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혼기 부부의 부부관계신념 인지가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임하영 ( Ha Young Lim ),박정윤 ( Jeong Yun Park ),조유현 ( You Hyun Jo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4 한국가족복지학 Vol.19 No.4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beliefs about marital relationships on the marital stability of newly-wedded couples in order to provide futur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on marital relationships and utilize the result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s for future family policies. This study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200 couples who had been married for less than 5 years. Marital stability for the husband became higher when the recognition of boundary belief was at a normal or higher level and when the investment belief was at a higher level. Marital stability for the wife became higher when the recognition of the boundary belief and investment belief were at a higher level. And the level of the application of beliefs about marital relationships and the marital stability of those husband and wife groups who recognized that boundary belief, power-control belief, and investment belief are all well applied to the couple, were at a higher leve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perception and application of beliefs about marital relationships for newly-wedded couples can affect their marital stability. Finally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practical and effective information used for educational programs and counseling to promote healthy marital relationships.

      • KCI등재

        예비부부의 부부관계전념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박은(Eun Park),김정민(Jung-Min Kim) 한국상담학회 2022 상담학연구 Vol.2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부부의 부부관계전념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프로그램 개발 관련 선행연구 고찰 및 예비 프로그램 진행을 토대로, 인지적 재구성, 의사소통훈련, 스트레스 대처훈련, 문제해결훈련을 구성요인으로 하는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실시 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의 예비부부 10쌍이며, 프로그램은 주 1회 2회기, 회기당 90분씩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는 사전, 사후, 3개월후 추후 검사를 통해 측정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실시 후 예비부부의 인지적 영역인 부부관계신념, 부부조망수용, 부부관계의 질 지각은 각각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부부관계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인 부부관계신념은 감소하였으며 부부조망수용과 부부관계의 질 지각은 증가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실시 후 예비부부의 행동적 영역인 부부의사소통, 스트레스 대처행동, 갈등해결전략은 각각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셋째, 프로그램 실시 후 예비부부의 부부관계전념의 하위 요인인 부부관계전념의지와 부부관계전념행동의 점수는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넷째, 프로그램 실시 전과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를 비교한 결과, 부부관계신념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갈등해결전략 중 타협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for marital commitment of premarital couple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o this end, first, a cognitive behavioral program consisting of cognitive restructuring, communication training, stress coping training, and problem-solving training as components was developed based on a review of prior researches regarding progra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preliminary program. The subjects of the program included 10 premarital couples currently residing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a total of 8 sessions, two 90-minute sessions per day over four weeks.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rough pre-, post-, and 3-month follow-up tes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Statistics 21.0.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ach cognitive domain of premarital couples, including marital relationship beliefs, dyadic perspective-taking, and perception of marital quality showed significant changes. The marital relationship beliefs, which are irrational ones about marital relationship, decreased, while the dyadic perspective-taking and the perception of marital quality increased. Second, each behavioral domain of premarital couples, including marital communication, stress-coping behavior,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Third, the scores of marital commitment will and marital commitment behavior, both of which are the sub-factors of marital commitment of premarital couples, increased significantly. Fourth, according to the comparison between the scores befor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and three months after the program ended, marital relationship beliefs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compromise among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stress-coping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 부부 문제에 대한 인지행동적 접근

        김진숙,권석만 서울大學校 社會科學大學 心理科學硏究所 2003 心理科學 Vol.12 No.1

        최근 이혼율과 더불어 가정파탄을 초래하는 부부 문제가 급증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부부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인지행동적 접근과 최근의 연구동향을 개관하였다. 이를 위해서 우선 부부 문제가 개인과 가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제시하고 부부 문제의 구체적인 갈등내용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부부 문제를 초래하고 악화시키는 다양한 인지행동적 요인들, 즉 부부관계와 배우자에 대한 역기능적인 신념과 기대, 배우자의 행동에 대한 인지적 왜곡, 부부관계에서 나타나는 부적응적인 행동방식 등을 소개하였다. 아울러 부부 갈등을 설명하는 인지행동적 설명모형으로서 Ellis의 합리적-정서 모형, Beck의 인지행동적 모형, Baucom과 Epstein의 인지 모형 및 Bradbury와 Fincham의 맥락 모형을 개관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인이 나타내고 있는 부부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인지행동적 접근과 앞으로의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Korean people are suffering from the soaring divorce rate and frequent marital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the recent research trend on marital problems from the cognitive-behavioral perspective. The important cognitive-behavioral factors resulting in marital problems, i.e., dysfunctional beliefs on marital relationship, unrealistic expectations to spouse, cognitive distortion to spouse's behavior, and maladaptive behaviors in marital relationships were reviewed on the basis of recent investigations. In addition, the major contents and issues of marital conflict were reviewed with the negative influences of marital problems on the married persons and their family. Lastly, the cognitive-behavioral approach and future research tasks for understanding and solving marital problems of Korean coupl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