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성마을 잔치 부조(扶助)의 양상과 호혜성

        박선미(Park, Sun-mi) 실천민속학회 2018 실천민속학연구 Vol.31 No.-

        이 연구는 20세기 중후반 한 동성마을의 잔치 부조 양상을 살펴보고, 혈연관계에서 호혜성(Reciprocity)이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 그 유형과 원리를 해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부조는 여러 단위의 사회적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문화현상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그에 관한 연구 성과는 미미하였다. 연구대상지인 경북 영양군 감천마을은 낙안오씨 동서마을로서 혈연관계에서 부조문화가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 해명할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종가와 지손가 사이의 부조 유형과 원리를 해명하고 이를 통해 종법의 실천양상도 밝힐 수 있었다. 잔치 부조의 형태는 몸부조, 현물부조, 현금부조 세 가지이다. 부조는 20세기 후반으로 갈수록 `부조금`으로 고착화될 정도로 몸부조와 현물부조의 전승은 점차 약화되고 현금부조 형태만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동성마을에서 잔치 부조의 실천과 호혜적 관계는 몸부조에서 두드러졌다. 큰종가(국헌종가)는 작은종가를 비롯한 모든 지손가로부터 몸부조를 받는 반면에 큰종가는 지손가에 대내외적으로 지손가와 문중의 위상을 격상시키는 `위상제고(位相提高)`부조를 하였다. 이는 문중 내 종법의 실천이라는 관점에서 해석된다. 즉, 동성마을 잔치부조의 특징은 종가냐 지손가냐에 따라 그 형태와 의미가 달라졌는데, 종가형의 부조와 지손가형의 부조가 있었다. 또한, 종가는 지손가로부터 받은 부조의 양과 유무에 관계없이 지손가들 사이에 차등을 두지 않고 균등하게 현물 또는 현금을 부조했다. 이는 종가 내지는 종손의 역할과 도리의 입장에서 `형평성`의 논리와 가치를 더욱 우선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a look at the aspect of feast mutual aids of paternal clan village during the Mid to Later Part of the 20th Century and describe the types and principles on how reciprocity is practices in the blood relationship. Nowithstanding the fact that it is representative cultural phenomenon to find out the social relations of several units, the outcome of the study on the mutual aids to this point has been minimal. The subject site for the study, Gamcheon Village of Yeongyang-gun, Gyeongbuk, is the paternal clan village for Nakan Oh Clan that it is the representative case to explain, more than anything else, how the mutual aids culture is practiced in the blood relationship. Furthermore, it enables to explain the type and principle of mutual aids between the head family and jisonga(families of the offspring who is not the eldest son), and it is possible to disclose the practical aspect of the code of clans through the foregoing. As for the type of the feast mutual aids, there are three-fold in manual mutual aids, mutual aids in goods, and cash mutual aids. The mutual aids maintains only the cash mutual aids with the succession of the manual mutual aids and mutual aids in goods to be weakens as they are solidified as the `cash mutual aids` as time went on to the later part of the 20the century. However, in the paternal clan village, the practice of feast mutual aids and its reciprocal relationship are conspicuous in manual mutual aids. While the upper-level head family(Gukheon head family) receives the manual mutual aids from all jisongas, including the lower-level head family, the upper-level head family has made the `status enhancing` mutual aids to upgrade the status of jisonga and clan internally and externally to the jisonga. This is construed in the point of view for practicing the code of clans in the clan. In other word, the characteristics of feast mutual aids for the paternal clan village have different type and implication depending on head family or jisonga, and there are mutual aids of head family-type and mutual aids of jisonga-type. In addition, the head family has the property or cash equally for mutual aids with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jisongas regardless of the volume of mutual aids and its presence. This indicates that the logic and value of `equitableness` would have greater priority in the position of role and duty of head family or the eldest grandson of the head family.

      • KCI등재

        동성마을 잔치 부조(扶助)의 양상과 호혜성 -20세기 중후반 경북 영양군 감천마을의 사례-

        박선미 실천민속학회 2018 실천민속학연구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a look at the aspect of feast mutual aids of paternal clan village during the Mid to Later Part of the 20th Century and describe the types and principles on how reciprocity is practices in the blood relationship. Notwithstanding the fact that it is representative cultural phenomenon to find out the social relations of several units, the outcome of the study on the mutual aids to this point has been minimal. The subject site for the study, Gamcheon Village of Yeongyang-gun, Gyeongbuk, is the paternal clan village for Nakan Oh Clan that it is the representative case to explain, more than anything else, how the mutual aids culture is practiced in the blood relationship. Furthermore, it enables to explain the type and principle of mutual aids between the head family and jisonga(families of the offspring who is not the eldest son), and it is possible to disclose the practical aspect of the code of clans through the foregoing. As for the type of the feast mutual aids, there are three-fold in manual mutual aids, mutual aids in goods, and cash mutual aids. The mutual aids maintains only the cash mutual aids with the succession of the manual mutual aids and mutual aids in goods to be weakens as they are solidified as the ‘cash mutual aids’ as time went on to the later part of the 20th century. However, in the paternal clan village, the practice of feast mutual aids and its reciprocal relationship are conspicuous in manual mutual aids. While the upper-level head family(Gukheon head family) receives the manual mutual aids from all jisongas, including the lower-level head family, the upper-level head family has made the ‘status enhancing’ mutual aids to upgrade the status of jisonga and clan internally and externally to the jisonga. This is construed in the point of view for practicing the code of clans in the clan. In other word, the characteristics of feast mutual aids for the paternal clan village have different type and implication depending on head family or jisonga, and there are mutual aids of head family-type and mutual aids of jisonga-type. In addition, the head family has the property or cash equally for mutual aids with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jisongas regardless of the volume of mutual aids and its presence. This indicates that the logic and value of ‘equitableness’ would have greater priority in the position of role and duty of head family or the eldest grandson of the head family. 이 연구는 20세기 중후반 한 동성마을의 잔치 부조 양상을 살펴보고, 혈연관계에서 호혜성(Reciprocity)이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 그 유형과 원리를 해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부조는 여러 단위의 사회적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문화현상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그에 관한 연구 성과는 미미하였다. 연구대상지인 경북 영양군 감천마을은 낙안오씨 동성마을로서 혈연관계에서 부조문화가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 해명할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종가와 지손가 사이의 부조 유형과 원리를 해명하고 이를 통해 종법의 실천양상도 밝힐 수 있었다. 잔치 부조의 형태는 몸부조, 현물부조, 현금부조 세 가지이다. 부조는 20세기 후반으로 갈수록 ‘부조금’으로 고착화될 정도로 몸부조와 현물부조의 전승은 점차 약화되고 현금부조 형태만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동성마을에서 잔치 부조의 실천과 호혜적 관계는 몸부조에서 두드러졌다. 큰종가(국헌종가)는 작은종가를 비롯한 모든 지손가로부터 몸부조를 받는 반면에 큰종가는 지손가에 대내외적으로 지손가와 문중의 위상을 격상시키는 ‘위상 제고(位相提高)’부조를 하였다. 이는 문중 내 종법의 실천이라는 관점에서 해석된다. 즉, 동성마을 잔치 부조의 특징은 종가냐 지손가냐에 따라 그 형태와 의미가 달라졌는데, 종가형의 부조와 지손가형의 부조가 있었다. 또한, 종가는 지손가로부터 받은 부조의 양과 유무에 관계없이 지손가들 사이에 차등을 두지 않고 균등하게 현물 또는 현금을 부조했다. 이는 종가 내지는 종손의 역할과 도리의 입장에서 ‘형평성’의 논리와 가치를 더욱 우선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 KCI등재

        공제사업의 경영정보공시에 관한 연구

        김형기 한국보험학회 2020 保險學會誌 Vol.124 No.-

        This research aimed at reviewing not only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mutual-aid association's management information publicity and the basic theory of the regulation, but the regulation direction of the publicity etc.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development of the domestic mutual-aid. Mutual-aid system is a system that multiple economic units with similar risk level diversify the risk with the insurance premium under a spirit of mutual help. The number of the domestic mutual-aid organization is up to 117 as of June 2019, among which only a few organization (33 out of 86) can look into the management information publicity. Accordingly the consumer protection of the mutual-aid organizations draws an interest without a sufficient knowledge of the financial and management condition of them. In US, UK and Japan the insurance regulation is imposed on the technical area in the operation of the mutual-aid association with the separate exceptional regulation on mutual-aid association without any serious problem in its legal control. The theoretical base concerning the management information publicity can be found in the corporation's social responsibility, which is related with the trend that the government and the corporation play an emphasis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as the consumer's claim to right is getting strong. As for the publicity, mutual-aid association has its own system of publicity in management as well as in product, however lacks in substantiation in publicity compared with that of insurance. Accordingly in the future mutual-aid association can't help but to depend on the official supervision, which in essence extensively treats duty-insured strategical mutual-aid project. In January of 2020, the national assembly presented a legislation bill which is related with the demand of management transparency of mutual-aid association. The sympathetic atmosphere for improving the transparency is created as the necessity for improving the transparency of the mutual-aid association exists. Besides the transparent management through disclosing the resolutions of the boards of directors and working committee of the mutual-aid association unquestionably needs to be strengthened. 본 연구는 국내 공제기관의 발전에 발맞추어 공제기관의 경영정보공시 현황, 그 규제의 기초 이론 및 경영정보공시의 규제 방향 등과 관련하여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공제는 상부상조의 정신을 바탕으로 동질 상의 위험에 놓여 있는 다수의 경제주체가 급부를 매개체로 하여 위험을 분산하는 제도이다. 국내 공제기관은 2019년 6월 현재 약 117개에 이르며, 이 가운데 경영정보공시 현황을 조사할 수 있는 곳은 86개 중 33개 기관만이 경영정보공시를 하고 있어 낮은 편이다. 이로 인해 공제기관의 재무 및 경영상태를 제대로 알 수 없어 소비자보호 문제가 대두될 수 있다. 미국, 영국, 일본의 경우 공제사업의 운영을 위한 기술적 측면에서는 보험과 동일한 규제를 적용하고 있으며, 보험업법의 적용을 받지 않아도 문제가 없는 공제조합 등의 경우에는 예외규정을 적용받고 있다. 경영정보공시와 관련하여 이론적 토대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론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는 소비자의 권리 주장이 높아지면서 정부나 기업들은 경영정보공시 관련해 사회적 책임을 중요시하고 있다. 공시부문의 경우 공제조합은 보험과 같이 경영공시, 상품공시 등을 실시하고 있으나, 실제 공시를 보면 보험에 비해 구체성이 떨어진다. 이에 따라 향후 의무보험화된 정책성 공제를 광범위하게 취급하는 공제조합은 본질상 구성원 자치에만 감독을 맡기기 어렵고, 필연적으로 보험과 동일하게 공적 감독에 의지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국회에서도 2020년 1월 공제기관들에 대한 경영투명성 요구에 대한 입법안을 내놓았다. 공제기관의 투명성을 제고할 필요성은 있는 만큼 투명성 제고를 위한 조치는 필요하다는 데는 공감하는 분위기이며, 공제기관의 이사회 또는 운영위원회 의결사항 공개를 통한 투명경영은 확실히 강화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학교안전법상 공제회와 책임보험자와의 구상관계

        서종희(Jong Hee Seo) 한국법학원 2017 저스티스 Vol.- No.160

        학교안전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피해자는 고의 과실이 인정되는 가해자 및 가해자의 부모 등에게 불법행위를 주장할 수 있고(민법 제750조 및 제755조), 가해자 측이 책임보험에 가입한 경우에는 보험자를 상대로 직접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상법 제724조 제2항). 더 나아가 학교안전공제회에 공제급여를 청구할 수도 있다(학교안전법 제41조). 이와 같이 학교안전사고로 인한 동일한 피해에 대해 책임의 주체가 다수 등장하면서 책임을 먼저 이행한 자의 다른 책임주체에 대한 구상권 인정여부가 문제되었다. 특히 피해자가 보험자에게 보상금을 지급받은 경우, 보험자가 공제회에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 반대로 공제회가 공제급여를 지급한 경우에 경과실의 가해자 및 보험자를 상대로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가 문제된다. 이와 관련하여 서울중앙지법 2014. 6. 20. 선고 2013나50014 판결은 대법원 2013. 12. 26. 선고 2012다75642 판결을 기초로 경과실의 가해자는 피해자에게 채무를 부담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 공제회의 보험자에 대한 구상권 행사를 부정하였다. 그러나 2012다75642 판결은 원심인 서울중앙지방법원 2012. 7. 19. 선고 2012나3875 판결의 입장을 유지하는 것에 그치고 있으며, 2012나3875 판결은 “피공제자인 가해자가 경과실인 경우에는 학교안정공제회는 가해자 측에게 구상권을 행사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을 뿐, 경과실의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채무를 부담하지 않는다는 것에 대해서는 판단하지 않았다. 2013나50014 판결이 2012나3875 판결의 의미를 경과실의 가해자가 피해학생에게 손해배상채무를 부담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이해한 것이라면 결론의 타당성을 떠나 그러한 결론에 도달하게 된 근거 및 논거 등을 제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지나치게 임의적인 축약과 생략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2013나50014 판결이 가지는 의미를 확인하고 생략된 논거 등을 찾고 있다. In the event of a school safety accident, the victim has right to claim for damages resulting from tort(Article 750 and Article 755 of the Civil Act). Also, if the offender has insured liability insurance, he(she) can may directly request an insurer to indemnify for losses caused by an accident attributable to the insured, within the limit of the insured amount (Article 724 ② of the Commercial Act). Furthermore, it is possible for him/her to claim the Mutual-Aid Association for payment of the mutual-aid benefits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s and method prescribed by the Ordinanc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Article 41 of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and compensation for accidents at school). If the Mutual-Aid Association pays before anyone else the compensation to the victim, can the Mutual Aid Society exercise the right to indemnity the insurer? Decision by Seoul Central District Court(June 20. 2014, Case Number 2013Na50014) held that the Mutual-Aid Association could not claim. In the event that the person entitled to receive the benefits has received the mutual-aid benefits under this Act for the damage caused by school accidents, the State, the local government, the mutual-aid member, or the beneficiary liable for compensation or reparation for the damages caused by school accidents shall be exempted from the compensation or reparation under other laws and regul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amount of the mutual-aid benefits(Article 45 ① of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and compensation for accidents at school). Where the school accident has been caused intentionally or by gross negligence of the beneficiary, if the Mutual-Aid Association has paid the mutual-aid benefits to the person entitled to receive the benefits, the Mutual-Aid Association can claim the person who caused the school accident or his/her guardian, etc. to pay the amount equivalent to the mutual-aid benefits paid to the person entitled to receive the benefits. But, where the school accident has been caused light negligence of the beneficiary, the Mutual-Aid Association can not claim the person who caused the school accident or his/her guardian, insurer.

      • KCI등재

        메노 시몬스(Menno Simons)의 구제와 회개에 관하여

        김대중 ( Kim Daejoong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0 성경과신학 Vol.94 No.-

        종교개혁 시대에 네덜란드 출신 재세례파였던 메노 시몬스(Menno Simons)와 재세례파 교인들은 참된 교회의 표지로서 구제를 꼽았고, 그래서 가난하고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적극적으로 구제했었다. 본 논문은 이들이 구제를 강조했었던 배경과 이유를 연구했다. 이 목적을 위해 회개에 관한 메노의 경험들, 메노가 본 당대 교회의 현실, 그리고 메노의 성례 개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메노가 구제를 중시하게 된배경 속에는 “참된 회개” 개념이 자리 잡고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회심에 관한 메노 자신의 경험에 의하면 참된 회개는 단순히 지적, 감정적 차원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다. 그 차원을 넘어서 행동, 특히 궁핍한 형제들과 재물을 나누는 실천으로 이어져야 그 회개가 참되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참된 회심자들로 이루어진 공동체가 교회라면, 참 교회는 적극적으로 구제를 실천할 것이다. 즉, 메노에게 있어서 구제는 교회의 표지 역할을 한다. 당대 교회들의 모습은 이러한 메노의 구제관을 더욱 확고하게 만들었다. 참교회에 대한 많은 논쟁이 있던 그 당시, 메노의 시각에서 볼 때 로마 카톨릭교회뿐 아니라 개혁주의 교회는 회개의 열매라고 할 구제를 제대로 실천하지 않았다. 이와 대조적으로 재세례파 교회는 목숨을 버릴 각오도 하며 구제했었는데, 이런 모습을 보며 메노는 구제가 참된 교회와 거짓 교회를 판별하는 기준이 된다고 확신했다. 다음으로 교회의 표지들 중 하나인 성례에 관한 메노의 신념을 살펴보았다. 회심한 신자들은 회심의 결과물인 나눔과 희생의 삶을 살겠다는 다짐을 하며 세례를 받는다. 그리고 세례자들은 성찬에 참여할 때마다 그들이 세례 받을 때 다짐했었던 형제애를 기억하며 구제를 실천할 동력을 얻는다. 즉, 성례는 구제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구제에 관한 메노의 생각을 개혁주의 입장에서 논평했다. 메노의 구제관에는 아쉬운 점들도 있지만 오늘날 교회가 물려받아야 할 귀한 영적 유산이 담겨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During the Reformation period, Menno Simons (1496-1561), a Dutch Anabaptist, and his followers laid out mutual aid as a key characteristic of a true church and accordingly concentrated on aiding the poor and needy.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reasons behind their strong focus on mutual aid.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1) Menno’s own experience of repentance; 2) the reality of churches of his era; and 3) his concept of sacraments. Menno’s emphasis on mutual aid appears attributable to his understanding of true repentance. Based on his own experience, he was confident that true repentance moves beyond the cognitive and emotional dimensions; the sincerity of a man’s repentance can be judged by its fruits, i.e., mutual aid. Menno believed if a church comprises truly repentant members, the true church would proactively help the poor. For him, mutual aid was a mark of a true church. Indeed, the reality of churches of his era further strengthened his view of mutual aid. In the Reformation era, when there was much controversy over the meaning of a true church, Menno observed that neither the Roman Catholic church nor the Reformed church was proactive in helping the needy. In contrast, Anabaptist church members were willing to lay down their lives to aid those in need. Against this backdrop, Menno was con- vinced that mutual aid was a standard by which the true church could be known and distinguished. Next, the study examines Menno’s belief about sacraments, one of the marks of a true church. When believers repent and participate in baptism, they pledge to share and sacrifice their possessions as a result of true repentance. And whenever they participate in the Lord’s Supper, they are reminded of their baptism pledge and again motivated to practice mutual aid. Consequently, sacraments are deeply related with mutual aid. This study concludes with some observations on Menno’s ideas about mutual aid from a perspective of the Reformed church. I hope readers of this thesis will find the valuable spiritual inheritance left by Menno useful.

      • 보험시장 진출과 공제사업 감독강화 요구에 따른 새마을금고중앙회 공제사업의 방향성 연구

        표성엽 ( Seongyeop Pyo ) 한국손해사정학회 2018 손해사정연구 Vol.18 No.-

        새마을공제의 경우 다른 유사보험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보험업법 규정의 내용을 상당부분 반영하고 있으나 보험업법의 직접 적용은 여전히 배제하고 있다. 새마을공제의 감독강화 요구의 해결방안과 관련하여 현행 보험업법 중 어떤 규정이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어떤 범위에서 적용될 수 있는가에 대하여 새마을금고법, 새마을금고 감독기준, 새마을금고중앙회 공제사업 감독기준 등을 비교 및 검토하였다. 보험업법 적용과 관련한 다른 중요한 논점은 새마을공제의 보험시장 진출의 준비단계로서의 보험업법 적용 가능성과 효용성을 사전에 검토하여 향후 보험시장 진출 가능성을 선행적으로 연구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새마을공제 관련 규정과 보험업법의 비교 연구를 통해 금융시장 변화에 따른 공제감독강화 요구의 부합 여부를 판단하고, 새마을공제의 보험업 진출의 준비단계로서 보험업법의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는 연구서로의 의미를 지닌다. 결국 새마을공제의 감독강화 요구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회사 방식에 의해 보험시장에 정식으로 진출함으로써 손해공제와 생명공제의 겸영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고 관련법 개정을 통해 보험업법 및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에 의한 직접적이고 실질적인 감독과 규제를 받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방안으로 판단된다. While mutual aids of the Korea Federation of Community Credit Cooperatives (KFCC) reflect the majority of provisions in the insurance business law at a relatively higher level than other similar types of insurance, it still refuses to apply the law directly.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review the KFCC law and the criteria for supervision in the KFCC mutual aid projects to indicate what provisions in the current insurance business law could be applied directly in developing a plan for meeting the need to reinforce supervision in KFCC mutual aids and diversify the supervision and determine the range of the application. Another important point related to the insurance business law application is to consider the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insurance business law in advance and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entering the insurance market in the future as the preparation stage at which KFCC mutual aids make inroads into the insurance market.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compared the provisions related to KFCC mutual aids and the insurance business law, determined appropriateness of the need to reinforce supervision in the aid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financial market, and considered the applicability of the insurance business law as the preparation stage in KFCC mutual aids' entering the insurance market. As the most efficient and rational means of solving the problems related to the need to reinforce supervision in KFCC mutual aids, it is ultimately necessary for them to enter the insurance market officially in the form of affiliation, resolve both issues of mutual aids for damages and life, and be put under direct and practical supervision and control of the insurance business law,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and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through the revision of relevant laws.

      • KCI우수등재

        과실상계 및 기왕증에 기한 학교안전법상 공제급여의 제한 - 대법원 2016. 10. 19. 선고 2016다208389 전원합의체 판결 -

        서종희 법조협회 2017 法曹 Vol.66 No.6

        The main issue of this decision en banc of Supreme Court is whether it is invalid because the provision of the enforcement ordinance for this case was stipulated without assignment of its mother law or deviated from the assignment range of its mother law. In short, the fact that the provision of Article 19.2 of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School Safety Law for this case defines such victim’s predisposition and comparative negligence as a restraint on compensation becomes an issue of invalidity as it is out of the assignment scope of the School Safety Law which restrictively enumerates the reasons of constraint on compensation. If so, is the Article 19.2 of the enforcement violated delegated legislation? This study shows in opposition to the Supreme court decision. Comparative negligence can be deviated from the negative function which to overcome the problems caused by the premise of compensating for all damages and lead to the guiding principle of the compensation for damages active function realizing the equitable sharing of the damages between the parties. If so, is it not possible to play a role as a payment standard for mutual-aid benefits in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and compensation for accidents at school? The mutual-aid benefits under the School Safety Act can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financial status of the mutual-aid benefits fund,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the capacity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etc.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mparative negligence as a circumstantial (technical) method for resolving the difficulty in setting the payment standard. In addition, in recent years, there is a view to understand the comparative negligence as a causal relation, so that the principle can not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stage of calculation and calculation of the damage and the restriction stage of the compensation for damages is. In other words, our understanding of the comparative negligence as a stage of liability limitation is merely a technical choice for the convenience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damages. Thus, Article(36, 37, 38, 39) of the School Safety Law(matters necessary for the standards and assessment of the amount of mutual-aid benefits, and method of payment, etc. shall be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could be basis for restriction on mutual-aid benefits by the victim’s predisposition and the comparative negligence. Put it in a nutshell, the Article 19.2 of the enforcement is not a violation of delegated legislation. 위임입법은 ‘입법권은 국회에 속한다’는 권력분립의 원리와 ‘국가권력의 행사는 국회가 제정한 법률에 근거하여야 한다’는 법치주의의 원리에 대한 예외이므로 남용되어서는 안된다. 이에 위임입법은 국회의 입법권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하지 않는 한도에서 인정되어야 하며, 법률로써 개별적ㆍ구체적으로 위임된 범위 내에서만 허용된다. 그렇다면 학교안전사고에 대해 피공제자 및 유족에게 공제급여를 지급함에 있어, 피공제자의 기왕증 및 과실상계를 통해 공제급여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한 학교안전법 시행령 제19조의2는 모법인 학교안전법을 근거로 한 유효한 조항인가? 우선 대상판결의 다수의견은 학교안전법 시행령 제19조의2는 모법에 근거가 없는 무효인 조항이라고 본다. 그러나 본고는 대상판결의 다수의견에 반대하는 입장으로, 학교안전법 시행령 제19조의2는 모법에 근거한 유효한 조항이라고 본다. 과실상계제도는 전(全)손해의 전보를 전제로 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소극적 기능에서 벗어나 당사자간의 손해의 공평한 분담을 실현하는 적극적 기능을 담당하는 손해배상법의 지도원리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손해배상법의 지도원리인 과실상계법리는 손해배상제도가 아닌[사회보장제도라 할 수 있는] 학교안전법상 공제급여의 지급 기준으로서 역할을 담당할 수 없는 것인가? 학교안전법에 의한 공제급여는 공제기금의 재정상태, 사회환경의 변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감당능력 등에 따라 얼마든지 지급항목이나 지급기준 및 지급한도액 등을 달리 정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이런 의미에서 과실상계 등에 의한 공제지급 제한은 그 지급기준설정에 있어서의 난해함을 해결하기 위한 우회적인 (기술적)방법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학설 중에는 과실상계 등(기왕증 참작도 포함)을 책임제한의 영역이 아닌 인과관계의 영역으로 이해하는 견해가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과실상계법리를 손해의 산정 및 계산의 단계와 명확하게 구분되는 손해배상의 제한 단계의 영역으로만 볼 수도 없다. 즉, 우리 판례 등이 피해자의 기왕증 및 과실상계를 책임제한의 단계로 이해하는 것은 손해액의 산정에 있어서의 편리함을 위한 기술적인 선택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대상판결의 대법관 이기택, 대법관 김재형의 반대의견이 “민사상 손해배상에서 ‘손해배상의 범위 또는 손해액의 산정ㆍ계산’의 단계와 ‘손해배상의 제한’의 단계를 엄격히 구분하고 과실상계와 기왕증의 참작은 손해배상의 제한에 관한 것으로서 손해배상의 범위 또는 손해액의 산정ㆍ계산과는 무관하다고 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학교안전법상 ‘공제급여 지급액의 산정ㆍ계산’과 ‘지급의 제한’을 엄격히 구분하고 과실상계와 기왕증의 참작은 지급액 산정ㆍ계산의 영역이 아니라 오직 지급 제한의 영역에만 해당한다고 보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본 것은 타당하다. 요컨대 공제급여액을 산정함에 있어 과실상계 및 기왕증 참작할 수 있는 시행령 19조의2의 위임의 근거는 학교안전법 제36조 제5항, 제38조 제2항, 제39조 제2항, 제40조 제2항의 각 ‘지급기준 등’, 학교안전법 제37조 제2항의 ‘장해급여액의 산정 및 지급방법 등’에서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부동산중개사고 영향요인 분석을 통한 공제제도의 개선방안

        임동진(Lim, Dong Jin),이정호(Lee, Jung Ho),정재호(Chung, Jae Ho) 한국부동산학회 2013 不動産學報 Vol.53 No.-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real estate indicates land or buildings etc that are traded as tangible assets in the real estate distribution market, and it is recognized greatly as a indicator of assets to individuals and a criteria for national wealth. Also, real estate has characteristics as public goods that have a large ripple effect socially and economically. The right and obligation of real estate becomes transferred mutually through a contract between transacting parties as the distribution flow in the market, so real estate agents exist for enabling reasonable contractions to be made for market participants who have insufficient legal knowledge or little transacting experiences. However, recently problems are being quick increases of brokering accidents by prolonged recession etc, and it is in the situation of requiring improvements accordingly.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an improving solution same as follows based on such researching results. (2) RESEARCH METHOD For looking into these matters, this study processed a questionnaire objecting to mutual aid subscribers, that is, brokers who set service guarantee through the mutual aid among real estate agents having registered and opened their offices in Seoul. For getting the effecting factor on real estate accident, we di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the basis of result of the research. (3) RESEARCH FINDINGS Taking precautions is important so as to make soundness of the mutual aid system because real estate mutual aid is no more than a post-device on brokering accidents. Therefore, government shall endeavor for arranging improvement plans that can satisfy consumers and mutual aid subscribers in respect of fitting to soundness and stability of real estate mutual aid system afterwards in addition to Korea Association of Real Estate as a mutual aid operator. 2. RESULTS As the result of execut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effecting factors to real estate brokage accidents, categories of brokage offices, operating period, and brokerage numbers affected influences to the presence of accidents, and ages were came out to influence accident numbers under significance levels of minimum 10%.

      • 과실상계 및 기왕증에 기한 학교안전법상 공제급여의 제한 - 대법원 2016. 10. 19. 선고 2016다208389 전원합의체 판결 -

        서종희 ( Seo Jong-hee ) 법조협회 2017 최신판례분석 Vol.66 No.6

        위임입법은 ‘입법권은 국회에 속한다’는 권력분립의 원리와 ‘국가권력의 행사는 국회가 제정한 법률에 근거하여야 한다’는 법치주의의 원리에 대한 예외이므로 남용되어서는 안된다. 이에 위임입법은 국회의 입법권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하지 않는 한도에서 인정되어야 하며, 법률로써 개별적ㆍ구체적으로 위임된 범위 내에서만 허용된다. 그렇다면 학교안전사고에 대해 피공제자 및 유족에게 공제급여를 지급함에 있어, 피공제자의 기왕증 및 과실상계를 통해 공제급여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한 학교안전법 시행령 제19조의2는 모법인 학교안전법을 근거로 한 유효한 조항인가? 우선 대상판결의 다수의견은 학교안전법 시행령 제19조의2는 모법에 근거가 없는 무효인 조항이라고 본다. 그러나 본고는 대상판결의 다수의견에 반대하는 입장으로, 학교안전법 시행령 제19조의2는 모법에 근거한 유효한 조항이라고 본다. 과실상계제도는 전(全)손해의 전보를 전제로 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소극적 기능에서 벗어나 당사자간의 손해의 공평한 분담을 실현하는 적극적 기능을 담당하는 손해배상법의 지도원리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손해배상법의 지도원리인 과실상계법리는 손해배상제도가 아닌[사회보장제도라 할 수 있는] 학교안전법상 공제급여의 지급 기준으로서 역할을 담당할 수 없는 것인가? 학교안전법에 의한 공제급여는 공제기금의 재정상태, 사회환경의 변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감당능력 등에 따라 얼마든지 지급항목이나 지급기준 및 지급한도액 등을 달리 정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이런 의미에서 과실상계 등에 의한 공제지급 제한은 그 지급기준설정에 있어서의 난해함을 해결하기 위한 우회적인 (기술적) 방법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학설 중에는 과실상계 등(기왕증 참작도 포함)을 책임제한의 영역이 아닌 인과관계의 영역으로 이해하는 견해가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과실상계법리를 손해의 산정 및 계산의 단계와 명확하게 구분되는 손해배상의 제한 단계의 영역으로 만 볼 수도 없다. 즉, 우리 판례 등이 피해자의 기왕증 및 과실상계를 책임제한의 단계로 이해하는 것은 손해액의 산정에 있어서의 편리함을 위한 기술적인 선택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대상판결의 대법관 이기택, 대법관 김재형의 반대의견이 “민사상 손해배상에서 ‘손해배상의 범위 또는 손해액의 산정ㆍ계산’의 단계와 ‘손해배상의 제한’의 단계를 엄격히 구분하고 과실상계와 기왕증의 참작은 손해배상의 제한에 관한 것으로서 손해배상의 범위 또는 손해액의 산정ㆍ계산과는 무관하다고 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학교안전법상 ‘공제급여 지급액의 산정ㆍ계산’과 ‘지급의 제한’을 엄격히 구분하고 과실상계와 기왕증의 참작은 지급액 산정ㆍ계산의 영역이 아니라 오직 지급 제한의 영역에만 해당한다고 보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본 것은 타당하다. 요컨대 공제급여액을 산정함에 있어 과실상계 및 기왕증 참작할 수 있는 시행령 19조의2의 위임의 근거는 학교안전법 제36조 제5항, 제38조 제2항, 제39조 제2항, 제40조 제2항의 각 ‘지급기준 등’, 학교안전법 제37조 제2항의 ‘장해급여액의 산정 및 지급방법 등’에서 찾을 수 있다. The main issue of this decision en banc of Supreme Court is whether it is invalid because the provision of the enforcement ordinance for this case was stipulated without assignment of its mother law or deviated from the assignment range of its mother law. In short, the fact that the provision of Article 19.2 of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School Safety Law for this case defines such victim’s predisposition and comparative negligence as a restraint on compensation becomes an issue of invalidity as it is out of the assignment scope of the School Safety Law which restrictively enumerates the reasons of constraint on compensation. If so, is the Article 19.2 of the enforcement violated delegated legislation? This study shows in opposition to the Supreme court decision. Comparative negligence can be deviated from the negative function which to overcome the problems caused by the premise of compensating for all damages and lead to the guiding principle of the compensation for damages active function realizing the equitable sharing of the damages between the parties. If so, is it not possible to play a role as a payment standard for mutual-aid benefits in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and compensation for accidents at school? The mutual-aid benefits under the School Safety Act can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financial status of the mutual-aid benefits fund,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the capacity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etc.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mparative negligence as a circumstantial (technical) method for resolving the difficulty in setting the payment standard. In addition, in recent years, there is a view to understand the comparative negligence as a causal relation, so that the principle can not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stage of calculation and calculation of the damage and the restriction stage of the compensation for damages is. In other words, our understanding of the comparative negligence as a stage of liability limitation is merely a technical choice for the convenience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damages. Thus, Article(36, 37, 38, 39) of the School Safety Law(matters necessary for the standards and assessment of the amount of mutual-aid benefits, and method of payment, etc. shall be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could be basis for restriction on mutual- aid benefits by the victim’s predisposition and the comparative negligence. Put it in a nutshell, the Article 19.2 of the enforcement is not a violation of delegated legislation.

      • KCI등재

        공제조합 설립에 따른 산업의 안정화와 방문판매법상 다단계판매의 규제변화 필요성

        이병준 ( Lee Byung Jun ),김세준 ( Kim Sejun ) 한국소비자법학회 2023 소비자법연구 Vol.9 No.2

        Act on Door-to-Door Sales regulates the multi-level marketing industry excessively and strictly. Accordingly, there has been a continuing demand for improved regulation. Meanwhile, under Act on Door-to-Door Sales, a mutual-aid association is a corporation established to compensate consumers for damages. However, mutual-aid associations are actually carrying out various projects for the sound development of the market in addition to consumer damage compensation. Since mutual-aid associations are suitable to serve as self-regulation organizations and regulatory intermediarie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Act on Door-to-Door Sales should focus on such a function of mutual-aid associations. In this paper, the amendment of Act on Door-to-Door Sales was proposed as follows. First, as the act on special transactions, a full-scale revision and reorganization of the system are required. Second, multi-level marketing must be dually regulated by dividing it into legal and illegal areas. Third, regarding legal multi-level marketing, the current strict regulations should be significantly eased, and at the same time, rational regulations that utilize the functions of mutual-aid associations should be newly introduced. Fourth, the regulations on mutual-aid associations should be maintained as they are so that the functions of them can be flexibly exercised. Fifth,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the establishment of a dispute settlement organization suitable for the new regulation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