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Voice of Subalterns in George Ryga's The Ecstasy of Rita Joe: Subaltern Literature Relations in Canadian Indigenous Play

        허원재 동국대학교 영어권문화연구소 2020 영어권문화연구 Vol.13 No.2

        Postcolonial studies have become one of the most critical academic theories in modern paradigms of philosophy, history, politics, humanities. South Asian studies, Middle East studies, African studies, Caribbean Studies, and Oceanian and Canadian studies are the major socio-geographic realms in the postcolonial studies. Since the last two decades of the 20th century, postcolonial literature opened a new challenging dimension of its applicability in the western modern literal critiques with the concept of subalternity. The subaltern concept increased its momentum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ubdivisions of postcolonial theory which can be applied in the literal works of either colonial discourses or postcolonial literal disciplines.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Canadian indigenous literature in general, especially Canadian indigenous play, has not been drawn much attention not only from the circle of academic study but also from general audience even in Canada until the 1967's centennial independence celebration. The work of George Ryga – The Ecstasy of Rita Joe, which was first staged in November, 1967 in Vancouver Playhouse, ignited the strong catalyst in the conscience of the Canadian dominant Anglo-Frenchruling communities to realize the issues of social justice and inequality of Canadian indigenous people. Ever since, the various aspects of indigenous issues of Canadian First Nations, such as brutal colonial policies, indigenous identities, social justice, racial inequality, female discrimination, and so on, became the mainstream of contemporary themes of Canadian plays. The study pays more attention to the legacy of white dominant colonialism and postcolonial literal critical prospective on Canadian Indigenous subaltern woman in the theatrical play of Canadian Indigenous literature. It also highlights how George Ryga as an immigrant subaltern enacted the sufferings of the indigenous subaltern community. Finally, it provides the analytical and textual evidences for the voice of the subalterns in relation to the representing voice for the subaltern group.

      • KCI등재

        한국현대문학연구의 하위주체론

        유승환 한국현대문학회 202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6

        이 글은 서발턴 이론에 기반을 둔 한국현대문학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점검하고, 한국현대문학연구의 하위주체론의 발전적 전개를 위한 몇 가지 제안을 시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위주체라는 개념은 서발턴 이론이 한국에 수용되었던 2000년대 초반 이후 한국현대문학연구의 중요한 핵심어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한국현대문학연구는 텍스트에 의한 대표/재현의 실패를 전제로 하는 하위주체라는 개념에 수반되는 방법론적 긴장감을 충분히 심화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위주체라는 개념의 자의적 사용, 하위주체의 재현 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숙고의 부재 등은 중요한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하지만 한국문학연구는 ‘하위주체’라는 개념을 통하여 그 동안의 한국문학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문학적 주체 혹은 문학적 형상을 새로이 문제 삼을 수 있는 동력을 얻게 되었다. 또한 특히 ‘하위주체의 양식과 미학’ 등에 대한 고민을 통해 한국현대문학을 구성하는 새로운 코드들 및 그에 대한 독법을 발견하고 있다는 것 또한 중요한 성과로 꼽을 수 있다. 한편 특히 여성하위주체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한국현대문학사의 내러티브에 대한 비판적 탈구축의 작업이 이루어진 것과 함께 이에 따라 문학의 경계가 확장되며, 새로운 연구대상의 아카이브가 축적되고 있는 것은 한국현대문학연구의 하위주체론이 거둔 가장 두드러진 성과로 인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해체 이후, 하위주체론의 성과에 의한 대안적인 문학사 서술의 전망이 분명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점은 고민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현재의 상황에서 한국현대문학연구의 하위주체론이 발전적으로 전개되기 위해서는 우선 하위주체성의 재현과 재현가능성에 대한 이론적인 관점들이 논쟁적으로 심화될 필요가 있다. 이때 하위주체라는 개념 자체에 내재해 있는 종속성의 문제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지는 가장 중요한 논점이 된다. 아울러 하위주체를 문학사의 ‘구성적 외부’로 전제하는 새로운 문학사 서술의 가능성 또한 진지하게 논의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하위주체론의 발전적 전개를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하위주체와의 광범위한 연대를 통해 지금-여기에서 새로운 문화정치적 실천을 기획할 수 있는 상상력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