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네그리튀드에서 미그리튀드로

        원종익(Won, Jong-i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0 외국문학연구 Vol.- No.39

        1930년대부터, 즉 식민 시대부터 대부분의 흑인 아프리카 작가들이 작품 활동을 해 온 장소는 아프리카 대륙이 아니라 식민 지배국인 프랑스였다. 이들은 흔히 네그리튀드의 기치 아래서 아프리카 흑인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작업을 지속해왔다. 이들에게 아프리카와 프랑스 사이에는 극복하기 어려운 정체성의 문제가 존재한다. 작가들은 비록 프랑스에서 활동하지만 그들의 시선은 늘 아프리카를 향하고 있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 특히 1990년대 이후 일단의 젊은 작가들은 더 이상 아프리카를 바라보지 않는다. 이들은 현재의 삶, 즉 프랑스 내에서의 삶에 더 큰 비중을 둔다. 와베리 A. Waberi는 이 작가들을“포스트 식민주의 아이들”이라고 명명하고 대표적 작가로는 베얄라 Calixthe Beyala, 비야울라 Daniel Biyaoula, 마방쿠 Alain Mabanckou, 베쏘라 Bessora, 챡 Sami Tchak, 디옴 Fatou Diome 등을 꼽는다. 와베리가 말하는 포스트 식민주의 아이들의 특징은 몇 몇 예외를 제외하고는 대다수가 독립 이후 태어났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이들은 독립 이후 태어났기 때문에 이전 세대가 겪어야 했던 아프리카와 프랑스의 이중 정체성에 대하여 별다른 고민을 하지 않는다. 정체성의 혼돈에 대하여 별다른 문제의식을 제기하지 않는다는 것은 다시 말해 자신의 피부가 검다든지 혹은 자신의 뿌리가 아프리카에 있다는 사실을 그다지 중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에게 중요한 것은 작가로서의 존재이지 자신의 정체성이 아니다. 결국 이들은 자신들을 국제 사생아로 규정하는데 주저하지 않으며, 선배들이 가졌던 제 3세계의 이데올로기를 거부한다. 또한 이들에게 아프리카는 굳이 고국이라고 할 수 없기 때문에 이들은 고국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갖고 있지 않으며, 오히려 프랑스에서의 삶을 더 중시한다. 한편, 슈브리에 J.Chevrier는 작품의 주제와 작가들의 위상에 고려하여 미그리튀드migritude라는 신조어를 만들어 낸다. 그는 우선 미그리튀드 문학은 현대 아프리카 작품의 중심 주제를 이루고 있는 이주 immigration의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작가들의 대부분은 망명자 expatrié의 처지에 있고 이들은 아프리카의 공간보다는 파리와 같은 프랑스의 공간을 더 선호한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미그리튀드는 끊임없는 공간 이동을 가정한다. 따라서 그 공간의 경계는 명확하지 않으며 유동적이고, ‘비껴나 있고’ ‘비정상적’이기 마련이다. 이주민이란 자체가 이미 어떤 사회의 중심에서 벗어난 존재이고, 이들은 그 어느 누구보다도 공간 이동에 민감한 탈중심적 존재일 수밖에 없다. 미그리튀드 문학의 글쓰기를 흔히 탈중심적이라고 말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쉽게 말하자면 미그리튀드 문학은 거주 공간의 이동으로 인하여 겪게 되는 정체성의 혼돈을 우선적으로 다루며 또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등 제반 분야에서 일어나는 갈등과 소외를 주제로 한다. Migritude writing is produced for the main by novelists from sub-Saharan Francophone Africa who are sometimes children of first-generation immigrants or who moved independently to Paris as teenagers and now have very vague memories of Africa. Aboudouraman Ali Waberi, a novelist and one of the most visible members of this new generation, has suggested that these new writers be called “les enfants de la post colonie”(children of the postcolony). For him “children of the postcolony or the transcontinental generation” are a generational phenomenon. He remarks the fact that most of the writers in question were born after 1960, the year of most african countries' polotical independence from Europe. In his list of children of postcolony, include Daniel Biyaoula, Alain Mabanckou, Bessora, Sami Tchak, Fatou Diome, etc. From 1960, the number of sub-Saharan Africans residing in Paris practically exploded. According Bennetta Jules-Rosette, The writing of the young novelists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political pressure to liberalize legal and social attitude toward immigration in France and to combat xenophobic sentiments. The rising African migration to France introduced new concern into African writing, and France saw the emergence of a new category of black writers. The new generation of Africans writers in France initiated a critical rupture with négritude. Négritud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frican-French identity discourses emerging during the mid-20th century. Négritude reaffirmed the integrity of African cultures and was a necessary philosophical tool for establishing the legitimacy of Afriacan literatures. Négritude writers, residing in France, was rooted on the African continent. But, migritude writers focus their novel on the lives of Africans transplanted in France and on the problems of immigration. Migritude negates the return to source philosophy of the original négritude of Senghor, Césaire and Damas. Migritude, coined by J. Chevrier, this neologism designates both the thematic of immigration that is at the heart of contemporary African works, but also the expatriate status of most of writer. The writers' inspiration comes from their hybridity and decentered lives. From this, migritude writing emphasize some identity themes ; exile, alienation, exclusion, marginality.

      • KCI등재

        미그리튀드, 혼종적 정체성의 미로 -다니엘 비야울라의 사례를 중심으로

        심재중 ( Jae Jung Sim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2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91

        Le present article se propose d`examiner, autour des ecrits de Daniel Biyaoula, l`une de ses porte-voix, la problematique identitaire du mouvement `migritude`, un neologisme combinant negritude et migration. Pour cela, nous analysons tout d`abord, dans Agonies, le deuxieme roman de Daniel Biyaoula, les aspects divers de l`alienation des immigres d`origine africaine, notamment l`experience d`une identite hybride ou fragmentee, voire impossible a vivre, l`identite que vivent quotidiennement les protagonistes noirs enfermes dans l`espace social sombre et hybride de ``l`Afrique-sur-Seine``. Ensuite, nous montrons que la litterature de Daniel Biyaoula dans son ensemble peut e tre interpretee comme un rapport douloureux sur la situation identitaire toujours desesperee des negro-africains, un compte-rendu redige par un ecrivain qui croit que "la Negritude ne s`est toujours pas trouve". Finalement, nous remettons en cause l`identite de la litterature de la migritude courramment admise dans le domaine pour arriver a conclure que la litterature des ecrivains negro-africains comme celle de Daniel Biyaoula peut e tre consideree comme une partie de la litterature francaise, tout en etant de la litterature francophone d`Afrique. Cela en ce sens qu`elle represente la voix de l`Autre qui est bel et bien venue de l`interieur de la France, non pas de l`exterieur. En somme, la migritude, c`est une litterature hybride, mais enracinee dans l`histoire des negro-africains depuis l`epoque de l`esclavage jusqu`a l`ere de la mondialisation.

      • KCI등재

        혼돈의 문학사, 프랑스어로 된 아프리카 문학의 역사

        원종익(Won, Jong-i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9 외국문학연구 Vol.- No.35

        ‘프랑스어로 된 아프리카 문학’은 제목 그 자체로 이미 아픔과 모순을 담고 있다. 자신의 언어가 아닌 식민 종주국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는 아픔과 더불어 타 언어로 자신의 문화와 정신을 표현해야 하는 모순을 전면에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근본적 문제 외에도 아프리카 문학은 특히 문학 연구나 문학사 기술이 상당 부분 프랑스 학자들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자신이 바라보는 자신의 문학 연구가 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상황에서 프랑스어로 된 아프리카 문학이 야기하는 혼돈과 엉클어짐을 다루고자 한다. 이는 대략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 볼 수 있는데 먼저 ‘아프리카 문학’과 ‘프랑스어’가 어떤 식으로 결합하느냐의 문제이다. 적어도 이 경우 학자나 작가들이 ‘프랑스어 아프리카 문학’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문학’ ‘프랑스어로 된 아프리카 문 학’,의 세 가지 방법을 혼용함을 알 수 있다. 이 세 가지 경우는 얼핏보아 큰 차이를 갖고 있는 것 같지 않지만 프랑스와 아프리카가 공유하고 있는 역사성을 배경으로 살펴보면 이데올로기의 차이를 간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문학’은 전적으로 프랑스 입장에서, 아프리카를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세계 속의 한 지역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언어를 무기로 새로운 방식의 제국주의를 꿈꾸는 프랑스의 야욕이 음험하게 자리 잡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프랑스어로 된 아프리카 문학’은 프랑스어를 단순히 표현 수단으로 보는 것으로 비록 식민 종주국의 언어를 사용하지만 나름대로 아프리카 문학의 독자성과 자주성을 강조하고 있다. 두 번째의 혼돈은 과연 아프리카가 어디를 지칭하느냐의 문제이다. 대략 아프리카 대륙 중에서는 사하라 이남을 가리키지만 종종 카리브 지역과 마다가스카르도 아프리카의 범주에 들어가기도 한다. 또한 용어 자체도 단순히 아프리카라고 하는 경우도 있지만, 검은 아프리카, 흑인 아프리카, 니그로 아프리카 등 학자마다 혹은 동일 학자의 저작물들에서도 혼돈 현상이 벌어진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혼돈스러운 용어의 정리와 함께 과연 아프리카는 어디를 지칭하는가를 살펴본다. 세 번째는 아프리카 작가의 정체성은 무엇인가에 대한 성찰이다. 아프리카가 어디를 의미하는지 혼돈스런 상황에서 작가의 정체성이 흔들리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다. 세제르나 다마스 등은 카리브 지역 출신임에도 아프리카 문학사에 흔히 등장한다. 또한 많은 작가들이 아프리카 대륙에서 활동하는 것이 아니라 프랑스에서 활동하고 몇 몇 작가들은 아프리카 흑인이라기보다는 프랑스 사람과 같은 행태의 문학 활동과 삶을 살기도 한다. 게다가 최근의 경우, 이민 문학, 혹은 이주 문학이라 할 수 있는 미그리튀드 migritude 문학은 아프리카 작가의 정체성 추구에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그들에게 피부색은 부차적 문제일 따름이다. 그들에게는 작가가 된다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부각된다. 아프리카 작가란 무엇을 말하는지 심한 혼돈 현상이 벌어지는 경우이다. 이러한 여러 혼돈 현상은 단순한 혼돈과 엉클어짐이 아니다. ‘아프리카 문학이란 무엇인가’와 같은 본질적인 질문이기도 하고, 아프리카 문학과 문학사를 아프리카 입장에서 다시 정리하고 성찰해야 함을 요구하는 것이기도 하다. When we write or read the history of African literature in French, we are sure to be confused ; the fact that the African literature depends on the colonizer's language shows its embarrassed situation and causes some contradictions. First, we have to indicate the irregularity of the title which has at least the three forms : la littérature africaine de langue française, la littérature africaine francophone, la littérature africaine d'expression française. These designations can be explained by the ideological view. In the second place, the use of the term ‘afrique(Africa)’ is also source of ambiguity: afrique, afrique noire, négro-africain, etc. This confusion lead us to the vagueness and the fragility of the limits of the field of research. To make clear these difficulties, the cultural, racial and geographical criteria must be mobilized. Finally, the identity of the African author is obscure and inconstant. For example, the authors, as Césaire and Damas, figure often in the history of African literature although they are not of African origin. Furthermore, the more recent concept of migritude designates both the thematic of immigration that is at the heart of contemporary African works, but also the expatriate status of most of the writers. Their inspiration comes from their hybridity and decentered lives, elements that now characterize a kind of French-style world literature. In this way, migritude symbolizes a kind of third space that comes from a questioning of certain prevalent discursive configurations and simultaneous disengagement from both the culture of origin and the receiving culture within a new space of identity.

      • KCI등재후보

        아프리카의 프랑스어 소설 연구

        원종익(Won Jong-Ik) 한국아프리카학회 2003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18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evolution of the African novels in French. First of all, we have to admit that the study of novel is too scanty in comparison with that of poetry in our country. In general, the African literatures in French remind us of the great poets, for example, Senghor, C?saire - who are well known as pioneers of the N?gritude. But we must say that there is an honorable tradition in the sphere of novel. It is, in fact; the African novels in French that reflect more really the difficult situations of the African countries ruled by the Europe. For the African writers, the novel is looked upon as a genre that can express the painful reality of the Africa. This article is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we can see the period of reconciliation and ambiguity. Ren? Maran's Batouala can be called a prelude to a great history of African novels, even if the author was born in the Caribbean. In this novel, Maran does not show the conflict of two continents, but the humanity. Written under the influence of French symbolism, this novel captivates the French leaders. In 1950, comes the period of awakening and struggle. In his novels written before 1960, Mongo B?ti offers his vision of the interplay of the two worlds of colonial Africa : the African society, the only one in which the natives can survive with integrity, and colonial society, whose imperialist tentacles reach everywhere. These opposing forces generate violence of all sorts, and the effects of that violence in both the city and in the most remote country areas are demonstrated in B?ti's novels. B?ti shares with many other writers of his generation, for example Ferdinand Oyono, Ousmane Semb?ne, this sense of tragedy created by colonialism. After Independence, the writers deal with the many problems and frustrations the african society encounters. They don't forget to awaken the reader to the oppression endured by blacks in the French African colonies and denounce also the injustices of the regime, newly founded by blacks. They are in search of their identity. They express their own anguish and that of the uprooted African.

      • KCI등재

        La communauté des Noirs Africains au Québec : état des lieux et perspectives

        HONG Mi-Seon(홍미선)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10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31 No.-

        국내 불어불문학계의 오랜 관심사로 그동안 퀘벡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프랑코포니 연구가 소수민족의 이주문학과 문화횡단주의(transculturalisme) 를 주제로 진행되는 상황에서, Ghislaine Sathoud의 Les femmes d'Afrique centrale au Quebec 등 퀘벡사회 내 흑인문학의 존재는 그 연구의 지평이 프랑스어권 아프리카로까지 확장될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을 갖게 한다. 이러한 작업의 일환으로 기획된 본고는 우선 퀘벡 흑인사회의 연혁을 역사문헌과 인구통계자료를 통해 검토하고, 유럽에서와는 달리 퀘벡에 거주하는 흑인들의 겉모습이 당당한 이유가 높은 수준의 학력 또는 경제력을 요구하는 훨씬 더 까다로운 이민자격 심사기준에 있음을 설명한다. 이어서 아프리카 출신 흑인들이 퀘벡사회에 적응하여 사회적 통합을 이루고 동화되어 가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을 살펴본 후, 퀘벡에서 활동 중인 예술가, 문인, 학자 등 흑인 지식계층의 현황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향후 퀘벡사회의 흑인공동체 비중이 점차 커져갈것이며, 동시에 아프리카산(産) 흑인문화도 아메리카 대륙의 프랑스어권 교두보인 퀘벡에서 서인도 제도로부터 유입된 크레올 문화 못지않게 심화되어 나갈 것이라는 결론을 얻게 된다. 이는 21세기 세계화 시대에 영어가 국제어로서 위상을 굳혀 가면 갈수록 아프리카 또는 유럽의 프랑스어권 흑인디아스포라 사회에서 해외이민을 희망하는 중산층이 영어와 불어의 동시 습득이 가능한 퀘벡을 선호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프랑스 현대 이주 문학의 지형

        기영인 국제비교한국학회 2023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31 No.2

        In Korea, the study of immigrant literature has primarily concerned itself with emigrated Korean writers and the literature of the Korean diaspora. With an increasing influx of people from other shores, however, Korea is slowly turn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nd more people are turning their attention to the position of immigrants in relation to mainstream society. In France, a country with a long history of immigration, migration literature is a current of contemporary literature that has long shed a light on the lives of both immigrants and emigran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utline migration literature in French and exam- ine the characteristics of said literature. After the mass influx of migrant workers and their families from Algeria and other former French colonies in North Africa, writers of Maghrebi origin began to receive attention in the 1980s, and their works were considered as literary interpretations of sociopolitical issues surrounding immigration, identity, and margin- alization in French society. Since the 2000s, the freshness of language and form in these works has been recognized as a factor expanding the horizons of contemporary French literature. Meanwhile, the works of migrant writers from sub-Saharan Africa based in France, who explore the multilayered experience of migration across continents and cul- tures, are forming an emerging category in francophone literature. By examining the evolu- tion of the writing and reception of migrant writers in France, we note the position of migra- tion literature, illustrative of the thematization of the contemporary, such as the amalga- mation of cultures and transnational identities, as well as its categorical utility in com- parative literary studies at the interface of diaspora literature and immigrant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