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제조기업의 온실가스배출 정보 공시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방시영,윤병섭 한국상업교육학회 2018 상업교육연구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제조기업의 온실가스배출 정보 공시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함에 있다. 본 연구는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www.gir.go.kr)에 공시되어 있는 2011년부터 2015년 까지 5년 동안 온실가스배출량(단위: tCO₂eq)과 에너지사용량(TJ),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https://dart.fss.or.kr/), 한국신용평가㈜의 KIS-VALUE, 한국상장기업협의회의 TS2000 등의 재무자 료를 수집하고 분석 가능한 표본기업 92개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실가스배출 유발요인이 낮을수록 기업가치가 높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낮을수록 기업가치가 높아지며, 에너지사용량이 낮을수록 기업가치가 높아진다는 실증을 보여주는 것으로 온실가스배출 유발요인을 낮추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온실가스배출 저감요인이 높을수록 기업가치가 높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온실가스감축 성과가 높을수록 기업가치가 높아지며, 신재생에너지 투자활동이 활발할수록 기업가치가 높아진다 는 실증을 한 것으로 온실가스배출 저감요인을 높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수출을 많이 하는 기업일수록 온실가스배출 정보 공시가 기업가치에 유의한 양(+)의 영향 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다. 이는 수출지향적 사업모델을 가진 기업이 온실가스배출 정보를 적극 공 시한다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넷째, 외국인투자자지분을 높게 보유한 기업일수록 온실가스배출 정보 공시가 기업가치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기업에 투자하는 외국인투자자가 온실가 스배출 정보에 관심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국제환경규범을 준수하는 기업이 기후변화에 적절히 대 응하는 것으로 여겨 투자 의사결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이다. 즉 해외 투자자로부터 지 분투자를 받는 국내 기업이 온실가스배출 정보를 적극 공시한다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최근 기업의 온실가스배출이 기업가치 또는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미국이나 유 럽, 호주 등 선진국 시장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도 이들 선행 연구를 지지하는지 판단하는 연구공헌이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제품을 수입하는 선진국이나 국 내 기업에 투자하는 외국인은 온실가스에 관심이 많다. 본 연구는 해외에 수출하거나 지분투자를 받는 국내 기업에 환경경영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연구공헌을 하고 있다. Republic of Korea was originally exempt from the reduction oblig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up until 2020, in agreement with Kyoto Protocol outlined in 1997. However, in accordance with the Paris Climate Accord (Paris Agreement) in 2015, as the 7th ranking nation in global greenhouse gas emission, the Korean government proposed a plan to UFCCC(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to reduce its emission by 37% over its carbon emission forecast(business as usual: BAU), by the end of year 2030. Of the proposed reduction rate, 11.3% will be offset by overseas reduction efforts and purchasing permits from emission trading market while the other 25.7% will have to be achieved through domestic GHG reduction efforts, which includes promoting alternative energy industries, assisting companies in shifting to low carbon industry model, and increasing carbon emission reduction options through technological developments. In light of the changing environment, we deem it necessary to examine the effect the disclosure of carbon emission data has on the value of the firms employing energy target management system and climate change response policy. Amidst the growing public interest in the GHG emission and climate change, we have substanti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oluntarily disclosed carbon gas emission data from companies and its company values, and further take on significance in the fact that these findings have been presented to the interested parties. We have sampled and analyzed 92 companies using data for the period of 2011 to 2015, that are available to the public on GHG General Information Center(www.gir.go.kr), such as greenhouse gas emission(units: tCO2eq), energy consumption(TJ), the electronic disclosure system used by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KIS-VALUE employed by NICE Information Service Co., LTD. and TS2000 used by Korea Listed Companies Association. The conclusion of our study is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firms with lower greenhouse gas emission accelerating factors have higher firm values. We find implication in the fact that the lower the GHG emission and energy consumption, the higher the firm values, which indicates the need to reduce the factors that accelerate climate change. Second, we find that firms with higher greenhouse gas emission mitigating factors have higher firm values. We observe that companies successful in employing GHG reduction policy and active in investing in bio-energy division have higher firm values, an implication which also emphasizes the need to increase the factors that mitigate climate change. Third, there is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exporting companies that disclose their carbon emission data and their firm values. This finding suggests that firms planning to adopt export-oriented business model must also readily respond to the environmental issues, especially related to that of GHG emission. Fourth, we find that enterprises with higher foreign investor shares correlate positively with higher company values when disclosing voluntarily their carbon emission data. This signifies that foreigners investing in Korean firms are highly interested in GHG emission and its environmental impact. They consider companies abiding by international environmental standards as appropriately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which in turn positively affect their investment decision. Hence, it implies that domestic companies with foreign investment shares are more actively disclosing their carbon emission data.

      • KCI등재

        음식료품 제조업의 온실가스 배출효율성 연구

        강효녕,서동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2 농촌경제 Vol.45 No.1

        This study examines the food and beverage industry’s greenhouse gas (GHG) emission efficiency, using the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emission efficiency of the food and beverage industry is 0.85, indicating that the food and beverage industry has relatively high technical efficiency to reduce GHG emissions. Second, the average emission efficiency increases from 0.77 to 0.91 between 2011 and 2020. It appears that the food and beverage industry has managed GHG emissions against the challenges from carbon reduction pressures. Third, regarding the GHG emission mitigation potential, the results show that most companies have different potentials for GHG reductions from investment in efficient carbon-reducing technologies. 본 연구는 음식료품 제조업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배출효율성과 온실가스 감축잠재량을 추정하여 음식료품 제조업의 온실가스배출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은 2011~2020년 19개 음식료품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시간에 따른 배출효율성의 변화를 가정한 확률변경모형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료품 제조업의 평균 온실가스 배출효율성은 0.85로 상대적으로 높은 온실가스 배출효율성을 보였다. 둘째, 시간에 따른 음식료품 제조업의 평균 온실가스 배출효율성은 2011년 0.77에서 2020년 0.91로 향상되었다. 셋째, 대부분 음식료품 제조 기업은 탄소 저감 기술에 대한 투자로 얻을 수 있는 온실가스 감축잠재력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기후변화에 대비한 중국의 탄소배출가스 저감을 위한 에너지 정책연구

        이기한 ( Lee¸ Kihan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2021 과학기술법연구 Vol.27 No.1

        현재 중국은 석유 수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세계 에너지 수급환경이 변화하고 각국의 무역 보호주의가 확대되는 가운데 기후변화 및 환경보호 문제에 대한 높아진 관심으로 중국의 에너지 안보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 지구 온난화와 대기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중국은 저탄소 및 청정에너지 활용에 점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저탄소 경제 배경하에 중국은 필연적으로 석탄의 생산과 사용을 통제해야 한다. 석탄을 효과적으로 대체하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와 석유 및 가스의 사용을 늘려야 한다. 중국은 신재생에너지의 낮은 기반과 제한된 성장으로 인해 단기 및 중기적으로 더 많은 석유와 가스의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석유 및 가스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중국의 탄소중립 목표에 악영향을 미친다. 중국은 급속한 경제 성장과 신재생에너지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세계에서의 에너지 공급 및 소비 모두 증가하고 있지만, 공급 증가율이 소비 증가율보다 낮아 에너지 수급격차는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중국정부의 가장 큰 과제는 에너지 공급을 다원화하고 수급 균형을 안전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중국 정부는 미래 30년 중국의 에너지 발전전략과 정책이념을 구체화했다. 백서에서 중국은 지속적이고 건전한 사회 발전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적극 나섬으로써 세계 기후변화 대응과 에너지 안보 및 세계 경제 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별히 주목되는 부분은 에너지산업 대외개방 확대와 에너지 정책강화이다. 14차 5개년 계획이 시작하는 2021년부터 에너지 정책강화를 추진하겠다며 중국 정부가 에너지정책의 기본법이 될 '에너지법안'에 이를 명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급격한 경제발전으로 에너지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다. 환경보호 및 에너지 소비측면에서 보면 2019년 기준 글로벌 탄소배출 1위 국가는 중국(28.8%), 이다. 중국의 에너지 수요는 미국과 같은 선진국보다 빠르게 증가하여 에너지 안보 문제가 악화되고 있다. 시진핑 주석은 "2060년까지 이산화탄소 순 배출량을 제로(0)로 만들겠다"고 탄소중립 국가 실현을 선언하였다. 이는 에너지 정책 개혁, 친환경 소비확대(전기차/스마트 도시 추진 등), 오염산업 퇴출 등과 같은 산업구조조정을 예고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 미래산업의 중요한 축 하나는 에너지 구조 변경과 그에 따른 ‘친환경+산업’ 융합이다. 중국의 에너지 정책은 새로운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기후변화 및 환경보호와 같은 문제로 인해 중국의 에너지 정책에 대한 새로운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중국의 기후변화 대비 관련 법제를 소개·분석하여 기후변화 관련 정책과 관련한 우리의 정부정책 담당자에게 유용한 정책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oncept of energy policies in assessing whether, and how, the priorities related to climate change are gradually changing. After analysing climate change's impact on China, conducted via an analysis of the study's available literature and through the support of international data, this article mainly focuses on the China's efforts to transition towards a low-carbon economy. This article in turn, addre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energy policies and climate change. The results presented in the conclusion insist that, in order to strengthen environmental protection in China, it is crucial to reform the highly inefficient and strictly regulated national energy market. In doing so, China's transition to a low-carbon society and economy could prove less painful, as China's available resources offer the potential for a strengthened ecological dimension and sustained socio-economic development. I suggests some options for addressing these issues. Gain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se issues provides a window into the prospects of legally binding emissions commitments by China. More importantly for those engaged in practical and constructive efforts to engage China on climate change. Institutional concerns about China's implementation of any future GHG emission limits also suggest an important area of activity for the U.S. and other industrialized nations. In addition to negotiating with central government and foreign affairs officials about the need of China to take on formal GHG emission limits, governments should also engage China directly in the regulatory implementation of any commitments or voluntary initiatives to mitigate greenhouse gas emissions. Such efforts will be difficult and require patience and persistence. But they are likely to have much greater substantive effects and will be more important than international agreements setting numerical emission targets. I review the status of China's energy policies regulation, strategies and policies to address climate change, as well as to mitigate carbon emissions. This article turn to the Climate Plan's shortcomings with respect to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d effectiveness. I suggests some options for addressing these issues. Gain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se issues provides a window into the prospects of legally binding emissions commitments by China. National energy policies, parallel with the ultimate goal of emissions reductions, is of utmost priority for the Chinese government. In order to comply with the requirements set by the Kyoto Protocol, the Chinese government announced, on 25 November 2009, that 2020's CO2 emissions would be reduced by 40-45 per cent in accordance with the data collected from 2005. Said goal was met three years ahead of schedule. Even in light of such an accomplishment, however, commentators suggest that the overall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NDCs) made by the Parties belonging to the Paris agreement are not enough to reduce global warming.

      • Locked into Copenhagen pledges - Implications of short-term emission targets for the cost and feasibility of long-term climate goals

        Riahi, K.,Kriegler, E.,Johnson, N.,Bertram, C.,den Elzen, M.,Eom, J.,Schaeffer, M.,Edmonds, J.,Isaac, M.,Krey, V.,Longden, T.,Luderer, G.,Mejean, A.,McCollum, D.L.,Mima, S.,Turton, H.,van Vuuren, D.P. American Elsevier 2015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Vol.90 No.1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e AMPERE modeling comparison project with focus on the implications of near-term policies for the costs and attainability of long-term climate objectives. Nine modeling teams participated in the project to explore the consequences of global emissions following the proposed policy stringency of the national pledges from the Copenhagen Accord and Cancun Agreements to 2030. Specific features compared to earlier assessments are the explicit consideration of near-term 2030 emission targets as well as the systematic sensitivity analysis for the availability and potential of mitigation technologies. Our estimates show that a 2030 mitigation effort comparable to the pledges would result in a further ''lock-in'' of the energy system into fossil fuels and thus impede the required energy transformation to reach low greenhouse-gas stabilization levels (450ppm CO<SUB>2</SUB>e). Major implications include significant increases in mitigation costs, increased risk that low stabilization targets become unattainable, and reduced chances of staying below the proposed temperature change target of 2<SUP>o</SUP>C in case of overshoot. With respect to technologies, we find that following the pledge pathways to 2030 would narrow policy choices, and increases the risks that some currently optional technologies, such as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or the large-scale deployment of bioenergy, will become ''a must'' by 2030.

      • KCI등재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정책과 우리나라의 부문별 감축여건

        김호석(Ho Seok Kim) 大韓環境工學會 2010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2 No.9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는 배출활동을 억제하거나 배출집약도를 개선시키는 다양한 기술의 도입의 개발·보급을 촉진하는 정책의 도입이 필수적이다. 이처럼 온실가스의 저감을 위한 다양한 정부개입을 ``기후정책``이라 하는데, 그 이론적 속성과 더불어 각 국가 고유의 상황에 따라 정책의 상대적 유효성이 결정된다. 온실가스 배출분석은 일정 기간에 국가 전체의 온실가스 배출을 전망하고, 이를 기초로 다양한 기후정책의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평가하는 과정이다. 배출분석은 국가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기준년도 배출량 산정, 목표 시점까지의 배출추이에 대한 기준 배출량, 그리고 이러한 미래 배출량에 변화를 초래하는 다양한 기후정책 시나리오에 대한 평가 등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기후정책의 유형과 그 평가·선택기준을 고찰하는 한편,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추이와 부문별 감축여건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우리나라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 및 기후정책 운용에 있어서 유용한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Reducing emissions across all sectors requires a well-designed policies tailored to fit specific national circumstances. And every climate policymaker would like to have an accurate method of assessing the quantitative impacts of future policies to address GHG-related problems. Estimates of future changes in a nation`s GHG emissions, the expected environmental impacts of future energy sector developments, and the potential costs and benefits of different climate technology and mitigation policy options are desirable inputs to policy making. Various mitigation analysis and modeling approaches helped to fill the needs for these kinds of information, and as such has been an important part of national mitigation policy making in many countries for most of two decades. This paper provides a overview of GHG mitigation policies and mitigation analysis, and sectoral mitigation circumstances and potentials.

      • KCI우수등재

        건물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요인 분석과 감축 이행실적 지표 연구

        정영선 대한건축학회 202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40 No.1

        한국 정부는 2018년에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기본 로드맵 수정안’을 발표하였고, 2021년에는 ‘2030 NDC 상향안’을 발표하여 2018년의 배출량(727.6백만톤) 대비 40%를 2030년까지 감축하는 목표를 법제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증감 요인을 분해 분석하여 개별 요인들이 온실가스 배출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근거로 감축의 노력이 이루지고 있는지 검토할 수 있는 이행실적 지표를 제안하였다. 기존의 연구들과는 다르게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로드맵 상의 제1차 감축 이행기간(2018년~2020년)의 감축 목표치와 비교하고 어떠한 요인이 증감에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2020년 기준 건물부문의 감축 목표의 달성 여부와 그 요인을 분석한 연구로써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건물부문 요인분해 분석 결과에 따르면 주거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증가시킨 가장 큰 요인은 건물의 성장 효과이며 배출량을 감소시킨 요인은 에너지 집약도이다. 상업(비주거)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증가시킨 요인도 건물의 성장 효과와 건물의 면적 증가로 나타났고, 에너지 집약도가 배출량을 낮추는 요인이다. 2020년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 결과, 감축 목표 대비 약 6.9 백만톤 낮게 배출하였고, 제1차 감축 이행기간(2018년~2020년)의 감축 목표치와 비교하여도 약 4.9 백만톤 낮아 감축목표를 달성한 것으로 평가된다. 건물의 에너지 집약도 효과와 탄소 집약도 효과가 배출량 증가분을 상쇄시키는 감축목표의 달성 요인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의 이행실적 지표는 건물의 에너지 원단위, 녹색건축물의 건설 실적, 그린리모델링 지원, 건물의 신재생에너지 활용 및 설비의 보급이다. 이러한 지표를 통해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이 충실히 이행되고 있는지 확인이 가능하고 지속적으로 감축 계획의 성과를 확인하고, 미비점은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통해 국가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정책의 입안자와 실행 주체들에게 감축 전략 등을 평가할 수 있는 참고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We aim to find out why the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from building sector during 2001 ~ 2020 are in line with the path describedin the national road map for 2030 GHG reduction using the decomposition analysis. We study on decomposition analysis for GHG emissionand reduction implementation indicator of GHG emission in building sector in South Korea. Index decomposition analysis using the formulaof log mean divisia index (LMDI)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HG emissions from residential and commercial sector ofbuilding sector. Korean building sector emitted 145.1 million ton CO2e in 2020. The result shows that during 2018-2020 the averageemissions in building sector was 4.9 million ton lower than those of the reduction path on the road map. The energy intensity effect was themain factor in decreasing GHG emission in buildings. We reviewed 4 reduction implementation indicators to know whether reduction effortsare being implemented: energy intensity, construction of green building, support for green remodeling and using the new & renewable energyin buildings.

      • KCI등재

        기후변화 완화정책에 대한 전문가와 이해당사자 입장 분석

        윤순진(Yun, Sun-Jin),이승지(Lee, Seung-Ji) 서울행정학회 2013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4 No.3

        정부는 기후변화완화를 위해 온실가스 다배출 및 에너지 다소비 업체와 공공부문을 대상으로 2012년부터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2015년부터는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를 도입할 예정이다. 배출권 거래제 도입으로 기존에 시행되고 있던 목표관리제를 어떻게 할 것인지 아직 불투명한 상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새로운 정책수단의 도입과 이후의 정책 혼합에 대해 관련 이해당사자들과 전문가들이 어떤 의견과 입장을 가지고 있는지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근거이론을 토대로 심층면접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관리대상 사업체, 관리주체, 공공부문, 전문가 등 행위자 집단에 따라 집단 간은 물론 집단 내에서도 다양한 의견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운영 중인 목표관리제에 대해 인센티브 방식 도입, 매뉴얼 제공, 보고체계 간소화를 요구하는 의견이 다수였으며 배출권 거래제 도입 후에도 5,000tCO2eq. 이상 배출업체나 사업장에 대해서는 목표관리제를 유지하되 배출권 거래제와 연동하자는 의견이 다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정부가 배출권 거래제 도입이라는 변화된 정책환경에서 기후변화 완화정책에 대한 정책대상집단의 순응도를 높이고 정책 이행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 이러한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고 보다 활발한 사회적 대화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조율하는 과정을 거쳐야 함을 시사한다. The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a greenhouse gas and energy target management system targeting large greenhouse gas emitters and energy consumers since 2012 and plans to introduce an emission trading scheme (ETS) from 2015. It is unclear how to deal with the existing greenhouse gas and energy target management system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ETS. This study utilizes grounded theory to analyze in-depth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and experts about the introduction of the ETS and the resultant policy mix. The interviews with diverse actors reveal a variety of opinions which differ both between and within groups. Nevertheless, there is a broad consensus on the introduction of incentives, provision of manuals, and simplification of reporting requirement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greenhouse gas and energy target management system, along with the maintenance of the greenhouse gas and energy target management system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ETS for companies emitting over 5,000 tonnes CO2eq. There is also support for connecting the ETS with the greenhouse gas and energy target management system. These results imply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listen to more diverse voices and to promote social dialogue in order to improve policy compliance and effectiveness of implementation.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