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성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적 담화 연구 - 변증법적-관계적 분석 사례를 중심으로 -

        백준영 ( Paik Junyoung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2 언어사실과 관점 Vol.57 No.-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identity as a mother in women during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rearing, and the related maternal ideology. In our society, a mother's motherhood is considered instinctive, and her love for her children, uncondition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at motherhood ideology works behind the coercion of maternity as a mother's identity and giving it social legitimacy. Among the media that produces and delivers motherhood ideology, the study is conducted by selecting Noh Hee-kyung's 'Our Blues' as the subject of analysis. Among the critical discourse research motherhood ideology, it is confirmed that the ideology of motherhood was depicted metaphorically by analyzing the narrative and lines of characters through a dialectical-relational approach. Furthermore, through related articles, it is possible to reconfirm that the ideology of motherhood portrayed in the drama is re-emphasized as a socially great value.

      • 채만식의 〈여인전기〉에 나타난 ‘모성’ 연구

        이병순(Lee ByungSoon) 세계한국어문학회 2009 세계한국어문학 Vol.2 No.-

        채만식의 〈여인전기〉에 나타난 모성은 크게 두 가지로 양분해 볼 수 있다. 봉건적 모성과 군국주의 모성이 그것이다. 여기서 봉건적 모성이란 가정이라는 사적 영역에 묶여 자식을 위해 희생하고 봉사하는 전통적 의미의 어머니뿐 아니라, 자식을 자신의 소유물로 판단, 맹목적인 사랑을 퍼붓는 전근대적 어머니상까지 포함한다. 군국주의 모성이란 군국주의 지배 이데올로기에 부합하는 총후의 어머니로서, 자신의 아들을 기꺼이 국가에 헌납하며 국민으로서의 의무를 다하는 어머니를 가리킨다. 〈여인전기〉에는 이 두 모성이 교묘하게 착종되어 있어 주목을 요한다. 그러나 이 두 모성은 사실 강요된 관제적 모성이라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즉 전근대적 봉건 이데올로기는 잔여적 이념의 형태로, 군국주의 이데올로기는 당대 현실을 추동하는 지배적 이념의 형태로 작동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일제 말기 채만식의 〈여인전기〉에 나타난 모성은 관제적 모성으로 철저하게 획일화된 주입식 모성이라고 볼 수 있다. The motherhood in “A Biography of a Woman” is roughly divided into two. Those are feudal motherhood and militaristic one. The feudal motherhood in this study contains the image of premodern mother that showers blind love on children considering them as her belongings as well as traditional mother that sacrifices herself for children being restricted in such private area as home. The militaristic motherhood is the mother that is willing to present her son to the State and fills her duty as a subject represented as Chonghoo Buin(Madam in the rear guard) who accords with militaristic ruling ideology. In “A Biography of a Woman”, these two motherhoods are skillfully entangled, which we need to notice. However there is something in common in these two motherhoods in that they are, in fact, forced ones manufactured by the government. That's because premodern feudal ideology comes into action in the form of remaining ideology and militaristic ideology in the form of ruling ideology driving those days forward. In conclusion, the motherhood in Chae Man-sik's “A Biography of a Woman” at the end of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is manufactured by the government and implanted completely uniformly.

      • KCI등재후보

        최정희 소설에 나타난 모성 연구

        이병순 한국여성문학학회 2005 여성문학연구 Vol.1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oi Jung-Hee's late 30s' works based on 'motherhood'. Up to recently, a dominant opinion on Choi Jung-Hee's works is that the discord between feminity and motherhood leads the conclusion to motherhood. However, a simple wondering that is it a sound way of reading to interpretate that the heroine who identifies herself with a woman and a mother finally returns to motherhood makes this study started. To settle this wondering, investigating 'motherhood', the feature of Choi Jung-Hee's works, I study how it is formed and what its meaning is. In her works, married and intelligent women appear and their winding lives are settled by means of the topic 'motherhood'. The poor woman who is married but doesn't have husband fixed as a heroine, the hardness and bitterness of her mothering is described with much more concrete experienced narration than that of any other writer in those days. In the process, resisting the patriarchy ideology superficially and giving up or denying motherhood, the heroine ends up returnung to motherhood adjusting herself to the environment. However, this process being made up of a sharp turning failing to make sure of probability or represented as a descriptive summary, it is difficult to accept that the ending is natural one derived from heroine's earnesty. Because of this, though the superficial theme of Choi Jung-Hee's work is motherhood, I think the latent voice from the rear is "something" that needs to be disguised or marked as it is hard to be accepted socially. It is an individual and subjective desire of a woman that is surpressed and unsettled by motherhood ideology or can't be gratified by only motherhood. 이 글은 최정희의 1930년대 후반 소설을 ‘모성’이라는 틀로 검토하려는 목적에서 씌어진다. 최근 들어 최정희 소설에 대한 연구는 주인공이 여성과 모성 사이에서 갈등을 겪다가 결국 모성으로 귀결된다는 데 의견의 일치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 글은 여성임을, 어머니임을 확인한 주인공이 결국 모성으로 회귀한다고 보는 것이 과연 최정희 소설의 온전한 독법일까 하는 소박한 의문에서 시작된다. 이같은 의문의 해결을 위해 최정희 작품의 본령이라는 ‘모성’을 작품 내에서 꼼꼼히 살펴보고, 이것이 어떻게 형성된 것이고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추출해 보려고 한다.최정희 소설은 대부분 기혼의 지식여성을 등장시켜 그들의 삶의 굴곡을 ‘모성’이라는 화두로 풀어냈다. 가난하고 남편이 없는 여성을 주인공으로 설정하여 어머니 노릇의 고단함과 신산함을 당대 다른 작가의 그것보다 훨씬 더 구체적 경험의 서사로 그려냈다. 그 과정에서 주인공은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저항하며 모성을 포기하거나 거부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결론에 이르면 모성으로 회귀하며 순응하는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이 과정은 개연성을 확보하지 못한 채 급격한 선회로 이루어지거나, 서술적 요약으로 제시되어 있어 작중인물의 진정성에서 우러난 자연스러운 귀결이라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최정희 소설의 표면적 주제는 모성성의 강조이지만, 그 배면에 존재하는 잠재적인 목소리는 사회적으로 용납되기 어려워 흔적이나 위장이 필요한 ‘어떤 것’으로 볼 수 있다. 그것은 모성이데올로기에 의해 억눌리고 고통받아 흔들리는, 혹은 모성만으로는 충족되지 않는 여성의 개별적주체적인 욕망인 것이다.

      • KCI등재

        『엄마를 부탁해』와 <피에타>에 나타난 모성의 양가성 연구

        진은경(Jin, Eun Kyung),음영철(Eum, Yeong Cheol)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59 No.-

        본 논문은 한국적인 어머니와 모성을 드러낸 소설과 영화를 중심으로 모성의 양가성을 탐구한 것이다. 21세기에도 여전히 모성은 지배 이데올로기의 전유물이 되어 자본주의 체제의 근간을 이룬다. 그러나 예술은 모성의 양가성을 부각시키며 자본주의 체제를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기제로 남아 있다. 그로 인해 인간의 소외와 소멸을 논하는 이 시대에도 모성성의 연구는 필요하다고 본다. 본 논문에서 논의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엄마를 부탁해』에 나타난 어머니는 산업화에 따른 가족의 해체를 온몸으로 지키는 신화화된 모성을 상징한다.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익숙한 가족 구성원(어머니를 제외한)은 어머니에 대한 ‘희생’의 환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로 인해 어머니는 가족의 수호신으로 전능한 모성을 발휘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에 무기력한 어머니는 아들에게 큰딸의 양육을 맡기며 ‘미안하다’는 죄의식을 느껴야만 한다. 이 소설에서 전능함과 무력감의 양가성을 보여준 그녀는 주체적 삶을 선택할 수 없는 존재로 그려진다. 이 소설은 모성의 본질을 사회로 나아가지 못하고 가족 안에서만 구하려 했다는 점에서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피에타>는 여주인공 미선이 자신의 아들을 죽인 이강도가 자본주의의 희생양임을 깨닫고 모성의 양가적 태도를 보여준 영화라 할 수 있다. 자본주의 체제 하에서는 누구나가 이강도와 같은 악한이 될 수 있는 것이기에 이러한 악무한을 끝내기 위해서는 ‘피에타’의 호출이 필요한 것이다. 이 영화는 복수와 용서가 결국 자본주의가 낳은 쌍생아이며,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친아들을 죽인 양아들 이강도 또한 용서를 하고 자비를 베풀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미선이 자신의 희생을 통해 이강도를 용서한 것처럼 이강도 또한 자신의 속죄를 위해 죽음을 선택한다. 『엄마를 부탁해』와 <피에타>는 영화와 소설이라는 다른 장르에도 불구하고 모성의 양가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 공통점이 있다. 차이점은 전자가 전능과 무능의 양가성을 보여주었다면, 후자는 복수와 용서의 양가성을 보여 주었다는 것이다. 또한 양가성을 지닌 모성은 여전히 자본주의 체제를 성찰하게 한다는 점에서 유효한 기제라 할 것이다. This thesis is intended for searching for the ambivalence in the novel which present traditional Korean mothers and their motherhood. Still in the 21<SUP>st </SUP>century, the motherhood becomes subordinate to the ruling ideology and constructs the basis of the capitalist system. However, art brings the ambivalence of motherhood to the people’s attention and remains as a mechanism that can criticize the capitalist system and present its alternative. Thus, in the times of human isolation the deeper study of motherhood is needed. The mother in the novel, Please Look After Mom represents mythological motherhood which tries to keep the bond of the family from breaking up caused by industrialization. Family members used to the patriarchal system have a ‘sacrifice’ fantasy about their mother. Because of that, mother is supposed to show off her omnipotence as a guarding angel for her family. But the helpless mother handing over the duty of her son’s bring up to her daughter, feels guilty, “I’m sorry.” The mother in the novel showing the ambivalence between omnipotence and helplessness is pictured as a woman who cannot choose her own life. This novel has a limit that it presents the essence of motherhood only in the family not going out to the society. In the movie Pieta, the main character Misun realizes that Lee Kangdo who murdered her son is also just a victim of capitalism, and shows the ambivalence of motherhood. As anyone could be a villain under the situation of capitalism, we need to call ‘Pieta’ to bring to an end to the circulation of evil. The movie shows that vengeance and forgiveness are the twins capitalism has produced. It also gives a message that she should give a mercy to Lee Kangdo who murdered her son. As Misun takes her sacrifice, Lee Kangdo decides to commit a suicide for the atonement. Please Look After Mom, and Pieta, although they differ in genres,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they show the ambivalence of motherhood. The difference remains that the former presents omnipotence and helplessness, the latter vengeance and forgiveness. Motherhood with ambivalence still holds good as a mechanism for the capitalist society to retrospect its ineffectiveness.

      • KCI등재

        ‘모성’의 확장과 재사유 ­― TV드라마 <마더>를 중심으로

        김미라 한국극예술학회 2018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61

        In the patriarchal society, the media has predominantly depicted motherhood as a feminine instinct and an absolute value, and that the ideal mother is a woman who sacrifices her own aspirations in society to nurture and provide emotional stability to her children and husband. In addition, females who have not conformed to the “normal family” structure defined by the patriarchy, such as single mothers, divorcees, and women who have refused child birth and child rearing, are portrayed as lacking “femininity.” This ideology has prevented women from entering the workforce and placed the responsibility of childcare solely on to women, resulting in the exclusion of women from distribution of social resources. However, with recent changes in traditional family structures and more women entering the workforce, it has become necessary to redefine the traditional meaning of “motherhood” in line with societal change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employed narrative analysis to find answers on the definition of motherhood, focusing on the critically acclaimed TV drama series <Mother>, which uses the issue of child abuse to depict wholly different “acts of motherhood.” <Mother> has illustrated motherhood that transcends the traditional definition by portraying different types of mothers that includes non blood relations, including a single woman who becomes a mother after she rescues and adopts a child endangered by abuse from her mother and live-in boyfriend, and a woman who adopts three girls and raises them as her own. In addition, the drama series did not employ a binary depiction of “good mother” and “bad mother” but focused on the realities and suffering of female characters, such as a mother who becomes a murderer due to her husband’s abuse and is forced to relinquish care of her child, and a woman who becomes a mother at a young age only to be abandoned by the father of her child then meets another man who abuses her daughter which she ignores due to fear of being abandoned again. The drama also challenges the traditional myth of “motherhood” that obligates the mother to sacrifice herself unconditionally. Moreover, the strong solidarity of mothers depicted in the single mom who rescues and adopts an eight year old child in danger and the women who support her, expanded the narrow definition of “motherhood”, which had been limited to family, and includes nurture, care, and relationship. This has opened the possibility of redefining the meaning of motherhood and a “motherhood” consensus around the current social issues on child abuse and low birth rates. 가부장제가 견고한 사회에서 미디어는 ‘모성’은 여성의 본능이자 절대적 가치로, 자신의 사회적 성취보다는 가정에서 자녀와 남편을 돌보고 정서적 안정을 제공하는 희생적인 어머니가 이상적이라는 지배적 가치를 재생산해 왔다. 또한 가부장제가 선호하는 ‘정상가족’의 범주를 이탈한 미혼모나 이혼녀, 출산과 양육을 기피하는 여성들을 ‘여성성’이 결핍된 존재로 재현함으로써 여성의 사회 진출을 막고, 자녀의 양육 책임을 어머니한테만 돌림으로써 사회적 자원의 분배에서 여성을 배제시키는데 공모했다. 그런데 최근 전통적인 가족관계가 균열되고 여성의 사회 진출이 증가하면서 기존의 ‘모성’ 담론에 대한 새로운 사유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본 연구는 아동 학대의 문제를 제기하며 전혀 다른 ‘모성 실천’을 재현한 TV드라마 <마더>의 서사분석을 통해 그 답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드라마 <마더>는 친모와 그 동거남의 학대로 위기에 놓인 아동을 구출해 엄마가 되는 비혼모, 혈연관계가 없는 세 딸을 입양해 차별없이 키워내는 입양모의 이야기를 통해 혈연을 뛰어넘는 다양한 모성의 실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좋은 어머니’와 ‘나쁜 어머니’의 이분법적 재현방식에서 벗어나 남편의 폭력으로 살인자가 돼 자식을 버릴 수밖에 없었던 엄마, 어린 나이에 엄마가 되고 새로 만난 동거남과의 이별이 두려워 딸에 대한 학대를 방관하는 미혼모 등 자식을 방기할 수밖에 없는 여성들의 현실과 고통에 주목함으로써 무조건적인 희생을 강요했던 기존의 ‘모성’신화를 해체한다. 그리고 <마더>는 죽음의 위기에 직면한 여덟 살 아이를 구출해 끝내 자신의 아이로 입양하는 비혼여성과 이를 지원하고 지지하는 끈끈한 엄마들의 연대를 통해 가족관계에 한정됐던 ‘모성’을 약자에 대한 돌봄과 배려, 관계지향성 등으로 확장함으로써 모성에 대한 재사유와, 우리 사회가 직면한 아동학대와 저출산 문제에 대한 ‘모성’연대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집단이야기치료를 통한 양육초기여성의 정체성 변화 경험에 관한 연구: 모성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신송이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ideology of motherhood on women in early parenthood, and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and experience of identity change through group narrative therapy. The study suggests group narrative therapy as an alternative care for women in early parenthood who experience difficulties and identity confusion due to ideology of motherhood. I applied the narrative inquiry as a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First, the participants in their early parenthood were internalizing ideological beliefs by the influence of ideology of motherhood, and these beliefs were influenced by several factors. Second, maternal role beliefs due to ideology of motherhood caused participants to experience identity confusion as well as physical, relational, economic,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ird, through the group narrative therapy, the identity of the participants in early parenthood changed through three processes and nine stages into the new identities such as ‘disciplined mother’, ‘confident mother’, and ‘happy mother’. In group narrative therapy, ‘group’ acted as homogeneous group, support group, and relationship group. 본 연구의 목적은 모성이데올로기가 양육초기여성에게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집단이야기치료를 통해 정체성 변화 경험과 그 의미를 찾는 것이다. 이를 통해 양육초기여성에게 대안적 돌봄으로 집단이야기치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참여자들은 양육초기여성 8명으로 선정하여 집단이야기치료 10회기를 진행하였고, 연구방법으로 네러티브 탐구의 방식을 취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양육초기여성 참여자들은 모성이데올로기의 영향으로 이상적이고도 구체적인 신념들을 각각 내재화하고 있었고, 이러한 신념들은 주변 사람들의 말, 육아서적, 부모교육 세미나, TV 육아 프로그램, TV 부모 교육 프로그램, 육아 사이트, 산후조리원에서의 경험, 또래집단을 통해 영향을 받았다. 둘째, 모성이데올로기로 인한 어머니 역할 신념은 참여자들에게 신체적 어려움, 관계적 어려움, 경제적 어려움, 심리적 어려움과 더불어 정체성 혼란을 경험하게 하였다. 셋째, 집단이야기치료를 통해 양육초기여성 참여자들의 정체성은 세 과정과 9단계를 거치면서 변화가 진행되었는데, 그 새로운 정체성은 ‘기준 있는 엄마’, ‘자신 있는 엄마’, ‘행복한 엄마’이다. 그리고 집단이야기치료에서 ‘집단’은 동질집단, 지지집단, 관계집단으로서 역할을 하였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성-역할 고정관념의 지형변화와 여성정책에 갖는 함의: 1996년과 2010년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원숙연 ( Sook Yeon Won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14 정부학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정책의 내용이나 방향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특정 정책이슈에 대한 사회적 인 식이나 가치체계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따라 여성관련 정책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성-역할고정관념의 인식지형을 살피고, 1996년과 2010년 의 인식을 비교함으로써, 이를 둘러싼 지형 변화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세계가치조사 의 일환으로 우리나라에서 실시된 1996년과 2010년 성-역할고정관념에 대한 인식을 비 교분석하였다. 성-역할고정관념을 1)성별화된 자원(권력)의 배분, 2) 남성부양자 역할, 3) 엄마역할로 세부 차원화하고, 각각의 차원의 인식지형과 지형의 변화를 실증적으로 규 명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인 차원에서 1996년에 비해 2010년에 성-역할고정관념에 일 정한 변화가 감지된다. 특히 성별화된 자원배분 차원에서 성-역할고정관념적 평가가 완 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노동시장에서의 일자리에 대한 인식은 1996년이나 2010년 모두 성별화되어 있으며, 2010년에 인식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기 혼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가 미혼여성을 앞지르고 있는 현실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남성 가족부양자 이데올로기와 남성의 이 여성보다 수입이 적을 경우 갈등이 불가피하다는 가족임금이데올로기가 여전히 건재함이 확인되었다. 셋째, 엄마역할에 대한 성-고정관념 의 지형은 1996년에 비해 2010년에 오히려 더 강화되었고,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보수 적인 엄마역할에 대한 인식을 보이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의 미를 경제위기와 연결하여 논의하고, 여성정책에 주는 함의를 찾아보았다. This study starts with the importance to understand social recognition and social values on a certain policy issue, in order to determine relevant policy directions and contents. For this, gender role stereotypes is focused as a pivotal factor for policy issue on women/gender relations, paying special attention to changes in perception of 2010 in comparison to that of 1996. In doing so, data for World Value Survey(WVS) are utilized. Gender role stereotypes are categorized into three sub categories; 1)gendered allocation of social resources(power), 2) male-breadwinner ideology, 3)motherhood ideology. Perceptual differences in each category of gender role stereotypes are empirically explored. Findings show that in overall aspects gender role stereotypes in 2010 has been changed from 1996 . In particular, the category of gendered allocation of social resources(power) has been considerably changed. On the other hand, despite the active female participation to the labor market, male-breadwinner ideology is still tenacious. Interestingly enough, motherhood ideology in 2010 was rather intensified than 1996. Furthermore, unlike the conventional expectation, women perceived the motherhood ideology in more traditional ways than men. The implication of the findings for women’s policy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economic crisis.

      • KCI등재

        1920-30년대 한국 여성잡지의 모성담론에 관한 연구 : '신여성','신가정','여성'을 중심으로

        김욱영 한국소통학회 2003 한국소통학보 Vol.2 No.-

        오늘날 미디어에 의한 모성실천의 담론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의 강요뿐만 아니라 기혼여성의 윤리적 삶의 궁극적 목적으로 삼도록 만들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최근의 현상이 아니라 한국 매스미디어의 발달사가 지배적 이데올로기로부터 자유롭지 못했음에 연유하는 바가 크다. 매스미디어는 지배이데올로기의 강요와 억압을 합리적인 것처럼 포장하는 데 유용한 수단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에 가부장적 지배이데올로기는 미디어를 통해 모성을 사회유지를 위한 하나의 도구로 사용해 왔다. 본 연구는 1920 30년대 대표적 여성잡지인 ‘신여성’, ‘신가정’, ‘여성’을 분석하여 최근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여성잡지의 모성담론은 과거와 현재의 모습이 다르지 않았다. 어머니로서뿐만 아니라 혼란한 현실의 유일한 위안으로서의 가족을 지키는 희생과 헌신의 이중 책임으로서의 모성에 대한 강조,경제적 지식/권력으로부터는 철저히 소외되면서 소비의 주체로서만 대상화되는 모성의 모습은 현재 모습 그대로였다. 또한 제도적 권력의 실천이라고 할 수 있는 특정 담론의 소외는 여성의 자각과 행동보다는 복종과 순종을 강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여성잡지의 위선적 모성담론의 역사와 관행이 오래되었음을 보여준다. 한국 여성잡지는 가부장적 사회 담론을 거침없이 쏟아낸다.때로는 엄하게,때로는 흥미위주로 다루면서 모성의 틀을 규정한다. 모성을 아름답게 치장하고 꾸미지만 그것은 가부장적 권위와 그에 대한 복종아래 허락된 구차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여성잡지가 상업화되면서 경제적으로 가부장적 사회 제도 속에 더욱 밀착하게 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Mass Media have actively produced motherhood discourse that is constructed by patriarchical knowledge/power. The media have been also become effective means, through which illusions in motherhood discourse can be produced, have been related the mass media history constructed by power ideology. This study analyzes three Korean representative women’s magazines in 1920 30’s and compare them with toda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period. The Korean Women’s Magazines in 1920 30’s represent the mother as ’two career’ mothers who have most of the responsibilities and sacrifices of their home, the objects as consumers who have estranged from the economical knowledge/power, mothers who are confined within private area, and mothers who become melodrama’s heroines. This means that motherhood discourse shown in Korea Women’s Magazines have made the women’s estrangement from the independent discourse. Mass Media produce a lot of motherhood discourses which are related to the patriarchical social power and the commercialization. The misrepresented social status reinforced by the media users could be the evidence of the ideological feature of mass media as a social apparatus reproducing reality and fixing the meaning made by power ideology.

      • KCI등재

        SF 공포영화 속 여성괴물의 모성 이데올로기: 인간-외계인 혼종의 계보에서 분석한 [기생수]

        김지은,조성란 문학과영상학회 2020 문학과영상 Vol.21 No.2

        This paper analyzes the female monster and the ideology of motherhood in human-alien hybrid SF-Horror film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emale spectator.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hybrid style of SF-Horror film, Invasion of the Body Snatcher which deals with cloning. Second, it traces the genealogy of human-alien hybrids in SF-Horror films, comparing the male-alien hybrid and the female-alien hybrid. The male-alien hybrid in movies such as District 9, Venom, is either castrated or is treated as a hero. The female-alien hybrid in films such as Alien and Splices, is monstrous agent of castration and reproduction. Third, the paper analyzes Parasyte, a unique film in the genealogy of human-alien hybrid films, which emphasizes the ideology of motherhood in patriarchal hierarchy. Parasyte visualizes the threat and horror deriving from human and alien hybrid through striking imagery. It is possible, however, that a female-position spectator can not enjoy Parasyte in spite of its striking visual effects because of its undercurrent patriarchal human-centered ideology. Such ideology incurs uneasiness in certain female spectators. But as Mancia Diawara and Bell Hooks assert, such spectator uneasiness can create the rupture in the system. using ’oppositional gaze’ and ’resistant spectatorship’ as strategies of resistance.

      • KCI등재

        드라마 <산후조리원>을 통해 본 과학적 모성의 재현

        송민이 ( Song¸ Minyi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21 여성학연구 Vol.31 No.2

        This study tries to grasp a woman’s place in the discourse of scientific motherhood in Korea through the TV drama Birth care Center. The drama sets the postpartum care center as a place that maximizes scientific motherhood and forces women to become “perfect” mothers. The scientific superiority of breastfeeding, various professional methods of child-rearing, and supplementary products supporting rearing are regarded as the mother’s basic responsibilities in the postpartum care center, forced on mothers under the name of ‘Scientific Motherhood’. The basis for classifying the rank of mothers in the center is based on who has more ‘Scientific Motherhood’ and how much they can sacrifice for their child. This drama maximized the representation of scientific motherhood through setting of background, the finest postpartum care center. The real postpartum care center culture, child-rearing, and products used in this drama can show the status of scientific motherhood in Korea. Women should become ‘perfect mothers’ through continuous self-capacity-building in society where motherhood is excessively commercialized and standardized. This pressure puts women under control and makes them management objects.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where the identity of women as ‘mother’ exi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