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통 유무에 따른 요추 굴곡 각도와 좌전굴의 유연성과의 상관관계

        정동춘(Jung, Dong-Chun),이강구(Lee, Kang-Koo),이호진(Lee, Ho-Chin),한소연(Han, So-Yoen) 대한운동학회 2007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9 No.1

        본 연구는 남․여 요통군과 비요통군 간의 요추 각 분절의 움직임과 유연성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방법은 남성과 여성, 각각 요통이 있는 30명과 요통이 없는 30명을 대상으로 척추검사와 유연성 즉, 좌전굴과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남자의 경우 요통군과 비요통군간의 각 요추 분절의 각도변화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여자의 경우 요통군과 비요통군간의 요추분절의 각도변화에 있어서는 L5-S1에서 두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두번째, 요통군과 비요통군간의 유연성의 측정결과(평균 수치)는 요통군 11.54cm, 비요통군 10.46cm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세 번째, 서있는 자세(upright) 에서 굴곡(flexion) 할 때, 요통군의 남,여 각 요추 분절 움직임의 합이 유연성과 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났고, 비요통군 남자, 여자의 L5-S1의 합이 유연성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비요통군 남자의 L1-2의 분절 각도와 유연성 간에 음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연성과 요통의 유무, 성별, 그리고 요추분절간 운동각도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요통군이 요추를 굴곡하는 동안 요추의 모든 분절이 움직인 양이 유연성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고, 여성의 경우 좌전굴을 실행하는 동작에서 L5-S1을 다른 요추분절보다 많이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compare correlation of each lumbar segement motion with flexibility between low back pain(LBP) group and non low back pain(NLBP) group in men and women. the results were follows First, in case of m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ow back pain(LBP) group and non low back pain(NLBP) group. but, in case of wome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pinal segment motion of L5-S1. Second, in the test of flexibility( an aver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low back pain(LBP) group (11.54cm) between non low back pain(NLBP) group(10.46cm). Third, when spinal segment motion on trunk upright-flex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m of low back pain(LBP) group s lumbar segement mo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m of L5-S1 of non low back pain(NLBP) group, a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ngle of L1-2 and flexibility of the non low back pain(NLBP) group. 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ow back pain(LBP) group and non low back pain(NLBP) group, gender, each spinal segement motion. but, in low back pain(LBP) group, there was a some positive correlation on trunk upright-flexion. also, when women performed flexibility test, they used more angle of L5-S1 segment than other lumbar segement.

      • KCI등재

        만성요통환자와 정상인의 요부신전근력과 주관적 통증정도의 차이에 의한 재활치료 목표치 설정

        지용석,윤진환,임재형 한국운동과학회 2003 운동과학 Vol.12 No.2

        지용석, 윤진환, 임재형. 만성요통환자와 정상인에 있어 요부 신전 근력과 주관적 통중정도의 차이 관찰 후 재활치료시 목표치 설정. 운동과학, 제12권 제2호, 319-330, 2003. 본 연구는 1998년 12월 24일부터 1999년 3월 25일 사이에 S병원에 내원한 환자들 중에서 본원 운동처방과에 참여한 만성요통환자 44명(남 24, 여 20)과 요부에 문제가 없는 정상인 50명(남 23, 여 27)을 대상으로 요부신전근력과 주관적 통증정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 재활치료시 목표치를 구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토대로 일련의 설험과정을 마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만성요통환자들은 정상인들에 비해 남녀 모두 낮은 요부신전근력을 가지고 있었는데, 구체적으로 요부굴곡/신전비가 환자군 남성의 경우 2.49:1, 여성의 경우 2.29:1이었다. 둘째, 만성요통환자들은 정상인들에 비해 남녀 모두 각도별 낮은 요부신전근력을 가지고 있었는데, 구체적으로 0˚에서 남성 48%, 여성 44%, 12˚에서 남성 34%, 여성 31%, 24˚에서 남성 31%, 여성 32%, 36˚에서 남성 30%, 여성 32%, 48˚에서 남성 27%, 여성 33%, 60˚에서 남성 29%, 여성 34%, 72˚에서는 남성 32%, 여성 36%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p<.01)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만성요통환자들은 정상인들에 비해 자녀 모두 높은 주관적 통증정도를 나타내었는데, 구체적으로 남성 환자의 경우 요통정도(back pain)부터 직무형태 수정정도(work modification)에 이르기까지 95~98% 높았고, 여성 환자의 경우는 15문항을 종합하여 최소 92~99%까지 높았다. 결론적으로 만성요통환자들은 정상인에 비해 낮은 요부신전근력과 높은 통증정도를 가지고 있었으므로, 요통환자들을 대상으로 재활치료프로그램율 구성할 경우에는 각 요부굴곡 각도별 부족한 비율의 요부신전근력을 강화하는 것이 주관적 통증정도를 낮출 수 있는 과학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Jee, Y.S., Yoon, J.H., Im, J.H. Establishment of rehabilitative object through the differences of lumbar extension strength & subjective pain degrees betwee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and normal group. Excise Science, 12(2): 319-330,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nifest the differences of lumbar extension strength and subjective pain degrees betwee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and normal group. The subjects were total 94. They were 44 patients(male 24, female 20) and 50 comparative healthy men (male 23, female 27). We got the results of subjective pain degree using the modified visual analogue scale(MVAS) and measured the maximal isometric lumbar strength of all subjects using MedX lumbar extension machine(Ocala, FL). Results were as followed: The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groups included males and females had lower lumbar extension strength than that of normal control groups included males and females. The statistical significant(p<.01) differences were manifested in 0˚, 12˚, 24˚, 36˚, 48˚, 60˚ and 72˚ angles. The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groups included males and females had higher subjective pain degree than that of normal control groups included males and females. The statistical significant(p<.01, p<.05) differences were manifested in 15 questionnaires. As a conclusions, when planning the lumbar rehabilitation program for LBP patients, f should be favorable to measure the lumbar extension strength and MVAS. Also if the program is progressing, the improvement objective of lumbar extension strength should be 27%~48% in male and 31%~44% in female.

      • KCI등재

        중심성 척추관 협착증 환자의 감압술이 요통 감소에 미치는효과

        고상봉,이재준,남준호 대한척추외과학회 202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8 No.1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f prospectively-collected data. Objectives: To investigate whether decompression surgery can improve low back pain and symptoms of lower limb pain in patients with one-level central lumbar spinal stenos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atients with central lumbar spinal stenosis complain of not only lower leg symptoms, but also simultaneous low back pain in many cases. Therefore, patients who undergo decompressive surgery expect recovery from low back pain as well as lower leg symptoms, and surgeons who perform decompression surgery make efforts to improve both symptoms. Materials and Methods: The present study included 39 patients who had findings of central lumbar spinal stenosis and underwent decompression surgery due to claudication and lower leg radiating pain. Their pain, functional outcomes, and Short Form-36 scores were evaluated before surgery and at 6 and 12 months after surgery. Results: Mean lower leg radiating pain showed a stead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up to 12 months after surgery (p<0.05, p=0.003). Mean low back pain scor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p<0.05) up to 6 months after surgery, after which no further improvement was noted. Conclusions: Decompression surgery for patients with central lumbar spinal stenosi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lower leg radiating pain and low back pain (visual analogue scale >4) up to 6 months after surgery and continuing improvements in lower leg radiating pain up to 12 months, but low back pain did not continue to improve after 6 months. Key words: Lumbar spinal stenosis, Radiating pain, Low back pain, Decompression 연구 계획: 후향적 선행 연구목적: 한 분절의 중심성 척추관 협착증으로 진단받은 환자에서의 감압술은 하지 증상 뿐만 아니라 요통의 호전도 기대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척추관 협착증의 감압술은 대부분 하지 증상의 호전을 위해 시행되며, 이러한 감압술이 요통까지 호전될 수 있다는 연구는 많지않은 실정이다. 대상 및 방법: 2013년에서 2018년까지 본원에서 한 분절 중심성 척추관 협착과 그에 합당한 하지 방사통이나 파행으로 인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였던 총 39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하지 방사통과 요통을 시각 통증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고, 척추의 기능적 결과는 Oswestry Disability Index나Rolland Morris Disability Questionnaire로 평가하였으며, 삶의 질은 Short Form 36을 이용하였으며, 술 전 술 후 6개월, 12개월에 평가하였다. 결과: 감압술 후 평균 하지 방사통은 술 후 1년까지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호전을 보였다(p<0.05). 요통은 술 전 4.72±3.40, 술 후 6개월 2.33±2.27, 술후 1년 2.21±2.02로 술 후 6개월까지는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호전을 보이지만(p<0.05) 이후의 호전은 없었다. 결론: 중심성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감압술만으로 술 후 6개월까지 하지 방사통이나 심한 요통(VAS >4)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회복을 기대할수 있으며, 그 이후에는 하지 방사통은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호전을 보이지만, 요통의 호전은 없었다.

      • KCI등재

        요부 운동프로그램이 복부비만을 가진 만성요통환자의 요부 신전근력과 가동범위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김대훈(Dae Hoon Kim),윤완영(Wan Young Yoon) 한국체육교육학회 2013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다양한 요통환자 중 만성 요통비만환자에게 요부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할 때, 요부 신전근력, 요부가동범위 그리 고 통증 변화에 대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만성요통으로 진단 받은 45명을 무작위로 할당하여 실험군(남:13명, 여:9명)과 대 조군(남:13명, 여:10명)으로 나누었으며, 참여한 대상자는 각각 8주 동안 주 3회, 50~55분 동안 요부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 하였다. 요부신전근력, 요부가동범위 그리고 통증 정도는 Medx 요부신전기구, ROM plus 그리고 VAS를 이용하였다. 요부 신전근력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모든 각도에서 유의하게 나타났고 또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모든 각도에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요부가동범위(굴곡/신전)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모든 각도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요부가동범위(굴곡/신 전) 비교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나타났다. 통증정도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통증정도 비교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요부운동프로그램이 비만과 비 비만환자의 요부 신전, 요부 가동범위 그리고 통증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특히, 비만 환자보다 비 비만환자에게 더 향상됨이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는 만성 요통을 가지 비만과 비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든 요통 환자에게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한 제 한이 있으므로 추후 개개인 환자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운동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effects lumbar extensor strength, lumbar ROM and pain scale, when applying lumbar exercise program. The subjects consist of 45, diagnosed with chronic back pain, randomly classifying experiment group(13 males, 9 females) and control group(13 males, 10 females) all group of participants who had lumbar exercise programs for 3 times a week, 50~55 minutes , total 8 weeks, respectively. Lumbar extensor strength, lumbar ROM and low back pain scale is tested with Medx lumbar extension machine, ROM plus and VAS. Results are as follows: 1. Lumbar extensor strength in experiment (AO: Abdominal obesity) and control (NAO: None-abdominal obesity) group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every angle (p<.001). 2. Compared in between groups an average gap of Lumbar extensor strength, all extensor strength angle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more experiment group than control group(p<.05). 3. Lumbar ROM in between group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every angle (p<.001). 4. Compared in between groups an average gap of Lumbar ROM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more experiment group than control group. 5. Low back pain scale (VAS) in between group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every angle (p<.001). 6. Compared in between groups an average gap of Lumbar ROM, pain scale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more experiment group than control group(p<.05). This study shows lumbar exercise programs have effect on improving lumbar extensor, lumbar ROM and decreasing pains to AO and NAO patients. Especially, it shows that NAO improved better than AO. However, as only obesity and none obesity chronic back pain patients are subjected to it, there will be a little to go far that this study is applied to all back pain patients. Furthermore, one can suggest that a more various research, developing systemic exercise program tailored to individual patients, should be don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하지통을 동반한 요통환자에게 요부 안정화 프로그램 적용이 요하지부 VAS 및 최대근력에 미치는 영향

        주성범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하지통을 동반한 요통환자에게 요부 안정화 프로그램 적용이 요하지부 VAS 및 최대근력에 미치는 영 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6개월 이상 하지통과 함께 요통을 호소하는 40-50대 여성 14명을 요부 안정화 프로 그램군 7명, 통제군 7명으로 나누어 8주간 적용하였으며, 요하지부 VAS 및 요하지부 최대근력 변인을 측정하여 다음 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하지부 VAS의 변화에서는 요부 안정화 프로그램군이 적용 전에 비해 적용 후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05), 요하지부 최대근력의 변화에서도 요부 안정화 프로그램군은 적용 전에 비해 적용 후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하지만, 통제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처럼, 하지통을 동반한 요통환자에게 요부 안정화 프로그램 적용은 요하지부 통증정도의 감소와 요하지부 최대근력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program on VAS and maximum strength of lumbar and lower limb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and leg pain. The subjects were divided lumbar stabilization program group and control group in women patients in their 40s-50s with low back pain and leg pain over 6months. The lumbar stabilization program group participated in the lumbar stabilization program for 8 weeks and the effects on VAS and maximum strength of lumbar and lower limb were evaluated. The lumbar stabilization program group in significantly increased VAS and maximum strength of lumbar and lower limb. To conclude, applying the lumbar stabilization program appeared to effectively reduces pain of improve the muscle strength of lumbar and lower limb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and leg pain. This research can provide a guideline of the effective verification model of a lumbar stabilization program to patients with low back pain and leg pain.

      • KCI등재

        8주간의 필라테스가 만성 요통을 가진 여성의 요추 전만 각도, 요추 신전 근력 및 요통 증상에 미치는 효과

        박한수,오재근 한국스포츠학회 2024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2 No.1

        요약본 연구는 8주간 만성 요통을 가진 여성에게 필라테스와 요추 안정화 운동의 효과를 비교 분석했다. 연구 대상은 비-특이적 만성 요통을 가진 20~45세 여성 24명을 모집해, 필라테스를 적용한 집단(PG, n=11), 그리고 척추 안정화 운동을 적용한 집단(SG, n=13)으로 나누어, 한 세션 당 50분으로 구성된 중재 프로그램을 8주 동안 주 2회 시행하였다. 중재 방법의 효과 검증을 위해 요추 전만 각도, 요추 신전 근력, ODI 및 VAS를 평가하였으며, 두 집단 모두 중재 후 요추 전만 각도와 요추 신전 근력이 개선되었으나, 집단-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ODI 및 VAS를 통한 요통 증상 개선에 있어서는 필라테스 그룹이 더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만성 요통을 가진 여성 환자들에게 필라테스의 적용은 요추 전만 각도와 신전 근력을 개선하며, 요통의 증상 완화에 있어 척추 안정화 운동에 비해 더 효과적이기 때문에 만성 요통의 개선을 위한 재활 운동 프로그램에 포함하는 것을 권장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규모 집단과 장기적 효과 검증이 필요하며, 요추 전만 각도 변화가 요통에 미치는 정확한 인과 관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Abstract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Pilates and spine stabilization exercise on women with chronic low back pain for 8 weeks. Twenty-four women aged 20-45 years with non-specific chronic low back pain were recrui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Pilates (PG, n=11) and spinal stabilization exercises (SG, n=13) who received an intervention program consisting of 50 minutes per session, twice a week for 8 weeks. Lumbar lordosis angle, lumbar extensor strength, ODI, and VAS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Both groups showed improvement in lumbar lordosis angle and lumbar extensor strength after the intervention, with no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However, the Pilates group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low back pain symptoms as measured by the ODI and VAS. Therefore, the use of Pilates in female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can be recommended for inclusion in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s for the improve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because it improves lumbar lordosis angle and extensor strength and is more effective than spinal stabilization exercises in reducing low back pain symptoms. Future studies should include larger cohorts and long-term validation of efficacy and determine the exac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lumbar lordosis angle and low back pain.

      • KCI등재

        만성 요통 환자의 요부 안정화 운동과 저주파 EMS 적용에 따른 효과 분석

        김범호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만성 요통 환자에게 요부 안정화 운동과 저주파 EMS 적용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50대 만성 요통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하여 4주간의 요부 안정화 운동과 저주파 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를 적용하였으며, 효과 분석을 위한 측정항목으로 요통 VAS(visual analogue scale, VAS)와 오스웨스트리 기능적 장애 지수(Oswestry Disability Index, ODI)를 이용하였다. 이에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요통 VAS에서 요부 안정화 운동 과 저주파 EMS 적용 전에 비해 적용 후에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5). 오스웨스트리 기능적 장애지수와 관련된 8가지 항목과 장애지수에서도 요부 안정화 운동과 저주파 EMS 적용 전에 비해 적용 후에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p<.05). 이처럼, 만성 요통 환자에게 요부 안정화 운동과 저주파 EMS 적용은 요통 VAS와 오스웨스트리 기능적 장애지 수의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만성 요통 환자에게 요부 안정화 운동과 저주파 EMS 적용의 근거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를 둘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and low frequency 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o patient with chronic low back pain.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12 patient with chronic low back pain, which trained for 4 weeks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and low frequency EMS and the effects on VAS of pain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were evalua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lunbar VAS of pain after application compared to befor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and low frequency EMS application. And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Oswestry Disability Index after application compared to befor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and low frequency EMS application. To conclude, applying th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and low frequency EMS appeared to effectively reduce the VAS of lunbar pain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This research can provide a guideline of the effective verification model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and low frequency EMS to patient with chronic low back pain.

      • KCI등재

        The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n Pain-related Functions of Industrial Workers with Chronic Low Back Pain and Lumbar Instability

        정대인,고대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7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n pain-related function of industrial workers with chronic low back pain and lumbar instability. 20 industrial workers with chronic low back pai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group(n=10) and experimental group(n=10). Back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balance ability were measured to assess physical functions, and visual analog scale(VAS) was used to evaluate pain levels. In both groups, back muscle strength and balance ability increased significantly, and pain levels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balance ability and significant diminishment in pain levels. In conclusion, th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has positive effects on industrial workers with lumbar instability and chronic low back pain by improving balance ability and reducing pain.

      • KCI등재후보

        요통이 있는 여성을 위한 수지요법과 요부강화 운동 프로그램 적용효과

        전은영 ( Eun Young Jeon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3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9 No.2

        척추의 불안정성은 요통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기능적 움직임과 자세유지에 어려움을 유발하기 때문에 요부 주변의 심부 근육을 강화시켜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급성요통 발생 시에는 약물이나 물리치료를 적극적으로 적용한 후 어느 정도 통증이 완화된 후에는 운동을 적극적으로 실시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환자들이 요통으로 인한 통증으로 인하여 많은 불편감을 호소하므로 통증경감과 더불어 근력과 유연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요통이 있는 여성에게 수지요법과 요부근력 강화운동으로 구성된 통합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통증, 근력, 유연성,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여 만성요통 환자에 대한 간호중재를 모색하고자 시도하였다.본 연구 결과 수지요법과 요부근력 강화운동 프로그램은 근력강화와 유연성을 증진시키는 부분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Hyoung (2008)의 연구에서 요부안정화 운동을 8주간 실시한 결과 근력과 유연성이 증가된 것과 일치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통합 프로그램의 임상적용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요통환자에게 적용하는 윌리엄 운동은 굴곡운동으로서 복근이나 둔근을 강화시켜 요추의 전만각을 줄이는 목적으로 시행되는데 굴곡운동은 척추의 후방조직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지만 추간판에는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는 반대로 멕켄지 운동은 신전운동으로서 추간판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는 있으나 척추 후관절에 압박이 가해지는 단점이 있어 요부안정화 운동을 권장하고 있다(Song & Ahn, 2008). 하지만 요부 안정화 운동은 허리부위의 신경과 근육을 강화하는 기본단계를 습득한 후 이를 더욱 강화하기 위한 자세와 공을 이용한 고급 훈련 단계로 되어 있어 물리치료사의 도움을 받아 운동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요부근육 강화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시도한 요부강화 운동은 요추협착증과 근육긴장으로 인한 요통이 있는 환자에게 적합한 운동으로 척추간근, 요부방형근, 둔근, 대퇴사두근을 강화시키게 되어 요추부위의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으로 요통환자가 가정에서 쉽게 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 이의 실무적용에 대한 근거를 제공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또한, 본 연구결과 수지요법과 요부근력 강화운동 프로그램은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부분적인 효과가 있었다. 요통이 있는 여성에게 본 프로그램을 적용한 지 4주 후에 건강관련 삶의 질이 전반적으로 상승되었으며, 또한 하위영역인 신체적 기능, 신체적 역할 제한, 전반적 건강상태, 사회적 기능, 통증, 정신건강 영역에서도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더 상승하여 삶의 질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은 통증감소, 관절운동범위 증가, 요부근육의 강화, 유연성 증가 등의 신체적 문제를 해소할 뿐만 아니라, 우울 등의 심리적 문제 해결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Jung, 2003), 본 연구 결과는 이러한 선행연구와 일치하였다. 즉, 요통은 요추부위의 근력과 근지구력의 감소, 유연성의 소실 등의 신체적 이상을 초래하여 신체적 활동을 감소시키고 정서상태에도 영향을 주어 생활만족도와 삶의 질 저하와 같은 심리적인 문제를 유발하게 되는데(Barnes, Smith, Gatchel, & Mayer, 1989; Choi, 2000), 운동은 근력과 유연성 증대뿐만 아니라 삶의 질 증진 효과도 있으므로 요통 환자에게는 적합한 운동을 적극적으로 교육할 필요가 있다.반면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프로그램은 성인초기 여성의 만성 요통의 통증감소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통에 미치는 운동 효과에 관하여 Ko (2007)는 운동요법은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기능장애, 우울 모두에 대하여 효과가 뚜렷하여 운동요법이 만성요통 환자에게 가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Song과 Ahn (2008)이 요부안정화 운동을 8주간 실시한 결과 근력과 유연성은 증가되었으나 통증경감 효과는 없다고 보고하였으며, Kamioka 등(2011)은 윌리암 운동과 멕켄지 운동으로 구성된 운동을 12주간 실시한 결과 통증이 감소되지 않았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와 같이 요통환자에게 운동요법을 실시한 결과는 선행연구마다 상반된 결과를 보고하고 있는 바 요통경감을 위한 운동방법에 관한 고찰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수지요법은 Yang (2009)의 연구에서는 수지침을 직접 적용(부위: A3, 4, 5, 6, 8, 10, 12, 16, J23, E22, F9, I19, 38)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서암봉을 반응점(A5, 6, 8, I19, B4, 5, 6, 7)에 붙였기에 적용부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유추된다. 이와 더불어, Hyoung (2008)의 연구에서 요부안정화 운동과 요통예방을 위한 환자 교육을 병행하여 8주간, 주 3회, 회당 1시간 30분간 실시한 결과 통증이 감소되었다고 보고한 결과를 고려하면 수지요법 적용방법 및 적용 부위에 대한 검토와 더불어 운동프로그램 수행 기간에 대한 고찰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Konvicka 등(2008)에 의하면 만성 통증이 환자들은 보완 대체요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인의 40% 이상이 보완대체요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나이가 들수록 많이 이용한다고 하였다. 이들이 사용하는 보완대체 요법은 기능식품, 마사지, 침, 명상, 이완요법 등의 방법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수의 선행연구(Dawson et al., 2007; Westrom et al., 2010)은 비특이적인 요통이 있는 환자에게는 다학제적인 접근법이 요통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 주장하였다. 그러므로 만성 요통이 있는 성인초기 여성을 위해서는 요부근력 강화와 유연성 증진에 효과가 있는 본 프로그램을 적용함과 동시에 통증경감을 위한 다른 중재방안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며, 통증경감 효과를 위하여 본 프로그램 시행기간을 8주 이상으로 연장하여 적용하는 것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hand acupressure and lumbar strengthening exercise on young adult women with back pain. Methods: The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consisted of 37 female young adults (19 person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8 persons in the control group). The hand acupressure and strengthening exercise for lower back were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 and a hand acupressure expert.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posed to this program 5 days a week for 4 weeks. The visual analog scale, back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quality of life were used as measurement instrument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using SPSS 18.0. Results: In this study, the hand acupressure and strengthening exercise showed siginificant effects on the back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back pain score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program.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this program can be applied for the women with low back pain in order to enhance the back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quality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