 어선 제압 및 장비 불용화를 위한 접착형 퇴치제 개발의 일환으로 발포형 생분해성 폴리우레탄 연구를 수행하였다. 발포형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폴리에스터계 및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포함하는 주재와 고분자형의 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경화제를 혼합하여 반응이 완결되는 2액형으로, 단기간의 생분해성을 위해 주재에 starch와 dextrin 및 amylase 등을 첨가하여 4주간 약 34%의 생분해도를 OECD 301C법에 의해 얻을 수 있었다. 주재와 경화제의 온도에 따른 점도를 $0{\sim}50^{\circ}C$의 온도범위에서 측정하여 혼합 시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신속한 발포 및 접착성능을 위해서 $0{\sim}50^{\circ}C$의 온도 범위에서 발포형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반응 완결 속도(rising time)를 조절하여 1 min 내외로 제어하였다. 또한 면 직물에 대한 T-peel 시험을 수행한 결과 최대 20.78 N/cm, 평균 11.95 N/cm의 접착력을 얻을 수 있었다. Foam-type biodegradable polyurethane adhesives were developed as a non-lethal weapon against illegal fishing boats. The adhesives were prepared from a hardener of polymeric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MDI) and a base composed of polyester and/or polyether polyols. In order to accelerate biodegradability, starch, dextrin, and amylase were added into the base, and which present about 34% degradability within 4 weeks confirmed by OECD 301C method. For proper mixing and corresponding prompt foam reaction, viscosities of hardener and base compositions were investigated in the temperature ranges from 0 to $50^{\circ}C$. For fast completion of the foam forming and corresponding adhesion, rising time was recorded in the same temperature range, and the rising time of the adhesive was varied within around 1 minute. T-peel adhesion tests with cotton fabrics were performed which showed 20.78 N/cm and 11.95 N/cm as the maximum and the average values, respectively.

      • KCI등재

        비 살상 무기 개발을 위한 생분해성 발포 폴리우레탄에 대한 연구

        이향무 ( Hyang Moo Lee ),김영현 ( Young Hyun Kim ),김경원 ( Kyung Won Kim ),정인우 ( In Woo Cheong ) 한국접착및계면학회 2016 접착 및 계면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불법 조업 어선 제압 및 장비 불용화를 위한 접착형 퇴치제 개발의 일환으로 발포형 생분해성 폴리우레탄 연구를 수행하였다. 발포형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폴리에스터계 및폴리에테르 폴리올을 포함하는 주재와 고분자형의 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경화제를 혼합하여 반응이 완결되는 2액형으로, 단기간의 생분해성을 위해 주재에 starch와 dextrin 및 amylase 등을 첨가하여 4주간 약 34%의 생분해도를 OECD 301C법에 의해 얻을 수 있었다. 주재와 경화제의 온도에 따른 점도를 0~50°C의 온도범위에서 측정하여 혼합 시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신속한 발포 및 접착성능을 위해서 0~50°C의 온도 범위에서 발포형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반응 완결 속도(rising time)를 조절하여 1 min 내외로 제어하였다. 또한 면 직물에 대한 T-peel 시험을 수행한 결과 최대 20.78 N/cm, 평균 11.95 N/cm의 접착력을 얻을 수 있었다. Foam-type biodegradable polyurethane adhesives were developed as a non-lethal weapon against illegal fishing boats. The adhesives were prepared from a hardener of polymeric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MDI) and a base composed of polyester and/or polyether polyols. In order to accelerate biodegradability, starch, dextrin, and amylase were added into the base, and which present about 34% degradability within 4 weeks confirmed by OECD 301C method. For proper mixing and corresponding prompt foam reaction, viscosities of hardener and base compositions were investigated in the temperature ranges from 0 to 50°C. For fast completion of the foam forming and corresponding adhesion, rising time was recorded in the same temperature range, and the rising time of the adhesive was varied within around 1 minute. T-peel adhesion tests with cotton fabrics were performed which showed 20.78 N/cm and 11.95 N/cm as the maximum and the average values, respectively.

      • KCI등재

        테이져건 사용에 대한 경찰관 인식에 관한 연구

        윤현석 ( Hyun Seok Yoon ),이동원 ( Dong Weon Lee ) 한국경찰학회 2012 한국경찰학회보 Vol.14 No.6

        경찰권 행사에 있어서 생명에 직접적으로 위협을 주거나 상해를 가져오는 치명적인 살상무기 사용을 제한하고 통제하기 위하여 비(非)치명적 무기의 사용을 늘리고 있으며, 테이져건이 총기보다 안전하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총기를 대체하고 보완할 수 있는 장비로 급부상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위험성에 대해서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선 경찰관들의 테이져건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해서 실질적인 효과와 문제점들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테이져건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더 잘 알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찰관들이 테이져건의 문제점에 대해서 더 크게 우려하고 있었으며, 테이져건의 효과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도 테이져건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더 잘 알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찰관들이 테이져건의 효과에 대해서 더 부정적이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테이져건에 대해서 시사하는 바가 크며, 향후 테이져건의 보급과 운용에 있어서 관련 지침을 마련하고 방침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테이져건의 사용 경험자를 중심으로 광범위한 의견 수렴하고 검토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use of non-lethal weapons is increasing while the use of lethal weapons that may directly threaten life or cause injuries when exercising the policing rights tends to decrease. As Tazer guns are recognized to be safer than other guns, these are rapidly recommended as those to replace and supplement general guns. This study analyzed substantial effects and problems based on a survey on perceptions of police officers on Tazer guns. Based on the results, police officers recognized to have better knowledge about these guns are more concerned about their problems. Also, as for the effects, those who are recognized to better understand Tazer guns had more negative opinions on their effects. These results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on Tazer guns. It will be necessary to collect wider opinions of Tazer gun users and review them to arrange related guidelines and establish methods on the distribution and use.

      • KCI등재

        국방 지식재산권 창출·활용을 위한 연구: 국유특허와 비무기체계 업체투자연구개발을 중심으로

        박송기,이상협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3 지식재산연구 Vol.8 No.4

        There are many laws and regulations such as Defense AcquisitionProgram Act, Framework Act on Science and Technology, Act on the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in order to actively protect defensescience and technology. Along with the institutional strategy, themilitary are increasing a interest and an effort about intellectual propertyrights of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However, they are at an earlystage in compared with other commercial companies. In this study, I examined a wide variety of the defense inventionthat may occur in the military and patents which the military arepossessing. Additionally, I reviewed problems which are related to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improvements on that. Particularly, thisstudy discusses inventions which people who worked in the militaryinvented and how the military which don’t have manufacturing facilitiescan utilize these inventions. It also concludes problems on who has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hen private companies research non-lethalweapon systems and offers rational solutions on it. 국방과학기술과 관련하여 이를 적극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 방위사업법, 과학기술기본법, 국방과학연구소법 등의 많은 법률과 규정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제도적 장치와 더불어 군에서도 국방과학기술의 지식재산권에 대한 관심과 노력을 증대시키고 있으나 일반기업과 비교하여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글에서는 군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국방발명의 종류와 각 군의 특허권현황에 대해서 살펴봤으며, 지식재산권과 관련하여 군에서 문제될 수 있는 사항과이에 대한 개선사항들을 논의하였다. 특히 직무발명과 관련하여 생산시설이 없는군이 어떠한 방식으로 자신들이 발명한 직무발명을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사례와 함께 설명하였으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일기관 범위의 인정, 실시요건 및발명자 보상에 대한 법규 개정을 제안하였다. 또한,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은 비무기체계사업 분야에서 업체투자연구개발시 발생할 수 있는 지식재산권 소유 문제와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國際法上 情報戰에 관한 硏究

        문규석(Kyu-Seok Moon) 대한국제법학회 2003 國際法學會論叢 Vol.48 No.1

        사이버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범죄는 행위자가 누구이냐에 따라서 사인인 경우와 국가인 경우로 나눌 수 있고, 국가에 의한 사이버범죄는 정보전으로서 국가의 활동과 관련된다. 사인에 의한 사이버범죄는 행위지와 결과발생지가 각각 다름으로 인하여 형사관할권의 문제, 죄형법정주의의 문제 및 형사사법공조의 문제가 있다. 반면에 정보전은 악성 컴퓨터프로그램으로 행한 다른 국가의 컴퓨터네트워크에 대한 공격이 UN헌장 제2조 4항에서 금지하고 있는 무력행사에 포함되는지 여부이다. 전시에 행해지는 정보전은 전쟁의 수단과 방법의 일부분으로 볼 수 있으므로 평시에 전개되는 정보전으로 한정하면, 첫째, UN헌장 제2조 4항에서 금지하고 있는 무력행사의 의미가 기동력이 있는 물리적인 힘으로 표출되는 다양한 형태의 군사활동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다른 국가의 컴퓨터네트워크에 대한 공격도 4가지의 근거 및 5가지의 전제조건하에 무력의 행사로 볼 수 있다. 셋째, 침략의 정의에 관한 UN총회의 결의에 따르면 최초의 무력의 행사는 침략 개시의 증거로 보고 있으므로 다른 국가의 컴퓨터네트워크에 대한 공격이 무력행사를 의미할 때 그것이 침략행위를 의미하는지 의문이 제기된다. 넷째, 컴퓨터바이러스는 비살상무기로 분류되고, 비살상무기로 침략행위가 개시된 사례가 없으므로 컴퓨터네트워크에 대한 공격 그 자체는 침략행위로 보기 어렵다. 다섯째, 다른 국가의 컴퓨터네트워크에 대한 공격이 5가지의 조건하에 무력의 행사로 본다고 하더라도 비례성의 원칙에 견지에서 보면 재래식무기로 자위조치도 할 수 없다. 여섯째, 현재까지 사이버공격으로 발생한 문제는 인명살상이 아니라 물질적 손실로 한정되고 또 모든 국가가 국제분쟁의 평화적 해결의무를 부담하고 있으므로 평화적인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일곱째, 구체적으로 사이버공격과 관련된 범죄행위는 국제불법행위로서 국가책임과 개인에 대한 형사책임의 이론으로 처리가 가능하다. 현행 국제법의 패러다임은 주권과 영토의 개념이 전제가 된 국가를 기초로 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은 가상의 공간에서 또는 가상의 공간을 통하여 발생할 수 있는 국가의 범죄에 관련된 문제는 현행 국제법으로 규율할 수 없다. 따라서 인터넷을 통하여 형성된 사이버공간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형성이 필요하다. Cyber criminals can be grouped into state-actors and non-state actors. There are three main issues involved for non-state actors who attack a computer system or network on foreign soil because the place to be committed a crime and the place to be occurred the result of the crime are different states respectively. These are ① which country has criminal jurisdiction?, ② the issue of nulla poena sine lege, and ® the issue of mutual assistance in criminal matters. Cybercrime committed by a state-actor can be referred to information warfare(IW). The main issue in information warfare from the standpoint of international law is whether computer network attack(CNA) of any state by a state-actor can be considered as "the use of force" prohibited in Article 2(4) of U.N. Charter. During wartime, IW is a part of means and method of armed conflict.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it can be considered as a means of armed conflict during peace time. In this paper, I discuss this issue with the following seven points. First, the term of use of force prohibited in Article 2(4) of U.N. Charter is armed force described as various forms of kinetic or physical force related to military activity of a state. Second, CNA can be included the meaning of use of force under the four grounds and five pre-conditions. Third, the use of force is, in itself, aggression in accordance with Article 2 of Definition of Aggression(XXIX) under the Resolution of U.N. General Assembly, which prescribes, "the first use of force by a state in contravention of the Charter shall constitute prima facie evidence of an act of aggression…. However, the arising question is whether CNA is considered the act of aggression if CNA meets the five pre-conditions to be considered as "the use of force". Fourth, CNA can not be act of aggression because of two facts. One is that malicious computer-program such as 'I Love You virus' and hacking programs which deny, destroy, corrupt, or exploit the enemy's information and its functions can be categorized non-lethal weapon. The other is that there is not even a case to have invaded with non-lethal weapon. Fifth, it is not legitimate to invoke the right of self-defence using conventional weapons against CNA in the light of the principle of proportion even though CNA is contained the meaning of use of force under five pre-conditions. Sixth, the problem raised by the attack through cyberspace can be solved by peaceful means because damage occurred is only limited by economic loss, not casualties, and all countries should be imposed the obligation of pacific settlement of disputes under Chapter Ⅵ of U.N. Charter as well. Finally, the act of crime related to CNA can be composed of state responsibility as an international wrongful act, and the actor of the crime who hold a position as an official capacity such as a Head of State or Government can be punished with the theory of individual criminal responsibility. Current paradigms of international law focus on a state-based structure that is preoccupied with the notions of sovereignty and territory. The problems raised through cyberspace or in the cyberspace can not be applied to current international law. So, tomorrow's world will require new paradigms which accommodate the imminent transnational society through Internet.

      • 미국경찰의 대체장비 활용을 통해 본 한국경찰의 시사점 검토

        이동권 ( Dong Gweon Lee ) 이실학회(구 한국경찰이론과실무학회) 2011 경찰연구논집 Vol.8 No.-

        미국 경찰의 무기사용에 있어서 생명·신체에 위해를 수반하는 치명적인 강제력을 사용하는 것은 다른 수단이 없다고 인정되는 최후의 수단으로 강제력이 행사되어야 한다는 점에는 우리의 경우와 같다고 볼 수 있다. 어느 나라 경찰 할 것 없이 총기사용을 회피하려는 경향이며 범법자를 사상치 않고 범인을 제압·체포할 수 있는 비살상 무기인 대체장비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현실이다. 미국 경찰의 경우도 페퍼스프레이(Pepper Spray) 등 각종 화학장비, 전자충격기(Taser gun), 각종 음향무기(LRAD), 고무탄(Baton gun), 그물총(Net gun), 빈백(Bean Bags) 등에 대한 연구개발과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그 유용성이 입증되면 바로 실무에 적용하고 있는 바, 우리 경찰에서도 총기 대체장비 개발과 도입에 대해 적극적인 검토를 할 시점이다. 다만, 대체장비 도입시 하위법인 경찰장비규정보다 상위법인 경찰관직무집행법에 명시적인 규정을 두고 인권침해 시비를 불식시키며, 실제 대체장비를 사용하게 될 경찰관들과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국민들의 공감대 형성이 필요할 것이다. The use of weapons by the US police is the same with us in that they observe the principle that the use of the lethal legal force involving a damage to a person`s life or body is only permissible as a final means in the critical situation acknowledged as having no other means nit to exercise legal force. Even in case of the US police, they are putting spurs to R & D and introduction of all sorts of chemical equipment like Pepper Spray, Taser gun, various LRAD, Baton gun, Net gun and Bean Bags. etc., and once their utility is proved, the US police immediately apply to practical busimess, so now is the time for us to have an aggressive review on the development & introduction of the alternative equipment to firearm. Nevertheless, in time of introducing the replacement equipment. it`s necessary to add the denotative regulations to the super ordinate law-Act on Performance of Duties of Police Officers other than the subordinate law-the Police Equipment Management Regulations, Eliminate bothering to distinguish right from wrong regarding the infrigement of human rights, collect diverse opinions of civic groups and police officers who are going to actually deal with the replacement equipment soon, and form the people`s consens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