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텔업에서 전략적 성과측정 기법, 측정정렬, 성과측정 시스템 만족도의 관련성

        유승억(Yoo, Seung-Eok) 한국국제회계학회 2011 국제회계연구 Vol.0 No.40

        본 연구는 최근 실무와 연구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전략적 성과측정 기법들의 이용이 성과 측정 시스템과 전략적 우선사항들을 보다 밀접하게 연계 시키는 지를 확인하고, 전략적 성과측정기법들의 성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할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우리나라 70개 호텔기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전략적 성과측정 기법의 도입이 성과측정 정렬과 성과측정 시스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성과측정 정렬이 성과측정 시스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을 수립하고 검증을 실시하였다. 전략적 성과측정 기법으로는 BSC, EVA, 인과 비즈니스 모델이 고려되었다. 가설 검증을 위한 다중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전략적 성과측정 기법의 도입은 성과측정시스템 만족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치동인과 성과측정 실무의 정렬은 성과측정시스템 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측정 정렬기법의 도입은 측정 정렬수준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호텔기업들이 전략적 성과 측정 기법의 도입과 가치동인과 측정 실무의정렬을 통하여 성과측정시스템 이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그러한 성과측정 시스템에 대한 이용자의 만족도 향상은 조직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개선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Using questionnaire survey data obtained from management accountants of 70 hotels in Korea,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the use of strategic performance measurement techniques, measurement alignment with value drivers and measurement system satisfaction. Three strategic performance measurement techniques(balanced score-cards; BSC, economic value added; EVA, causal business model) were considered in this research. To test hypothese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statistical tests provide evidence that measurement system satisfac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use of strategic performance measurement techniques.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alignment between value drivers and measurement practice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measurement system satisfaction. No evidence of systematic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strategic performance measurement techniques and measurement alignment with value drivers has been found.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의 넓이 측정 지도에 관한 고찰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오영열 ( Young Youl Oh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1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과 측정 영역 가운데서 넓이 측정에 대해 학문적 연구 결과 드러난 사실들을 바탕으로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및 이에 근거한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넓이 측정 내용을 고찰 및 분석하는데 그 주요한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드러난 점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넓이 측정에 대한 지도는 절차적 지식 중심이 아니라 측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아이디어에 초점을 맞추는 개념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넓이 측정의 개념적 토대가 되는 측정 단위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지적한다. 둘째, 2차원적인 평면 도형의 넓이를 측정하는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위 정사각형으로 직사각형을 완전히 덮고 그 개수를 세는 것이 아니라 단위 정사각형이 직사각형 내에서 어떠한 형태로 배열이 되는지에 대한 직사각형의 배열 구조를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셋째, 우리나라 수학 교과서에 대한 고찰 결과 1학년의 비교하기 활동이 4학년에서의 보편단위를 도입한 직사각형의 넓이 측정으로 유기적인 연결이 부족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임의단위로서 구체물을 활용하여 넓이를 측정해 보는 기회가 필요하다. 측정을 배우는 것은 측정 과정에서 중요한 수학적 사고 과정을 배우는 것이다. 측정을 틀에 박힌 공식 암기에 의존하여 학습할 경우 측정 지식을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따라서 측정에 대한 본질적인 아이디어를 배울 수 있도록 개념적 접근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넓이 측정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적 이해를 돕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넓이 개념에 대해 충분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mainly to review the findings from the research of area measurement during the last two decade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area measurement in the revised 2007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and mathematics textbooks, and finally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latter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find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ing about area measurement needs to be focused on ``important ideas`` to help students`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concepts of area measurement rather than the procedural knowledge. Secondly, structuring an array is at the heart to understand two-dimensional area measurement. Thirdly, there was a lack of connection of teaching area measurement between intuitive comparison of objects in the first grade and the use of the standard unit to measure the two-dimensional rectangle. Thus, students need to have an opportunity to measure area of objects using concrete materials as informal units. To learn measurement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the important mathematical ideas. Thus, the conceptual approach to measurement is the way to learn the fundamental ideas of measurement. In addition, teachers` deep understanding of the fundamental concepts of area measurement is necessary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ual learning of area measurement.

      • KCI등재

        지식재산권 창출을 위한 체육측정평가 KIP 교수-학습 모듈 개발의 타당화

        고유선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5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7 No.1

        In terms of measurement tools in physical education, most pieces of the measurement equipment are very time-worn or imported - expensive royalty fees are paid to im KIP Teaching-Learning Module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presenting the roles. The education course for developing the module was aport them. This study intends to solve the problem. Specifically, it intends to create a new tool combined with new ideas as an intellectual property by grasping the problems of the tools with low validity and reliability used for measuring physical strength in the physical education field, where measurements and evaluations are performed. Furthermore, it intends to present the validity by developings follows. First, 30 attendees of the course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of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of University A were divided into 9 groups of 2-4 members. They received education about the concept of the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physical strength, came to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practised physical strength measurement for 3 weeks during March 2014. They measured the physical strength about 500 people during the last week, discuss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equipment, and found out the problems. The module was developed through a total of 5 steps (1st: beginning theory understanding and practising; 2nd: the exploration of equipment that is based on standard; 3rd: prior art search; 4th: announcing after the patent applications; 5th: evaluation). All the students who belong to the 9 groups succeeded in the patent applications and utility model patent registrations themselves. The problems common to the measurement tools a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hysical strength measurement tools -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related to genders, ages, body shapes, materials, shapes, convenience for use, etc. The KIP education course can provide an opportunity for learners to learn about the possibilities of protection of their ideas and the possibilities of ultimate value creation as well as provide a sense of accomplishment to them, through the patent application process for coming up with ideas using the obtained knowledge and for creating intellectual properties. Future, This module requires a check on evaluation Criteria. 체육측정도구를 살펴보면 매우 노후되었거나 다른 나라로부터 수입되어 값비싼 로열티를 지불하는 기자재들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는 체육교육 현장에서 타당성과 신뢰성이 떨어지는 측정도구의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결합한 도구를 지식재산으로 창출하기 위해 체육측정평가 KIP 교수-학습 모듈을 개발하며, 역할을 제시함으로써 그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KIP 교수-학습 모듈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A대학 체육교육과 체육측정평가 수강생 30명을 2~4명씩 9개조로 편성하여 학생들에게 2014년 3월 중 3주간에 걸쳐 체력측정평가에 대한 개념 및 이해와 체력측정 실습교육을 하였고, 마지막 주 800여 명을 직접 체력측정 한 후 측정기자재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성에 대한 토론을 하여 그 문제점을 찾아내었으며, 3주간에 걸쳐 그룹별로 아이디어 회의를 하였다. KIP 교수-학습 모듈은 1단계: 도입(이론이해 및 실습), 2단계: 기준근거의 기자재 탐색, 3단계: 선행기술조사, 4단계: 특허 출원 후 발표, 5단계: 평가 단계로 개발되었는데, 9개조 모두 직접 특허출원 및 실용신안 등록에 성공하였다. 측정도구에 관하여 제기될 수 있는 공통의 문제점은 성별, 연령, 체형, 자재의 재료, 형태, 사용편리 등 체력 측정에 대한 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에 대한 것이다. KIP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통해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지식재산을 창출하기 위한 특허출원과정을 거침으로써 학습자의 성취감은 물론 자신들의 아이디어를 보호받고 가치창출로 이어질 수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배울 수 있으므로 차후 이 모듈에 대한 기준 점검이 요구된다.

      • KCI등재

        삼각형과 사각형의 내각의 합 지도에서 측정 오차의 활용 방안

        오영열 ( Oh Young Youl ),박주경 ( Park Ju Kyu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1

        측정 교육은 구체물을 조작하고 대상의 속성을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서 학생들의 다양한 사고가 발현되는 영역이다. 측정의 기본적인 속성에 대한 이해와 사고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측정 교육이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 특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도기를 사용하여 삼각형과 사각형의 내각의 합을 구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측정 오차를 의미 있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 1개 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각도기를 사용하여 삼각형과 사각형의 내각의 합을 측정하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각도기로 각의 크기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측정 오차가 발생했다. 이러한 측정 오차는 측정 활동의 과정에서 학생들에게 자연스럽게 나타날 수 있다. 둘째, 측정 오차를 활용하여 삼각형과 사각형의 내각의 합을 지도하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자료를 막대그래프로 표현함으로써 측정과 통계를 연결하여 학습할 수 있고, 표현된 그래프를 바탕으로 삼각형과 사각형의 내각의 합을 추측하기 위한 깊이 있는 토론을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다른 사례에 적용하는 활동을 통하여 측정의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에 도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측정 수업이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는 사고에 기반 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들의 수학적 사고와 특성에 맞는 교수 학습을 위한 다양한 실천적 연구가 필요하다. Measurement education is an area in which various thoughts of students are expressed through the process of manipulating and exploring the properties of objects. It should be based on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the basic attributes of measurement. Therefore, we have studied the method that can meaningfully use the measurement erro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fourth-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o measure the sum of a triangle and a quadrilateral using a protractor to explore meaningful use of measurement errors. As a result, students showed measurement error in measuring angle size with the protractor. These errors can occur naturally to students in the course of measurement activities. Second, we explored ways to guide the sum of the triangle and the quadrilateral by using measurement errors. By using measurement errors in class, students can increase interest and curiosity in measurement learning. In view of this, students can learn by linking measurements and statistics by representing their own data in a bar graph, by having in-depth discussions to guess the sum of the triangle and the quadrilateral based on the graph represented, and by applying the activities to other cases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This study suggests that elementary school measurement classes should be based on thinking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To this end, various practical researches are needed to gui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suit their mathematical thinking and characteristics

      • KCI등재

        호텔업에서 성과측정의 다양성과 성과측정 시스템 만족도의 관련성

        최해수,유승억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07 호텔경영학연구 Vol.16 No.2

        많은 기업들은 기업의 목표달성을 위한 높은 잠재력을 제공하는 전략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성과 측정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적 성과 측정시스템 에 대한 접근법 중의 하나는 단기 재무척도에서는 정확히 반영되지 않는 주요 전략적 성과 범주를 포착할 수 있는 다양한 비재무 척도가 전통적 재무적 척도를 보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70개 호텔에 대한 설문 자료를 이용하여 재무적 성과 측정과 비재무적 성과 측정의 중요성에 대해서 조사하고, 측정의 다양성과 측정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간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성과척도의 이용 현황에 대한 조사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호텔들은 전반적으로 재무적 척도뿐만 아니라 다양한 범주의 비재무 척도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단기 재무성과, 고객관계, 서비스/ 상품의 품질과 관련한 성과 척도가 중요하게 고려되고, 이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검증결과에 의하면 측정의 다양성은 측정시스템과 유의적인 정(+)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의 다양성을 재무적 성과 척도의 이용과 비재무적 성과 척도의 이용으로 세분하여 측정 시스템 만족도와 회귀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재무적 척도의 이용과 비재무적 척도의 이용 모두 측정 시스템의 만족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any firms are adopting strategic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that provide information that allows the firm to identify the strategies offering the highest potential for achieving the firm's objectives. One approach to strategic performance measurement is supplementing traditional financial measures with a diverse mix of non-financial measures that are expected to capture key strategic performance dimensions that are not accurately reflected in short-term accounting measures.Using data from 70 hotels,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measurement diversity and measurement system satisfaction. We also examine the importance of financial and non-financial measurement.We find evidence that hotels making more extensive use of a broad set of financial and non-financial measures have higher measurement system satisfaction. Our results also suggest that both the use of financial measures and the use of non-financial measure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easurement system satisfaction respectively. Our results may not generalize to other industries, future studies can extend our analysis.

      • 교통환경 소음관리를 위한 소음측정망 system 개선

        박영민 한국환경연구원 2011 수시연구보고서 Vol.2011 No.-

        현재 급속한 경제발전에 따른 대도시 인구의 과밀화 현상과 교통수요의 급격한 증가는 도로의 건설 등을 유발하여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으며, 도로교통소음으로 인한 민원건수는 666건으로 11.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실질적으로 많은 소음피해를 주는 원인자는 도로교통소음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환경부에서는 소음관리를 위한 각종 법령의 정비 및 정책의 수립 등 생활 소음관리부문을 역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국가환경소음 관리방안으로 현재 45개 도시, 351개 지역, 1,736개 지점을 대상으로 자동측정망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소음측정망 활용도가 낮고, data 신뢰도에 대한 문제점이 개선되지 않는 등 소음환경정책의 기초 자료로서 충실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음환경정책의 기초자료 및 연구자료 등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외국의 소음측정망 운영현황 및 소음측정망(도로변 지역)에 대한 자료와 실측데이터 비교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의 소음측정망 운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소음도 하나를 측정하여 활용하는 측정망의 구성형태에서 탈피하여 실질적인 측정망 구성요소, 즉 교통량, 속도, 기상에 대한 측정을 부가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예측식 검증뿐만 아니라 소음지도와의 연계와 기상 및 속도, 아스팔트 상태에 따른 소음도 분포 등의 연구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측정망 구성을 통하여 여러 분야에서의 활용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개선해 나아가야 한다. 둘째, 현재 소음측정망과 국토해양부의 교통량 자료, 대기오염자동측정망 측정지점의 불일치로 인해 도로변 환경소음측정망 자료의 활용가치가 낮아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환경영향평가, 정책수립, 위해성평가, 민원발생 최소화 및 해결을 위해서는 대기오염도, 교통량, 속도 등 다른 부가적인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개발 및 신설측정망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소음측정망 자료 활용성 측면에서는 사전환경성검토, 전략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에서 활용가치는 큰 것으로 판단되나 도시계획수립 시 소음을 고려한 도시계획수립, 환경분쟁의 해결, 소음예측식 개발 등 효율적인 소음관리 정책수립을 위하여는 Web-GIS 기반구축은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신뢰성 있는 자료 수집을 위한 환경소음측정망 개선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Overpopulation in big cities and rapid increasing demand of traffic resulting from drastic economic development raised the greater number of road construction, which is emerging as a social issue. Though the number of civil complaint in traffic noise is 666, which takes 11.9%of them, it is estimated that traffic noise causes a lot of traffic damage. In response of this, Ministry of Environment has been pushing forward Daily Life Noise Management as a focal project, which includes modifying various laws and establishing new policies for Noise Management. It also has been building and running Automatic Measurement System at 1,736 offices, 351 area in 45cities for Nation Environment Noise Management. but Automatic Measurement System has had a low application and not been playing a role properly as basic data of Noise Environment Policy since its data is inaccurate and unreliable. Therefore, for high application of its basic data and study material, this study focuses on getting the problems of national noise Measurement network System and suggests remedy for them. It is desirable to approach the solution by comparing data about operation of foreign Noise Measurement network System, road Noise Measurement with ours. Firstly, Noise Measurement network System should extend the range of application, which is measuring only Noise Level, to make it more useful in various area. It should be achieved through not only predict verification but also the relation of noise map, weather, speed that is applicable for the experiment of the noise up to the condition of pavement by measuring Measurement System Component, that is, the volume of traffic, speed, weather. Secondly, it is estimated that the application value of road Environment Noise Measurement network system data has been dropping with discordance between current Noise Measurement network system and data of traffic volume in Ministry of Land and Air pollution Automatic Measurement point.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technology to measure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air pollution level, the traffic volume, speed for EIA, new policy making, risk assessment, less complaint. Thirdly, from the aspect of Noise Measurement network system data application, it is considered that Noise Measurement network system Data used in Prior Environmental Review, SEA and EIA is highly applicable(useful), but it is essential to build web-GIS base first for setting up policy of efficient Noise Management, such as city construction plan based on anti-noise, settlement for environment dispute, Noise Prediction Method development. Improving Environment Noise Measurement system is very significant for reliable data collection.

      • KCI등재

        다중 측정오차 변수를 고려한 Fay-Herriot 모형

        김수지,황진섭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3

        Sometimes, variables could not measured exactly because of several factor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rue value and measured value is called measurement error. These measurements errors complicate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this problem is commonly called measurement error problem. In generally the model considering the measurement error is called the measurement error model. We have developed the Fay-Herriot expansion model that considers one covariance measurement error in our previous model. In practice, however, multiple covariates could have measurement errors and we propose a small area model considering multiple measurement error variables in this study. Especially, it can be classified into functional and structural measurement error model depending on whether the probability of covariance having measurement error is assumed or not.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structural measurement error model. We fit the model and estimate parameters based on the hierarchical Bayesian method and we proved the superiority of our model through simulation and application studies. We consider the seven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for the application.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때때로 변수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제 값과 측정 값 사이의 차이를 측정오차라고 한다. 이러한 측정오차는 통계적 분석을 복잡하게 하며 이를 고려한 모형을 측정오차 모형이라고 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하나의 공변량 측정오차를 고려한 Fay-Herriot 확장모형을 개발하였다. 하지만 실제 분석에서는 하나 뿐 아니라 여러 개의 공변량이 측정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중 측정오차 변수를 고려한 소지역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측정오차를 가지는 공변량의 확률성 가정 여부에 따라 기능적 측정오차 모형과 구조적 측정오차 모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측정오차 모형을 고려하였다. 계층적 베이지안 방법을 기반으로 모형의 적합 및 모수를 추정하였고, 모의실험을 통해 기존의 측정오차 변수가 1개인 측정오차 모형과 비교하여 제안한 모형의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제7기 1차연도(2016) 실증자료를 이용하여 적합도를 비교한 결과에서도 기존 연구 모형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형의 추정치가 더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 가치 측정방법의 특징 분석 및 최신 동향

        정아름(A-reum Jung),허승준(Seung Jun Hur),송기광(Ki-kwang Song),김보영(Bo Young Kim) 한국경영학회 2020 Korea Business Review Vol.24 No.3

        최근 사회적 가치는 전 세계적으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주체별로 다양한 측정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가치 측정방법의 발전 동향과 측정 주체별 차이를 분석하고 최신 측정방법의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사회적 가치 측정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면 사회적 서비스 제공을 담당해 왔던 정부와 국제기구, 비영리재단 등을 중심으로 측정을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다양한 주체들이 서로 다른 측정방법을 개발하고 사용함에 따라 보편적 글로벌 목표를 구체화하고자 하는 특징이 두드러진다. 측정 주체는 크게 국제기구, 정부, 비영리재단, 임팩트 투자기관, 컨설팅회사, 기업 이니셔티브로 구분할 수 있는데, 각 주체별로 측정하고자 하는 목적이 상이하며, 측정방법 또한 다소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사회적 가치 측정방법을 5가지 특징으로 정리하였다. 첫째,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의사결정에 함께 활용하기 위해 정량적 측정 중에서도 화폐가치로 측정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둘째, 2010년대로 들어서면서 국제사회에서는 사회적 가치 측정방법에 대한 글로벌 기준을 도모해야 한다는 논의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으며, 측정방법의 표준화에 대한 필요성이 강하게 논의되고 있다. 셋째, 공급자 중심의 노력이 아닌 사회적 가치의 본연적 이해관계자인 수혜자의 실제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변화하고 있다. 넷째, 사회적 가치를 단독으로 측정하고 보고하는 것이 아니라 경제적 가치와 통합하여 보고하려는 논의가 시작되고 있다. 다섯째, 정확한 측정을 위해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가치 측정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측정 주체별로 다양한 사회적 가치 측정방법을 정리한 최초의 연구이며, 최근 사회적 가치 측정방법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사회적 가치 측정의 역할과 방향을 찾을 수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 As the importance of social value has increased worldwide, various methods of social value measurement have been developed by many agents. In this respect,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social value measurement methods, the methodological differences between ag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est measurement methods. The development process of social value measurement method began with agents such as government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non-profit foundations. As various agents develop and implement their own measurement methods, the call for global standardization has increased. The agents can be primarily categorized into international organizations, governments, nonprofit entities, impact investment institutions, consulting firms, and corporate initiatives. The measurement methods differ from agent to agent as the objectives of each are different. This study considers five characteristics regarding recent social value measurement. First, there is a gradual movement to translate social value in monetary terms to utilize both social and economic values in decision-making. Second, since the 2010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emphasized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global standards for social value measurement. Third, there has been a transition from supplier-oriented measurements to a system that measures the actual change for beneficiaries. Fourth, changes have been made to integrate both social and economic values in reporting rather than social value alone. Lastly, there have been an increase in attempts to collect information via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for more accurate measurement. This is the first research to organize various agents based on their social value measurement methods. It provides insight on the current direction and role of these methods through their characteristics.

      • KCI등재

        국내 개인상담 성과의 측정 및 평가에 대한 분석: 학술지 '상담학연구'와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를 중심으로

        왕은자,유정이,김선경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5

        Scientific and concrete evaluation of counseling outcomes is a foundation of the effective counseling. This study analyzed 76 studies published o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to investigate measurement tools, measurement areas, and other trends in evaluation.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asurement tools used to measure individual counseling outcomes, SEQ(Session Evaluation Questionnaire), CSQ(Counseling Satisfaction Questionnaire), CRF(Counseling Rating Form), WAI(Working Alliance Inventory), SCL-90-R(Symptom Checklist-90-Revision) were mainly used. Most of the measurement tools measured clients’ emotional changes rather than specific symptoms or functional improvements after the counseling session or after counseling. Second, the measurement areas do not come under major areas like general stress, specific symptoms, health and functional level. Finally, the analysis of other trends related to the measurement tools and measurement areas was divided into measurement development, individual counseling effectiveness index, qualitative studies related to counseling outcomes, and other trend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the concept of counseling outcomes, the level of measurement and measurement area, and methods for assessing alternative effects. 상담 성과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측정 및 평가는 상담학 발전의 중요한 계기가 된다. 본 연구는 국내의 양대 학회지인 <상담학연구>와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에 게재된 논문 중에서 개인상담 성과를 측정 및 평가하거나 탐색한 76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성과 측정에 사용된 측정도구의 빈도 및 특징, 측정영역, 측정 및 평가의 기타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개인상담 성과의 측정도구 사용빈도는 회기평가질문지(SEQ), 상담만족도질문지(CSQ), 상담 성과질문지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SEQ와 CSQ가 압도적으로 자주 사용되었다. 측정도구를 Orlinsky, Grawe와 Parks(1994)가 구분한 측정수준으로 분석했을 때 대부분 회기 직후의 성과와 여러 회기 후의 상담 성과를 내담자 관점에서 리커트 방식으로 측정하고 있었다. 둘째, 측정도구의 측정영역을 일반적 스트레스, 특정증상, 건강과 기능수준, 기타로 구분하였을 때 도구들은 주로 기타에 해당되는 영역, 즉 즉시적 성과나 과정 성과 등을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인상담 효과의 측정 및 평가와 관련된 기타 동향을 분석한 결과, 성과 측정도구 개발, 개인상담 효과의 지수 및 준거 탐색, 상담 효과 경험 관련 질적 연구 및 기타 동향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실제 상담의 효과를 측정 및 평가할 때 고려해야 할 상담 효과의 개념, 측정수준 및 측정영역, 대안적인 효과 평가의 방법 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지방공기업형 사회적 책임 측정 모델 개발

        방준용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9 경영컨설팅연구 Vol.19 No.3

        In this study, major measuring tools for social responsibility, which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and utilized, were compiled and analyzed with the aim of developing a measuring tool for social responsibility suitable for local public enterprises. Although major areas of activity were set up only for domestic and specific areas due to the nature of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Regional public Corporation, measuring tools not only at home but also abroad were included in the research targets based on globalization trends for social responsibility. The four representative social responsibility measuring tools (ISO 26000, GRI, UNGC and KEJI)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for social responsibility measuring tools, including 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 Sustainability Index and FTSE 4GOOD Index. ISO 26000 was selected as the basis for the social responsibility measurement model for local public enterprises among existing social responsibility measurement tools by analyz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individual measurement tools while organizing various social responsibility measurement tools. ISO 26000 applied various stakeholder views from the beginning of development and reviewed and reflected as many existing data as possible, and considered it suitable as the basis for a local public corporation-type social responsibility measurement model, a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made it more likely to generalize different types of local public entities. After developing the primary measurement model based on ISO 26000, the entire survey was conducted on 146 regional public corporations, excluding direct-run companies, to survey items in the measurement model. Prior to the launch of this survey, to enhance the suitability of the survey items and contents, a preliminary review was conducted by the heads of departments and practitioners of six public corporations. A survey data was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with the social responsibility indicators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of local public corporations to refine the measurement model, and a social responsibility measurement model comprised of 147 items of 28 components in six dimensions was derived.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a policy manner, it is worth using first as a strategic approach to social responsibility, and leads to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oriented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Finally, by using it as a management tool for various stakeholders, it is expect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can be improved from a supply-oriented to demand-oriented perspective.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지방공기업에 적합한 사회적 책임에 대한 측정 도구 개발을 목표로 기존에 개발·활용되고 있는 사회적 책임에 대한 대표적인 측정 도구들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지방공기업은 설립·운영 특성상 주로 국내 및 특정지역에 국한하여 활동영역을 설정하고 있으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세계화 추세에 근거하여 국내는 물론 국외 측정 도구들도 연구대상에 포함하였다. 4개의 대표적인 사회적 책임 측정 도구(ISO 26000, GRI, UNGC, KEJI)와 함께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 지속가능지수, FTSE 4GOOD Index 등을 포함시켜 사회적 책임 측정 도구들에 대해 포괄적으로 검토하였다. 다양한 사회적 책임 측정 도구들을 정리함과 동시에 개별 측정 도구들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기존에 존재하는 사회적 책임 측정 도구들 중에서 지방공기업형 사회적 책임 측정 모델의 근거로서 ISO 26000을 선정하였다. ISO 26000은 개발 초기부터 다양한 이해관계자 관점을 적용하고 최대한 많은 기존 자료를 검토 반영한 것으로 철학적 토대가 견고함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지방공기업에 대한 일반화 가능성이 높아 지방공기업형 사회적 책임 측정 모델의 근거로서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ISO 26000에 근거하여 1차적인 측정모델을 개발한 후 2018년 행정안전부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대상 중 직영기업을 제외한 146개 전체 지방공사·공단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측정모델의 항목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본 설문조사 실시에 앞서 설문조사 항목 및 내용의 적합성 제고를 위해 6개 공기업 유형별(도시철도공사, 도시개발공사, 특정공사·공단, 관광공사, 시설관리공단, 환경시설공단) 부서장 및 실무자를 중심으로 사전검토를 실시하였다. 설문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의 사회적 책임 지표와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여 측정모델의 정제화를 실시한 결과 6개 차원 28개 구성요소 147개 항목으로 구성된 사회적 책임의 측정 모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바, 먼저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전략적 접근 도구로서 활용 가치가 있으며, 성과지향적 사회적 책임활동의 전개를 가능하도록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관리 수단으로 활용함으로써 공급 중심에서 수요 중심의 시각으로 조직문화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