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교육의 관점에서 본 군 인성교육 고찰

        임여진(Lim Yeo-Jin),이인재(Lee In-Jae) 국방정신전력원 2017 정신전력연구 Vol.0 No.51

        우리 군의 임무는 국토방위이다. 언제 일어날지 모르는 전장 환경에서 군인으로서 강인한 정신력은 가장 중요하며, 이것은 곧 전투력 발휘에 핵심 원동력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전투력을 발휘하기 위하여 우리 군에서는 장병들에게 정신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 군에 입대하고 있는 장병들은 입시 위주의 교육현실과 가정교육의 교육적 기능의 악화와 사회적인 부정적인 의식구조를 갖게 되어 가치와 인식 간에 심리적 갈등을 경험하면서 군에 입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신교육은 군의 무형전력을 함양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더불어 2015년 7월에는 세계최초로 인성교육진흥법이 시행되어 우리 군에서도 인성교육까지 시행하여야 하는 실정에 처해 있다. 그러나 우리군에서 말하고 있는 정신교육 안에는 이미 많은 부분 ‘인성교육’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정신교육을 위해 쓰이고 있는 유사한 용어들이 존재하고 있어 혼란을 야기할 우려도 동시에 상존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교육과 인성교육에 대한 개념정의나 동의가 명확한 초점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 앞으로 인성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정신교육과 관련된 유사개념 체계 등을 재정리하며 더불어 바람직한 군 인성교육의 필요성 및 목표 그리고 향후 발전방안을 위한 과제 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The reason for our military existence is to fight against the enemy. In order to win a battle with one another, one must nurture a warrior with a healthy and desirable personality first in order to defeat the enemy in harmony and harmony with the enemy, as well as in harmony with the enemy. Currently, the military is joining forces with the military, which suffers from the confusion of our society,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educational functions of our society, the deterioration of educational functions,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educational functions of our society. In these social environments, new recruits are entering the military, and the military is experiencing a big, minor incident and mishaps due to the lack of military service. This is the issue of not only the military, but also the entire society, and in July 2015, the world"s first personality education promotion law was implemented on the national level. In our military, we have training and we need to strengthen our character education. But one of the things that we have to think about right now is that in our military, education is already embedded in the nature of education, and there are many similar terms for mental education. Therefore, we intend to rearrange the conceptual education concepts of the 21st Century, "Mental Education", "Military Ethics", Character of Military Ethics, to explore the concepts of the 21st Century. The research method revolved arou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such as books and academic journals, and other publications.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nvolves comparing the concepts of similar and adjacent terms of the military to a variety of contexts in the military, and seeks to explore the areas of nature education that should be addressed in our military.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군(軍 ) 정신전력교육 연구동향 분석

        강예빈,진수현,송영수 국방정신전력원 2022 정신전력연구 Vol.- No.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mental strength education by exploring the research trends of military mental strength education. For the purpose,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R-program’. examining 54 academic papers based on keywords such as mental strength, mental strength education, and mental education etc.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apers from 2012 to July 2022, we found that research field related to mental strength education is mainly focused on ‘education’ in the filed of social science. Research papers have been published in other fields, however they are still insignificant. Papers published after 2019 accounted for 66.7% of all papers, indicating that the military’s interest in mental strength education. Secondly, we found that the most popular keyword became ‘mental strength’ and ‘mental education’. Also, words such as ‘MZ generation’, ‘learner centered education’, ‘4th industrial revolution’ have a lower frequency with lower priority. For network connection, centrality and mediation centrality have a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keywords. The main importance of this study is the information it provided on mental strength education of military research trends. In the future, education managers in military will use the information from these research trends in order to decide which technologies or teaching methods will be best for them to use. 본 연구의 목적은 군 정신전력교육 연구동향을 탐색하여 정신전력교육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발전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정신전력교육, 정신교육 등 관련 키워드를 바탕으로 수집한 54편의 학술 논문을 데이터로 하여 R 프로그램을 이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2년부터 2022년 7월까지 논문을 살펴본 결과 정신전력교육과 관련된 연구 분야는 사회과학 분야의 ‘교육학’에 집중되어 있다. 일부 자연과학공학, 복합학, 인문학에서 간헐적으로 연구 논문이 발행되었지만 여전히 미미한 수준이다. 연도별로는 2019년 이후 발행된 논문이 전체 논문의 66.7% 비중으로 2019년을 기점으로 정신전력에 대한 군 및 학계의 관심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상위 키워드를 살펴보면 ‘정신전력’, ‘정신전력교육’이 압도적으로 많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MZ세대’, ‘학습자 중심 교육’, ‘4차 산업혁명’ 등의 단어가 상위 순위를 차지하며 상대적으로 낮은 빈도로 나타나고 있었다.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의 네트워크를 살펴본 결과, 연결중심성이 높은 단어가 매개의 역할을 같이 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군 정신전력교육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동향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정신전력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관점에서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장병의 자아정체성 확립을 통한 정신전력 강화를 위한 인성교육

        박영민(Park Young-Min),이성흠(Lee Sung-Heum) 국방정신전력원 2021 정신전력연구 Vol.- No.67

        일반적으로 한 국가에서 국민의 안위(安危)를 책임지고 있는 군대조직은 일반사회의 조직과는 다른 독특한 조직체계이다. 이러한 점에서 대한민국의 군대는 창군 이후 장병에 대한 정신전력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효과(율)적인 훈련을 위해 부단하게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장병의 정신전력교육은 군인정신에 대한 중요성이나 필요성을 충족하면서 군인 정신을 내면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설계·개발·운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장병의 정신전력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장병의 정신전력 강화를 위한 교육의 주제에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장병의 자아정체성 확립을 통한 정신전력을 강화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문화예술의 시청각자료를 활용하는 인성교육의 방향과 전략을 이론적으로 탐구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군인의 정신전력 강화를 위한 인성교육의 주요 학습활동은 ‘나(자아정체성 확립)’에서 출발하여 ‘사회(가족, 학교 등)’를 거쳐 ‘국가(군인정신, 조국, 평화통일)’를 연계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여 장병 자신에 대한 자아정체성 확립을 교육(훈련)하고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는 실천적인 활동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학습활동은 지금-여기의 교육 현장(군대)에서 출발하여 사회와 국가로 연결하는 응용성과 효과성을 담보하는 방법으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의 방법은 연구 주제와 관련되는 국내외의 주요 참고자료(서적, 연구논문, 연구보고서 등)를 중심으로 하는 문헌연구이며, 연구 주제와 관련되는 시청각자료는 인터넷 자료를 예시자료로 활용·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의 이론적 배경은 미래사회의 핵심역량과 장병의 정신전력교육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장병의 자아정체성 확립을 위한 인성교육에서는 자아정체성, 자아정체성 확립을 위한 인성교육의 주요 내용, 그리고 미래사회를 위한 장병 인성교육의 방향을 중심으로 탐구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탐구된 이론에 기초하여 제시된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장병의 자아정체성 확립을 통한 정신전력 강화를 위한 실천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비록 역경의 군대 생활이지만, 장병들은 자아정체성 확립을 통한 정신전력 강화와 연계된 인성교육의 과정에서 지난 일들을 성찰하고 자신의 미래를 설계하면서 필요한 역량을 개발하여 행복한 삶을 준비하는 하나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 general, the military organization that is responsible for the safety of the people in a country is a unique organizational system different from that of the general society. In this regard, the Republic of Korea"s military is constantly striving for effective education while continuousl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mental power education for soldier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military. However, the current mental power education for soldiers does not effectively develop and operate a program that can internalize the military spirit while satisfying the importance or necessity of the military spirit.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on the mental power education of soldiers, various studies on the mental education of soldiers are neede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theoretically explore the direction and strategy of character education for strengthening mental power with the establishment of soldier"s self-identity by using the audiovisual materials of culture and art as a way to strengthen the mental strategy of the soldier. The main learning activities of character education for strengthening the mental power of soldiers in the study start with ‘myself (establishing self-identity)’, go through ‘society (family, school, etc.)’, and then link ‘the country (soldier spirit, country, peaceful unification).’ It consists of practical activities that educate the establishment of self-identity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These learning activities are intended to be structured in a way that guarantees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starting from the education field (military) here and now and connecting society and the country. The method of the study was a literature review using major domestic and foreign references related to the subject of the study. In addition, audiovisual materials related to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presented as example materials using Internet material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was examined to focus on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future society and the mental education of soldiers. Secondly, character education for establishing self-identity of soldiers was explored to focus on the issues of self-identity, main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for establishing self-identity, and the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for soldiers for the future society. In conclusion, it was judged that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presented based on the theory explored in the study can be utilized as a practical way to strengthen soldier’s mental power with establishment of his/her self-identity. Although it is a difficult military life, soldiers can use it as an opportunity to prepare for a happy life by reflecting on the past and designing their own future in the process of character education linked to the establishment of self-identity and strengthening of mental power.

      • KCI등재

        가상현실 기반의 군 정신교육 프로그램

        임상욱(Im Sang-Wuk) 국방정신전력원 2017 정신전력연구 Vol.0 No.50

        인공지능, 로봇기술, 생명과학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 :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이 주도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실재와 가상이 통합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가상현실(VR : Virtual Reality)은 이를 구현할 대표적인 영역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리고 이는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라 현재 진행 중인 내용으로 게임, 스포츠, 국방 등 다양한 곳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교육 분야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무형전력의 핵심인 정신교육에도 이러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된 첨단 정보통신기술의 적용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다양한 첨단 정보통신기술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를 활용한 교육방법등에 익숙한 신세대 장병들에게 단순 나열과 반복되는 정신교육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몰입도가 높고 실재와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가상현실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특히, 가상현실은 교육적인 측면에서 오감의 다감각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구체적 경험에 유리하고 실재와의 차이를 최소화하여 몰입도가 높다. 또한 개별적인 체험이나 경험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팀 및 그룹 단위 체험과 통제가 가능하다. 이러한 내용은 지속적인 업데이트와 보완을 통해 변화된 상황과 환경에 대한 유기적인 대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단순히 기술이나 기법만 적용한다고 교육에서 효과를 거둘 수는 없다. 이에 부합된 이론과 모형을 적용하고 이에 따라 플랫폼과 콘텐츠를 개발해야 교육목적에 부합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모든 정신교육 과목에 가상현실을 적용하는 것도 교육의 특성과 예산 등 현실적인 분야 등에서 제한사항이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가상현실을 적용하는데 적합한 정신교육 분야를 선정하고 이에 최적화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장병들에게 적용하여 진행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을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정신교육 분야를 ‘체험형 정신교육’으로 선택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교수 · 학습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상용 가상현실 플랫폼과 콘텐츠를 활용하여 정신교육에 적용하고 향후 군 전용 가상현실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It is expected that real and virtual realm will be integrated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led by mainstream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ics technology, and life science, and virtual reality(VR) is thought to take a key role in its implementation. It is not a distant future talk, but is currently underway in various areas such as games, sports, and national defense, and so far has brought many changes in the field of educ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apply the above-mentioned ICTs befitting to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mental education, which is the core of intangible power. Especially, soldiers nowadays are exposed to various cutting-edge ICTs and are familiar using them. Simple lay-out of words and repetitive mental education fail to get anywhere close to the aimed goal. VR can be a good substitute instead, providing effects like `being immersed in reality` which in turn promises high level concentration of users. However, it is im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education if only there is technology/technique. Theories and models need to be developed, so are platforms and educational content. Once these are satisfie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is consistent with the educational purpose. In addition, applying VR to every mental educational program has limitations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mental education, budget and other realistic restraints. Thus, selection and concentration of mental education programs where VR is appropriate needs to be decided first, and then one can make a optimized program to meet the needs of young soldiers. In this research, we select "experiential mental education" as the optimal choice for applying virtual reality, and try to present a teaching/learning model to materialize it. Based on it, we utilize commercial VR platforms and contents and apply them to mental education, so that we can help military develop its own exclusive VR content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효과적인 장병 통일교육 방안에 대한 소고-왜 통일교육을 해야 하는가? -

        유석봉 한국국가안보·국민안전학회 2022 한국국가안보·국민안전학회지 Vol.15 No.-

        Until now, a large military budget has been invested in the field of military mental power, focusing on cultivating the rapidly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 and soldiers' mental power. The reality is that the education satisfaction with unification education, such as military speciality and the enlistment and discharge of (MZ generation) soldiers, is not very satisfied. Through national and international efforts along with the slogan of "permanent peace," the international situation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over the past few years has experienced great changes as if riding a roller coaster. This study examine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unification education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security situation, regardless of political bias in the reality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the rapidly changing security situation. In addition, the educational method was emphasized to find effective measures and directions from the question of "Why should unification education be conducted?" so that uniform and cramming education can proceed with future-oriented education, not abstract education. 그동안 군 정신전력분야에 많은 군(軍) 예산을 투입하여 급변하고 있는 안보환경과 장병정신전력을 함양에 중점을 두고 교육해 왔으며 군 특수성과 순환되는 (MZ세대)장병의 입대 및 전역 등 통일교육에 대한 교육만족도는 크게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직시하였고 ‘항구적 평화’의 구호 아래 국가와 국제적인 노력을 통해 지난 몇 년간 한반도를 둘러싼 남북의 통일을 향한 국제정세는 롤러코스터를 타듯이 큰 굴곡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는 장병들에게 통일교육의 우리군의 현주소와 급변하는 안보상황 속에서 정치적 편향성을 떠나 현 안보상황과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통일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이 무엇인지 소고해 보고 교육방식 또한 과거 정신교육의 일환으로 진행되듯 획일적이고 주입식교육에서 추상적인 교육이 아닌 미래지향적인 교육이 진행되도록 ‘왜 통일교육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에서부터 효과적인 방안과 방향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 KCI등재

        철기 이범석 장군의 군인정신에 관한 고찰 (청산리 전투에서 보여준 군인정신을 중심으로)

        이정구 국방정신전력원 2024 정신전력연구 Vol.- No.76

        본 연구는 ‘청산리전투의 영웅’이자 ‘국군건설의 아버지’, ‘애국애족 무인 정신의 상징’ 철기 이범석(1900∼1972) 장군의 군인정신에 관한 글이다. 연구 중점은 그의 생애 중 중국으로 망명(16세)하기 전 민족의식과 항일무장투쟁의식이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이후 청산리전투에서 직접 지휘관으로 참가하여 보여준 군인정신(개인적 차원의 가치관)이 어떻게 발현되었는지를 조망해 보고, 그것이 한국군에게 주는 함의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암담하고 암울한 시기에 중국으로 망명한 이범석 장군이 청산리 전투(백운평·천수평·어랑촌 전투)에서 보여준 군인정신은 오늘을 살아가는 국군장병들에게 많은 교훈을 준다. 첫째, 이범석은 항일무장투쟁 준비와 청산리전투에서 백병전을 치르면서 구차하게 안일을 추구하지 않았다(명예). 둘째, 이범석은 조국 독립을 위해 진실된 마음과 신념으로 상관(김좌진 장군)에 대한 충성과 조국에 대한 충성, 나아가 자신의 행동과 선택을 통해 헌신하는 자신에 대한 충성을 보여주었다(투철한 충성심). 셋째, 이범석은 전투현장에서 지휘관으로서 비록 열세한 전력에도 불구하고 한발 물러섬이 없이 두려움을 극복하고 백병전까지 펼치면서 진두지휘함으로서 전투에서 대승할 수 있었다(진정한 용기, 필승의 신념, 임전무퇴의 정신, 책임완수). 넷째, 이범석은 전투 현장에서 지휘관으로서 자기의 희생과 헌신을 전제로 한 애국애민의 정신이 가슴속 깊이 내재해 있었기에 청산리 전투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애국애민). 이범석 장군이 2일간 약 36시간 동안 청산리 전투에서 보여준 진정한 군인정신은 오늘을 살아가는 국군장병들의 표상이자 본보기로서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그리고 그의 군인정신에 대한 장병 정신교육을 통해 정신전력을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military spirit of General Lee Beom-seok (1900-1972), the ‘hero of the Battle of Cheongsan-ri’, the ‘father of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army’ and the ‘symbol of the patriotic military spirit’. The focus of the study is how his national consciousness and sense of anti-Japanese armed struggle were formed before he defected to China (at the age of 16), and how the military spirit (personal values) that he showed by directly participating as a commander in the Battle of Cheongsanri was expressed. I would like to take a look at it and present its implications for the Korean military. The military spirit that General Lee Beom-seok, who defected to China during a dark and gloomy time, showed in the Battle of Cheongsanri (Battles of Baekwoon-pyeong, Cheonsu-pyeong, and Eorangchon) offers many lessons to South Korean soldiers living today. First, Beom-seok Lee did not pursue complacency (honor) while preparing for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and fighting in close combat at the Battle of Cheongsanri. Second, Lee Beom-seok showed loyalty to his superior (General Kim Jwa-jin) and his country with a sincere heart and belief for the independence of his country, and further, loyalty to himself through his actions and choices (utter loyalty). Third, as a commander at the battlefield, Lee Beom-seok was able to win the battle by overcoming fear and leading the way in close combat without taking a step back, despite his inferior strength (true courage, belief in sure victory, spirit of never giving up, responsibility). completed). Fourth, Lee Beom-seok was able to win the Battle of Cheongsanri because the spirit of patriotism and love for the people, which presupposed self-sacrifice and dedication as a commander at the battlefield, was deeply embedded in his heart. The true military spirit that General Lee Beom-seok showed during the Battle of Cheongsanri for about 36 hours over two days is not lacking as a symbol and example for the soldiers of the ROK Armed Forces living today. And I hope that his military spirit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further strengthen his mental strength through mental education for soldier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군(軍) 정신전력향상을 위한 정신교육의 창조교육 교수-학습 5단계 적용

        이용길(Lee, Yong-gil) 국방정신전력원 2018 정신전력연구 Vol.0 No.53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전환기 시대의 군(軍)장병의 정신교육 향상 방안을 창조교육 교수-학습 5단계를 적용하여 연구함으로써 조국수호의 정예 강군으로서 정신전력향상의 교육방향을 모색하여 군(軍) 장병의 정신교육의 향상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정신전력 향상을 위한 군(軍) 정신교육은 군(軍) 전력의 효율적 가치를 창조하는 ‘의지력’의 융합으로써 장병 공히 ‘전투원의 강화된 인지력’을 구축하는 것이다. ‘의지력’의 융합은 ‘생각하는 힘’에 의해 융합의 다양성을 구가하는 것으로 정신전력의 토대가 된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시대의 정신교육은 전투원의 강화된 인지력을 길러 ‘의지력’을 융합하는 창조교육을 적용하는 데 있다. 창조교육을 적용한 군(軍) 정신교육은 ‘생각하는 힘’을 길러 ‘의지력’을 융합하는 교육으로서 인간의 본성인 창조성을 발휘하는 발상(發想)-발견(發見)-발굴(發掘)-발현(發顯)-발전(發展)의 교육방법이다. 발상의 단계에서는 정신전력의 구성요소인 신념 · 사기 · 단결 · 군기의 인지적 요소에 의해 정신전력을 내면화하기 위한 ‘의지력’이 상상되는 단계이다. 발견의 단계는 생각하는 힘으로서 ‘의지력’이 드러나는 단계로서 정신전력을 형성하기 위한 ‘의지력’을 찾는 단계이다. 발굴의 단계는 개별적인 창조적 역량이 독특하게 형성되는 단계로서 정신전력을 함양하기 위한 ‘의지력’을 키우는 것이다. 발현의 단계는 독창성을 종합하고 차별화함으로써 ‘의지력’으로서의 가치창조의 실체가 드러나 정신전력을 함양하기 위한 ‘의지력’이 통섭되는 단계이다. 발전의 단계는 새로운 독창적인 관념을 산출하고 발전시키는 현재적 능력, 새로운 설명을 창출하는 능력 등 통합과 연결의 융합작용으로서의 창조적 역량을 발휘하는 것으로 ‘의지력’이 융합되어 정신전력이 발휘되는 단계이다. 창조교육 교수-학습 5단계를 적용한 군(軍) 정신교육은 정신전력을 함양하여 군(軍) 전력을 향상시키는 승수가 될 것이다. 그리하여 궁극적으로는 창조교육에 의한 정신전력의 향상은 전시와 평시를 막론하고 군(軍)의 존재의미의 정체성을 갖게 함으로써 군(軍)의 정신교육이 4차 산업혁명시대에 인류의 공영과 평화에 기여하는 기반이 되어야 한다.

      • KCI등재

        특기학교 교육과 정신전력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증거: 학습만족도, 대군(對軍)신뢰도, 군인정신을 중심으로

        공윤엽,정연중,오대훈 한국경영교육학회 2023 경영교육연구 Vol.38 No.5

        [Purpose]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of military specialized school, military reliability, and military spirit. [Methodology]This study drew three research questions by examining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proposed variables individually and discussions on the context reflected by the research model. In the process of deriving research questions, high-intensity brainstorming was conducted among 11 soldiers to overcome the lack of prior research. Afterwards, a questionnaire on the derived research questions was produced and distributed to the graduates. Subsequently, the survey results were verifi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Findings]Learning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ilitary spirit and the military reliability, and the military reliabil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ilitary spirit.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military spirit showed a mediating effect of military reliability. [Implications]Through this study, we discovered the impact path of learning satisfaction in military specialized school, and accumulated empirical results on the insufficient military reliability study. Finally, an action plan was proposed to increase the spiritual&mental force of soldiers.

      • KCI등재후보

        남ㆍ북한 군사통합에 대비한 군(軍) 정신전력 강화교육 연구

        우희철(Hee-Choul Woo) 북한학회 2012 북한학보 Vol.37 No.1

        본 논문에서는 통일한국군의 정신적 통합을 위한 정신전력교육 방안을 통합 이전, 통합단계, 통합 후 세 단계로 나누었다. 우선 통합 이전단계의 교육 방안은 우리 장병들에 대한 사전교육과 북한군 출신 장병들의 교육을 위한 준비사항 등을 포함한 두 가지 방향에서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북한군 출신 군인들의 재교육을 위한 준비사항으로써, 우선 이들을 교육시킬 교관을 양성하는 것이 제일 급선무일 것이다. 즉, 현 상황에서 가장 유용한 방법은 각급 부대 정훈장교 및 예비역 정훈장교, 국방부 정신교육지원단, 지휘관(자) 등 일반장교들을 활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 북한군 출신으로 남한에 정착 중인 귀순자 등이 있으며, 이러한 귀순자들은 남북한 군인들 간의 마음의 거리를 좁히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두번째, 통합단계의 교육은 통일한국군에 통합, 현역군인으로 복무하게 될 북한군과 전역하여 사회생활을 하게 될 북한군 등 모든 인원을 대상으로 한다. 이 시기의 교육목표는 북한 출신 군인들이 과거 사회주의 국가의 군대 가치를 청산하는 한편, 통일한국군이 수호하는 자유민주주의의 이념과 체제에 대한 이해, 그리고 심리적 안정감을 갖도록 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장차 남ㆍ북한군이 정신적 통합을 이룰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통합 이후 교육은 통합단계의 교육과 비교할 때 보다 장기적인 교육으로 일반사회로 복귀하는 북한군을 제외하고 순수하게 통일한국군에 복무하는 북한군 출신 장병을 대상으로 실시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통합 이후의 북한군 재교육 목표는 남ㆍ북한군이 서로 이질성을 극복함으로써 동일한 비전과 정체성을 가지고 통일한국군이 담당해야 할 의무와 목적을 실천해 나가기 위해 어떠한 난관도 감수할 수 있는 태도와 마음가짐을 지닌 하나의 군대, 즉 정신적 통합을 이루는 아주 중요한 교육이 될 것이다. Based on these findings, spiritual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provides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pre-integration, in-integration, and post-integration. First of all, the initial level, pre-integration stage has two parts. One part consists of reinforcing the education of liberal democratic ideology, helping to understand DPRK military forces rather than having hostility, providing right history education and re-establishing enemy concept correctly for the South military forces. The other part of the first stage is preparation for the future retraining of the North Korean forces. The cultivation of instructors to train the military from North Korea would be the priority matter in the preparation. The most effective resolution for the problem under existing circumstances could be to utilize current general officers such as Troops Information and Education (TI&E) officers, instructors in Ministry of National Defense(MND) Morale Education Support Group, and other officers. Besides, refugees from the North Korea trying to settle on the South Korea would be another solution, who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narrow the sense of distance between the two Korean forces. In the second stage, the objects of the integration includes all the North Korean soldiers both to be in active service and to be discharged from the service. The objective of this stage is providing the military with comprehension and physical stability while clearing off the past cognition on the military in a socialist state. These course would provide foundation for the spiritual integration of the South and North Korea. The focus of the military spiritual training in the post-integration stage is only the soldiers from North Korea serving in unified Korean military forces, but the soldiers returning to the public. The ultimate goal of retraining the military forces from North Korea on the post-integration stage is forming fully unified Korean forces as one, which could accept any difficulty in achieving given mission and obligation with one vision and identity.

      • KCI등재

        군 장병 군가 가창 활성화 연구

        김세훈(Kim, Sae-hoon),이환수(Lee, Hwan-soo) 국방정신전력원 2018 정신전력연구 Vol.0 No.53

        군가(軍歌)는 군 장병의 전의(戰意)고취, 사기 향상 및 단결심 배양 등 군 정신전력 강화를 위한 기본적인 도구로써 오랫동안 활용되어왔다. 그러나 복무기간 단축 및 강압적인 군가 암기강요 등의 문제와 건제유지 활동이 감소되면서 군가 가창의 기회가 제약을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한 군 장병 정신전력 약화가 우려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군가 가창의 현 실태를 파악하고, 도출된 문제의 해결을 통한 군가 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군가에 대한 인식 및 군가 가창의 실태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와 문제점 해결을 위한 전문가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장병 대부분은 군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병교육기관 및 부대에서의 군가교육 시간은 물론, 실제로 군가를 부를 수 있는 기회가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결방안으로는 장병들의 군가 노출 확대, 반복 숙달, 시대에 맞는 군가의 재녹음 및 배포 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정신전력 신념화 및 내면화의 유용한 도구인 군가를 소홀하게 관리함으로 인해, 현재 군가의 교육 및 가창 실태가 매우 심각한 상황에 처했음을 보여준다. 향후 최신의 첨단 음악에 길들여진 젊은 장병들을 위해 국방부 차원의 군가 활성화를 위한 논의가 절실히 요구된다. Military songs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as a basic tool to strengthen the spirit of the military, such as a boost to soldiers` fighting spirit, morale, and unity. However, problems such as shortening of periods of military service and coercive military song memorization have undermined chances to utilize military songs among soldiers, which led to rising concerns about weakening spirit of military soldiers. This study examines the present state of singing military songs and seeks to invigorate use of military songs by solving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questionnaires on recognition of military songs and its usage in a real situ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According to the analysis, most of the soldiers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military songs. Nonetheless, there was a lack of opportunity to recite army songs as well as insufficient military song training hours in both first-recruit stations and regular station units. The possible solutions are to increase the exposure of soldiers to military songs, to improve soldiers` proficiency in singing those songs, and to re-record and distribute military songs befitting to the current generation. This study shows that current military education with regards to singing neglects the importance of military songs, which are a useful tool in strengthening and internalizing mental power. In the future,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must take efforts to revitalize the use of military songs for young generation of soldiers who are accustomed to listening nowadays 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