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0년대 한국 모더니즘 시의 전개양상 연구

        권경아(Kwon Kyung-a)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5 No.-

        모더니즘 시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며 1920년대의 모더니즘 미학이 어떠한 양상으로 드러나는지 고찰하였다. 이장희, 정지용, 임화의 시들에 대해 구체적인 텍스트 분석을 통해 특징들을 찾아내고 이 특징들이 그들의 시적 인식, 근대성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 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1920년대의 한국 모더니즘 시를 대상으로 근대성이 어떻게 인식되고 있으며 이들의 시가 1920 년대라는 한국 사회에 나타나는 근대의 모순과 위기 상황을 어떻게 미적으로 대응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 철학적 근대성 또는 자본주의적 근대성이라는 긍정적 측면과 이러 한 근대성에 대해 저항하는 부정적 측면에서의 근대성을 포괄하는 양면적 근대성의 개념을 기반으로 1920 년대 시에 나타나는 근대성의 인식을 고찰하였다. 1920년대의 시에 대한 연구는 주로 개별 작품들의 형식이나 기법을 연구하는 차원에서 단편적으로 이루 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개별 시인의 시세계를 분석하거나 각각의 작품들 분석에 치중하고 있어 1920년 대 모더니즘 시의 종합적 고찰이나 연구라 하기 어렵다. 한국 모더니즘의 전개 양상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는 이러한 다양한 형식이나 기법들이 어떠한 배경에서 나타나게 되었는지가 조명되어야 할 것이다. 1920년대 시들의 다양한 기법과 형식 실험은 당대의 근대성 인식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1920년대 모더니즘 시는 전통적인 시형식에 대한 저항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미학적 저항들은 새로운 시에 대한 열망으로 이어지며 다양한 시적 실험으로 나타난다. 이장희의 감각의 객관성이나 정지용의 이미지즘, 그리고 임화의 형식 실험 등은 동시대의 미학을 혁신하는 미적 근대성의 인식에서 비롯된 미학적 저항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figure out the pattern of modernist aesthetics during the 1920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patterns of the poems of modernism in the 1920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poems written by Lee Jang-hui, Chung Ji-yong, Im Hwa, which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sm in the 1920s very well.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oems were examined through analysis on specific texts, and how they were related with the poets’ poetic recognition and modernity was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the modernity is recognized against Korean modernist poems in the 1920s and how these poems aesthetically responded to the paradox and crisis of modernity which were found in the Korean society in the 1920s. Furthermore, it examined the perception of modernity in the poems during the 1920s based on the concept of ‘modernity with double views’ which covers modernity in both positive (historical/philosophical modernity or capitalist modernity) and negative (resistance against this kind of modernity) aspects. A study on the poems in the 1920s has been mostly conducted in a formal or technical aspect. However, it is not reasonable to say that this kind of study is a general study on modernist poems in the 1920s. To figure out the development pattern of Korean modernism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how and under what background these diverse forms and techniques have been expressed should be illuminated. It appears that a test on the diverse forms and techniques of poems in the 1920s is related with the perception of contemporary modernity. The modernist poems in the 1920s were diverse aesthetic resistances targeted to open up a new era by overcoming the extreme and tragic situations such as national liberation and war. These aesthetic resistances were an artistic approach to aesthetic modernity for the innovation of contemporary aesthetics. In addition, they were significant in that they revealed social resistance against reality in an aesthetic mode.

      • KCI등재

        채만식 수필과 근대의 도시 읽기

        허만욱(Heo, Man-Wook)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69

        본고는 1930년대 채만식 수필을 ‘도시성’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도시 ‘경성’의 근대성을 분석하여 제국주의 근대를 살아가는 주체의 존재와 그 의미를 파악하는 한편, 작품에서 구현되는 모더니티의 양상을 살핌으로써 모더니즘 작가로서의 채만식의 새로운 면모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는 곧 리얼리스트 채만식 문학의 모더니즘적 성격에 대한 하나의 논의이며, 리얼리즘의 관점에 갇혀 보다 적극적으로 모더니즘적 평가를 하지 못했던 아쉬움을 보완하는 일이 될 것이다. 채만식 수필에서 ‘경성’은 전통과 근대, 식민과 피식민, 자본과 착취 등이 뒤섞인 양상으로 나타난다. 곧 이중도시로서의 ‘경성’은 동시성의 비동시성, 아나크로니즘, 불균등성, 그리고 자본주의 등이 도시의 횡측을 분할하며 식민지 근대의 현실을 그대로 재현하는 공간이었다. 특정 텍스트와 그것이 창출된 시공간적 맥락이 서로 불가분의 관계임을 전제한다면, ‘경성’의 근대성을 경험한 채만식의 수필은 이미 모더니즘 문학의 한 자리에 서게 된다. 채만식은 근대화된 도시 공간에서 이질적이고 혼재된 풍경을 발견하는 한편, 도시 산책이라는 모더니티의 체험을 문학적 모더니즘으로 변형시키고, 경성의 도시적 면모를 제국과의 식민지 관계로 확장시키며 자본 착취에 따른 피식민지의 빈곤을 고발하기도 한다. 식민지 시대의 근대는 근대성과 탈근대성이 공존하는 독특한 모던의 시간이 연출되었다. 근대성에 대한 비판이란 근대화의 과정에서 이미 의식에 내면화되어 있는 근대성의 의식구조를 근본적으로 반성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에서 근대와 단절하려는 용기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탈근대적인 사유 역시 지금 현재 자기 부정의 일부로서의 비판적, 반성적 근대성일 수 있다. 채만식의 작품 이면에 내재해 있는 모더니티에 대한 비판이나, 식민 도시가 지닌 한계를 인식하고 탈근대적 사고를 지향했던 포스트 모더니즘적인 감수성과 문제의식에 주목한 것도 이 때문이다. 채만식 수필에서 적어도 모더니즘으로 이해되는 그의 수필 인식과 표현 대부분은 전통적인 것에 기반을 둔 근대적 삶의 비판적 향유가 전면에 드러난다. ‘낡은 질서에 대한 새로운 정신의 부정의 불길’을 담으려는 모더니즘의 원리를 일반적 원칙으로 수용한 것이며, 기존체계에 대한 합리적 반발로서의 모더니즘의 일반론을 식민지라는 암울한 역사적 상황에 접목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채만식을 리얼리즘 작가로 한정하는 시각의 상당부분을 유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This paper analyzes the modernity of the city “Gyeongseong” based on the theme of “city” in Chae Man-Sik’s Essay in the 1930s that covered the existence and meaning of a subject living in imperialist modernity. He tried to discover a new perspective as a modernist artist by looking at the aspects of modernity embodied in his work. Along with the sharp criticism of modernity that underlie his work, he also paid attention to postmodern sensibilities and problem consciousness, which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colonial cities and pursuing postmodern thinking. In Chae Man-Sik’s Essay, “Gyeongseong” is a mixture of tradition and modernity, colonialism and colonialism, capitalism and exploitation. In other words, ‘Gyeongseong’ as a dual city was a space where the asynchronicity of synchronicity, anachronism, inequality, and capitalism divided the city, revealing the historical reality of colonial modernity. Assuming that a specific text and the spatio-temporal context in which it is written are inseparable, the essay by Chae Man-Sik, who experienced the modernity of “Gyeongseong”, has a place in modernist literature. Like the double city, “Gyeongseong”, the works generally present a double textual character by presenting the surface and the inner side, and this textual characteristic may be an inevitably chosen strategy for the strict censorship system. During the colonial era, modernity and postmodernity coexisted in a unique manner. Criticism of modernity was viewed as the courage to break from modernity in a true sense, by fundamentally reflecting on the consciousness structure of modernity that is internalized during the modernization process. In this context, postmodern thinking can also be a critical reflection of modernity as a form of self-denial. Soon, postmodern is the modernity that begins at this moment. Chae Man-Sik’s Essay is a beautiful essay that combines thoughts on the daily life in colonial cities in the 1930s with a cold modernist perspective. Most of the recognition and expressions in Chae Man-Sik’s Essay, which is classified as modernist, reveals the critical enjoyment of modern life based on the traditional. It is clear that the modernist principle of containing the flame of the negation of the new spirit against the old order’ was accepted as a general principle, and it can be said that the general theory of modernism as a rational opposition to the existing system was grafted into the dark historical situation of colonization. This also suggests the possibility of withholding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perspective that limits Chae Man-Sik’s Essay as a realist artist.

      • KCI등재

        한국미술에 있어서 ‘모더니즘’의 의미와 특징

        정무정(Chung, Moojeong)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11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22 No.-

        In the discourses of Korean art history, the concept of modernism has tended to be used in an equivocal way. This ambiguous usage may cause a confusion in discussions of Korean art history.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sm in Korean art by distinguishing its different usages. According to Charles Harrison, who is professor of the history and theory of art at the Open University in England, the concept of modernism has been used in three different ways in Western art history. First, as the substantive form of the adjective ‘modern,’ modernism is used to refer to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Western culture from mid-nineteenth century to the mid-twentieth. The second sense of modernism refers to the modern tradition in high art and to the grounds on which a truly modern art may be distinguish not only from classical and conservative types of art but from the forms of popular and mass culture. Finally, the third sense of modernism stands not for the artistic tendency but for the usage itself and for a tendency in criticism which this usage is thought to typify. The first documented use of the term modernism in Korean art history can date as early as 1931, when the artist Kim Yongjoon argued that “we should not hastily disregard all the modern art movements as superfluous” in his review for the second exhibition of the Dongmi Association. As an argument against Hong Deuksoon’s criticism of its first exhibition, Kim’s review advocated the establishment of a true Chosun art. In this sense, Kim’s theory of native art can be considered both a part of modernity in Korean art and a characteristic of Korean ‘modernism’. Not only did the information about current artistic trends from the Japanese art community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 concept modernism in Korean art, but the interaction between artists and writers in the 1930s did too. Especially, members of the Guin Association came to understand modernity and got their literary inspirations through modern art. While expounding his theory of modernism, Kim Kirim, one of it members, proposed a solution to correct the literary tendency toward technicalism by criticizing modern civilization, whose parallel can also be found in Kim Bokjin’s theory of art. With the intervention of Japanese colonial policy, however, the balance between modern and proletariat art was broken and Korean modernism’s potential for criticizing modern civilization was also dissipated. The theory of modernism proposed by Lie Yll, who came out in favor of the so-called ‘Monochrome Painting’ in the middle of the 1970s, corresponds exactly to Clement Greenberg’s Modernist art. In ‘Monochrome Painting’, Lie Yll saw not only a complete command of medium but also a Korean outlook on nature. Thus, he regarded it as the most fruitful example for advanced Korean art. His view of ‘Monochrome Painting’, which was presented at length in his subsequent critical writing, formulated arguments for a compelling theory of Korean modernist painting. In this sense, his theory of ‘Monochrome Painting’ can be seen as a Korean version of Clement Greenberg’s modernist theory. Considering that he tried to differentiate his Modernism from Greenberg’s one by introducing east asian thoughts on nature, however, we can also find a characteristic of Korean Modernism in Lie’s theory.

      • KCI등재

        보들레르의 모더니티에 대한 연구 : 『현대생활의 화가』를 중심으로 Reading "Painter of Modern Life"

        양효실 한국미학회 2003 美學 Vol.34 No.-

        「1846 미술비평」에서 '관습적이고 전톨적인 모든 것'(OC, Ⅱ.468)은 상투어에 속한다며 진정한 예술가들은 상투어를 경계해야 한다고 역설했던 보들레르는 말년에 이르러서는 자신의 상투어를 하나 창조하고픈 희망을 품었다. 그리고 그의 그러한 희망은 이제 모더니티 개념을 통해 실현된 듯 하다. 모던, 모더니티,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을 중심으로 한 논쟁에서 보들레르의 모더니티는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모던한 미적 의식, 혹은 현재에 대한 심미적 의식을 일컫는 모더니티는 오늘날 문막과 예술의 논쟁에 있어서 이미 하나의 상투어로서 기능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이미 너무나 친숙해져 버린 모더니티 개념은 그럼에도 관습적이고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상투어가 되었다고 보기 어려운데, 이는 보들레르가 모더니티에 대탄 명로한 정의를 이미 차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모든 논의가 역설의 공존이 주는 긴장에서 멈춰버리게 되는 것처럼, 모더니티 역시 일의적인 의미로 고착화될 수 없는 개념이다. 모더니티는 보들레르가 열어놓은 틈에서 유동한다. 그리고 그 모호성과 유동성을 통해서 모던 아트에 생기를 부여한다. 모더니즘이 종식되었다면 이는 보들레르의 모더니티가 그 안에 들어있지 않은 모더니즘이었기 때문일 수 있다. 심지어 모더니티는 역사적 사실로서의 모던 아트를 뛰어넘어 오늘날의 예술 포스트모더니즘이건 컨템포러리 아트이건 의 기원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담고 있다. 본 논문은 19세기 중엽 '도시'가 갖는 시간적 ·공간적 특수성과 새로운' 예술의 자기정의가 어떤 필연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가를 성찰한 문화비평가이자 예술사회학자로서의 보들레르의 미막을 그의 모더니티개념을 중심으로 고찰할 것이다. 또한 예술은 현실에서 시작해서, 현실로부터 초월로 나아갈 수 있다는 그의 형이상학적 미론 역시 모더니티 개념 안에서 고찰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보들레르의 모더니티 개념의 역사성(시간성)과 예술성(초월성)에 대한 연구가 될 것이다. 보들레르의 모더니티 안에는 근대성 우리의 시각으로 보아 이미 지나간 시대의 가치개념 과 현대성 모든 예술의 현재의식과 초월성에 대한 사유를 일컫는 말이라면 어느 시대에든지 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 의 개념이 모두 포함피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보들레르의 모더니티 개념은 1863년 출판된 논문 「현대생활의 화가 le peintre de la Vie Moderne」 에서 처음 나타나고 정교화된다. 그의 초기의 대표적 미술비평문인 「1846미술비평」 은 새로운 예술과 예술가가 나타나야 할 필요성을 '현대 생활의 영웅주의'와 연관지워서 피력하고 있기는 하지만 본격적인 논의는 하지 않는다. 초기의 예술론을 대표하는 그 논문은 모더니티 개념의 맹아적 형태로서의 '낭만주의' 개념을 통해 그러한 필요성을 전개하기는 하지만 이후 후기의 「현대생활의 화가」 에서 수정을 거쳐 모더니티 이론으로 정립된다. 보들레르는 1848혁명의 실패를 경험하고, 또 1852년 이후 제2제정기로서의 프랑스 사회를 경험하면서 초기의 미술비평문에서 보여주던 것과 같은 정치적 사회적 낙관주의로부터 완전히 등을 돌리게 된다. 이제 정치적 사회적 변혁의 가능성에 대한 믿음을 상실한 보들레르는 오로지 예술을 통해서만 현실과 관계한다. 그는 자신의 현재를 '예술적으로' 성찰하는데 골몰한다. 탈정치적이고 심미적인 현실 이해를 통해 보들레르는 비필소 자신의 독자적인 미론을 창안해낸다. 보들레르의 모더니티 논의는 우리에게는 모더니즘과 밀접히 연관된 예술론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사실 '현재'라는 개념의 이중적인 함의를 통해 모던한 사회에서 '심미적 삶'의 가능성을 고심하는 일종의 문화 철학적 논의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삶과 예술, 현재성과 영원성, 현실과 이념의 관계가 보들레르의 논문에서 어떻게 논의되고 있는지를 이제 보여줄 것이다. 보들레르의 논의 자제로 들어가기 전 먼저 살펴보아야 하는 것이 모더니티의 형용사로서의 모던이라는 개념의 문학적이고 예술적인 변천사이다. 이는 보들레르의 모더니티가 문학과 예술의 역사에서 전적으로 새로운 미적 의식을 갖고 왔다는 판단에 기인한 것으로 각 시대가 자신의 현재를 모던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면서 어떻게 의식하고 있는가를 연대기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러한 평가의 의의를 더욱 더 잘 이해해 볼 수 있을 것이다. Baudelaire´s main aesthetic position is reflected on Modernity. In the context of literary and artistic history of the Modern, Baudelaaire´s Modernity concludes periodically-repeated debates between the Ancients and the Moderns from medieval age. Before modernity, modern, consciousness of present or now has defined itself as lackness, in comparison with the antiquity, which is ahistorical, transcendental and eternal ideal of art. But by definition of modernity, ˝´La modernite´, c´est le transitoire, le fugitif, le contingent, la moitie´ de l´art, dontl´autre moitie´ est l´e´ternel et l´immuable´, Baudelaire makes it impossible for present or modern refer to past or be compared with ancient as great art. From then on, every art or every present consciousness stops comparing with past, instead makes eternity as its binary opposition. But unlike traditional thought, eternal beauty is not atemporal but temporal and embeded in concrete actuality. ´Peintre de la Vie Moderne´, published in 1863, has some important aesthetic concepts, for example, dandysm, artificiality as antinaturalism as well as modernity. This essay concentrates on the analysis of modernity in relatin to representation of the present and Guys as painter of modern life. By the concept of represention of the present, Baudelaire questioned traditional and classical strategy of representation. Traditionally, re-presentation has been understood as secondary and cognitionally inferior to presence because the object of represention, entity, transcendental beauty, or meaning as full presence is prior and superior to representation activity. But by making the present the object of represention, Baudelaire makes us rethink the meaning of the present and representation. He suggests double meaning of the present, first, authentic present which has full presence, and second, historical present which lacks life, meaning. He hates his contemporary society, where every progress results in decadence. He suggests that representatin is better than historical present and that representation changes modern present into aesthetic present, thanks to the artist's ability. Baudelaire designates Constantin Guys, a minor artist as painter of modern life. Baudelaire's choice is not a mistake, as most post-generation critics believe. Baudelarie praises Guys in two respects. First, He goes out in the street and experiences the crowd and street scenes to the full before drawing. As phantasmagoria having self-consciousness, Guys sufficiently espouses people. And then, He returns to his studio. His painting, Baudelaire calls a perfect dessin. Finally I would like to make it clear that two different definitions of modernity in ´Peintre de La Vie Moderne´ can be compatible even thogh they totally look like different. First definition is about modernity and then modernity concludes two elements, the eternal and the transient in itself. Second definition is about art and then modernity is identified with nly the transient. Modernism defined as pursuit of the new makes Baudelaire's Modernity is not only about modern art theory but also aabout aesthetic life. Moreover, modernity is always related with Eternity. Baudelaire always gives his aesthetic concepts double meaning and makes that two meanings be collided. In his definition, Modernity is trasitory, that is new, or at the same time transitory and eternal. But Moderism theorists missed half of the definition of modernity. So, Baudelaire is not the origin of modernism as traditiom of rupture. In conclusion, by modernity, Baudelaire as modern thinker wants to reformulate his contemporary society aesthetically and ´modern´ beauty.

      • KCI등재

        미국의 법모더니즘

        한상수 한국법철학회 2013 법철학연구 Vol.16 No.2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American Legal Modernism. Legal Modernism is the projection of general modernism into the area of law. Modernism is a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ponse to modernity in the modern society. Therefore, modernism reflects modernity and attempts to solve the problems involved in modernity. Modernity is characterized by trust in reason, demystification of nature, belief in progress, the rise of nation state, and free market economy. These characteristics of modernity are reflected in Legal Modernism. Legal Modernism is a legal-philosophical position of legal scholars who believe that humans can discover objective and universal truths about the world and find right answers to the all the legal problems by applying the truths. Legal Modernism contributes the rule of law by establishing the legal constraint of state power. Legal Modernism in general is based on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such as logocentrism, anthropocentrism, Eurocentricism, foundationalism, and representationalism. American Legal Modernism is divided into two mainstreams. One is legal formalism which was derived from Langdellian Legal Science and the other is legal instrumentalism which evolved from Holmes's legal theory. American Legal Modernism ha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American legal thought by attempting to locate the foundations of law not in traditional authority and religion but in human reason and experience. However, American Legal Modernism is faced with the task of solving the problem of legal indeterminacy raised by legal postmodernism. 이 논문은 미국의 법모더니즘의 본질과 특징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모더니즘은 근대사회에서 나타나는 모더니티에 대한 이론적⋅실천적 대응으로서, 모더니티를 반영하면서도 모더니티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다. 모더니티는 이성에 대한 신뢰, 자연에 대한 탈신비화, 진보에 대한 신념, 국민국가의 등장과 자유로운 시장경제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모더니티의 특징을 반영한 모더니즘이 법의 영역으로 확산된 것이 법모더니즘이다. 법모더니즘이란 인간은 이성을 통해서 세계에 대한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진리를 발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진리를 바탕으로 모든 법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정답을 찾아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국가권력의 자의적인 행사를 통제하는 법의 지배가 가능하다는 법철학적 관점이다. 법모더니즘은 이성중심주의, 인간중심주의, 서양중심주의, 기초주의, 재현주의 등을 철학적 기초로 한다. 미국의 법모더니즘은 랭델의 법과학에서 비롯되는 법형식주의와 홈즈의 법이론에 기반을 둔 법도구주의라는 두 가지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법모더니즘은 전통적인 권위나 관습이 아닌 인간의 이성이나 경험에서 법의 기초를 확립하려고 하였다는 점에서 미국법철학의 발전에 중대한 기여를 하였다. 하지만 포스트모더니즘에 의해 법모더니즘의 철학적 전제인 기초주의와 재현주의가 도전을 받으면서 법모더니즘은 법적 불확정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 KCI등재

        Modernism and Modernity in Republican China

        ( Jeesoon Hong )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19 中國現代文學 Vol.0 No.88

        In this article, I explore the ideological and method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modernism and modernity in Republican China in order to suggest my own configuration of Chinese modernism. The discourses of Chinese modernism have emphasised the lack of the material base in modern China and it is very different from the discourses of Chinese modernity which were relatively free from the question. Chinese modernism was understood in a direct but shallow relation with western modernism rather than being configured within the local setting of Chinese modernity. I criticise the dualistic logic of East/West and global/local and incorporate recent scholarly works that find fusion in the discursive and cultural production of modernity both in terms of time and space. As I configure Chinese modernism within the material setting of Chinese modernity, I highlight nationalism as the hegemonic feature of Chinese modernity rather than simply equating the material base as the socio-economic developments, which is also a relative term. In particular, I try to distance Chinese modernism from the romantic notion of the third world “subaltern” intellectuals and instead relate it with the literary and cultural elite. From such critical reflection, I define Chinese modernism as the literary elite’s ironical aestheticism of self-mocking or self-denial of bourgeois modernity rather than a truly resistant or revolutionary reaction to Chinese modernity, and such an ironical aestheticism is, of course, observed in western modernists too.

      • KCI등재

        모더니즘 이후의 모더니즘들: 신(新)모더니즘 연구의 가능성과 당면 과제

        송정경(Song Jung-gy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7 영미연구 Vol.39 No.-

        모더니즘 담론에서 일반적인 연구 대상은 20세기 초반에 유럽과 미국에서 나타난 실험적 문화 예술 운동이다. 그러나 현대화로 인한 변화를 모더니즘의 주요 원인으로 보는 만큼, 현대화가 일찍 진행된 서구 국가들과 달리 시기적으로 뒤늦게 등장한 국가들의 모더니즘은 연구에서 제외되거나 타자의 형태로 작품 속에 존재하였다. 이후 일부 모더니즘 작품에 나타나는 제국주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서구 이외의 국가들의 현대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20세기 후반부터 세계화로 인한 범세계적 연구가 가능해지면서 새로운 모더니티와 모더니즘 연구의 판이 짜지는 계기가 마련됐다. 새로운 모더니즘의 경향을 통합적으로 살펴 보는 데는 여러 난제가 있으나, 1999년에 설립된 ‘모더니즘연구 학회’가 이러한 방향을 설정하는 기준을 구축하는 노력을 하고 있는 중이다. 이 학회는 1994년 Modernism/Modernity라는 학술지 창간에 이어서 설립된 학술단체로, 시들해져 가던 모더니즘 연구를 부활시킨 계기를 마련했다. 서구 중심을 탈피한 모더니즘 연구는 아직 상대적으로 부족하지만, 이 학회에서 주요 행사 중 하나인 모더니 즘연구 학회 학술상의 최근 수상작은 주로 새로운 관념의 모더니즘들과 관련된 저서들이 강세를 이루었다. 2015년 수상작은 자넷 풀(Janet Poole)의 『미래가 사라진 때』로, 한국의 모더니즘에 관한 연구서이다. 외국 작가에 의한 일본 식민지 상황의 한국 모더니즘 작가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이러한 새로운 모더니즘 연구가 비단 기존 모더니즘 연구의 지형도를 바꿀 뿐 아니라 한국 문학 연구의 판을 새로이 짜기도 한다는 사실이다. 새로운 모더니즘 연구로 인한 변화가 긍정적인지의 여부, 그리고 새로운 모더니즘이 공통된 특징을 명시 가능한 새로운 문예사조로서 기능하는지의 여부는 조금 더 시간이 지나야 알 수 있겠으나 서구 중심을 탈피하여 아직 ‘모던’이라고 불리는 시기에 세계 각국의 모더니즘을 발굴하고 재조명 한다는 데에서 유의미하다고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new modernist studies and investigate its significances and contradictions. In the 1990s, the genealogy of modernism and modernity reached an entirely new phase under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and postcolonial studies. Scholars began to expand the study of modernism and modernity in terms of space and time, modifying the scope of their research from a Western-centric modernism/modernity to that of other regions and periods. The new modernist studies enlarges the field without restricting its object to high culture, and thus achieved temporal and spatial diversity in its discourse. The movement was accelera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ist Studies Association (MSA) in 1999 and the ensuing publication of its journal, Modernism/Modernity. However, such approaches have the potential to distort domestic scholarship, for which Janet Poole serves as a good example when she wrote When the Future Disappears: The Modernist Imagination in Late Colonial Korea (2014), awarded in the following year by MSA. For she is quite different from Korean scholars in terms of the object of study. The new modernist studies are still important as they build the foundation for the expansion and diversification of modernism, but their follow-up studies will also be significant.

      • KCI등재

        식민지 근대성을 통해 본 한국 모더니즘에 대한 비교 연구: 모더니즘 변형에 대한 문학사적 접근

        최성우 ( Seong Woo Choi ) 한국비교문학회 2015 比較文學 Vol.0 No.65

        본 연구는 1930년대 식민지 상황에서 태어난 한국 모더니즘의 특징들을 호미 바바의 탈식민주의 이론을 빌려 다루고자 한다. 한국의 근대 문학을 알고자 하는 독자들, 특히 영어권 독자들을 위해 한국 모더니즘을 유럽 모더니즘들, 그리고 이들을 한국에 전달하는 중간 역할을 했던 일본의 모더니즘과 비교하는 방법은 유용하고 적합할 것이다. 원래 모더니즘은 19세기 말, 20세기 초 유럽에서 태동한 예술운동을 의미하며 여러 모더니즘들의 공통된 특징은 반전통주의라 볼 수 있다. 이 반전통주의를 기반으로 한 유럽 모더니즘들과 일본 모더니즘에 영향을 받아 한국 모더니즘도 자신만의 반전통적이고 새로운 독특한 문학을 만들어 냈는데 이는 식민지라는 그들과 다른 역사적 문화적 배경이 큰 영향을 준 것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모더니즘 문학을 제대로 알고 즐기기 위해서는 식민지 한국이라는 역사적 문화적 배경의 이해가 우선해야 함을 강조한다. 모더니즘 연구뿐 아니라 한국 문학 연구를 위해 탈식민주의적 접근법은 큰 역할을 담당할 것이며 본 연구가 이에 작은 기여를 할 수 있기를 바란다. Influenced by the ideas of postcolonialist Homi Bhabha, this study attempts to show the features of Korean modernism based on colonial modernity, to the readers, particularly to the English-speaking readers, who want to understand Korean modern literature. For this, it will be relevant and useful to compare Korean modernism with other European and Japanese ones. Modernism is an aesthetic movement rooted in the changes in European society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Its most remarkable common feature is anti-traditionalism. Based on the influences of European and Japanese modernisms, Korean modernists formed their own unique style which is pervaded by the features of Korean modernism. Thus, this study emphasizes the role and importance of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to understand Korean modernism which began in colonial Korea in the 1930s. Ultimately,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how to approach Korean literary studies with post-colonialism that will unveil the unique features of Korean modernism.

      • KCI등재

        신모더니즘론 이후의 동아시아 모더니즘 연구 : 모더니즘의 역사화와 지역성 이념

        최현희(Choe, Hyonhui)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9

        1990년대 이후 영미 문학비평에서는 모더니즘과 글로벌 모더니티의 관계를 쌍방향적 개입 관계로 보는 신모더니즘론적 경향이 나타난다. 이 글은 그러한 경향에서 나온 동아시아 모더니즘에 대한 연구들을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현단계의 한국 모더니즘 연구를 갱신할 수 있는 방법론을 모색하고자 한다. 전통적 모더니즘론에서 모더니즘 예술은 그 환경으로부터 자율성을 본질로 한다고 상정된다. 그러나 신모더니즘론은 그러한 초월성을 견지한다면, 모더니즘의 근본 강령이라 할 ‘새로움의 추구’에 역행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문을 던진다. 모더니즘을 근대성의 세계로부터 분리하여 이해하려는 방식은 결국 모더니즘의 ‘새로움’을 박제하여 모더니즘의 삶을 보존하는 게 아니라 결국 죽이고 있지 않은가? 이에 이어지는 질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또 모더니즘과 모더니티의 분리된 이해는 미학적 자율성이라는 모더니즘의 핵심 이념에 모더니즘을 대상으로 하는 해석자 스스로 무반성적으로 걸려든 결과가 아닐까? 이 글에서 검토한 연구들은 모두 미학적 자율성, 실험성, 난해성을 핵심 가치로 하는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는 모더니즘을 글로벌 혹은 그 모더니즘이 생산된 지역의 모더니티와의 긴밀한 연동 가운데 분석하고 평가하는 경향을 띤다. 그 분석에서 모더니즘 연구는 미학적인 것과 정치사회적인 것 사이에 그어진 경계선을 넘나들면서 미학성에 침윤되어온 기존의 모더니즘론을 갱신하는 한편 모더니즘과 모더니티의 관계를 역동적으로 볼 수 있는 틀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모더니즘과 모더니티 연구의 분할 상태에 있는 현단계 한국 내 모더니즘 연구에 대한 문제 제기가 좀더 구체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Modernist studies in Anglophone literary criticism since the 1990s took a theoretical turn called the New Modernist Studies. The trend posited interactive relation between aesthetic modernism and global modernity. This paper examines some of recent achievements from East Asian modernist studies from Anglophone academia in the trend. By surveying one of the major trends in modernist studies, this paper suggests Korean modernist studies to focus on the sociopolitical contexts of modernist aesthetics. Traditional studies on aesthetic modernism tended to assume modernist artwork’s autonomy from its sociopolitical environment. New modernist studies raised a question that such insistence on artistic autonomy ironically resulted in ignorance in the modernism’s foremost dogma of “the pursuit of the new.” Once the artistic newness is detached from the reality of our lives and fixated at the point of the detachment, it is no more new. The defense of modernism’s autonomy from social reality protects artistic realm from outside forces, but the protection is in reality rendering art dissociated from its environment. New modernist studies on East Asian modernisms examine modernisms as in modernist practices intervening in the producing and maintaining process of the global modernity and local modernities. They attempt to blur the borderline between the aesthetic and the sociopolitical and thereby to situate aesthetic modernism within its dynamic relationship with modernity in general. The lesson from the studies in this trend is that Korean modernist studies to have more acute sense of the interaction between modernism and modernity.

      • KCI등재

        초기 한국 모더니즘 시사

        정병필(Jung, Byung-pil)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4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26

        한국 시사에서 1930년대는 모더니즘 문학의 출발점으로 지목된다. 정지용, 김기림, 이상 등 현재까지도 한국 문학사에 우뚝 솟은 인물들이 모더니즘 문학에 주축으로 참여한 것만으로 당시 모더니즘의 위상은 대단했다. 그럼에도 1930년대 모더니즘은 서양의 문학 이론을 소개하는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평가 속에 1950년대에 와서야 ‘후반기 동인’으로 그 명맥이 이어진다. 말 그대로 1940년대에 모더니즘은 단절의 역사를 드러낸다. 1940년대에 모더니즘 시가 창작되지 않았던 것도 아니며, 1930년대 모더니스트들이 계속 활동을 했음에도 1940년대의 모더니즘이 단절의 역사를 가지는 것은 1940년대는 초기의 일본의 출판 금지 정책과 해방 후 문학적 이데올로기의 대립, 그리고 단독 정부수립 과정에 있어서의 문학적 헤게모니적 주도권에 의해 모더니즘이 1930년대만큼 더 이상 시단을 이끌어가지 못했기 때문이다. 달리 말하면 1930년대 모더니즘이 도시 문화, 도시 풍경이라는 배경 속에서 이미지즘적 수사법과 언어적 실험의 한계를 보이고 말았으며, 1940년대에는 이러한 배경이 사라지자 더 이상 문단에 위치하지 못했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1940년대에도 1930년대 모더니즘의 연장선이 뚜렷이 드러난다. 이는 근대성(모더니티)이라는 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미적 근대성에서는 이미지즘적 수사법뿐만 아니라, 언어적 실험이 1940년까지도 지속적으로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이상처럼 형식적 파괴에 의한 실험은 1950년대 "후반기 동인"에 와서야 보이지만, 극단적인 감정이 휘몰아치던 1940년대의 분위기에서 감정을 차단하면서도 언어적으로 감정을 드러내는 모습은 일상생활과 괴리된 1930년대의 언어적 실험을 한 단계 성숙시키는 결과로도 볼 수 있다. 둘째 사회적 근대성(정치적 근대성)은 1930년대 말 김기림의 전체시론의 성격과 모더니스트들이 해방 후 좌익 계열의 문단에 참여한 것으로 볼 때 이행의 지점을 살필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이행은 연속적인 흐름이라기보다는 1940년대의 배경에 의한 변화의 모습으로 살필 필요가 있다. 전체시론에서 정치적인 참여가 실천적 행동을 강조하기 위한 하나의 부분이었다면, 해방 후 모더니스트들의 정치적 근대성은 이데올로기에 종속된 부분이 뚜렷함을 부인하기 어렵다. 1940년대를 모더니즘의 단절로 파악했을 때 1930년대의 모더니즘적 지향의 실패와 1950년대에 보이는 1930년대의 반복적인 문제의식은 1940년대의 모더니즘 시사의 구축으로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지점이다. In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the 1930s are seen as the beginning of modernism. Well known poets such as Jeong Jiyong, Kirim Kim and Lee Sang show how fierce the wave of modernism was at the time. Despite this, modernism of the 1930s are often seen as having just introduced western literary theory, while the true lines of modernist literature is evaluated to have taken off in the 1950s. The 1940s, as a result, is seen as a dark period where the tradition of modernism was not passed on. But this is not to say that modernist poems were not written during the 1940s. Although modernist poets of the 30s continued on their work in the 40s, the 40s is seen as a dark period because of the policies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at banned certain publications, opposition of various literary ideologies after liberation and the hegemony that ruled while a Korean government was being established. As a result, the poets of the 1930s were not able to take the lead in the subsequent decade. In other words, with urban culture and the city scape as its background, modernism of the 1930s showed a limit to its rhetoric and linguistic experiments. As such backgrounds faded in the 1940s, the poets of the 1930s were not able to find their proper place. However, even so, the extension of modernism can still be found in the 1940s. This can be explained from the point of view of what modernity means. First, aesthetic modernity not only showed through rhetoric focused on images, but also through linguistic experiments which continued into the 40s. Of course, as with Lee Sang, experiments through destruction of form only appear in earnest in the 1950s, but the refrain of emotions in the 1940s can still be seen as the result of matured linguistic experiments from the 30s. Second, social modernity (political modernity) can be traced back to the late 1930s when the overall tone of Kim Kirim’s theory on poetry and his participation in leftist literary groups took off. However, such a progression should be seen as events of changes that took place against the backdrop of the 1940s rather than a part of continuous process. If political participation was a way of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acting on one’s thoughts, the political modernity of modernists after liberation cannot be denied that it was part of the ideology. If 1940s are seen as an era where the tradition of modernism was cut off, it can still be interpreted as a time when modernist trends in poetry was established, evolving from the failures of the 1930s and contemplating on the many issues that were posed in the 30s, to progress towards the 195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