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어 완곡어법의 의미 변화 현상

        Tran Thi Van Yen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논총 Vol.23 No.-

        Trong bài viết này tác giả. phân tích uyển ngữ trong tiếng Hàn qua sự chuyển dịch về ý nghĩa. Uyển ngữ được dùng phổ biến ở tất cả các miền văn hóa, dân tộc. Uyển ngữ không chỉ đơn thuần là một cách biểu hiện ngôn từ mà nó chính là một trong những văn hóa ngôn ngữ. Uyển ngữ trong tiếng Hàn không chỉ có sự khác biệt ở cách biểu hiện từ ngữ mà về mặt ý nghĩa cũng có sự thay đổi. Theo đó có thể chia làm bốn trường hợp, cụ thể như sau: Thứ nhất, uyển ngữ nâng cao ý nghĩa so với nghĩa gốc. Thứ hai, uyển ngữ hạ thấp ý nghĩa so với nghĩa gốc. Thứ ba, uyển ngữ mở rộng ý nghĩa so với nghĩa gốc. Thữ tư, uyển ngữ làm mờ nghĩa gốc. Uyển ngữ được dùng rộng rãi ở mọi miền văn hóa và được dùng thay thế cách nói trực tiếp khi phải đối mặt với vấn đề cấm kị, tế nhị, nhạy cảm, dễ làm mất lòng hoặc gây bối rối cho người nghe nhằm làm cho nội dung phát ngôn lịch sự hơn, đẹp hơn, nghe nhẹ nhàng hơn. Tuy nhiên bên cạch đó, thay vì nói trực tiếp thì uyển ngữ lại dùng cách nói vòng, nói tránh nên đôi khi không thể hiện được hết nội dung cần truyền đạt. Việc vận dụng tốt phép uyển ngữ cũng chính là việc nắm bắt, hiểu được văn hóa sinh hoạt của dân tộc đó, đất nước đó, làm sao để người nghe luôn cảm thấy thải mái và được tôn trọng. Cùng với sự phát triển của nền văn hóa, thời đại thì việc sử dụng uyển ngữ cũng đang dần phát triển để trở thành một phạm trù ngôn ngữ thể hiện nét đẹp trong giao tiếp của con người. Trong tương lai sự phát triển ngôn ngữ của con người sẽ còn có nhiều thay đổi và theo đó là sự xuất hiện của nhiều hình thức uyển ngữ nữa.

      • KCI등재

        조선시대 한글 서체의 微加減法에 관한 고찰

        정복동(Jeong, Bokdong) 한국서예학회 2015 서예학연구 Vol.27 No.-

        본고는 조선시대 한글서체가 생성․변천한 원인을 규명하는 기초적인 토대를 마련하는 연구이다. 한글서체가 생성․발전․변화해온 근저에는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인 ‘倣’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정인지는 ‘훈민정음해례’ 후서에서 “세종대왕께서 창제한 ‘훈민정음’ 28 자는 ‘象形而字倣古篆’이라”고 밝혔다. 이는 문자의 기능과 예술적 감각 그리고 백성 의 편의성을 고려한 과학적이며 독창적인 자형이 상형성과 고전모방설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심층적으로는 철학적인 태극, 음양오행, 사계절이 循環無斷하는 원리 가 제자원리에 적용되었음을 밝힌 것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문자의 제자가 象形性, 古篆模倣性, 자연과 철학적 이치 등이 복합적으로 제시되어 있는데, 이에 대한 서체의 조형적 근거를 ‘因文成象圖’에 제시된 ‘한자 의 전서를 만드는 방법 중에서 加와 微加減法이 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다’는 새로운 학설이 발표되었다. 서체의 임모와 창작에서 자형이 만들어진 원리와 변화된 이치는 한글 서예 미학의 중요한 준칙이 된다. 이에 자음의 기본자에 가획을 하여 만든 ‘ㄹ ㅂ ㅍ ㅊ ㅎ’의 자형이 세로획 미가법을 적용한 것을 근거 자료로 선별하여, 조선시대 한글 서체인 판본류와 필사류의 자형에 ‘미가감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였다. 연구방법은 조선시대 한글 문헌인 판본류 28종과 필사류 38종을 시기별로 선별하여 훈민정음 자형과 비교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미가법이 적용된 것은 ‘미’, 미가 법에 가까운 것은 근취의 ‘근’, 미가법에서 먼 것은 원취의 ‘원’으로 규정하여, 초성 의 좌측과 상측, 종성을 각각 분석하였다. 아울러 자형이 변화된 것은 ‘변’으로 규정하여 한글 변천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이에 시기별로 구분하고 이를 백분율로 통계한 결과 한글 자형의 변천을 통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15세기 중엽 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형의 모습은 판본 류와 필사류에 따라 변별성이 있으며, 정자, 흘림, 진흘림으로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판본 문헌은 가독성과 시각적 명확성에 충실하여 필사류의 표준 자형의 기능이 있다. 필사류는 필사의 효율성에 따라 실용성에서 점차 예술적 미감이 더해져 하나의 통일된 양식의 궁체가 생성되었다. 따라서 궁체의 생성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진것이 아니라 선인들이 15세기부터 판본 문헌의 정형적 자형을 토대로 삼아, 16세기 이후 필사자의 개인별 미적경험에 따라 점선면의 분간포백에 대한 변화 혹은 통일에 의한 결과이다. 흘림 자형은 각각 독립적으로 나타난 변화의 과정에서 나타난 것이기보다는 음절 구조를 풀어쓰면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한글자 내에서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필 획의 연결성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미적 발전을 도모한 결과이다. 이는 당시 필사자들이 단순히 내용을 기록하기 위한 한글 사용에서 탈피하여 자소․점획의 형태와 크기․위치 등을 다양하게 변형시키면서 새로운 자형과 서체를 개발하기 위해 끊임없 이 노력한 것을 알 수 있다. 만물이 각각 그 마땅한 곳에서 자신만의 색채를 띠는 것과 같이 한글 편지의 자 형은 각각 成於自然을 본받은 듯하다. 특히 궁체 형성의 토대를 훈민정음 창제 당시 의 ‘미가법’에 의한 공간 변화로써 응용한 것은 마치 사계절이 끊임없이 순환하는 [物極必反] 이치와 같은 원리를 담으려는 노력이 배어있다. 본 연구의 활용성은 조선시대 5백여 년간 서예사적으로 변천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것이므로 한글 서체의 조형적 근거와 ‘變’과 ‘化’의 규칙을 파악하여 예술성을 높일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한글 서예 창작의 영감을 얻을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그리고 ‘미가법’의 변화를 파악하여 한글 서예가 취상한 자연의 법칙을 관찰하는 것은 훈민정음 자형이나 한글 서체를 시각․조형적인 면에서 실용화하 는 중요한 방안일 뿐 아니라 한글의 예술화 방안을 모색하는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나아가 한글서예의 우수성과 아름다운 조형을 제시함으로써 교과서의 참고 자료와 미술대학, 서예대학의 임모자료 및 대학원생의 미학 연구의 대상 자료로 활 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fundamentally investigated the cause how Hangul chirography in Joseon was created and has been changed. The foundation that Hangul chirography was created, developed and changed is closely related to the creating principle of Hunminjeongeum. Jeong, Inji specified that 28 letters of Hunminjeongeum, King Sejong created, were ‘ 象形而字倣古篆 (It assumed the form, and the letters emulated the old seal script.)’ in the second epistle of ‘Hunminjeongeum Haerye’. It shows that the scientific and creative shape of characters, which considers the function of characters, the artistic sense and the public convenience, is based on the pictogram and the theory of emulation of the old seal script. On the other hand, it was recorded in the creating principle that the constant circulating principle of the Great Ultimate as a philosophical principl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and four seasons was applied in Hunminjeongeum. As above, the creation of letters is based on the pictogram, the theory of emulation of the old seal script, the nature and the philosophical principle. Therefore, a new theory has been released that the creating principle of Hunminjeongeum was related to and based on Ga( 加 , adding) and Miga·gam method(method with slightly adding or subtracting), one of the creating method of the seal script in Chinese characters, which was suggested in ‘Yīnwénchéngxiàngtú( 因文成象圖 , a figure which shows that an image is completed by a pattern)’. The basis that the shape of characters was created and the principle that it has been changed in the process of imitating and creating chirography were very important regulations in Hangul chirography aesthetics. Thus, this study concentrated on ‘ ㄹ ㅂ ㅍ ㅊ ㅎ ’ which have been changed in shape and aimed to understand how the Miga·gam method of vertical stokes concretely applied the handwritings for block-printing and manuscripts, which are Hangul chirography in Joseon. This study compared the shape of characters of ‘ ㄹ ㅂ ㅍ ㅊ ㅎ ’ sorted according to the times from 28 kinds of block-printed book and 38 kinds of manuscripts, Hangul literature in Joseon, with that of characters in Hunminjeongeum. It analyzed each left and upper part of an initial consonant and a final consonant by defining that Miga method was applied as ‘Mi( 微 , slight)’, close to Miga method as ‘Geun( 近 , close)’ and far from Miga method as ‘Won( 遠 , far)’. In addition, it investigated the features that Hangul has been changed by defining that the shape of characters has been changed as ‘Byeon( 變 , change)’. The block-printed literature is substantial in readability and visual clarity, so it could function as a standard shape of characters of handwritings in manuscripts. Handwritings in manuscripts have been developed to Gungche(the court style of Hangul), which had one unified style, by adding an artistic sense of beauty according to the efficiency of handwritings. Therefore, Gungche was not created in a day. The foregoers have achieved it by changing or unifying the structure and the arrangement of dots, lines and faces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aesthetic experiences based on the standardized shape of characters in manuscript literature since 15th century. It could be discovered that the shape of characters in cursive style has not been independently changed, but aesthetically developed by efficiently using the connectivity of strokes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letter because the writing speed was too slow when writing the structure of syllables separately. The writers have broken away from using Hangul for simply recording contents, and they have constantly tried to develop a new shape of characters and a new handwriting style by variously changing the shape, size and position of consonants, dots and strok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