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망중립성 보장과 기본권 보호

        김천수 ( Kim Cheon-su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외법논집 Vol.39 No.2

        망중립성의 핵심 개념은 공중망에서 송수신 및 접근의 비차별을 의미는 것이다. 누구든지 어떤 장치이든지 공중망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하고 정보(패킷)의 구분에 따른 불합리한 차별은 금지됨을 말한다. 따라서 망중립성이란 공중망을 이용한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가나 공중망 관리자는 송수신인, 정보(패킷), 송수신장치(기기)의 송수신 및 접근을 차단하거나 불합리하게 차별하여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망중립성의 예외로 인정될 수 있는 합리적 망관리는 ‘망의 적정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리의 방법 또한 합리적일 것을 요한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망을 이용하는 주체의 선택권이 형식적으로나 실질적으로 배제된 대가 요구는 안 되는 것이며, 합리적 망관리의 명분으로 행하는 반경쟁적 트래픽 차별 등은 기본권 침해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관점에서 망중립성의 본질적인 모습은 헌법의 여러 기본권과 관련성을 가지게 된다. 즉, 망중립성의 보장으로 관련된 기본권의 보호 문제가 바로 망중립성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어떠한 기본권들이 망중립성과 어떻게 특수한 연관성이 있는지, 망중립성에 있어서 평등의 특수성 문제, 표현의 자유와 관련하여 ISP의 차단행위의 법적 근거 및 차단행위가 사전검열로서 작용할 수 있을지에 대하여 검토해 보고, 프라이버시·통신비밀과 관련하여 이동통신사에 의한 mVoIP 제한·차단행위가 현행법상 어떠한 규제를 받을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제한 행위의 위헌성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Equality of access and information(packet) is a crucial part for the innovation and the alteration, and also it has boosted fundamental human rights. Therefore, problems of the net neutrality must be resolved not by how to design the inter-net system and to regulate the inter-net, but by understanding what the net neutrality affects and protection of the net neutrality. The inter-net is a public tool for all people to use for their own innovation. And it plays a role as an infrastructure i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e net neutrality principle, created naturally, is the foundation of the innovation and increases fundamental human rights. The proper state intervention to the net neutrality principle is reasonable because innovation from below implies political-legal values, such as formation of the public opinion, participatory democracy and guarantee of fundamental human rights. The net neutrality is peculiar because it tends to preserve original values of the inter-net via a realization of data equality. A legal concept of the net neutrality needs to be technology-neutral and to accomplish a concept of justice. The net neutrality means that governments or ISPs must not violate people’s fundamental human rights against blocking access or unreasonable discrimination in transmitting of senders-recipients, information(packet), device. The equality is not only a purpose of the constitutional law but also a measure to protect another basic values of the law. A criterion of judgment on equality should be a specific content of violated rights. It is because other specific fundamental rights can be violated by the unreasonable discrimination in a real society though the discrimination is a just simple discrimination of personnel and materiel elements in public network. Neutral and open managements of the inter-net have leaded to the innovation and increased fundamental human rights. Therefore, the problem we have is not a choice in whether the net is managed neutrally, but rather it is a consideration of the regulation over the technology, affects innovation and fundamental human rights. It should be a reestablishment of fundamental human rights and a united legal system. Many fundamental human rights are violated in these days due to lack of the general rules on the net neutrality. We need to prepare against the violations. Also related basic human rights(equality, freedom of expression, privacy, communication secret) should be harmonized in a regulation or guarantee of the net neutrality.

      • KCI등재

        망중립성에 대한 규범적 논의

        김천수 ( Kim Cheon-su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외법논집 Vol.37 No.4

        At the beginning, opened architecture of the inter-net technology brought about innovation and development. However,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need a socialeconomic revaluation of the neutral network. The changes also cause conflicts among various kinds of interests. The end-to-end principle of the network is a technological basis of neutrality. As possibility of technical control becomes strong, it needs to be revaluated by brand new measures, such as discrimination and efficiency. There is a controversial issue over the net neutrality to support an open access platform which treats all data in public network without discrimination. The issues of the dispute extends from technological debate to relevant industry parties’ interests, and also extends to consumer’s rights these days. However, the existing dispute focuses on only relevant technology and gain and loss of parties directly involved economically, while the inter-net can affect all people in all area. It seems hard to reach a compromise du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s in information control and conflicts of the persons’ interests. Therefore, we need to have a normative discussion over the net neutrality. But technological and economic views on the issues cannot directly be a normative law because of limits the views have got. At this point, we need to have a brand new type of normative discussion and to consider legislations under Constitutional law. The process of the net neutrality revaluation should start from the effort to understand what the net neutrality is. In modification of relevant law systems, understanding what the net neutrality is can be a standard for a consistent principle. Equality of access and information(packet) is a crucial part for the innovation and the alteration, and also it has boosted fundamental human rights. Therefore, problems of the net neutrality must be resolved not by how to design the inter-net system and to regulate the inter-net, but by understanding what the net neutrality affects and protection of the net neutrality. The inter-net is a public tool for all people to use for their own innovation. And it plays a role as an infrastructure i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e net neutrality principle, created naturally, is the foundation of the innovation and increases fundamental human rights. The net neutrality is peculiar because it tends to preserve original values of the inter-net via a realization of data equality. A legal concept of the net neutrality needs to be technology-neutral and to accomplish a concept of justice. Therefore, the net neutrality means that governments or ISPs must not violate people’s fundamental human rights against blocking access or unreasonable discrimination in transmitting of senders-recipients, information(packet), device. The equality is not only a purpose of the constitutional law but also a measure to protect another basic values of the law. Researches or debates on the nature of the net neutrality have been done not so much because only conflicts of the economically relevant parties’ interests have been focused by this time. And also preparations for possibility or necessity of legislation have been not enough in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net neutrality because there is not enough consideration of the technological or economical views’ limits. Neutral and open managements of the inter-net have leaded to the innovation and increased fundamental human rights. Therefore, the problem we have is not a choice in whether the net is managed neutrally, but rather it is a consideration of the regulation over the technology, affects innovation and fundamental human rights. It should be a reestablishment of fundamental human rights and a united legal system.

      • KCI등재

        망중립성과 ISP의 기본권

        김천수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외법논집 Vol.42 No.2

        In December 2017, the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voted to repeal its net neutrality rules for Internet service providers. The net neutrality means that governments or ISPs must not violate people’s fundamental human rights against blocking access or unreasonable discrimination in transmitting of senders-recipients, information(packet), device. Because the issue of the net neutrality is special and related to fundamental human rights under the whole circumstances relevant to the net neutrality, authorizing only character of fundamental human rights is not desirable, but rather it should be harmonious interpretation and processing. Many fundamental human rights are violated in these days due to lack of the general rules on the net neutrality. We need to prepare against the violations. Also related basic human rights should be harmonized in a regulation or guarantee of the net neutrality. The development of ITC makes it difficult to technical understand the Internet. There is some contradiction between the ownership of the Internet network and its use. Legal evaluation is private property but the social assessment of its use is a shared property.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but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principle of net neutrality as a preparation for the inverse function of internet network. The ‘technical control’ in the Internet network has the possibility of discrimination. Therefore, net neutrality is necessary as a principle of normative control over the ‘technical control’. We examine the inferences about the publicness of the Internet network to support the possibility of normative control of network neutrality and the basic rights and problems of ISP, which is one of the parties in net neutrality, and raise the awareness of net neutrality. 망중립성원칙이란 인터넷망은 중립적이어야 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인터넷망에서 송수신 및 접근의비차별을 의미하는 것이다. 공중망에서 송⋅수신인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이 없어야 하며 정보(패킷), 송수신장치(기기) 등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도 없어야 한다. 그런데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는 2017년 12월 14일 전원위원회를 열어 3:2로 망중립성원칙 폐기 결정을 내렸다. 미국의 망중립성원칙 폐기는 인터넷 서비스를 통신서비스로 분류하지 않고 정보서비스로 분류함으로써 법적 규제를 완화하겠다는 것이다. 한편 우리나라는 망중립성원칙과 관련하여, 전기통신사업법 등에 금지되는 행위를 규정함으로써 전기통신사업자는 공정한 경쟁 또는 이용자의 이익을 해치거나 해칠 우려가 있는 행위를 할 수 없다. 그러나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는 인터넷망에서의 중립성 위반의 모습을 모두 규범적으로 수용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2011년방송통신위원회는 “망 중립성 및 인터넷 트래픽 관리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고, 그 후속조치로 2013년 미래창조과학부는 “통신망의 합리적 관리⋅이용과 트래픽 관리의 투명성에 관한 기준”을발표하였다. 통신사와 인터넷 기업은 지금까지 자율적으로 이 가이드라인을 존중해 오는 입장에 있다. 망중립성원칙은 인터넷망의 소유와 그 이용 형태에 대한 평가가 조금은 상반된 모습 즉, 소유와 책임 등에 대한 법적 평가는 사유재산이지만 그 이용형태에 대한 사회적 평가는 공유재산으로 인식되는모습에서 그 난해함이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인터넷망이 가지는 기술적⋅사회적 역기능에 대한 대응 또는 대비로서 망중립성원칙을 강조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사회적 공중망에서의 ‘통제의 기술’은 차별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통제의 기술’에 대한 규범적 통제의 원칙으로서 망중립성원칙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규범적 통제는 관련된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망중립성에 대한 규범적 통제의 가능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인터넷망의 공공성에 대한 추론과 망중립성문제에 있어 한 당사자인 ISP의 관련 기본권 및 관련 문제점을 살펴보고 망중립성문제에 대한 이해 당사자들의 인식을 제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망 중립성 연구에 관한 메타분석 :2006년~2018년

        정해진 ( Hae-jin Jung ),전범수 ( Bum Soo Chon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9 언론과학연구 Vol.19 No.3

        이 연구는 2006년부터 2018년까지의 기간 동안 우리나라의 망 중립성 정책에 관한 연구를 메타분석한 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 전공 학문을 분석한 결과, 법학, 언론, 경영, 경제, 공학 전공자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망 중립성 정책은 그만큼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쟁점화 할 수 있는 논리들이 중첩된 이슈라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논문의 주제를 분석한 결과, 법과 정책적 이슈가 75%를 차지했다. 경제·마케팅 이슈로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개발 협력 등의 대안이 등장하기도 했지만, 그러한 노력 역시 망 중립성 위반의 문제와 결부될 때 쟁점으로 커지는 경우들이 많다. 셋째, 논의의 성격을 분석한 결과 규범적 성격의 연구가 많았다. 이는 망 중립성을 두고 치열한 법리 공방 및 정책 입안을 위한 대안적 논의들이 적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넷째, 기존 연구들은 망 중립성을 설명할 이론보다는 주요 개념들을 통해 설명하는 경우가 많았다. 제도적 환경이 급속하게 변화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일정 기간 이상의 연구와 데이터 축적 등을 통해서 이론이 설명되고 발전되는 과정을 거쳐야함에도 그러한 과정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다섯째, 연구방법론은 법과 정책적 이슈가 대부분이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문헌 연구가 압도적이었다.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양은 적지만 망 중립성 이슈가 갖는 다양한 관점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망 중립성의 영향에 대한 양적, 질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연구자의 관점은 망 중립성 정책 도입에 일정 수준 이상 그 필요성은 공감하나 현재의 망 중립성 세부 원칙 및 적용 범위에 대한 정책 재검토 여부를 결정할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보는 견해가 많았다. This study is the meta-analysis of net neutrality during 2006-2018 in Korea.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both law and media related researches are most frequent intellectual areas when we explore net neutrality related issues. In addition, some areas including management and economics are also popular areas in examining net neutrality issues. Secondly, legal and policy issues on net neutrality explains 75% of related researches. Researchers in Korea tend to more focus on legal and policy issues than on innovative aspects. Thirdly, normative approaches to net neutrality are common in discussing various facets for net neutrality. It can be explained that many interests groups and companies are involved in this issues because of economic values of net neutrality issues. Fourthly, there are few theories for explaining net neutrality. Previous researches are based on simple concepts rather than on theories. It is essential to develop theories to explain the effects of net neutrality. Fifthly, document approaches to net neutrality are more frequent tha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es. Finally, researchers generally agree on the need for a network neutrality policy. However, researchers think it is time to decide whether to review the current network neutrality detailed principles and coverage.

      • KCI등재후보

        Net Neutrality in the Netherlands

        Nico van Eijk 서울대학교 공익산업법센터 2014 경제규제와 법 Vol.7 No.1

        The Netherlands is among the first countries that have put specific net neutrality standards in place. The decision to implement specific regulation was influenced by at least three factors. The first was the prevailing social and academic debate, partly due to developments in the United States. The second was the implementation of the amended European regulatory framework for the communication sector. Concrete developments in the Dutch market were the third factor. The first part of this chapter describes the three factor are described in detail. It sketches the context of the debate including the amendments that were introduced to regulate net neutrality. Specific incidents contributed to the willingness to change the telecommunications act. Next the relevant provisions are mentioned including the explanatory memoranda, as they offer the necessary background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provisions. Three provisions are relevant: the core article on net neutrality and two supporting provisions on transparency and deep packet inspection. The new rules have to be implemented and supervised by the ACM (the Authority for Consumers and Markets), who had to deal with some first cases. Next to the role the regulator, the market was faced with the consequences of the regulation and changed its pricing policies. We also mention the fact that the rules were more or less extended into the framework of broadcasting regulation. The analysis and conclusions promote an integral value chain approach. It’s not possible to restrict net neutrality to ‘network neutrality’ exclusively. Other value chain elements need to be considered as well. it should be established which elements of the value chain affect the process of free exchange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er and the information user. This is a matter far more complex than would be in line with a typical telecommunications approach where the accent is mainly on the provider of telecommunications networks and telecommunications services. The convergence between telecommunications and communications regulation can’t be ignored. At the same time, overregulation and underregulation will mean that any problems concerning throttling and blocking of Internet traffic will occur or be aggravated elsewhere in the value chain. The intended purpose will then not be achieved. Real net neutrality issues will arise in the context of the distribution of audio-visual services. It is expected that questions on interconnectivity (including the role of so called Content Distribution Networks (CDN’s) will get a more prominent place in the debate. Concepts such as ‘managed’ versus ‘unmanaged’ services need to be clarified and implemented in practice.

      • KCI등재

        망중립성의 공법적 기초-망중립성문제의 국가개입 근거 및 현행법상 문제점을 중심으로-

        김천수 ( Kim Cheonsu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외법논집 Vol.38 No.2

        There is a controversial issue over the net neutrality to support an open access platform which treats all data in public network without discrimination. However, the existing dispute focuses on only relevant technology and gain and loss of parties directly involved economically, while the internet can affect all people in all area. It seems hard to reach a compromise du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s in information control and conflicts of the persons’ interests. Therefore, we need to have a normative discussion over the net neutrality. The internet is a public tool for all people to use for their own innovation. And it plays a role as an infrastructure i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e net neutrality principle, created naturally, is the foundation of the innovation and increases fundamental human rights. The net neutrality means that governments or ISPs must not violate people’s fundamental human rights against blocking access or unreasonable discrimination in transmitting of senders-recipients, information(packet), device. The end-to-end principle of the network is a technological basis of neutrality. As possibility of technical control becomes strong, it needs to be revaluated by brand new measures, such as discrimination and efficiency. Neutral and open managements of the internet have leaded to the innovation and increased fundamental human rights. Therefore, the problem we have is not a choice in whether the net is managed neutrally, but rather it is a consideration of the regulation over the technology, affects innovation and fundamental human rights. It should be a reestablishment of fundamental human rights and a united legal system. The proper state intervention to the net neutrality principle is reasonable because innovation from below implies political-legal values, such as formation of the public opinion, participatory democracy and guarantee of fundamental human rights. Specific and direct rules are not enough though current laws and regulations include rules over the net neutrality. We should make a general rule over the net neutrality not to make imperfect interpretations of new coming problems.

      • 인터넷 시장환경의 변화와 망중립성 논의의 나아갈 방향 - 최근 미국의 Verizon Case 및 우리의 법제를 중심으로 -

        김배현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4 Law & technology Vol.10 No.4

        스마트 폰(Smart phone)의 등장을 비롯하여 인터넷전화(VoIP), 인터넷 TV(IPTV),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OTT 등 인터넷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신규 응용서비스들의 등장은 인터넷 통신망에서 의 폭발적인 데이터 트래픽 증가를 가져왔다. 위 와 같은 이른바 관리형 서비스(QOS, quality of service)의 등장은 인터넷망 사업자의 망 증설비용 증가를 초래했고, 인터넷시장의 가입자 포화는 인터넷망 사업자의 수익정체로 이어져, 당초 선순 환적인 상호보완관계에 있던 인터넷망 사업자와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사업자 간의 관계는 점차 갈등관계로 변화하게 되었다. 그 결과 인터넷망 사업자는 트래픽 관리를 시도하거나 망증 설비용 분담을 요구하기에 이르렀고, 컨텐츠 사업자 등은 인터넷상의 모든 전송행위는 네트워크 상에서 동일한 속도로 전달되어야 하고, 이를 부당하게 차단하거나 차별해서는 아니된다는 이른바망중립성(Net Neutrality)의 원칙을 주장하게 되었다. 차별금지의 원칙, 차단금지의 원칙, 투명성의 원 칙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망중립성의 원칙은 우 리나라에서는 이른바 하나TV 사건, NHN 사건, 삼성TV 사건, 카카오톡 mVoIP 차단사건 등을 통해 조명되었고, 미국의 경우 일찍이 2003년경 Tim Wu 교수가 개념을 언급한 이래 Madison River 사건, Brand X 사건, 2010년 Comcast 사건을 통 해 논의가 본격화 되었다. 특히 2014년 1월 미연 방항소법원은 Verizon 사건에서 연방통신위원회 (FCC)가 인터넷망 서비스를 통신 서비스가 아닌 정보 서비스로 분류한 만큼 여기에 통신법상의 Common Carrier로서의 의무를 지우는 것은 위법하다고 판시하였고, 이로써 망중립성 논의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우리의 경우 전기통신사업법에서 인터넷망 사업 자를 기간통신사업자로 분류하면서, 설비 등의 제 공⋅공동이용⋅상호접속 등에 있어 불합리하거나 차별적인 조건 또는 제한을 부당하게 부과하는 행 위를 금지행위로 규정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는 인 터넷망을 정보 서비스로 분류한 미국과 달리 망중 립성 규제의 일반적 법률근거를 마련해 두고 있다. 그렇다면 망중립성에 대한 논의는 어떤 경우에도 차별 및 차단이 금지된다거나, 혹은 차별이 허용되 어 언제나 규제가 불가능하다는 절대적 차원에서 접근할 것이 아니라 어느 경우에 합리적 차별 내지 차단에 해당하는지를 구체화하는 작업에 초점이 맞추어질 필요가 있다. 실제로 방통위와 미래부는 망중립성 및 합리적 트래픽 관리에 관한 가이드라인의 마련을 진행해 오고 있다. 한편, 인터넷망은 통신 사업자(Network Provider), 컨텐츠 사업자(Contents Provider), 플 랫폼 사업자(Platform Provider), 제조 사업자 (Device Provider) 등 각 영업 주체들의 핵심적 수익기반이 되고 있고, 방송⋅통신의 융합과 사업 간 영업장벽의 붕괴는 각 사업자 간의 이해충돌을 심화시키고 있는바, 망중립성을 둘러싼 논쟁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망중립성 논의는 입법⋅사법⋅행정의 각 국면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각 분쟁의 일면 혹은 행위주체의 단편만을 볼 것이 아니라 정보통신 생태계 전체를 아우르는 통합적인 시각에서 각 행위주체간의 이 해조정과 상호간의 형평을 고려한 균형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The emergence of new Internet Protocol application services such as the smart phone, as well as the emergence of VoIP, IPTV, cloud computing, smart grid, OTT has brought explosive data traffic in Internet networks. As a result, the internet network service providers attempted traffic management or demanded increased costs for setting network, while content providers argued Net neutrality, a principle that all transmission on the web should be transferred in equal speed with no discrimination or blocking. The principle of Net neutrality, which consists of no-discrimination, no-blocking, and transparency was introduced in Korea in Hanna TV case. Due to US Federal communication commission(FCC) categorized internet network services as information service rather than communication service, US Court of Appeals for the 9th Circuit concluded in January 2014 in the Verizon case that obligating telcommunication law’s common carrier duties was unlawful, and this turned the table in the discussion of Net neutrality. In our case, the telecommunication service act categorizes internet network service providers as key telecommunications service providers, and regulates those who discriminates or blocks unreasonably in terms of providing facilities, general use and interconnection. In that case, the discussion of Net neutrality needs to be focused on actualizing cases that fall into reasonable discrimination and bloking. The Korean Government has proceeded to form guidelines on reasonable traffic management and net neutrality. Furthermore, the internet network is the core profit base of network providers, contents providers, platform providers, and device providers, and the merge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and the collapse of barriers between businesses is intensifying the conflict of interest between each service provider. In this regard, the debate around net neutrality in legislation, administration, and judiciary should be approached in the manner of considering the whole information communication ecosystem and balance between each entity’s interest and equity rather than looking at mere piece of the dispute or a one side of an entity.

      • KCI등재

        유럽에서의 망 중립성 및 검색 중립성 규제에 관한 연구: 유럽연합과 영국의 관련 규제, 사례 및 이론을 중심으로

        최요섭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4 EU연구 Vol.- No.37

        경쟁법은 시장에서의 경쟁을 원활하게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집행되는 법분야로서, 현대 사회에서 시장경제질서를 확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유럽연합 경쟁정책과 경쟁법의 집행 내용은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 세계 경쟁당국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정보통신과 관련된 신경제의 발전이 급속도로 이루어졌는데, 이러한 발전은 경쟁법 집행에서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망 중립성의 개념과 더불어 검색 중립성의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럽연합을 포함하여 국내외적으로 검색 엔진의 비차별적 운영과 관련된 경쟁법 사건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유럽연합에서 경쟁법 위반 심사가 종결된 사건으로 구글 사례를 들 수 있다. EU위원회는 구글의 사업활동이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에 해당하여 유럽경쟁법 위반이 될 수 있다는 예비조사결론을 내렸으며, 최근 동의의결절차를 걸쳐 사건을 종결하였다. 위의 사건과 관련하여 검색 중립성에 대한 논의가 외국에서는 상당히 이루어졌으나 국내에서는 충분히 논의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주요 유럽연합 회원국 중 하나인 영국에서의 논의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검색 중립성과 관련된 규제의 원칙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현재 유럽연합에서 망 중립성에 대한 규제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검색 중립성에 대한 내용은 사후규제에 의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검색 중립성의 규제와 이슈에 대한 문제를 유럽연합에서의 망 중립성 규제와 연결시켜 논의하고자 한다. Competition law aims at ensuring competitive process itself in the market, and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modern society. In particular, competition law and policy in the EU have influenced other competition jurisdictions, including Korea. Recently, there has been a noteworthy development in telecommunications involving internet businesses, which has brought a hotly debated issue of “neutrality”. In addition to the topic of net neutrality, the concept of search neutrality has become one of the issues in competition law enforcement around the world, and the number of related cases seems to increase nowadays. The EU competition authority, the EU Commission, has dealt with the search neutrality case of Google; it issued a notice that Google’s bias business practice could possibly violate EU competition law and did a process of commitment. Furthermore, the issue of regulating net neutrality has been discussed in the EU while the topic of search neutrality has not been considered as a means of ex ante control. Therefore, we examine the issue of regulating search neutrality in the light of EU’s approach to net neutrality. The legal issue of search neutrality, despite its importance in competition law enforcement, has not been sufficiently discussed in Korea while it has been in the EU. Therefore, this article aims at introducing the recent case and legal approach in the EU, which can be relevant for the Korean case.

      • KCI등재

        망중립성 논의의 쟁점과 함의

        정동훈 ( Chung Dong-hun ) 한국정보화진흥원 2018 정보화정책 Vol.25 No.1

        2017년 12월 14일, 미국 연방통신위원회가 망중립성 폐지를 결정했다. 그동안 오바마 정부에서 일관되게 유지해온 망중립성 원칙과는 정반대의 결과이다. 망중립성 폐지가 가지고 올 후폭풍은 개인과 산업 전 영역에 미칠 정도로 광범위하며, 전 세계 인터넷 콘텐츠와 플랫폼 시장을 압도하는 미국의 콘텐츠 업계에 몰고 올 파장은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반면 한국의 망중립성 원칙은 확고하게 진행되어 왔고 미국의 망중립성 폐지 결정 이후에도 별다른 변화의 징조가 보이지 않는다. 망중립성은 5G를 준비하기 위한 네트워크 고도화의 문제뿐만 아니라 표현의 자유와 같은 헌법과도 관련이 있을 정도로 단순한 주제가 아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망중립성이 그동안 미국과 한국에서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살펴보고, 망중립성이 갖는 쟁점을 네트워크 고도화와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와 인터넷 콘텐츠 사업자의 서로 다른 관점, 헌법적 관점, 비즈니스적 관점, 기술적 관점과 인터넷 자유, 공정거래법과 제로 레이팅 등 다양한 논의점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시장 경제와 공정 경쟁 그리고 전 산업의 발전과 소비자 편익 극대화에 맞추어져야 하는 망중립성 논의를 통해 향후 국내 망중립성 정책 방향과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The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voted to repeal net neutrality protections on December 14, 2017. This is the very opposite decision of the net neutrality rule that the Obama administration has consistently maintained. The ensuing storm from the repeal of net neutrality protections has an extensively effect enough on individuals and businesses to cover the entire spectrum, and the impact is hard to assess in the U. S. content industry, which dominates the worldwide Internet content and platform market. On the other hand, Korea’s net neutrality protections have been firmly pursued, and there is no sign of change even after the decision happened in the U. S. Net neutrality is not a simple theme that is associated with the Constitution, such as freedom of expression, as well as the issue of network enhancement to prepare for 5G.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how the net neutrality has been carried out in the U. S. and Korea over the years, and provides the issues of Internet enhancement, perspectives of ISP and ICP, and implications for the Constitution, market economy, fair competition and zero rating. This research delivers future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domestic net neutrality policies.

      • KCI등재

        네트워크 중립성 정책과 미디어 프레임 연구: 내용분석과 의미망분석을 중심으로

        김장현 ( Jang Hyun Kim ),김민정 ( Min Jeong Kim ),정정주 ( Chung Joo Chung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3 언론과학연구 Vol.13 No.4

        미국에서 시작된 네트워크 중립성 논의는 다른 나라에도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에서 미디어가 네트워크 중립성 정책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가설적인 모델을 통해 국내외 네트워크 중립성 이슈에 대한 논의의 틀을 제시하고 한다. 지금까지 학자들은 통신정책 관련 미디어 보도가 매체정책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친다고 예상했으나 실질적인 연구는 부족했다. 본 논문은 프레이밍이론과 의제설정이론을 바탕으로 뉴욕타임즈, 월스트리트저널, 워싱턴포스트, USA투데이 등 미국 4대 메이저 신문사의 네트워크 중립성 정책 언론보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범주적 내용 분석과 의미망 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신문사는 네트워크 중립성에 대한 정의, 이슈에 대한 입장표명, 찬반에 대한 구체적인 논거, 신뢰하는 취재원 등에 대해 각기 다른 접근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네트워크 중립성이라는 공적 아젠다에 대한 여론을 다양하게 형성함으로써 잠재적으로 해당 정책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논문은 네트워크 중립성 이슈와 관련해 사람들의 인식 형성에 영향을 주는 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돕고 정책적 논의를 위한 학문적 바탕이 되고자 한다. The debate over net neutrality started in the United States and has expanded to other countries. This study presents a model speculating how newspapers may influence the net-neutrality policy process in the United States which proposes a legal argument framework to discuss net neutrality not only in the region but also in other countries.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media coverage of telecommunications issues can influence policy-making processes but provided no clear evidence. This study employs framing and agenda-setting theories to analyze four well-known newspapers: the New York Times, the Wall Street Journal, the Washington Post, and USA Today. The study conducts a categorical content analysis and a semantic network analysis by focusing on the frequency of and relationships between terms. The results show that the newspapers took different approaches to net neutrality in terms of their definitions of it, positions on the issue, specific arguments for/against net neutrality, and citation of credible sources; and suggest that these differences may influence the net-neutrality policy process by driving public opinion on policy agend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