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재정지원에서 대학특성화모형 적합도 분석 및 활용 방안

        김수경(Kim, Soo-Kyung),문보은(Moon, Bo-Eun),강이화(Kang, Ewha)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4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3 No.2

        이 연구는 현재 고등교육의 시급한 현안인 대학특성화의 효율성 제고 차원에서 재정 투입과 특성화 요인 산출의 대비를 통해 대학특성화 성과가 가장 극대화될 수 있는 대학별 특성화 모형 적합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 대학을 중심으로 효율적인 대학 특성화 구조는 연구중심대학 6%(4개교), 산학중심대학 79%(55개교), 교육중심대학 20%(14개교)의 구조로 분석되었다. 둘째, 개별대학의 대학특성화 여건 차이에 기인한, 개별 대학의 특성화 모형별 적합도에 기여한 변수들이 도출되었다. 그 결과 연구중심 모형에 적합한 대학은 교원1인당 SCI급 논문편수, 연구비수주실적, 외국인전임교수비율, 외국인학생비율, 취업률이, 산학중심대학모형에 적합한 대학은 현장실습이수학생비율, 산학협력중점교수, 공용장비운영수익, 산학협력단 내 정규직 및 전문인력 현황이, 교육중심대학모형에 적합한 대학은 학부생비율이 각각 특성화 모형별 적합도를 높이는데 기여한 변수로 분석되었다. 셋째, 대학별로 대학특성화 세 모형 모두 100%의 적합도를 보인 대학이 분석되었는가 하면, 세 모형의 효율성이 모두 낮은 결과를 보인 대학도 분석되었다. 그러나 대부분 연구대상 대학은 세 가지 대학특성화모형 중 적합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특성화모형이 도출되었다. 대학특성화모형 적합도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차원에서 대학특성화모형 적합도를 활용하여 대학특성화 구조를 수립할 수 있다. 둘째, 정부 차원에서는 대학특성화모형 적합도에 기여한 변수를 중심으로 재정지원 전략을 추진함으로써 대학특성화 재정지원 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셋째, 개별 대학 차원에서 대학이 보유한 인적ㆍ물적 자원을 어느 특성화모형에 집중할 것인지 전략을 수립할 때, 데이터에 기반한 대학특성화 모형별 효율성 점수가 합리적인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a comparative analysis on fit of research-based, academic-industrial, and education-based university model of 70 universities by showing outcome of university specialization compared to maximization of financial input and output of specialization factors at the level of raising university specialization efficiency, the urgent current issue in higher educati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6% of research-based, 79% of academic-industrial, and 20% of education-based universities were analyzed to have efficient structure of university specialization. Second, variables contributing to high model fit are derived due to strategic differences in university specialization. Variables contributing to raising efficiency of research-based university model are exposed as employment rate, research funds-winning performance, number of SCI-level papers per faculty, foreign full-time faculty ratio, and international student ratio, those of academic-industrial university model, field training-completing student ratio, number of professors working o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public equipment operating income, and current state of full-time academic and professional workforce with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and those of education-based university model, undergraduate ratio, respectively. Third, Only one university showed 100% fit efficiency in all three university specialization models. As most universities, however, showed relatively high fit, fit efficiency in university specialization model was able to be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new implications for university specialization structure establishment at the national level, direction establishment of government funding project for university specialization, and direction establishment of university specializ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 KCI등재

        특성화 전문계고 장기발전모형 개발 연구

        나승일,정철영,문세연,정동열,남중수,김은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0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long-term development model an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To achieve the purpose, performed diagnostic assessment of 71 schools, survey for needs assessment. first, the results of diagnostic assessment were; requirements of curriculum which reflect latest industrial trend, reinforcement of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 strength of whole teacher's specialized awareness, employment rate, and introduction of evaluation index that reflect school characteristics. Second, the major needs were; the effort to improve the operating system which is considering the operation model, cooperation for an implementation of customized field based curriculum, the expansion of adjunct teacher, participation of entire teacher and reinforcement of specialization capacity, presentation of a carrier path for the student and reinforcement the carrier guidance, preparation of a performance management which is considering both operation model and stage of growth. third, operational diagnosis and demand analysis, it was developed that basic long-term development model and long-term development model by industries. also specialized operational model(small, single, multiple and comprehensive type) and stages of growth(leading specialization, operational improvement of specialization, reforming the specialization system) was developed. fourth, 17 strategies(including operation system, curriculum, teachers, students, and performance management) were developed. fifth, suggestions for development, administration perform the supporting and assessment concerning the operation model and stages of growth. unit school make a plan for specific development following by long-term development model. 이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특성화 전문계고의 장기발전모형을 개발하고 추진과제를 마련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청 특성화고 사업에 참여하는 71개교를 대상으로 진단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요구분석을 위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이를 통해 장기발전모형을 개발하고 추진과제를 도출하였으며, 전문가들로부터 타당성을 검토 받았다. 첫째, 특성화 전문계고 운영 진단 결과, 최신 산업 트랜드를 반영한 인력양성 노력, 정규교과 외 특성화 교육 강화, 전체 교원의 특성화 인식 강화, 취업률 강화, 학교 특성을 반영한 평가지표 도입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둘째, 요구분석 결과, 특성화고 운영 모델을 고려한 운영체제 개선 노력, 현장기반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산업체 연계, 산학겸임교원의 활용 확대, 전체 교원의 참여 및 특성화 역량 강화, 학생 성장경로 제시 및 진로지도 강화, 특성화고 운영 모델과 성장단계를 고려한 성과관리 마련 등이 요구되었다. 셋째, 운영 진단 및 요구분석을 통해 특성화 전문계고 장기발전 기본모형 및 산업분야별 장기발전모형을 개발하였으며, 특성화 운영모델(소규모형, 단일형, 복합형, 종합형)과 성장단계(특성화 선도, 특성화 운영개선, 특성화 체제개편)를 개발하였다. 넷째, 특성화 전문계고 추진과제로 운영체제, 교육과정, 교원, 학생, 성과관리 영역에서 총 17개 과제가 도출되었다. 다섯째, 향후 추진을 위한 제언으로 각 주체간의 협력, 단위학교차원의 장기발전 모형 및 추진과제 개발, 장기발전모형을 활용한 성과시스템, 교육과정 모델, 학과체제 개편방안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정신병원 정신건강의학과의 중장기적 발전방향 조사를 위한 연구

        박경민,이상민,노성원,서용진,최원석,황태연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4 신경정신의학 Vol.53 No.2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dium- and long-term developmental directionsof mental hospitals. Methods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is composed of unstructured interviews with 10 psychiatrists,literature and case investigations, and development of models for medium- and longtermdevelopmental model. The qualitative investigation consisted of constructed interviews withseven professionals. The quantitativ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whichwere sent to members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etc. Data were analyzed usingfrequency analysis. Results Through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we were able to make three models : communitymodel emphasizing linkage between mental hospitals and community, specialization modelstressing specializations of mental hospitals, and extension model highlighting extensions of theroles of the mental hospital. In the qualitative investigation, two of the seven professionals gave aspecial preference for the community model, one for the specialization model, and two for theextension model. In the quantitative investigation, the community model and the specializationmodel were the most favorite models, and the extension model was the least favorite model. Conclusion Three developmental models could be used in planning of the medium- and longtermdevelopmental directions of mental hospitals, although each model needs to be embodiedin order to work in practice. 비록 지역사회모델, 전문화모델, 확대모델이 실제로 현실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화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요구되는 부분에서 차이가 있으나 모두 정신병원 정신건강의학과의 중장기적인 발전방향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 같다. 지역사회모델은 당위적으로 옳고 현실적으로도 반드시 필요한모델로서 이를 실현하고 꾸준히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연계를 통해 공식적인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함으로써치료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생각된다. 전문화모델은 중독정신의학과 노인정신의학에서 특히 효과적일 것으로 보이고, 특히 대형정신병원의 경우 교육 및 수련을 포함한 보다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 모델은 일정한 조건만 갖춰진다면 가장 빨리 현실에적용되고 발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확대모델의 경우 본 연구에서 정의했던 것보다 더 세분하고 구체적이 될 수 있도록 개념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이나, 이 분야에 적절히 준비된 사람들은 이 모델을 중장기적인 발전방향으로 충분히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이모델을 중요한 발전의 축으로 삼기 위해서는 전문의를 양성하는 과정에서 생물학적 치료에 대한 강조뿐만 아니라 이모델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교육하고 수련하는 데에도 더 큰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본 연구를 토대로 정신병원의 중장기적 발전발향을 확립하기 위한 활발한 논의의시작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스키 참여자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과정

        이문진(LeeMunjin)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1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제시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과정 모형이 한국의 스키 참여자들에 적용될 수 있는 지 검토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스키 참여자들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과정을 체계적으로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스키 활동에 있어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를 다양한 수준으로 경험한 연구참여자들을 대상으로 개별면담과 집단면담을 실시하고 면담의 내용을 전사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구성 단계를 도출하였으며, 각 단계를 모형으로 구조화하여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를 통해 제안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과정은 스키 참여자들이 경험하는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과정 유사하나 구체적인 단계의 구성과 내용에서 차이가 있다. 스키 참여자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는 관심, 진입, 유지, 전환경험, 활성, 쇠퇴의 6개 단계로 구성되며,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과정에서 전환경험과 활성현상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수준 향상에 결정적인 작용을 한다. 6개 전문화 구성 단계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서대로 재구성한 결과,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서 전환경험과 활성을 통한 전문화 수준의 향상 과정은 반복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순환모형의 형태로 제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creational specialization process model proposed in the preceding study can be applied to the ski participants in Korea and to organize the recreation specialization process of ski participan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 personal interview and a group interview for the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various levels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in ski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and the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this process, the stages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are derived and each step was structured as a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proposed recreation specialization process was similar to the recreation specialization process experienced by skiers, but they differ in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concrete steps. Recreation specialization of skiers consists of six stages of interest, entry, maintenance, turning point, activation, and decline. In the course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turning point and activation phenomenon play a decisive role in improving the level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As a result of reconstructing the 6 specialization stages in sequence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specialization level through the conversion experience and activity in the recreation specialization can be repeated and presented in the form of a circulation model.

      • KCI등재

        스쿠버 다이버의 경험·재화 정도에 따른 인지적, 행동적, 정서적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최적 모형 탐색

        이유진 ( Yujin Lee ),황선환 ( Sunhwan Hwang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2 체육과학연구 Vol.33 No.4

        [목적] 발달과정과 진행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이론은 레크리에이션의 각 차원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발전하는 다양한 경로를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스쿠버다이버들의 체험 참여 정도(빈도, 기간, 횟수)와 재화 투자(비용)가 증가함에 따라 전문화의 각 하위 차원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2021년 5월부터 8월까지 젊은 스쿠버다이버를 대상으로 목적표본추출법으로 표본을 추출하여 278개의 유효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SPSS 25.0, AMOS 25.0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곡선추정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경험 중심에서 스쿠버 다이빙 참여자의 참여강도와 인지적, 행동적, 정서적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관계에 대한 최적의 모형은 2차(Quadratic) 비선형 모형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경험 중심에서 스쿠버 다이빙 참여자의 참여기간, 참여빈도와 인지적, 행동적, 정서적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관계에 대한 최적의 모형은 3차(Cubic) 비선 형 모형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재화 중심에서 스쿠버 다이빙 참여자의 지출비용과 인지적, 행동적, 정서적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관계에 대한 최적의 모형은 3차(Cubic) 비선형 모형으로 파악되었다. [결론] 의미 있는 경험적 참여와 재화의 투자는 레크리에이션 전문화를 보다 촉진시킨다. 참여 단계별 전개 양상에서 어떠한 교환점(trade-off)이 작용했는지, 혹은 차원마다 경로의 순서가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한 심도있는 관찰이 요구된다. PURPOSE Recreation specialization theory, which is characterized by a unique development process and progress, has been found to have varied pathways that develop in different patterns based on each dimension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each sub-dimension of specialization changes as the degrees of experiential participation (frequency, period, and intensity of participation) and goods investment (expenditure) of the scuba divers increase. METHODS In the summer of 2021 (May-August), a purposive sampling method was used to collect samples from young scuba divers, and 278 copies of valid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urve estim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ver. RESUL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quadratic nonlinear model was identified as the optimal model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cuba divers’ participation intensity and cognitive, behavioral, and affective recreation specializations based on experience. Second, the cubic nonlinear model was identified as the optimal model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rticipation period,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cognitive, behavioral, and affective recreation specializations of scuba divers. Third, the cubic nonlinear model was identified as the optimal model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xpenditure cost of scuba divers and the cognitive, behavioral, and affective recreation specializations in the center of the goods. As the period, frequency, and expenditure of scuba diving participants increased, the relevant cognitive, behavioral, and affective specializations did not progress in a linear manner; instead, they went through an intermediate maintenance stage and developed to a higher level. CONCLUSIONS Progressive and meaningful consumption of experiences and goods further promotes recreation specialization. Any future follow-up study should identify a trade-off point in the development of the recreation specialization in a step by step manner.

      • KCI등재

        특수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역량모형 개발

        이세희,박정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2 장애와 고용 Vol.32 No.1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special school career teachers to achieve professionalism and to develop a special school career teacher’s competency model, and to survey the demands of competency based on the final competency model for the special school career teacher. Method: To this end, the researcher developed the draft competency model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 and performed a two-round Delphi survey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of the draft competency model. Finally, the researcher surveyed the demands and priorities of competency for special school career teachers based on the final competency model developed by a two-round Delphi survey. Results: In ‘the Drafting of the Competency Model stage’, the draft competency model was derived as 3 competency groups, 18 competency factors, and 36 competency indicators. In the ‘Validation of the Competency Model contents and Finalizing the Competency Model’, the competency model has been determined as three competency groups, 15 competency factors, and 29 competency indicators. As a result, the following 5 competency indicators, work agreements and monitoring with community-related institutions, understanding of the theory of parental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establishment of career plan, provision of career information, and understanding the theory of career evaluation, were identified as the top priority that should be developed primarily for special school career teachers. Implic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curriculum guidelines for future special school career teacher and continuing education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competency model for special school career teachers. 연구목적: 이 연구는 특수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역량을 도출하여 역량모형을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역량 교육 요구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문헌연구와 심층면담을 통해 역량요소를 도출하여 역량모형 초안을 개발하고, 2차의 델파이 조사를 통해 역량모형 초안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확정된 역량모형을 바탕으로 특수학교 진로전담교사 대상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역량 교육 요구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역량모형 초안 개발 단계에서는3개 역량군, 18개 역량요소, 36개 역량지표를 도출하였다. 역량모형 타당화 단계에서는 3개역량군, 15개 역량요소, 29개 역량지표를 검증하여 최종 역량모형을 확정하였다. 역량 교육 요구 조사 결과, 지역사회 유관기관과의 업무 협약 및 모니터링, 장애학생 부모상담 이론의 이해, 진로계획의 수립, 진로정보의 제공, 진로평가 이론의 이해가 1차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최우선역량으로 확인되었다. 시사점: 개발된 특수학교 진로전담교사 역량모형은 진로전담교사 양성 대학원 및 부전공 자격연수 교육기관과 직무연수, 컨설팅, 수퍼비전 등 계속교육의 교육과정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특수학교 재구조화 모델 개발 및 적용 방안 탐색 : 강원도 춘천시 소재 특수학교를 중심으로

        한경근 ( Han Kyoung Gun ),박윤정 ( Park Youn Jung ),이윤우 ( Lee Yun Woo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2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e a restructuring framework for the special education school system in Gangwon-do based on the specific needs and conditions of the region. Restructuring implementation plans were also explored. [Method] A survey of teachers and parents were conducted, and local special education professions were interviewed in-depth to refine the relevant issues, needs, and potential directions. A model was developed as a framework for the overall school system restructuring, and the model was reviewed through consultation with seven experts. [Results] First, the necessity of curriculum in consideration of improvements in the school's physical environments and of student's needs and conditions was recognized. It was also emphasized that changes to the operating system should be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and to the main focus, roles, and functions of education. Second, the model addressed three areas: curriculum, decision-making, and physical environment for restructuring. The model’s features included customized curriculum for students, specialization of special education schools’ operating system, establishment of education clusters within the community, and establishment of barrier-free environments and learner-centered spaces. Action plans for applying this model to two special schools in Chuncheon were presented. [Conclusion] Focusing on the meaning of the model, the innovative change of the special school system, the generalization of the model, and reinforcement of the delivery and support system for special edu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서비스 전문가의 중재모델 사용

        김세연(Se-Yun Kim),김수정(Su-J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4

        본 연구는 교육기반 작업치료 서비스 전문가가 사용하는 중재모델, 중재장소와 중재시간, 중재모델 선택시 고려사항, 중재모델과 중재 영역 간에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와 작업치료를 전공한 치료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발송하고, 회수한 총 4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의 수행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둔 개별치료 모델을 지주 사용하였다. 둘째, 아동수행을 향상시키는 중재모델과 다른 팀 전문가에게 작업치료의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는 모델로 개별 치료를 선택하였다. 셋째, 중재모델을 선택하는 요인으로 수행구성요소의 결함과 팀 책임자의 마인드를 들었다. 넷째, 중재모델의 효과성에 대한 학교작업치료사의 의견과 적용시간, 중재 영역과 중재 모델 적용시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교기반 작업치료사는 여전히 의료모델에 가까운 중재모델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기반에 효과적인 중재모델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intervention model, intervention settings, intervention time, factors influencing selection of intervention model, relationship between intervention model and areas which supporting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based occupational therapist was using. Study data were provided by 46 therapy supporting service professionals through e-mail and analyze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first, the therapy supporting service professionals often employed a direct therapy(individual) focusing on performance component of child. Second, they believed that direct therapy is most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performance and raising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occupational therapy. Third, when choose intervention model, they took into consideration the child's performance components deficits and mind of team chief. Fourth, no correlation between the application time and the perception of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model. Also didn't find correlation between applying time of intervention model and intervention area. When putting the various research result together, the model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ists using was similar to medical model. Therefore it is need a study to develop effective intervention model and apply it in school environment.

      • KCI등재

        국가특수교육지표체계 체제모형 개발 및 내적 타당화

        김지연 한국발달장애학회 2023 발달장애연구 Vol.27 No.3

        Demands for national-level policy monitoring and evaluation, with an emphasis on data-driven policy implementation, are growing on both a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 It is essential to assess and create sub-special education indicators as well as a national special education indicator system that is related to national special education policy goal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model of a national special education indicator system for monitoring and implementing special education policy at the national level. Indicators from national and international education, special education, and disability systems, indicator systems, statistics, and surveys were examined after conducting a study of the literature. Based on the findings, a ‘input, process, and output’ system model was constructed, and the model’s sub-domains and indicators were derived. The model was then validated using two Delphi surveys. The model of the National special education indicator system ultimately included nine indicators in three sub-domains, including “human resources for special education,” “environmental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and “financial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as well as four indicators in two other sub-domains, including “support for teaching and learning and related services,” and “relationships between members,” and six indicators in three sub-domains, including “special education guarantee,” ‘special education performance’, and ‘special education satisfaction’. Recommend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머신러닝을 활용한 군특성화고 전문병 선발 예측 및 특성 탐색

        김성일,이장희 대한경영학회 2023 大韓經營學會誌 Vol.36 No.7

        The study uses machine learning to present a predictive model and important variables for military trainee selection in Military Specialized High School (MSHS). To this end, the education and career data of 850 graduates from a MSHS were analyzed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based on Python. For the data, ‘trainee selection’ was selected as the target variable, and about 50 input variables were composed. In order to establish an optimal model that can accurately predict trainee selection, fiv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such as Random Forest, XGBoost, LightGBM, SVM, and Logistic are applied to both the original data with imbalanced target variable classes and the over-sampled balanced data. To mitigate over-fitting during the model training process, we employed stratified 5-fold cross-validation. Additionally, we searched suitable hyper-parameters, thereby implementing the optimal model. Following the training process, the random forest algorithm exhibited the highest prediction performance among all the models trained. The random forest model trained with the original imbalanced data achieved commendable AUC score of approximately 0.76. The performance of the random forest model trained with the oversampling imbalanced data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reaching AUC score of 0.85.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importance of input variables, it was found that among 50 input variables, variables related to specialized major qualifications, such as ‘Engineer license_acquisition/non-acquisition’ and ‘crafts licenses’, had the greatest impact on whether or not to select trainees. The results of this study not only suggest the possibility of machine learning application research on MSHSs, but also show that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effectiveness of MSHS policies in the educational field can be specified. Therefore, machine learning can be used as a meaningful methodology to promote an empirical understanding of research and policy on MSHSs. 군특성화고 정책은 양질의 군인적자원을 수급하기 위해 도입된 정책으로 학·군(學軍) 협력을 기반으로 하는국방인적자원관리(Military HRM)의 성격을 지닌다. 이에 본 연구는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군특성화고 정책이 내재한인적자원개발의 측면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전문병 선발 예측 모델과 중요 변수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국내 군특성화고등학교 A학교의 졸업생 850여 명의 교육 및 진로 데이터의 전처리를 수행하여 50여개의 투입변수를 최종적으로 획득하였다.‘전문병 선발’을 타겟변수로 선정하여 과대 표집을 통해 타겟변수의 클래스불균형을 해소한 후 머신러닝의 예측모델을 훈련하였다. 전문병 선발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최적 모델 수립을 위해 Random Forest, XGBoost, LightGBM, SVM, Logistic과 같은 5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타겟변수 클래스가 불균형한 원천 데이터와 과대표집을 시행한 과대 표집데이터에 모두 적용하여 총 10개의 모델을 훈련하였다. 모델 훈련 과정에서 층화 k-Fold 교차검증을 함께 수행하여과적합을 예방하였고 최적 모델을 구현하는 데 적합한 초매개변수를 탐색하였다. 훈련 결과 Random Forest 알고리즘으로 훈련한 모델의 예측 성능이 원천 데이터 및 과대표집 데이터로 훈련한모든 경우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AUC값을 기준으로 할 때 원천 데이터로 훈련한 Random Forest(RF) 모델 성능은0.76에 근사했고 과대표집 데이터로 훈련한 Random Forest 모델(RF_over) 성능은 0.85 수준으로 향상했다. 투입변수 중요도를 평가한 결과 50여 개 투입변수 중‘면허_취득/미취득’, ‘전공기능사’ 등 전공 전문성과 관련된변수가‘전문병 선발’여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모델의 편향성을 점검하기 위해 원천 데이터와 과대표집 데이터를 무작위로 표집하여 평가를 실시한결과 RF와 RF_over 두 모델의 AUC 값이 모두 0.5에 수렴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훈련한 머신러닝 모델이 특정변수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상당한 수준의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머신러닝을 활용한 군특성화고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할 뿐 아니라 실제 교육현장에서 군특성화고정책의 효과성에 기여하는 요소를 특정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군특 전문병의 원활한 선발과 수급을위해 전공 전문성 및 교육훈련을 강화한 인적자원관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또한 이를 통해 머신러닝을 활용한인사이트 획득과 데이터에 기반한 전사적 국방인적자원관리의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